KR200383659Y1 -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659Y1
KR200383659Y1 KR20-2004-0034982U KR20040034982U KR200383659Y1 KR 200383659 Y1 KR200383659 Y1 KR 200383659Y1 KR 20040034982 U KR20040034982 U KR 20040034982U KR 200383659 Y1 KR200383659 Y1 KR 200383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cylinder
latch assembly
lower die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이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진 filed Critical 이호진
Priority to KR20-2004-0034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래치조립체(A)의 각부 고정핀(J1)(J2)을 압착하는 프레스장치에 관련된다.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래치조립체(A)를 수용하는 안내홈(10a)(10b)이 상부에 형성되고, 케이싱(12)에 삽설된 상태로 제1펀칭봉(14)을 타고 상하유격되는 하부다이(10); 상기 하부다이(10)의 케이싱(12)이 삽입되는 수용홈(20a)과 함께 저면에 개방구(20b)가 형성되고, 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해 베드면(24)을 타고 전후이송되는 안내블록(20); 상기 안내블록(2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드(36)를 타고 승ㆍ하강되고, 저면에 상부다이(32)와 함께 실린더(S3)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블록(34)이 구비되는 제1프레스부(30); 상기 제1프레스부(30)의 하방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제2펀칭봉(42)이 구비된 상태로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제2프레스부(40); 상기 안내블록(20)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이드판(52)과 함께 실린더(S6)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클램프(54)를 구비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독립적인 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던 래치조립체의 프레스공정을 단일의 가공장치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투자와 인력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가공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The press machine for Latch assemble}
본 고안은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적인 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던 래치조립체의 프레스공정을 단일의 가공장치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투자와 인력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가공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내ㆍ외부로 통하는 출입구에 사람이 드나드는 곳을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도어록에 의해 잠금/해제된다. 도어록은 노브와 연동되는 래치조립체(A)를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때 래치조립체(A)는 여러 구성부품이 상호 연계 작동되도록 조립된 래치뭉치(B)를 래치케이스(C) 및 래치고정판(P)과 결합하여 일체로 조립된다.
그러나, 래치조립체(A)를 제작함에 있어서, 먼저 래치뭉치(B)를 래치케이스(C)에 삽설한 후 제1프레스기(도시생략)를 통하여 제2고정핀(J2)을 압착하고, 이어서 래치케이스(C)에 래치고정판(P)을 삽입하여 제2프레스기(도시생략)를 통하여 제1고정핀(J1)을 압착한다. 이처럼 래치조립체(A)를 제1,2고정핀(J1)(J2)프레스가공 시 독립적인 각각의 프레스기를 통하여 압착됨에 따라 가공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2고정핀(J1)(J2)을 압착하기 위해 필히 제 1, 2프레스기(도시생략)를 개별적으로 구입해야함으로 그에 따른 설비 증설과 함께 다수대의 프레스기를 운전하기 위한 기능인력의 확충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시장경쟁력을 상실하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적인 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던 래치조립체의 프레스공정을 단일의 가공장치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투자와 인력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가공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래치조립체(A)의 각부 고정핀(J1)(J2)을 압착하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조립체(A)를 수용하는 안내홈(10a)(10b)이 상부에 형성되고, 케이싱(12)에 삽설된 상태로 제1펀칭봉(14)을 타고 상하유격되는 하부다이(10); 상기 하부다이(10)의 케이싱(12)이 삽입되는 수용홈(20a)과 함께 저면에 개방구(20b)가 형성되고, 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해 베드면(24)을 타고 전후이송되는 안내블록(20); 상기 안내블록(2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드(36)를 타고 승ㆍ하강되고, 저면에 상부다이(32)와 함께 실린더(S3)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블록(34)이 구비되는 제1프레스부(30); 상기 제1프레스부(30)의 하방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제2펀칭봉(42)이 구비된 상태로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제2프레스부(40); 상기 안내블록(20)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이드판(52)과 함께 실린더(S6)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클램프(54)를 구비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래치조립체의 분해/조립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래치조립체(A)의 각부 고정핀(J1)(J2)을 압착하는 프레스장치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래치조립체(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뭉치(B), 래치케이스(C), 래치고정판(P)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결합체로서, 상기의 구성부품은 수작업을 통하여 긴밀하게 조립된 후 상호 결속하기 위해 각부에 고정핀(J1)(J2)이 형성되는 바, 이때 고정핀(J1)(J2)은 프레스장치를 통하여 압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부다이(10)는 래치조립체(A)를 수용하는 안내홈(10a)(10b)이 상부에 형성되고, 케이싱(12)에 삽설된 상태로 제1펀칭봉(14)을 타고 상하유격된다. 하부다이(10)는 중앙에 래치조립체(A)의 래치케이스(C)를 수용하도록 원통형태의 안내홈(10a)과, 양단에 래치고정판(P)이 안착되는 안내홈(10b)이 형성된 상태로 케이싱(12)에 삽설됨과 함께 안내홈(10b)상에 형성된 관통공(10b')을 통하여 제1펀칭봉(14)이 삽입된다. 제1펀칭봉(14)은 하단이 케이싱(12)의 바닥면에 나사결합이나 용접으로 고정되고, 선단에 제1고정핀(J1)을 압착하는 테이퍼형상의 펀칭날(14a)이 형성된 상태로 탄성스프링(T)이 개재된다. 탄성스프링(T)은 하부다이(10)의 저면과 지지홈(12)의 바닥면사이에 위치하여 하부다이(1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하부다이(10)의 안내홈(10a)과 연통되는 케이싱(12)의 바닥면에 지지홈(12a)이 형성된다. 지지홈(12a)은 래치조립체(A)의 제2고정핀(J2)을 압착하기 위해 하부다이(10)가 하강시 후술하는 제2프레스부(40)의 제2펀칭봉(42)이 진입되도록 관통된다.
한편, 상기 하부다이(10)는 래치조립체(A)의 모델변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으로 제작되어 후술하는 안내블록(20)에 교체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가공공정변화에 따른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내블록(20)은 하부다이(10)의 케이싱(12)이 삽입되는 수용홈(20a)과 함께 저면에 개방구(20b)가 형성되고, 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해 베드면(24)을 타고 전후이송된다. 안내블록(20)은 일정한 두께의 철판을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볼트체결하거나 금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고, 중앙에 상부로 개방되는 수용홈(20a)이 형성되어 하부다이(10)의 케이싱(12)이 삽입된다. 수용홈(20a)은 하부다이(10)의 케이싱(12)과 일반공차로 가공되고, 바닥면에 후술하는 제2프레스부(40)의 제2펀칭봉(42)이 진입되도록 케이싱(12)의 지지홈(12a)과 연통되는 위치에 개방구(20b)가 형성된다. 이때 안내블록(20)은 후단에 설치된 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해 베드면(24)을 타고 전후이송되어 하부다이(10)에 안착된 래치조립체(A)를 가공위치로 로딩/언로딩시킨다.이때, 미설명 부호 24a는 후술하는 제2프레스부(40)의 제2펀칭봉(42)이 진입되는 통과공으로서 가공위치로 이송된 안내블럭(20)의 개방구(20b)와 연통되도록 베드면(24)의 바닥면에 관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1프레스부(30)는 안내블록(2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드(36)를 타고 승ㆍ하강되고, 저면에 상부다이(32)와 함께 실린더(S3)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블록(34)이 구비된다. 제1프레스부(30)는 양단이 로드(36)에 개재되어 실린더(S2)의 작동에 의해 승ㆍ하강하되, 저면에 상부다이(32)가 설치된다. 상부다이(32)는 안내블록(20)을 통하여 가공위치로 이송된 하부다이(10)의 안내홈(10a)(10b)과 맞물리게 형성되고, 제1펀칭봉(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부(32a)를 구비한다. 돌부(32a)는 제1프레스부(30)가 하강시 래치고정판(P)의 상면을 가압함에 따라 도 5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핀(J1)이 제1펀칭핀(14)의 펀칭날(14a)에 맞물려 압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다이(32)는 중앙에 고정블록(34)이 상하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블록(34)은 제1프레스부(30)가 하강하여 상부다이(32)와 하부다이(10)가 면접함과 동시에 실린더(S3)의 작동으로 돌출되고, 래치뭉치(B)를 하부로 밀착시켜 제2고정핀(J2)의 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후술하는 제2프레스부(40)에 의한 제2고정핀(J2)의 압착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2프레스부(40)는 제1프레스부(30)의 하방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제2펀칭봉(42)이 구비된 상태로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된다. 제2프레스부(40)는 제1프레스부(30)와 대응하는 위치 즉, 가공위치로 로딩된 안내블록(20)의 개방구(20b)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된다. 제2프레스부(40)는 상단에 한 쌍으로 돌출되는 제2펀칭봉(42)이 구비되는 바, 이때 제2펀칭봉(42)은 도 5c의 확대와 같이 래치조립체(A)의 제2고정핀(J2)을 압착하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제2프레스부(40)는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상승함과 함께 제2펀칭봉(42)이 베드면(24)의 통과공(24a)과 안내블럭(20)의 개방구(20b)를 통하여 케이싱(12)의 지지홈(12a)으로 진입되어 래치조립체(A)의 제2고정핀(J2)을 압착한다.
한편, 상기 제1,2고정핀(J1)(2J)의 압착가공이 완료되면 안내블럭(20)이 언로딩되어 후술하는 배출부(50)를 통하여 배출되는 바, 이에 따른 배출부(50)의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출부(50)는 안내블록(20)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이드판(52)과 함께 실린더(S6)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클램프(54)를 구비한다. 배출부(50)는 실린더(S5)의 작동에 의해 좌우이송되는 가이드판(52)과, 상기 가이드판(52)의 끝단에 설치되는 실린더(S6)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클램프(54)가 구비된다. 이에 클램프(54)는 가이드판(52)에 상하좌우이송가능하게 설치됨으로 프레스가공이 완료된 후 언로딩된 래치조립체(A)를 클램핑하여 일측에 설치된 호퍼(H)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때 가이드판(52)은 이송중에 마찰저항이 최소화됨은 물론 저소음, 긴수명이 유지되는 LM가이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전술한 안내블록(20), 제1프레스부(30), 제2프레스부(40), 배출부(50) 등의 주요 장치는 릴레이를 이용한 시퀀스/컴퓨터회로에 의해 제어됨과 함께 상기의 주요 장치를 작동시키는 실린더(S1)(S2)(S3)(S4)(S5)(S6)는 작업공정에 따른 이송력 및 가압력 등을 고려하여 에어 및 유압실린더를 택일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6을 통해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래치조립체(A)의 모델사이즈에 적합한 하부다이(10)를 안내블록(20)의 수용홈(20a)에 삽설한 후, 래치뭉치(B), 래치케이스(C), 래치고정판(P) 등을 일체로 조립한 래치조립체(A)를 하부다이(10)의 안내홈(10a)(10b)상에 긴밀하게 맞물리도록 삽입한다. 이어서 시작스위치(N)를 누르면 먼저 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해 안내블록(20)이 후방의 가공위치로 이송된 후, 제1프레스부(30)가 실린더(S2)의 작동에 의해 하강한다. 이때 제1프레스부(30)의 상부다이(32)가 하부다이(10)와 서로 면접한 상태로 돌부(32a)가 래치고정판(P)을 하방향으로 밀착하면 하부다이(10)가 소정의 폭만큼 하강하여 제1펀치봉(14)의 펀칭날(14a)이 제1고정핀(J1)을 압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고정블럭(34)이 실린더(S3)에 의해 래치뭉치(B)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고,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제2프레스부(40)의 제2펀칭봉(42)이 베드면(24)의 통과공(24a)과 안내블럭(20)의 개방구(20b)를 통하여 케이싱(12)의 지지홈(12a)으로 진입되어 래치조립체(A)의 제2고정핀(J2)을 압착한다. 이어서 제1,2프레스부(30)(40), 안내블록(20)이 차례대로 복귀하여 래치조립체(A)를 언로딩하고, 배출부(50)의 클램프(54)가 가이드판(52)을 타고 좌우상하이송하여 래치조립체(A)를 클램핑한 후, 호퍼(H)를 통하여 배출하면 가공공정이 완료되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하여 래치조립체(A)의 제1,2고정핀(J1)(J2)을 연속적으로 압착가공한다.
이와 같이, 일련의 가공공정을 통하여 래치조립체(A)의 각부에 고정핀(J1)(J2)을 동시에 압착함은 물론 배출부(50)를 통하여 가공이 완료된 래치조립체(A)가 자동으로 배출됨에 따라 작업성이 우수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독립적인 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던 래치조립체의 프레스공정을 단일의 가공장치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투자와 인력감소로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가공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래치조립체의 분해/조립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스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하부다이 10a, 10b: 안내홈
12: 케이싱 14: 제1펀칭봉
20: 안내블록 20a: 수용홈
20b: 개방구 24: 베드면
30: 제1프레스부 32: 상부다이
34: 고정블록 36: 로드
40: 제2프레스부 42: 제2펀칭봉
50: 배출부 52: 가이드판
54: 클램프

Claims (1)

  1. 래치조립체(A)의 각부 고정핀(J1)(J2)을 압착하는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조립체(A)를 수용하는 안내홈(10a)(10b)이 상부에 형성되고, 케이싱(12)에 삽설된 상태로 제1펀칭봉(14)을 타고 상하유격되는 하부다이(10);
    상기 하부다이(10)의 케이싱(12)이 삽입되는 수용홈(20a)과 함께 저면에 개방구(20b)가 형성되고, 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해 베드면(24)을 타고 전후이송되는 안내블록(20);
    상기 안내블록(2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로드(36)를 타고 승ㆍ하강되고, 저면에 상부다이(32)와 함께 실린더(S3)의 작동에 의해 돌출되는 고정블록(34)이 구비되는 제1프레스부(30);
    상기 제1프레스부(30)의 하방에 대응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제2펀칭봉(42)이 구비된 상태로 실린더(S4)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제2프레스부(40); 및
    상기 안내블록(20)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이드판(52)과 함께 실린더(S6)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송되는 클램프(54)를 구비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KR20-2004-0034982U 2004-12-09 2004-12-09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KR200383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82U KR200383659Y1 (ko) 2004-12-09 2004-12-09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82U KR200383659Y1 (ko) 2004-12-09 2004-12-09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659Y1 true KR200383659Y1 (ko) 2005-05-09

Family

ID=4368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982U KR200383659Y1 (ko) 2004-12-09 2004-12-09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6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19B1 (ko) 2007-07-26 2009-03-19 (주)대영오앤이 하드 디스크의 래치용 철심 정렬장치
KR102505120B1 (ko) 2022-11-03 2023-02-28 박진오 광케이블용 엔드캡 반사판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19B1 (ko) 2007-07-26 2009-03-19 (주)대영오앤이 하드 디스크의 래치용 철심 정렬장치
KR102505120B1 (ko) 2022-11-03 2023-02-28 박진오 광케이블용 엔드캡 반사판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2043A (en) Pin inserting apparatus
KR200383659Y1 (ko) 래치조립체용 프레스장치
CN109904137B (zh) 制程稳定的引线框架电路料带、制造方法及产品安装壳体
CN108145479B (zh) 用于装卡工件的固定治具
CN213469316U (zh) 铆接装置及应用其的触点铆接自动化设备
JPH0375247B2 (ko)
JP3237762U (ja) クランプ機構付き端子圧着金型
JP3175504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4602390U (zh) 一种用于线圈结构的自动化焊接组装系统
JPH0757843A (ja) バスバーの自動装着装置
JP3677931B2 (ja) 搬送機構を備えた部品加工装置
KR100543508B1 (ko) 부스바 펀칭장치
JP3507526B2 (ja) 成形品の製造装置
CN209867150U (zh) 一种汽车刹车齿圈生产用模具
JP2707937B2 (ja) バスバーと絶縁板の自動装着装置
KR200235125Y1 (ko)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CN2422793Y (zh) 电子元件自动成型切脚机
CN216230899U (zh) 一种基于磁力快速换模的压合装置
CN218259547U (zh) 一种机电设备搬运用输送装置
JPH05123779A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成形加工方法
KR100595986B1 (ko) 마그네트 스위치용 케이스 조립장치
CN213816824U (zh) 一种控制柜体自动多工位无铆钉连接装置
CN218425111U (zh) 一种冲压模具
CN218015306U (zh) 一种多部位移动铆压装置
CN220145730U (zh) 一种汽车风管装配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