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933Y1 -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933Y1
KR200377933Y1 KR20-2004-0028913U KR20040028913U KR200377933Y1 KR 200377933 Y1 KR200377933 Y1 KR 200377933Y1 KR 20040028913 U KR20040028913 U KR 20040028913U KR 200377933 Y1 KR200377933 Y1 KR 200377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bracket
manipulator
flow shaf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온섭
Original Assignee
심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온섭 filed Critical 심온섭
Priority to KR20-2004-0028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1)에 바퀴(2)와 등받이(3)와 시트(4)와 팔걸이(5)가 장치된 휠체어(10)에 조종기(20)를 연결부재(30)로써 장치하여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팔걸이(5)의 지지체(5a)에 볼트(31)로써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된 부착면(33)을 판체형의 지지면(34)에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서 된 고정브라켓트(35)와, 각각의 브라켓트(35)(40)를 2개의 연결레버(41)(42)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레버(41)(42)는 일측을 고정브라켓트(35)에 유동축(43)으로 결합하고 타측을 조종기브라켓트(40)에 유동축(44)으로 결합하며, 조종기브라켓트(40)의 유동축(44)에 자석체(45)를 동축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positioning system of controls for power chairs}
본 고안은 휠체어에 장치된 조종기에 있어서, 조종기의 위치를 원하는 곳에 간편하게 조절하므로서 , 사용자가 조정하기 좋은 위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중 외부의 물체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전동식으로 바퀴가 구동되는 전동휠체어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동휠체어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조종기를 장치하고 조종기에 장치된 레버를 조작하므로서 휠체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휠체어에 장치된 조종기는 그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종래, 조종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레일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이 있으나, 이는 전후 이동만 가능하며,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별개의 멈춤장치를 조작하여야 되므로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즉, 상기 조종기는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장 편안하고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조종기가 설정되어 있어야 쉽게 조작이 가능하나, 종래의 조종기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는데 제한이 많았다.
또한, 상기 조종기는 사용시에 전방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책상에서 업무를 보거나 컴퓨터 작업등을 할 경우에 돌출된 조종기가 다른 물체에 부딪혀 간섭이 발생되므로 이때에는 조종기를 후진시켜 놓아야 되나, 종래의 조종기는 이러한 조작이 불편하고 또한 한번의 동작으로 할 수 없으므로 불편함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전동휠체어에 있어 조종기를 임의의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조작하기 편안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종기의 위치를 변위시키면 자력에 의하여 원위치에 고정되므로 한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게 조종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휠체어의 측방에 장치되는 조종기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연결부재에 있어서, 휠체어의 몸체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트와 조종기에 부착되는 고정브라켓트를 각각 2개의 레버로 연결하며, 레버의 양단부를 유동축으로 결합하고 조종기브라켓트에 결합된 유동축에 자석체를 결합하며, 고정브라켓트의 상면 일측에 걸림돌기를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전체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에 바퀴(2)와 등받이(3)와 시트(4)와 팔걸이(5)가 장치된 휠체어(10)에 조종기(20)를 연결부재(30)로써 장치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팔걸이(5)의 지지체(5a)에 볼트(31)로써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된 부착면(33)을 판체형의 지지면(34)에 일체로 절곡형성하여서 된 고정브라켓트(35)와, 상기 조종기(20)에 볼트(36)로써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7)이 형성된 부착면(38)을 판체형의 지지면(39)에 일체로 절곡된 조종기브라켓트(40)와, 각각의 브라켓트(35)(40)를 2개의 연결레버(41)(42)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레버(41)(42)는 일측을 고정브라켓트(35)에 유동축(43)으로 결합하고 타측을 조종기브라켓트(40)에 유동축(44)으로 결합하며, 조종기브라켓트(40)의 유동축(44)에 자석체(45)를 동축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46)에 의하여 탄동되는 걸림돌기(47)를 상기 고정브라켓트(35)의 지지면(34) 일측에 설치한다.
미설명 부호 21은 조종기(2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손잡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사용자가 휠체어(10)의 시트(4)에 앉아서 조종기(20)의 조작손잡이(21)를 조작함에 따라 바퀴(2)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에 의한 작용은 통상의 전동 휠체어 조종기(2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편안한 위치로 조종기(20)의 조작손잡이(21)를 당기거나 밀면, 각각의 연결레버(41)(42)에 결합된 유동축(43)(44)을 지점으로 연결레버(41)(42)가 수평으로 회전 이동되며, 이에따라 조종기(20)가 위치 변동된다. 통상의 조종기(20)의 조작손잡이(21)를 조작하여 조종기(20)가 조절된 상태일 때, 조종기브라켓트(40)와 연결레버(41)(42)는 유동축(44)으로 상호 연결되고, 이 유동축(44)은 자석체(45)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석체(45)의 자력보다 큰 힘에 의해 조종기(20)가 조절된 다음에는 조종기브라켓트(40)의 지지면(39)에 자력이 발생되므로 조종기(20)의 조절된 위치가 변화되지 않게 된다. 즉, 자석체(45)에 발생된 자력의 힘보다 적은 힘에 의해서는 일단 조절된 조종기(20)의 위치가 쉽게 변동되지 않고 조절된 위치(정위치)가 벗어나지 않고 계속 그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다. 조종기(20)의 위치를 현재위치로부터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자력보다 더 큰 힘으로 조종기(20)를 밀거나 당기어야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종기(20)가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연결레버(41)(42)가 걸림돌기(47)에 걸려 지지되므로 불의하게 위치변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후방으로 조종기(20)를 밀면 스프링(46)이 압축되면서 걸림돌기(47)가 하강되어 조종기(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동휠체어에 있어 조종기를 임의의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신이 조작하기 편안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종기의 위치를 자력보다 큰 힘으로 일단 변위시키면 자력에 의하여 조절된 위치가 계속 유지(고정)되므로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게 조종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방으로 돌출된 조종기가 다른 물체에 부딪치는 것이 방지되므로 책상 등에서 업무를 볼 때에 행동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고안은 통상의 모든 전동휠체어에 쉽게 적용하여 활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전체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휠체어 20 ; 조종기 30; 연결부재
31,36: 볼트 32,37: 체결공 34,39: 지지면
40: 조종기브라켓트 41,42: 연결레버 43,44: 유동축
45: 자석체

Claims (1)

  1. 몸체(1)에 바퀴(2)와 등받이(3)와 시트(4)와 팔걸이(5)가 장치된 휠체어(10)에 조종기(20)를 연결부재(30)로써 장치하여 구성된 공지의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팔걸이(5)의 지지체(5a)에 볼트(31)로써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된 부착면(33)을 판체형의 지지면(34)에 일체로 절곡형성하여서 된 고정브라켓트(35)와, 상기 조종기(20)에 볼트(36)로써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7)이 형성된 부착면(38)을 판체형의 지지면(39)에 일체로 절곡된 조종기브라켓트(40)와, 각각의 브라켓트(35)(40)를 2개의 연결레버(41)(42)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레버(41)(42)는 일측을 고정브라켓트(35)에 유동축(43)으로 결합하고 타측을 조종기브라켓트(40)에 유동축(44)으로 결합하며, 조종기브라켓트(40)의 유동축(44)에 자석체(45)를 동축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KR20-2004-0028913U 2004-10-12 2004-10-12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KR200377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913U KR200377933Y1 (ko) 2004-10-12 2004-10-12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913U KR200377933Y1 (ko) 2004-10-12 2004-10-12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933Y1 true KR200377933Y1 (ko) 2005-03-11

Family

ID=4367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913U KR200377933Y1 (ko) 2004-10-12 2004-10-12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9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07B1 (ko) 2006-10-12 2008-08-26 전기룡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KR20230027357A (ko) * 2021-08-18 2023-02-28 주식회사 힐스로보틱스 자율 주행 전동 휠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07B1 (ko) 2006-10-12 2008-08-26 전기룡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KR20230027357A (ko) * 2021-08-18 2023-02-28 주식회사 힐스로보틱스 자율 주행 전동 휠체어
KR102636313B1 (ko) * 2021-08-18 2024-02-14 주식회사 힐스로보틱스 자율 주행 전동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996A (en) Combination power wheelchair and walker
US7077416B2 (en) Locomotion device fo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JP2000210339A (ja) 多機能型自立歩行支援機
WO2018179430A1 (ja) 介助装置
JP3032746B2 (ja) 車椅子
KR101280363B1 (ko) 휠체어용 전동/수동 겸용 모듈 및 이를 채용한 휠체어
JP2000175974A (ja) 多機能ベッド
WO1998051557A1 (en) A braking system for wheelchairs, wheeled walking frames and the like
KR200377933Y1 (ko)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US6902233B2 (en) Reclining chair with extendible leg rest
US20100108418A1 (en) Electric wheelchair
KR20190024417A (ko) 기립 보조 의자
KR20120096118A (ko) 수동 및 전동 겸용 휠체어
KR200161937Y1 (ko) 휠체어용 브레이크.
JP2003019165A (ja) 人力駆動式車いすの後付け用駆動装置
KR20080033566A (ko) 전동휠체어용 조종기의 위치조절장치
JP3854044B2 (ja) 車椅子用ブレーキ機構及び車椅子
KR200319927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JP4214552B2 (ja) 組立て式電動車いす及び電動車いすの組立て方法
JPH0745393Y2 (ja) 車椅子の固定装置
CN218489527U (zh) 一种脚部支撑机构及汽车
EP1413278A1 (en) Manual wheelchair for disabled persons with seat adjustable in height
JP2003284744A (ja) 車椅子用補助具
US20030094323A1 (en) Foot-operated actuator for an electric wheelchair
CN219662108U (zh) 一种轮椅床的扶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