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970Y1 - 직화 냄비 - Google Patents

직화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970Y1
KR200373970Y1 KR20-2004-0031781U KR20040031781U KR200373970Y1 KR 200373970 Y1 KR200373970 Y1 KR 200373970Y1 KR 20040031781 U KR20040031781 U KR 20040031781U KR 200373970 Y1 KR200373970 Y1 KR 200373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eat
hot air
enamel
air ball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Priority to KR20-2004-0031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화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기구에 얹혀진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 화기가 냄비안으로 인입되어 냄비의 내부 취사물에 직접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의 바닥면에는 열기구로 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를 냄비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로 형성하며, 냄비의 내부에는 겅그레를 설치되며, 상기 냄비는 법랑형태의 냄비를 사용하며, 법랑을 구성하는 도자기층에는 원적외선방사체를 혼입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냄비.

Description

직화 냄비{Barbecue pot}
본 고안은 직화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기구에 얹혀진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 화기가 냄비안으로 인입되어 냄비의 내부 취사물에 직접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냄비는 몸통의 내부 저면에다 석쇠를 내장한 상주변에 외향지게 절곡한 직화유입턱을 형성하고 직화유입공을 천공한 상부변에 배기공이 천공된 몸통에 있어서, 몸통 상주변을 하향지게 길게 절곡 보열벽을 구성하고 상단에 결합턱을 형성하여 투명 강화유리뚜껑이 복개하도록 한 직화구이팬뚜껑과 몸통이 결합된 내면에다 석쇠를 내장한 몸통의 상단외변을 하향지게 길게 절곡하여 열통로인 보열벽을 구성한 몸통에 있어서 직화가 내면으로 잘유입되여 가열하도록 몸통 상부내변에 배기공이 천공되게 한 하변에다 내향지게 약간 절곡하여 직화유입턱을 형성된 상면에 직화유입공을 여러개 천공하고 몸통상단에 결합턱을 형성하여 뚜껑을 복개하도록 한 직화구이팬이 특허 제 330622호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직화 냄비는 열기구에서 발생하는 열이 냄비의 측벽을 따라 올라가 측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열기가 유입되므로 열의 낭비가 심하여 열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직화유입턱을 형성하여 냄비의 외관이 커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이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 냄비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편히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냄비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체를 도포하여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내부 음식물이 잘 익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형태의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체층을 도포하고, 상기 냄비의 바닥면에는 열기구로 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을 형성하며, 냄비의 내부에는 겅그레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냄비(10)의 바닥면(15)에는 열기구로 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17)를 형성하며, 냄비의 내부에는 겅그레(20)를 설치하였다.
이때 개구부(17)는 냄비(10)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로 형성되며, 바닥의 중심측은 좁고 테두리측은 넓게 형성하며, 냄비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법랑형태의 냄비를 사용하며, 법랑을 구성하는 도자기층(12)에는 원적외선방사체를 혼입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10) 형태에 바닥면(15)에는 열기구로 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17)를 형성하고, 냄비의 표면은 원적외선 방사체인 바이오세라믹을 포함하는 도자기(12)을 도포하여 법랑형태의 냄비를 완성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제조된 냄비를 사용할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10)의 내부에 겅그레(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굽고자하는 고구마 또는 옥수수 등의 취사물(30)을 얹은 후 뚜껑(25)을 덮고 밑에서 열기구(28)에 의해 열을 가하게 되면 열기구(28)에서 발산되는 열은 냄비(1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7)를 통해 직접 냄비(10)의 내부로 열을 가하게 되어 내부의 취사물(30)이 익게 된다.
이때 열기구(28)로 부터 가해지는 불꽃은 개구부(17)를 통해 냄비의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개구부(17)를 형성하기 위하여 코닝가공한 부분의 하면에 부딪혀 불꽃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냄비(10)의 내부에 열을 가하게 되므로 취사물(30)과 직접 닿지는 않는 상태에서 취사물(30)에 열을 가하여 취사물을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개구부(17)가 중심측은 좁고 테두리측은 넓으므로 열기구(28)로 부터 올라오는 화기는 개구부의 넓은 쪽으로 보다 많은 열을 전달하게 되므로 냄비의 내부로 인입되는 화기가 냄비의 외부를 휘돌아 가면서 내부 취사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열기구가 냄비(10)를 가열하면 냄비의 법랑을 구성하는 도자기재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바이오 세라믹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도자기층(12)으로 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취사물을 내부까지 골고루 익혀주게 되는 것으로 이는 원적외선의 특성이 파장이 길어 침투성이 좋으며, 파장의 진동으로 식품을 가열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열기구로 부터 발산되는 불꽃이 취사물에 직접 닿지는 않으나 열기구로 부터 발산되는 열이 개구부를 통하여 취사물에 전달되어 불에 직접 구운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열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이 냄비의 바닥으로부터 직접 냄비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구조를 간편히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냄비의 표면에 도포된 원적외선 방사체로 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내부 음식물이 내부로 부터 골고루 익게 되어 시식감을 좋게하는 것이다.

Claims (2)

  1.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냄비(10)의 바닥면(15)에는 열기구로 부터 인입되는 열기가 통할 수 있도록 코닝가공을 한 개구부(17)를 냄비(10)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의 열로 형성하며, 냄비(10)의 내부에는 겅그레(2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냄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냄비(10)는 법랑형태의 냄비를 사용하며, 법랑을 구성하는 도자기층에는 원적외선방사체를 혼입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냄비.
KR20-2004-0031781U 2004-11-10 2004-11-10 직화 냄비 KR200373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81U KR200373970Y1 (ko) 2004-11-10 2004-11-10 직화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81U KR200373970Y1 (ko) 2004-11-10 2004-11-10 직화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970Y1 true KR200373970Y1 (ko) 2005-01-21

Family

ID=4944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81U KR200373970Y1 (ko) 2004-11-10 2004-11-10 직화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9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10A (ko) * 2018-03-19 2019-09-27 이영창 직화 구이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10A (ko) * 2018-03-19 2019-09-27 이영창 직화 구이냄비
KR102081814B1 (ko) * 2018-03-19 2020-02-26 이영창 직화 구이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KR101428024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JP2003284649A (ja) 加熱調理機
KR101183938B1 (ko) 다목적 전기 직화 구이기
KR200373970Y1 (ko) 직화 냄비
KR100923422B1 (ko) 직화 조리기용 기름받이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043790B1 (ko) 구이기
JPH10286182A (ja) 焼物用ガスコンロおよび焼物用ガス調理設備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KR20100114972A (ko) 간편 조리기
JPH03176006A (ja) 調理器具
KR20090127849A (ko) 간편 조리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US7564010B2 (en) Jar type cauldron
KR20090127566A (ko) 간편 조리기
KR20230001259U (ko) 다기능 조리기
KR200196388Y1 (ko) 압력솥
KR20110026363A (ko) 직화냄비 그리고 그 받침용기 및 그 뚜껑
JP2010165500A (ja) Ih式無煙ロースター
KR200214888Y1 (ko) 다용도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