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26Y1 -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26Y1
KR200373326Y1 KR20-2004-0028834U KR20040028834U KR200373326Y1 KR 200373326 Y1 KR200373326 Y1 KR 200373326Y1 KR 20040028834 U KR20040028834 U KR 20040028834U KR 200373326 Y1 KR200373326 Y1 KR 200373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window
multilayer glass
automat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
Priority to KR20-2004-0028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26Y1/ko
Priority to US11/192,019 priority patent/US20060076113A1/en
Priority to CN2005100888057A priority patent/CN1869393B/zh
Priority to JP2005226744A priority patent/JP4444184B2/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54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로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유리가 밀폐식으로 제작된 복층 유리 구조물과; 이 복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창호의 문짝 프레임과;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상측에 인접하게 고정된 블라인드 전동 유닛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현수된 상태로 복층 유리 구조물 내에 내장되어,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개 또는 회수되는 자동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것을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전동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과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와; 감속기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의 동작을 위한 회전축을 연결하여 감속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블라인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커플러와; 블라인드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에 연결되어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블라인드의 동작을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상하 이동용 조절 와이어와; 감속기 회전축, 블라인드 회전축 및 커플러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되고 기어치(teeth)를 갖는 카운터 기어와; 카운터 기어에 인접 배치되고 카운터 기어의 기어치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를 계수함으로써 조절 와이어에 의한 블라인드 동작 정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이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와 광센서에 의한 계수 신호를 기초로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블라인드 동작 제어 신호를 보내는 중앙처리부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REMOTE CONTROLLABLE AUTO BLIND CONTAINED TYPE PAIR GLASS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를 내장한 형태의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이하 '복층 유리 창호'로도 지칭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양 효과, 사생활 침해 방지, 에너지 절감, 편리성, 주거 공간 내에 진드기 또는 바이러스와 같은 질병 원인균의 기생을 방지(질병 원인균이 기생하기 쉬운 블라인드를 밀폐형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내장하므로)하기 위한 것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각종 형태의 자동 원격 제어 가능한 블라인드(주름 직물 시트형 및 다단 수평 슬랫형 블라인드를 포함함)를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내장하여 건물의 창호로서 사용하는 원격 자동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블라인드 구조물은 복층 유리 구조물을 채용하지 않고 블라인드 자체를 창문 전면 상부 벽체에 노출형으로 고정 설치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고, 블라인드 구조물을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에 설치한 내장형의 경우는 벽체에 고정된 단일 고정창의 것이 일부 사용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창은 예컨대, 블라인드 구조물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 플러그를 벽체에 고정된 전원 공급 소켓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창짝이 움직이는 슬라이딩 창(미서기 창), 또는 여닫이 창 등 실제 건축물의 창에는 그 전원 공급 방법의 어려움으로 인해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고정 블라인드 구조물은 하나의 블라인드의 제어만이 가능하고, 전원 공급 배선이 외부로 드러난 유선 방식의 것이 주류를 이루며, 블라인드의 자동 제어를 실현한 구조에서도 센서 또는 신호 수신부 등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움직임이 가능한 창호의 개념을 갖는 블라인드 구조물로서 사용될 수 없음은 물론, 전원 공급 배선, 센서 또는 신호 수신부 등이 블라인드 구조물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미려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건물 내 인테리어의 측면에서 불리한 요소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센서 또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종래의 블라인드 구조물의 블라인드 제어 장치는 기계식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의 전개 또는 회수 길이를 조작하는 방식의 것으로서,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할 경우, 블라인드의전개 또는 회수 길이를 제작 단계에서 미리 설정하기 때문에 임의의 길이 설정 및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원격제어의 경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서의 센서가 블라인드 구조물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불리하고, 적외선 신호의 특성상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신호의 전달이 간헐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블라인드 구조물의 특성상 블라인드 구조물로부터 노출된 센서 등에 의해 모터가 직접 제어되어 고정된 단일 블라인드가 동작 제어되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문짝 형태로 구성된 블라인드 구조물(예컨대,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의 경우에서 처럼 복수개의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가 하나의 창틀 또는 문틀에 장착된 경우, 각 창호 내의 블라인드를 통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동작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 이외에도, 모터에 과전류가 인가될 경우 모터가 소손되거나, 창호의 특성상 창문의 개폐가 발생하므로, 블라인드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 배선을 일반적인 배선 방식으로 설치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블라인드 구조물을, 자동 블라인드가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내장된 상태의 복층 유리 창호형으로 구성하여, 블라인드 구조물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새로운 형태의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구현하고, 블라인드의 자동 제어에 필요한 센서 및/또는 신호 수신부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에 설치 가능하며, 특히 복수개의 창호 문짝에 각기 내장된 블라인드를 장애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정밀·정확하게 개별 또는 통합적으로 자동 원격 조작 가능하고, 과전류로부터 모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전원 공급단자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배선 방식의 자동 원격 제어 가능한 블라인드를 내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층 유리 구조물(들) 속에 각기 내장된 자동 블라인드(들)를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에 구애됨이 없이 각각의 블라인드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원격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개선된 전원 공급 단자를 갖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원격 제어 가능한 다단 수평 슬랫형 자동 블라인드를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내장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가 복수개 배열된(하나의 창틀에 복수개의 문짝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적용된 다단 수평 슬랫형 자동 블라인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주름 직물 시트 블라인드를 내장한 복층 유리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4b 및 4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의 전원 공급 단자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설치된 도 4의 전원 공급 단자에 대응하는 창틀 프레임측 전원 공급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일부 부분 사시도로, 도 5(a)(b)는 도 4a 및 도 4b의 전원 공급 단자에 대응하는 창틀 프레임의 상부측(하부측도 가능함) 전원 공급 구성이고, 도 5(c)는 도 4c의 전원 공급 단자에 대응하는 전원 공급 구성;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의 자동 블라인드의구동을 위한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일례를 각기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측면도 포함) 및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자동 블라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격 제어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감속기
30: 제어부
40: 전동 모터
50: 커플러
60: 카운터 기어
70: 광센서
80: 신호 수신부
100: 전동 유닛
110: 블라인드 회전축
130: 풀리
200, 200A, 200B: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220, 225a, 225b: 문짝 프레임
220a,22b,220c,220d: 스페이서 간봉
225a: 활주 슬롯
225b: 활주 돌기
240, 240a: 블라인드
250: 상하 이동 조절 와이어
260: 각도 조절 와이어
270: 복층 유리
295a,295a':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295b,295b':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
300: 창틀 프레임
325; 슬라이드 슬롯
325b: 슬라이드 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창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로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유리가 밀폐식으로 제작된 복층 유리 구조물과; 이 복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창호의 문짝 프레임과;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상측에 인접하게 고정된 블라인드 전동 유닛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현수된 상태로 복층 유리 구조물 내에 내장되어,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개 또는 회수되는 자동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전동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과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와; 감속기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의 동작을 위한 회전축을 연결하여 감속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블라인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커플러와; 블라인드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에 연결되어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블라인드의 각도와 상하 이동을 포함하는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와; 감속기 회전축, 블라인드 회전축 및 커플러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되고 기어치(teeth)를 갖는 카운터 기어와; 카운터 기어에 인접 배치되고 카운터 기어의 기어치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를 계수함으로써 조절 와이어에 의한 블라인드 동작 정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이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와 광센서에 의한 계수 신호를 기초로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블라인드 동작 제어 신호를 보내는 중앙처리부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그 제어부 및 신호 수신부가 복층 유리 구조물에 인접 배치된 문짝 프레임 및 창호가 설치되는 문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별도로 배치되고,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나머지 부분은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의 원격 제어 신호에의해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광센서의 신호가 블라인드의 완전 전개 위치 또는 완전 회수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에 과전류가 인가될 때 모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감지 및 보호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RF 신호와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신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틀 프레임은 슬라이드 돌기와 슬롯을 갖는 슬라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창호의 문짝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돌기 및 슬롯에 대응 결합되는 활주 슬롯 및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드 레일과 이에 대응하는 창호 문짝 프레임의 부분중 어느 일측에는 전기 공급 배선으로서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가 부착되며, 다른 일측에는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는 평면형 제1 섹션과 평면부에 위치된 스토퍼 돌기와 측면부에 위치된 길이 방향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2 섹션으로 구분되고, 양측 고정단을 갖는 평면 베이스와, 이 평면 베이스에 고정된 탄성 스트립 접촉자를 포함하고, 탄성 스트립 접촉자는 제1 섹션측고정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방 절곡된 박판 접촉 스트립과, 길이 방향 구멍을 가지며, 이 길이 방향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센션의 스토퍼 돌기가 돌출되도록 평면 베이스의 제2 섹션의 길이 방향 가이드 슬롯 내에 삽입 장착된 가이드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전기 공급은 창호의 개방 상태 또는 개방중에도 상기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와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박판 접촉 스트립 사이의 접촉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는 그 제1 및 제2 섹션이 서로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섹션이 모서리 상단에 배치되도록 창호 문짝 프레임의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섹션측 고정단에는 소정의 고정 인서트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인서트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틀 프레임의 측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창호 문짝 프레임의 측부중 어느 일측에는 베이스와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갖는 암형(female type) 전원 공급 단자가 배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베이스와 스프링 탄발식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갖는 수형(male type) 전원 공급 단자가 배치되며, 이들 암형 및 수형 전원 공급 단자의 단자간 접촉에 의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는 주름 직물 시트 블라인드, 다단 수평 슬랫 블라인드, 롤형 블라인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술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가 하나의 창틀 또는 문틀에 복수개 설치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부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신호 범위의 원격 제어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 범위의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의해 블라인드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주파수 대역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RF 신호와 음성별로 다른 주파수 대역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 신호들과 음성 신호들중 어느 한 신호는 모든 제어부의 제어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설정 신호의 수신시 모든 제어부에 의해 블라인드의 작동이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약칭으로 '복층 유리 창호'도 동일한 개념의 표현임)는 본 명세서의 서두 부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내장된 상태로 구성한 창(window) 또는 문(door)를 포함하는 창호를 정의하는 표현으로, 창짝 또는 문짝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며, 복층 유리 구조물이란 알미늄 간봉과 같은 스페이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스페이서 간봉 전후면에 유리를 밀폐식으로 부착한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복층 유리'란 표현은 이러한 구조물의 구성을 일컫는 표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는 단일의 블라인드가 단일의 복층 유리 구조물 내에 설치된 단일 창호와 이러한 단일 창호가 단일 창틀 또는 문틀에 복수개 설치된 창호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이 복층 유리 창호들의 각 블라인드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통합적으로 원격 자동 제어 가능하며,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블라인드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 또는 수평 각도 조절 등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블라인드, 예를 들면, 주름 직물 시트 블라인드, 다단 수평 슬랫 블라인드, 롤형 블라인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원격 제어 가능한 다단 수평 슬랫형 자동 블라인드를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내장한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를 하나의 창틀 또는 문틀에 복수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층 유리 창호에 적용된 다단 수평 슬랫형 자동 블라인드를 내장한 복층 유리 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주름 직물 시트 블라인드를 내장한 복층 유리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복층 유리 창호(200; 200A,200B)는 자동 블라인드를 복층 유리 구조물 속에 내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로서, 이 창호는 창틀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건물내 창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창틀 또는 문틀의 구조 또는 그 장착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건축물의 창문과 같이, 상부와 하부중 적어도 한 곳에 슬라이드 레일(325a와 325b)을 갖는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닫이 창(미서기 창) 이외에도, 슬라이드 레일이 없는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창, 여닫이 창 및 이들 창의 기능을 복합한 복합 기능창으로서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복층 유리 창호는 미서기 창, 여닫이 창, 고정창, 복합 기능 창 등 그 장착 장식에 따른 창 종류중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창 모두를 포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복합 유리 창호는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된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합 유리 창호를 위주로 설명한다.
블라인드 창호(200)는 복층 유리 구조물(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물)과, 이 복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문짝 프레임(220과 225a 및 225b)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고정된 블라인드 구동을 위한 블라인드 전동 유닛(100; 도 6 참조)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현수된 상태로 복층 유리 구조물 내에 내장되어,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원격 제어 작동에 의해 전개 또는 회수되는 블라인드(240 또는 240a)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드 레일은 슬라이드 돌기(325b)와 슬롯(325a)을 가지며, 상기 창호 문짝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돌기 및 슬롯에 대응 결합되는 활주 슬롯(225a) 및 돌기(225b)를 구비하여, 블라인드 창호(200)가 창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슬라이드식 창호가 아닌 다른 종류의 창호의 경우, 이러한 창호가 설치되는 창틀에는 위와 같은 슬라이드 레일이 필수 구성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복층 유리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층 유리용 알미늄 간봉과 같은 스페이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유리를 밀폐식으로 제작한 구조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간봉(220a,220b,220c,220d)과, 이 스페이서 간봉 전후면에 밀폐식으로 설치된 복층 유리(270; 도 2 참조)를 포함하며, 복층 유리 사이의 밀폐 공간 상측에 소정의 블라인드(예컨대, 도면 부호 240 또는 240a)가 고정 현수되도록 내장된다.
이때, 상기 복층 유리 사이의 밀폐 공간에는 단열성능 향상 및 열수축으로 인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내부의 공간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라인드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어떤 종류의 것도 적용 가능한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다단 수평 슬랫 블라인드의 경우, 복층 유리(270) 사이의 밀폐 공간 상측의 상부 지지부(210)에 현수되도록 복수개의 수평 슬랫(240)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수평 슬랫(240)의 작동, 즉 다단 수평 슬랫 블라인드의 상하 이동 또는 슬랫 각도 조절은 상부 지지부(210)에 설치된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동 모터는 블라인드의 자동 전동 구동을 위한 블라인드 전동 유닛(100; 도 6 참조)을 통해 회전력 또는 회전수가 조절되는 블라인드 회전축(110)에 연결된 풀리(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풀리의 서로 다른 직경부(130a,130b)에 권취된 상하 조절 와이어(250) 및 각도 조절 와이어(260)가 회전축및 풀리의 회전 정도에 따라 권취 정도를 달리하면서 수평 슬랫들의 상하 이동 및 각도 조절을 행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풀리의 구성 및 이에 결합된 조절 와이어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한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조절 와이어를 조절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의 구성도 본 고안의 복층 유리 창호의 블라인드 전동 유닛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와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주름 직물 시트 블라인드의 경우에도 주름 직물 시트(240a)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한 조절 와이어(260a)의 권취 조절을 통해 상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복층 유리 창호(200)는 복층 유리 구조물 내의 블라인드를 원격으로 자동 전동 제어 가능한데, 이를 위한 전원 공급 방식의 구성에도 주요한 특징이 있다.
도 4a, 4b 및 4c는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의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설치된 도 4의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에 대응하는 창틀 프레임측 전원 공급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일부 부분 사시도로, 도 5(a)는 도 4a 및 도 4b의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에 대응하는 전원 공급 구성이고, 도 5(b)는 도 4c의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에 대응하는 전원 공급 구성으로써, 5(a)(b)는 도 4a 및 도 4b는 창문짝이 슬라이딩 형태로 개폐되는 미서기 창 등에 적용하기 위한 전원 공급 방식이며, 도 5(c)와 도 4c는 미서기 창은 물론 그 이외의 열림 방식을 가지는 창에도적용 가능한 전원 공급 방식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돌기(325b) 또는 슬롯(325)에는 전기 공급 배선으로서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295b 또는 295b')가 부착되며(도 5a 참조), 이에 대응하는 창호 문짝 프레임의 부분에는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295a 또는 295a')가 배치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예컨대, 슬라이드 슬롯(325)에 테이프형 전도체를 접착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창틀 프레임에 창호가 3개 설치되는 경우에 각 창호로의 전원 공급이 원활하도록, 양측 슬라이드 슬롯(325)에 (+)와 (-)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테이프형 전도체를 배치한다.
상기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295a;295a')는 평면형 제1 섹션과 평면부에 위치된 스토퍼 돌기(296c;296c')와 측면부에 위치된 길이 방향 가이드 슬롯(296d;296d')을 갖는 제2 섹션으로 구분되고, 양측 고정단(296a,296b;296a',296b')을 갖는 평면 베이스(296;296')와, 이 평면 베이스(296;296')에 고정된 탄성 스트립 접촉자(297;297')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스트립 접촉자(297;297')는 제1 섹션측 고정단(296a;296a')에 일단(297a;297a')이 고정되고 상방 절곡된 박판 접촉 스트립 부분과, 길이 방향 구멍(297e;297e')을 가지며, 이 길이 방향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센션의 스토퍼 돌기(296c;296c')가 돌출되도록 평면 베이스의 제2 섹션의 길이 방향 가이드 슬롯(296d;296d') 내에 삽입 장착된 가이드 스트립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스트립의 단부(297d;297d')는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스토퍼 돌기에 의하여 스트립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295a;295a')의 양 고정단(296a,296b;296a',296b')은 예컨대, 창호 문짝 프레임의 상하부 또는 모서리 부분에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가 안착 고정되도록 스크류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 고정단중 제1 섹션측 고정단(296a;296a')은 스크류 고정 방식을 탈피하여, 착탈식으로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인서트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체결 및 분리시의 편의를 위한 구성이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295a')는 그 제1 및 제2 섹션이 서로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섹션이 모서리 상단에 배치되도록 창호 문짝 프레임의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고정됨으로써, 복층 유리 창호의 문짝을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블라인드 창호 문짝이 창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체결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복층 유리 창호의 창틀 프레임과 이에 결합된 문짝 사이의 전기 공급은 상기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와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박판 접촉 스트립 사이의 접촉에 의해 행해지게 되며, 이러한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와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구성은 전기 공급 배선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전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c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창틀 프레임(300b)의 측부(320b)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문짝 프레임의 측부(220; 도 1 참조)중 어느 일측에는 고정 구멍(293b)을 갖는 베이스와 양극 및 음극 단자(291b)를 갖는 암형(female type) 전원 공급 단자(290b)가 배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고정 구멍(293a)을 갖는 베이스와 스프링 탄발식 양극 및 음극 단자(291a)를 갖는 수형(male type) 전원 공급 단자(290a)가 배치되며, 이들 암형 및 수형 전원 공급 단자의 단자간 접촉에 의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형 및 암형 전원 공급 단자(290a;290b)의 배면은 문짝 프레임 또는 창틀 프레임의 내측으로 매립되는 부분으로서, 스프링 탄발식 양극 및 음극 단자(291a) 또는 양극 및 음극 단자(291b)에 연결되어 문짝 프레임 또는 창틀 프레임 내측으로 전기 공급을 매개하는 전기 공급 단자(292a;292b)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는 제어부를 이용하여 전술한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및 블라인드 구동을 위한 전동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창호 내의 내장 블라인드를 자동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의 자동 블라인드의 구동을 위한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일례를 각기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측면도 포함)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자동 블라인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격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블라인드 전기 구동을 위한 블라인드 전동 유닛(100)은 전동 모터(40)와, 모터의 회전력과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20)와, 감속기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의 동작을 위한 회전축(110; 도 2)을 연결하여 감속기 회전축의회전력을 블라인드 회전축(110)으로 전달하는 커플러(50)와, 블라인드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에 연결되어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블라인드의 각도 또는 상하 이동과 같은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도 2 및 도 3 참조; 250,260,260a)와, 감속기 회전축, 블라인드 회전축 및 커플러 중 어느 하나(도시된 도면에서는 카플러 외면에 고정됨)에 고정 장착되고 기어치(teeth)를 갖는 카운터 기어(60)와, 카운터 기어에 인접 배치되고 카운터 기어의 기어치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를 계수함으로써 조절 와이어에 의한 블라인드 동작 정도를 감지하는 광센서(70)와, 리모콘에 의한 원격 제어 신호와 광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블라인드를 조작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러 외부에 고정 장착된 카운터 기어(60)는 감속기를 통해 감속된 회전수를 그대로 블라인드 회전축에 전달하므로, 커플러의 회전수와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는 동일하다.
카운터 기어의 회전수 계수는 카운터 기어에 인접 배치된 광센서에 의해 행해지는데, 광센서에서 발생되는 빔이 카운터 기어의 기어치(teeth)에 의해 카운터 기어를 통과 및 차단을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반복 횟수를 체크함으로써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광센서(70) 및 카운터 기어(60)를 이용한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 측정은 블라인드 회전축에 권취된 블라인드 조절 와이어의 길이 측정을 가능하게 되며, 이는 결국 블라인드의 작동 길이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블라인드가 완전 전개되거나 또는 회수되는 시점에서 블라인드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광센서(70)에 의해 측정된 회전수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회전수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 길이를 환산하고 정지 시점에 이르면 제어부(30)에 의해 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블라인드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제어부(30)는 PCB 패널로 구성되며, 리모콘에 의한 블라인드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80)와, 이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와 블라인드의 전개 및 회수 정도를 인식하기 위한 광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판단하여 블라인드 동작 제어 신호를 보내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리모콘의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광센서의 신호가 블라인드의 완전 전개 위치 또는 완전 회수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예측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의 작동은 직류 공급 장치에 의해 교류에서 변환된 직류를 이용하여 행해지며, 신호 수신부와 리모콘 각각에는 수신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중앙처리부와 리모콘 버튼의 명령 인식을 위한 제3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리모콘의 원격 제어 신호와 광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제1 중앙처리부에서 연산하여 모터 구동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원격 제어는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신뢰성있는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 수신부(80)는 상기 소정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소정 주파수 대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원격 제어 신호는 RF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발하도록 각각의 리모콘 버튼을 미리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전원의 인가, 블라인드의 상승, 하강, 각도 조절 등을 위한 RF 신호가 생성되며, 음성 신호의 경우, 블라인드의 여러가지 작동을 위한 각각의 음성 영역(음색 등의 음성 신호)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작동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영역의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0)는 전원의 공급을 조절하여 블라인드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가 하나의 문틀 또는 창틀 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된 복층 유리 창호에 관한 것이기도 하며(도 1 참조), 이들 창호에 내장된 복수개의 블라인드는 제어부에 의해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가능하다.
이러한 복수개의 복층 유리 창호의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각각의 제어부의 신호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신호 범위의 원격 제어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 범위의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처리부에 의해 모터의 정역회전 또는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블라인드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주파수 대역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RF 신호와 음성별로 다른 주파수 대역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부의 제어 신호 수신부(80)에서 수신 가능한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리모콘 또는 음성에 의한 소정의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그 설정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부에서만 블라인드 작동을 제어하게 되므로, 여러개의 블라인드가 존재하더라도 각각의 블라인드에 대해 개별적으로 블라인드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F 신호들과 음성 신호들중 어느 한 신호를 모든 제어부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80)에서 수신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리모콘 또는 음성을 통해 이 설정 신호를 발생시 모든 제어부에 의해 블라인드의 작동이 동시에 제어됨으로써, 여러개의 블라인드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의 소정 원격 제어 신호를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그 신호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을 기억하였다가, 그러한 신호가 생성되면 기억된 블라인드의 작동(예를 들면 정지 위치의 기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모터에 과전류가 인가될 때 모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여러가지 실시예를 예시로 하여 본 고안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를 기초로 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복층 유리 창호의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 및 신호 수신부를 별도로 분리하여 이들 요소를 복층 유리 구조물에 인접 구성된 문짝 프레임이나 창호가 설치되는 창틀 또는 문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층 유리 속에 블라인드를 내장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대해 RF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에 구애됨이 없이 각각의 블라인드를 개별적 또는 통합적으로 원격 자동 제어할 수 있으며, 과전류로부터 모터를 보호할 수 있고, (창)문짝이 열려 있거나, 열리는 도중에도 동작이 가능한 개선된 전원 공급 배선을 갖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복층 유리 창호에 내장된 자동 블라인드에 의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차폐효과, 채광 조절 효과, 단열 차음 효과, 경제적 효과(블라인드의 오염으로 인한 세탁 비용, 조기 노후화로 인한 교체 비용 절감), 주거 환경적 효과(블라인드가 밀폐된 공간 내부에 있음으로 하여, 집먼지 진드기 등 세균 및 바이러스로부터의 오염 방지) 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창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로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유리가 밀폐식으로 제작된 복층 유리 구조물과; 이 복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창호의 문짝 프레임과;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상측에 인접하게 고정된 블라인드 전동 유닛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현수된 상태로 복층 유리 구조물 내에 내장되어,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개 또는 회수되는 자동 블라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전동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과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와; 감속기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의 동작을 위한 회전축을 연결하여 감속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블라인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커플러와; 블라인드의 회전축과 블라인드에 연결되어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블라인드의 각도 또는 상하 이동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 와이어와; 감속기 회전축, 블라인드 회전축 및 커플러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되고 기어치(teeth)를 갖는 카운터 기어와; 카운터 기어에 인접 배치되고 카운터 기어의 기어치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블라인드 회전축의 회전수를 계수함으로써 조절 와이어에 의한 블라인드 동작 정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이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와 광센서에 의한 계수 신호를 기초로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블라인드 동작 제어 신호를 보내는 중앙처리부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그 제어부 및 신호 수신부가 복층 유리 구조물에 인접 배치된 문짝 프레임 및 창호가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별도로 배치되고,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나머지 부분은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의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모터의 정역회전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광센서의 신호가 블라인드의 완전 전개 위치 또는 완전 회수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터에 과전류가 인가될 때 모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RF 신호와 음성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은 슬라이드 돌기와 슬롯을 가지는 슬라이드 레일을 가지며, 상기 창호 문짝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슬라이드 돌기 및 슬롯에 대응 결합되는 활주 슬롯 및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슬라이드 레일과 이에 대응하는 문짝 프레임의 부분중 어느 일측에는 전기 공급 배선으로서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가 부착되며, 다른 일측에는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는 평면형 제1 섹션과 평면부에 위치된 스토퍼 돌기와 측면부에 위치된 길이 방향 가이드 슬롯을 갖는 제2 섹션으로 구분되고, 양측 고정단을 갖는 평면 베이스와, 이 평면 베이스에 고정된 탄성 스트립 접촉자를 포함하고, 탄성 스트립 접촉자는 제1 섹션측 고정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방 절곡된 박판 접촉 스트립과, 길이 방향 구멍을 가지며, 이 길이방향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센션의 스토퍼 돌기가 돌출되도록 평면 베이스의 제2 섹션의 길이 방향 가이드 슬롯 내에 삽입 장착된 가이드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며, 전기 공급은 창호가 개방되거나 개방중인 상태에서도 상기 박판 테이프형 전도체와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박판 접촉 스트립 사이의 접촉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는 그 제1 및 제2 섹션이 서로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섹션이 모서리 상단에 배치되도록 창호 문짝 프레임의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측 고정단에는 소정의 고정 인서트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인서트 슬롯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의 측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문짝 프레임의 측부중 어느 일측에는 베이스와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갖는 암형(female type) 전원 공급 단자가 배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베이스와 스프링 탄발식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갖는 수형(male type) 전원 공급 단자가 배치되며, 이들 암형 및 수형 전원 공급 단자의 단자간 접촉에 의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는 주름 직물 시트 블라인드, 다단 수평 슬랫 블라인드, 롤형 블라인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5. 제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가 하나의 창틀 프레임에 복수개 설치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부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신호 범위의 원격 제어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 범위의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의해 블라인드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주파수 대역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RF 신호와 음성별로 다른 주파수 대역이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신호는 모든 제어부의 제어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설정 신호의 수신시 모든 제어부에 의해 블라인드의 작동이 동시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전동 유닛은 그 제어부 및 신호 수신부가 복층 유리 구조물에 인접 배치된 문짝 프레임 및 창호가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별도로 배치되고,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나머지 부분은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2004-0028834U 2004-10-12 2004-10-12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373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34U KR200373326Y1 (ko) 2004-10-12 2004-10-12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US11/192,019 US20060076113A1 (en) 2004-10-12 2005-07-29 Pair glass window and door system equipped with remote controllable auto blind
CN2005100888057A CN1869393B (zh) 2004-10-12 2005-07-29 装有遥控自动遮帘的双层玻璃门窗系统
JP2005226744A JP4444184B2 (ja) 2004-10-12 2005-08-04 遠隔制御可能な自動ブラインド入り複層ガラス窓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34U KR200373326Y1 (ko) 2004-10-12 2004-10-12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26Y1 true KR200373326Y1 (ko) 2005-01-27

Family

ID=3614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834U KR200373326Y1 (ko) 2004-10-12 2004-10-12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76113A1 (ko)
JP (1) JP4444184B2 (ko)
KR (1) KR200373326Y1 (ko)
CN (1) CN1869393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69B1 (ko) * 2007-08-06 2008-09-19 여인서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100905803B1 (ko) * 2007-11-23 2009-07-02 송두삼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KR101203670B1 (ko) * 2009-09-09 2012-11-26 오은석 통풍력이 우수한 블라인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57323B1 (ko) * 2014-01-21 2014-11-04 이재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1612006B1 (ko) * 2014-12-05 2016-04-27 (주)지오 이중창 시스템
KR101910291B1 (ko) * 2017-09-27 2018-10-22 (주)혜덕 역방향 블라인드 장치
KR101979437B1 (ko) 2018-12-26 2019-05-17 주식회사 윈글라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2006163B1 (ko) 2019-03-18 2019-08-02 주식회사 윈글라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102408287B1 (ko) 2022-02-04 2022-06-22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공급장치
KR102416482B1 (ko) 2022-02-04 2022-07-07 차경순 음성인식 제어가 가능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KR102416463B1 (ko) 2022-02-04 2022-07-13 차경순 상하단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
KR102429983B1 (ko) 2022-04-13 2022-08-11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리미트 스위치
KR102429982B1 (ko) 2022-04-13 2022-08-11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리미트 스위치
KR102499094B1 (ko) 2022-07-20 2023-02-13 (주)영남유리산업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KR102516255B1 (ko) 2022-07-20 2023-03-30 (주)영남유리산업 배터리모듈을 구비한 전동블라인드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60219A1 (it) 2006-12-13 2008-06-14 Sun Bell S R L Sistema di attuazione di una tenda alla veneziana, di una persiana avvolgibile o di altri mezzi movibili di chiusura di una porta o finestra
WO2009049632A1 (en) * 2007-10-16 2009-04-23 Venetia Aps Integrated computer-controlled sun screen
UA35743U (ru) * 2008-02-04 2008-10-10 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Мил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дъемными жалюзи или светозащитными шторками внутри герметич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между двумя оконными стеклами
JP5553995B2 (ja) * 2009-01-23 2014-07-23 トーソー株式会社 電動開閉カーテンレール保護装置
KR101006530B1 (ko) 2009-02-24 2011-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GR1007939B (el) * 2012-08-24 2013-07-16 Στυλιανος Αθανασιου Κουπουρτιδης Μηχανισμος κινησης περσιδων με μαγνητη τοποθετημενων εσωτερικα στο διακενο διπλου υαλοπινακα με τη χρηση μικρου ηλεκτροκινητηρα συνεχους ρευματος
WO2014172493A1 (en) * 2013-04-17 2014-10-23 Qmotion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ual and motorized manipulation of an architectural covering
ITTV20130035U1 (it) * 2013-08-01 2015-02-02 Marco Antoniazzi Struttura di tenda
WO2016115440A1 (en) * 2015-01-15 2016-07-21 Odl, Incorporated Panel unit with multiple integrated and commonly adjustable blind assemblies
TR201807558A2 (tr) * 2018-05-28 2018-06-21 Muzaffer Goekcimen Uçaklarda kullanilan güneşli̇k si̇stemi̇
CN114046126A (zh) * 2021-10-11 2022-02-15 中绿建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式内置百叶中空玻璃
KR102630460B1 (ko) * 2023-01-27 2024-01-29 임형호 블라인드 내장형 미닫이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9204A (en) * 1954-03-12 1955-01-11 John B Davis Sliding sash type window construction
US4979550A (en) * 1989-04-25 1990-12-25 Long Richard G Window blind control apparatus
JPH09221971A (ja) * 1996-02-19 1997-08-26 Makita Corp 縦型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JPH1168440A (ja) * 1997-08-19 1999-03-09 Harada Ind Co Ltd 車両用総合アンテナ装置
US6299115B1 (en) * 1998-06-22 2001-10-09 Hunter Douglas Inc. Remote control operating system and support structure for a retractable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JP2000244220A (ja) * 1999-02-18 2000-09-08 Harada Ind Co Ltd 車両用窓ガラスアンテナ
JP4516232B2 (ja) * 2000-04-11 2010-08-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構造体の給電構造
CN1162605C (zh) * 2000-06-22 2004-08-18 王仲明 中空或双层玻璃内可调窗帘的磁传动系统的制作方法
CN2564720Y (zh) * 2002-04-11 2003-08-06 常熟市中信特种玻璃制品有限公司 内置百叶窗帘的中空玻璃
CN1162606C (zh) * 2002-05-27 2004-08-18 天津青亚玻璃制品有限公司 改进的夹置百叶窗的双玻璃窗
CN2581676Y (zh) * 2002-06-26 2003-10-22 中国洛阳浮法玻璃集团加工玻璃有限公司 可调光中空装饰玻璃窗
KR20040049500A (ko) * 2002-12-06 2004-06-12 박선은 블라인더식 자동 디스플레이 조립체
CN2623860Y (zh) * 2003-04-22 2004-07-07 金仁哲 中空玻璃内的百叶窗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269B1 (ko) * 2007-08-06 2008-09-19 여인서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100905803B1 (ko) * 2007-11-23 2009-07-02 송두삼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KR101203670B1 (ko) * 2009-09-09 2012-11-26 오은석 통풍력이 우수한 블라인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57323B1 (ko) * 2014-01-21 2014-11-04 이재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1612006B1 (ko) * 2014-12-05 2016-04-27 (주)지오 이중창 시스템
KR101910291B1 (ko) * 2017-09-27 2018-10-22 (주)혜덕 역방향 블라인드 장치
KR101979437B1 (ko) 2018-12-26 2019-05-17 주식회사 윈글라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2006163B1 (ko) 2019-03-18 2019-08-02 주식회사 윈글라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102408287B1 (ko) 2022-02-04 2022-06-22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공급장치
KR102416482B1 (ko) 2022-02-04 2022-07-07 차경순 음성인식 제어가 가능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KR102416463B1 (ko) 2022-02-04 2022-07-13 차경순 상하단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
KR102429983B1 (ko) 2022-04-13 2022-08-11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리미트 스위치
KR102429982B1 (ko) 2022-04-13 2022-08-11 차경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리미트 스위치
KR102499094B1 (ko) 2022-07-20 2023-02-13 (주)영남유리산업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KR102516255B1 (ko) 2022-07-20 2023-03-30 (주)영남유리산업 배터리모듈을 구비한 전동블라인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9393A (zh) 2006-11-29
JP4444184B2 (ja) 2010-03-31
US20060076113A1 (en) 2006-04-13
CN1869393B (zh) 2011-01-19
JP2006112218A (ja)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3326Y1 (ko)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US11680445B2 (en) Battery-power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having a service position
EP2683905B1 (en) Battery-power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having a service position
EP3215702B1 (en) Drive system for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EP0783155B1 (en) Method of labelling a device connected to a data bus
JP4532901B2 (ja) オペレータ・システムと該オペレータ・システムを含む開口部材
JP6109735B2 (ja) 回転モータにより電力を供給される建築物の開口部遮蔽物
US8820388B2 (en) Motorizable shade system and method
US5699845A (en) Magnetic tilt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KR101875718B1 (ko) 밀폐기능이 있는 롤 스크린
US20200395885A1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WO2009140711A1 (en) Motorized blind system
EP1105614B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and a universal mounting and parallel guiding arrangement for a window screening device
JP4032341B2 (ja) 電動式シャッター
EP2738344A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US6967418B2 (en) Magnetic brake for powered window covering
EP2738343B1 (en) A screening arrangement for a window
US20230279724A1 (en) Battery-Powered Motorized Window Treatment Having a Service Position
WO2009049632A1 (en) Integrated computer-controlled sun screen
JPH11210352A (ja) 電動開閉体の配線構造
KR940004902Y1 (ko) 다기능 창호
WO2009098556A1 (en) Device for operating a venetian blind or solar curtains placed within a sealed space between two panes
JP2003232180A (ja) 開閉装置
TW483488U (en) Winding and opening control structure for Venetian blind door/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