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323B1 -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323B1
KR101457323B1 KR1020140008039A KR20140008039A KR101457323B1 KR 101457323 B1 KR101457323 B1 KR 101457323B1 KR 1020140008039 A KR1020140008039 A KR 1020140008039A KR 20140008039 A KR20140008039 A KR 20140008039A KR 101457323 B1 KR101457323 B1 KR 10145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frame
power supply
window
supp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부
Original Assignee
이재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부 filed Critical 이재부
Priority to KR102014000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8Details of bottom or upper slats or thei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상부 일측면에 탈. 장착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프링(25)의 힘이 작용하여 브래킷(26)이 항상 펴지는 것을 작동용 볼트(28)로 억제하여 롤러(27)와 브래킷(26)을 접은 상태인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를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상부 일측면에 장착을 한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가 장착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문틀(40)에 장착 후에는 작동용 볼트(28)가 너트(28-1) 타고 작동하여 링크(21)가 브래킷(26)을 움직여 롤러(27)가 전도체(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그 기능을 수행함으로 창호 문짝 프레임을 문틀(40)에 손쉽게 탈, 장착할 수 있는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AN ELECTRICAL POWER SUPPLY TERMINAL STRUCTURE FOR GLASS WINDOWS AND GLASS WINDOW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25)의 작용으로 롤러(27)와 브래킷(26)이 항상 펴지는 것을 작동용 볼트(28)로 억제하여 롤러(27)와 브래킷(26)을 접은 상태로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일측면에 장착하고 장착 후에는 작동용 볼트(28)가 너트(28-1)를 타고 작동하여 링크(21)가 브래킷(26)을 움직여 롤러(27)가 전도체(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문틀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작동용 볼트(28)를 다시 조여줌으로 롤러(27)와 브래킷(26)을 다시 접을 수 있어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탈, 장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블라인드 장치는 단층 유리 구조물의 경우 블라인드 장치 자체를 창문 전면 상부 벽체에 노출형으로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복층 유리 구조물일 경우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단층 유리 구조물에 블라인드 장치를 하는 경우, 블라인드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 플러그를 벽체에 고정된 전원 공급 소킷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복층 유리 구조물일 경우 창호 문짝 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인접하게 고정된 블라인드용 전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방 절곡 된 스트립 접촉자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구조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의 자동 블라인드 장치가 내장된 복층 유리 창호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28834호의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가 있으며,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19260호의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 창호"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창문을 여닫음에 따라 전도체가 창호 문짝 프레임의 상부에서 접혔다가 펴졌다가 하는 구조로서 이런 동작을 반복함으로 인하여 상방 절곡된 스트립 접촉자의 고장. 전선의 꼬임 또는 단선 등의 많은 문제점 있으며 A/S를 할 때에도 창호 문짝 프레임과 문틀 사이에 전선과 스트립 접촉자가 있고 전원 장치는 항상 조립상태에 있기 때문에 시공시 전문 지식이 가진 사람만이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들어올려서 문틀에서 창호 문짝 프레임을 분리해야 함으로 상방 절곡된 스트립 접촉자에 충격을 주어 2차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단자는 몸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에 전원 공급 단자 부분이 고정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시공시 또는 이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문틀에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분리시킬 때 문을 들어서 창틀의 하부에 있는 레일 위에 올려놓음으로 문 조립이 완성되는데 문 조립 후 레일의 높이 만큼 상부에 공간이 생기므로 전원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범위는 매우 제한적이므로 창호 문짝 프레임(10)에 장착된 전원 공급 단자는 문틀과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제작부터 시공까지를 아주 정확하게 해야만 정상 작동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시공한 후에는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상부에 적절한 공간이 없어 분리하기가 불가능함으로 수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25)의 힘이 작용하여 롤러(27)와 브래킷(26)이 항상 펴지는 것을 작동용 볼트(28)로 억제하여 롤러(27)와 브래킷(26)을 접은 상태인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를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상부 일측면에 장착을 한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가 장착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문틀에 장착 후에는 작동용 볼트(28)가 너트(28-1)를 타고 작동하여 링크(21)를 움직여 브래킷(26)을 본체의 외부로 상승시켜 롤러(27)가 전도체(3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는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틀과 창호 문짝 프레임(10)이 별도로 제작이 가능하고 시공시 전원 장치가 필요치 않은 일반 문틀과 동일하게 시공이 가능함으로 여러 가지 전원 장치를 장착하고 운반하지 않아도 되며 본 발명품인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가 일측 면에 부착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장착하게 됨으로 제작부터 시공까지 쉽게 이루어지며 소비자가 청소나 이사 등의 이유로도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문틀에서 쉽게 탈,장착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손길이 별도로 필요치 않다.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나 블라인드에 고장이 있을 때 작동용 볼트의 작용으로 브래킷과 롤러를 접어서 문틀에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손쉽게 탈착시켜 수리를 하며 수리 후에도 장착이 간단하다.
또한, 문틀에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장착 후에는 작동용 볼트(28)가 너트(28-1)를 타고 작동하여 문틀과 창호 문짝 프레임(10) 사이의 간격에 관계없이 롤러(27)가 전도체(30)에 접촉할 수 있게 하여 전원 공급을 수행함으로 고장 시 수리 또는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별명의 요부의 롤러가 전도체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장착된 창호 문짝 프레임과 문틀을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의 단면 A-A 부로서 본 발명품이 장착된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은 작동용 볼트(28)의 작용으로 브래킷(26)과 롤러(27)가 접혀진 상태로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창호 문짝 프레임(10)의 일측 면에 장착이 된 후에 문틀(40)에 설치를 한다.
여기서, 도 2의 (a)와 같이 본체(20) 내부에는 롤러(27)를 지지하는 브래킷(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6)은 고정핀b(24)에 조립되어 작동된다.
여기서, 고정핀b(24)에는 스프링(25)이 끼워져 브래킷(26) 부분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시키게 된다.
한편, 본체(20)의 양측 전면에는 작동용 볼트(28)와 너트(28-1)가 수용되는 볼트 구멍(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용 볼트(28)는 도 2의 (a)(b)와 같이 너트(28-1)를 타고 움직이며 링크(21)를 작동할 수 있으며, 이때 링크(21)는 고정핀a(22)을 축으로 하여 회동 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작동용 볼트(28)가 너트(28-1)를 타고 전진하면 고정핀a(22)에 끼워진 링크(21) 부분이 도 2의 (a)와 같이 브래킷(26)를 하강시켜 롤러(27)를 본체(20)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작동용 볼트(28)를 원위치시키면 도 2의 (b)와 같이 링크(21) 부분이 브래킷(26)과 연동 되면서 롤러(27)를 본체(2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본체(10) 내부에 브래킷(26)과 롤러(27)를 수용시키거나 또는 돌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20)의 전면에는 쿠션 부재(31)를 형성하여 문틀 내부에 창호 문짝 프레임(10)이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20) 내부에 조립된 작동용 볼트(28)의 작용으로 링크(21)가 회동함은 물론 상기 링크(21)는 고정핀b(24)에 끼워진 브래킷(26)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26)과 일체로 형성된 롤러(27) 또한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도 3은 본체(20)는 창호 문짝 프레임(10) 일측 면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본체(20)에 조립되는 롤러(27)는 전도체(30)에 접촉되는 구성이다.
즉, 창호 문짝 프레임(10)에 조립된 본체(20)는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브래킷(26)에 고정된 롤러(27) 부분을 본체(20) 내부와 외부로 수용시킬 수 있어 문틀에서 창호 문짝 프레임(10)을 손쉽게 탈, 장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창호 문짝 프레임
20. 본체
21. 링크
22. 고정핀a
23. 전선 연결 볼트
24. 고정핀b
25. 스프링
26. 브래킷
27. 롤러
28. 작동용 볼트
28-1.너트
29. 볼트 구멍
30. 전도체
31. 쿠션 부재
40.문틀

Claims (1)

  1. 유리 창호용 전원공급 단자 구조체에 있어서,
    작동용 볼트(28)의 작용으로 작동하는 링크(21)가 브래킷(26)을 움직여 롤러(27)가 전도체(30)에 접촉될 수 있는 본체(20)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20) 내부에는 롤러(27)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26)이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26)은 고정핀b(24)에 조립되어 작동되고,
    상기 고정핀b(24)에는 스프링(25)이 끼워져 브래킷(26) 부분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가시키게 되며,
    상기 본체(20)의 양측 전면에는 작동용 볼트(28)와 너트(28-1)가 수용되는 볼트 구멍(29)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용 볼트(28)는 너트(28-1)를 타고 작동하여 링크(21)를 움직이게 함과 아울러 링크(21)는 고정핀a(22)을 축으로 하여 작동하면서 브래킷(26)을 본체(20)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20140008039A 2014-01-21 2014-01-21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145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39A KR101457323B1 (ko) 2014-01-21 2014-01-21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039A KR101457323B1 (ko) 2014-01-21 2014-01-21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323B1 true KR101457323B1 (ko) 2014-11-04

Family

ID=5228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039A KR101457323B1 (ko) 2014-01-21 2014-01-21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3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437B1 (ko) 2018-12-26 2019-05-17 주식회사 윈글라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2007917B1 (ko) * 2018-05-31 2019-10-23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2499094B1 (ko) * 2022-07-20 2023-02-13 (주)영남유리산업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WO2024050052A1 (en) * 2022-08-31 2024-03-07 View, Inc.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26Y1 (ko) * 2004-10-12 2005-01-27 주식회사 한스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90005395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한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26Y1 (ko) * 2004-10-12 2005-01-27 주식회사 한스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90005395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한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917B1 (ko) * 2018-05-31 2019-10-23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1979437B1 (ko) 2018-12-26 2019-05-17 주식회사 윈글라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2499094B1 (ko) * 2022-07-20 2023-02-13 (주)영남유리산업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WO2024050052A1 (en) * 2022-08-31 2024-03-07 View, Inc.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323B1 (ko)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101875718B1 (ko) 밀폐기능이 있는 롤 스크린
KR101988633B1 (ko) 전기차용 충전포트 장치
CN104302144B (zh) 滑轨总成的安装托架
US9620938B2 (en) Switchboard applied with bushing-type current transformer
CN105151150B (zh) 一种用于爬杆机器人的断电抱杆防坠落装置
KR20200062670A (ko) 태양광 블라인드 전기 커넥터 연결구조
KR100451372B1 (ko)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CN204291679U (zh) 壁挂式服务器机柜
KR101979437B1 (ko)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CN210724093U (zh) 一种新型电气工程用接线盒
US9004141B2 (en) Covering device of opening of building
JP2015119941A (ja) カーテンの牽引装置
CN204793709U (zh) 一种配电箱及其防护盖
US20160236630A1 (en) Power supply structure for sliding door
CN105764282A (zh) 电控箱及其箱体
KR20090005395U (ko)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CN107611670B (zh) 一种基于零火线插片驱动的保护门组件
JP2017192189A (ja) 電力機器の筐体
ITMI20071720A1 (it) Struttura di connessione elettrica rapida per pannelli fotovoltaici
CN113853467A (zh) 滑动门组件
CN110676714A (zh) 一种拼接拓展式电源箱
JP6136299B2 (ja) シャッタ装置
CN107959234B (zh) 一种用于安装19英寸标准电器设备的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JP2006068459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