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917B1 -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917B1
KR102007917B1 KR1020180062838A KR20180062838A KR102007917B1 KR 102007917 B1 KR102007917 B1 KR 102007917B1 KR 1020180062838 A KR1020180062838 A KR 1020180062838A KR 20180062838 A KR20180062838 A KR 20180062838A KR 102007917 B1 KR102007917 B1 KR 10200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ower supply
fixed
fixed window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호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8006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917B1/ko
Priority to PCT/KR2019/006573 priority patent/WO20192312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05F15/64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operated by fricti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POWER SUPPLY SYSTEM OF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도체와; 상기 도체와 접촉되면서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와;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환기장치를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하면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전달하여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1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창호(窓戶)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지칭하는 것으로,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태양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 통로가 되며, 실내의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
최근에는 건축기술 및 건축부자재의 성능향상으로 창문이나 문은 기밀성이 우수하여 실외공기의 유입은 물론 실내공기의 유출이 긴밀하게 단속되어 냉난방효율은 우수하나, 환기부족으로 인해 발코니의 마루와 벽체, 창유리 등에 곰팡이의 번식을 초래하여 위생환경을 위협하거나 실내에 각종 가스, 먼지, 연기, 취기, 세균 등이 항상 공존하므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잦은 황사와 미세먼지의 급증, 요리나 청소기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자동으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는 자동환기장치의 수요가 급증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기존의 환기시설(환기장치)은 부피가 크며, 건물마다 창호의 규격이 제각각이어서 생산 공장에서 주문제작에 의해서만 제품이 생산 공급되고 있어 널리 대중화되는데 한계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공간의 환기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태풍, 소나기, 황사 등과 같은 기상변화로 인해 빗물 또는 모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쉽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창호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함에 따라 갑작스런 실내기온의 편차로 인해 열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뿐 아니라, 면역성이 약한 노인 및 유아,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들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를 통해 창문의 자동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환기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며, 그 예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9951호의 "창짝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창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7382호의 "자동/수동 전환구조가 구비된 리프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에 제시된 자동개폐장치(또는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창호용 자동환기장치는 창문의 자동개폐를 위해 구동모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해서는 전원공급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개시된 선행기술들은 단순히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성만을 언급하였을 뿐 구동모터의 전원공급을 위한 구성요소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물론, 상기 자동환기장치의 일측에 배터리를 탑재하여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나, 무겁고 큰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소모되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을 자동환기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구동모터에 상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외부전원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면서 단선이나 합선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단선이나 합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과 유지, 보수가 용이한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고정창문 레일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도체와; 상기 도체와 접촉되면서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와;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환기장치를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하면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전달하여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1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창문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외부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창문 레일에 구비되는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2전원공급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에 끼움되면 상기 제2전원공급케이블이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도체에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도체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거나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체는 소정 폭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 직경의 케이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서 이동창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고정창문 레일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도체와; 상기 도체와 접촉되면서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와; 외주면이 상기 도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를 이동창문에 고정하여 상기 베어링과 도체가 접촉되면 상기 도체에 인가된 전원을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3전원공급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도체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거나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창문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외부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창문 레일에 구비되는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4전원공급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에 끼움되면 상기 제4전원공급케이블이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도체에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서 이동창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고정창문 레일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자동환기장치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 내지 7은 도 5의 자동환기장치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미닫이형 창호라 함은 창틀 내부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창문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창호를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는 고정창문 레일에 하나의 고정창문이 구비되고, 이동창문 레일에 하나의 이동창문이 구비되는 형태의 미닫이형 창호를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환기장치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자동환기장치(10)라 함은 "ㄷ"자 형상의 고정구(11)와,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3)와, 상기 이동창문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14)을 포함하며, 고정창문 레일(4)에 고정되어 구동휠(14)을 통해 이동창문(5)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실내의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구는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2)이 형성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개폐를 위한 자동환기장치에 상시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체(100)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4)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고정창문 레일(4)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체(100)는 이후 설명할 (+)극성을 갖는 제1,2전원공급케이블 및 (-)극성을 갖는 제1,2전원공급케이블과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창문 레일(4)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100)는 소정 직경의 케이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 폭을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창문 레일(4)과 맞닿는 면적을 증대시켜 신속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을 최소화하여 고정구(11)를 고정창문 레일(4)에 원활하게 끼움고정되도록 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상기 도체(100)에 인가하는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창틀(2)의 모서리 중에서 자동환기장치(10)가 설치되는 측의 모서리에 구비되되 상기 도체(100)와 접촉되면서 고정창문 레일(4)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도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외부전원 케이블(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커넥터(200)는 사각 또는 직사각의 블럭 형태로서, 고정창문 레일(4)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창문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창문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210)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외부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는 접속단자(2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측면레일(6)과 마주보는 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200)의 저면과 측면에 끼움홈(210,210′)이 형성되면 고정창문 레일(4) 및 측면레일(6)에 지지되면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접속단자(22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창문 레일에 구비되는 도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2전원공급케이블(230)이 구비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제2전원공급케이블(230)이 상기 도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타측 단부가 끼움홈(2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예를 들어 상기 끼움홈(210)의 내주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 가능한 띠 형태의 도체(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전원공급케이블(230)의 타측 단부를 상기 끼움홈(2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도체(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고정창문 레일(4)에 끼움되면 (+)극성을 갖는 제2전원공급케이블과 (-)극성을 갖는 제2전원공급케이블이 도체와 접촉되면서 외부전원이 도체에 인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도체에 인가된 전원을 구동모터(13)로 전달하는 제1전원공급케이블(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원공급케이블(300)은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13)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도체(100)와 연결되는 것으로, (+)극성을 갖는 제1전원공급케이블과 (-)극성을 갖는 제1전원공급케이블이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1전원공급케이블(300)과 도체(100)를 연결하기 위하여 타측 단부를 상기 고정홈(12)의 내부에 위치시키면 고정구(11)를 고정창문 레일(4)에 고정할 때 고정창문 레일(4)에 의해 밀려 고정홈(12)의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도체(100)와 접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홈(12)의 내주면에 제1전원공급케이블(30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고정창문 레일(4)과의 마찰로 인해 훼손 또는 단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상기 고정홈(12)의 양측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도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케이블(300)의 타측 단부가 상기 도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자동환기장치(10)가 구동창문 레일(4)에 고정되면 (+)극성 및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1전원공급케이블(300)이 도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구동모터에 상시전원을 인가하여 이동창문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자동환기장치는 창틀의 상단 내주면에 배치된 고정창문 레일(4)에도 결합될 수 있다.
만약, 도 2와 같이 창틀의 상단 내주면에 배치되는 고정창문 레일(4′)에 상기 자동환기장치(10′)가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창틀의 상단 일측 모서리에 커넥터(200′)를 고정한 다음 외부전원 케이블(미도시)을 상기 커넥터의 접속단자(220′)에 삽입해야 하므로 외부전원 케이블의 길이가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전원 케이블을 창틀의 상부까지 끌어 올려야 하므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창틀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창문 레일(4)과 창틀의 상단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창문 레일(4′)의 외주면을 따라 도체(100,100′)가 구비되고, 상기 창틀의 양측 내벽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창틀레일(6)의 각 외주면에도 도체(120)가 구비되며, 창틀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창문 레일(4)의 모서리와 창틀의 상단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정창문 레일(4′)의 모서리에 각각 커넥터(200,200′)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창문 레일(4,4′)에 구비되는 도체(100,100′)와 측면레일(6)에 구비되는 도체(120)가 서로 통전되도록 한 다음 상기 창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고정창문 레일(4)의 모서리에 결합된 커넥터의 접속단자(220)에 외부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외부전원을 창틀의 상부에 설치된 자동환기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환기장치(10)가 창틀의 상부에 고정되더라도 외부전원 케이블을 창틀의 하부에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외부전원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관상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10)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6 내지 7은 도 5에 도시된 자동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환기장치(20)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이동창문과 함께 이동하는 장치로서,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서 이동창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상에 마련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고정창문 레일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하는 구동휠(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시스템은 상기의 자동환기장치(20)에 상시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체(400)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4)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고정창문 레일(4)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체(400)는 이후 설명할 (+)극성의 제3,4전원공급케이블 및 (-)극성의 제3,4전원공급케이블과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창문 레일(4)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400)는 소정 직경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 폭을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창문 레일(4)과 맞닿는 면적을 증대시켜 신속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을 최소화하면서 베어링(700)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외부 전원을 상기 도체에 인가하는 커넥터(500)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500)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커넥터(500)는 사각 또는 직사각의 블럭 형태로서, 고정창문 레일(4)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창문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창문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510)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는 접속단자(5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500)는 상기 측면레일(6)과 마주보는 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500)의 저면과 측면에 끼움홈(510,510′)이 형성되면 고정창문 레일(4) 및 측면레일(6)에 지지되면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5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접속단자(52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창문 레일에 구비되는 도체(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4전원공급케이블(530)이 구비된다.
도 8에서는 상기 제4전원공급케이블(530)이 상기 도체(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타측 단부가 끼움홈(5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예를 들어 상기 끼움홈(510)의 내주면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통전 가능한 띠 형태의 도체(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4전원공급케이블(530)의 타측 단부를 상기 끼움홈(51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도체(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0)가 상기 고정창문 레일(4)에 끼움되면 (+)극성의 제4전원공급케이블과 (-)극성의 제4전원공급케이블이 도체(400)와 접촉되면서 외부전원이 도체에 인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고정볼트(600)와, 베어링(700)과, 제3전원공급케이블(8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볼트(600)는 상기 케이스(2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측면에 고정창문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700)은 외주면이 상기 도체(400)와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전원공급케이블(800)은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22)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볼트(600)에 고정되는 것으로, (+)극성의 제3전원공급케이블과 (-)극성의 제3전원공급케이블이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의 접속단자(520)에 외부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환기장치(20)를 고정창문 레일(4)에 결합하여 베어링(700)과 도체(400)가 접촉되면 도체에 인가된 전원이 금속 재질의 베어링(700)과 고정볼트(600)를 거쳐 제3전원공급케이블(800)을 통해 구동모터(22)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창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고정창문 레일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20)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환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꼬임이나 단선 또는 합선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 미닫이형 창호 2 : 창틀
3 : 고정창문 4 : 고정창문 레일
5 : 이동창문 6 : 측면레일
10 : 자동환기장치
11 : 고정구 12 : 고정홈
13 : 구동모터 14 : 구동휠
20 : 자동환기장치 21 : 케이스
22 : 구동모터 23 : 구동휠
100,110,120 : 도체
200 : 커넥터 210,210′ : 끼움홈
220 : 접속단자 230 : 제2전원공급케이블
300 : 제1전원공급케이블
400 : 도체
500 : 커넥터 510,510′ : 끼움홈
520 : 접속단자 530 : 제4전원공급케이블
600 : 고정볼트
700 : 베어링
800 : 제3전원공급케이블

Claims (7)

  1.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도체(100)와;
    상기 도체와 접촉되면서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200)와;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동환기장치를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하면 상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전달하여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1전원공급케이블(300);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고정창문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창문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외부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창문 레일에 구비되는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2전원공급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에 끼움되면 상기 제2전원공급케이블이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도체에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체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거나 일측 외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소정 폭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 직경의 케이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4. 삭제
  5.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서 이동창문의 일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고정창문 레일에 안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이동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문 레일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한 쌍의 도체(400)와;
    상기 도체와 접촉되면서 고정창문 레일에 고정되며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체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커넥터(500)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볼트(600)와;
    외주면이 상기 도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베어링(700)과;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를 이동창문에 고정하여 상기 베어링과 도체가 접촉되면 상기 도체에 인가된 전원을 구동모터에 전달하여 구동휠을 구동시키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3전원공급케이블(8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소정 폭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 직경의 케이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창문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창문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외부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고정창문 레일에 구비되는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제4전원공급케이블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창문 레일에 끼움되면 상기 제4전원공급케이블이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이 도체에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20180062838A 2018-05-31 2018-05-31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200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38A KR102007917B1 (ko) 2018-05-31 2018-05-31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PCT/KR2019/006573 WO2019231279A1 (ko) 2018-05-31 2019-05-31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838A KR102007917B1 (ko) 2018-05-31 2018-05-31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917B1 true KR102007917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838A KR102007917B1 (ko) 2018-05-31 2018-05-31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7917B1 (ko)
WO (1) WO201923127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395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한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KR101301912B1 (ko) * 2013-03-04 2013-08-30 임민호 창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457323B1 (ko) * 2014-01-21 2014-11-04 이재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20180053971A (ko) * 2016-11-14 2018-05-24 채창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942A (ja) * 2001-06-13 2003-03-05 Shin Nikkei Co Ltd 自動開閉引き戸門扉における給電方法
KR101737564B1 (ko) * 2015-07-08 2017-05-29 채창호 미닫이형 창호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395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한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KR101301912B1 (ko) * 2013-03-04 2013-08-30 임민호 창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457323B1 (ko) * 2014-01-21 2014-11-04 이재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20180053971A (ko) * 2016-11-14 2018-05-24 채창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279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7796B (zh) 用於一電致變色窗戶之導線總成、電致變色窗戶、絕緣玻璃單元及電子結構
HUP0002441A2 (hu) Ház különösen önműködő ajtóhajtásokhoz
KR20170130143A (ko) 밀폐기능이 있는 롤 스크린
US10941609B2 (en) System for automating a sliding panel louver and method of retrofitting the same
US20190267933A1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CN208996592U (zh) 一种新型内倾式平移推拉窗装置
KR101226306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007917B1 (ko) 미닫이형 창호용 자동환기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CN202767731U (zh) 自动开窗关闭空调的装置
CN216008250U (zh) 一种用于阳台的隔热门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KR101758171B1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020081013A (ko) 창문용 자동개폐장치
CN102587813B (zh) 节能门全密封活动门口
CN210290808U (zh) 一种磁性密封装置
JP3230748U (ja) 換気用窓パネル装置
KR200241072Y1 (ko) 창문용 자동개폐장치
CN210918795U (zh) 一种智能型设有呼吸结构的门窗系统
CN210685816U (zh) 一种便于安装的无尘室用卷帘防尘门
CN214901547U (zh) 一种机电控制箱体结构
CN106958871A (zh) 一种家用多功能防尘空调
CN214949483U (zh) 一种能耗预测建筑节能系统
CN207019174U (zh) 一种家用多功能防尘空调
CN209586128U (zh) 一种具有夜视功能的智能防盗门
CN102268946B (zh) 可分段开启的锁具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