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094B1 -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094B1
KR102499094B1 KR1020220089786A KR20220089786A KR102499094B1 KR 102499094 B1 KR102499094 B1 KR 102499094B1 KR 1020220089786 A KR1020220089786 A KR 1020220089786A KR 20220089786 A KR20220089786 A KR 20220089786A KR 102499094 B1 KR102499094 B1 KR 10249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ndow
magnet
power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영남유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남유리산업 filed Critical (주)영남유리산업
Priority to KR102022008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06B2009/2646Magnetic screen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로서, 외부로 돌출 가능한 원통 형상의 제1전도체(110)를 구비하고, 창문에 매립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전도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도체가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접하면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체(210)를 구비하고, 창틀프레임에 매립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체는 제1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도체는 제2자석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창문이 닫히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POWER CONNECTER STRUCTURE USING MAGNETIC FORCE FOR ELECTRIC WINDOW BLIND}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창문과 창틀 사이에 구비되는 전원연결구조에 자력을 이용하여 접촉단자가 전원 공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자동으로 돌출되어 전원이 월활하게 공급되도록 한 구조 기술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블라인드 장치는 단층 유리 구조물의 경우 블라인드를 창문 전면 상부 벽체에 노출형으로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복층 유리 구조물일 경우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즉, 복층유리의 경우 유리와 유리 사이 공간에 블라인드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층 유리 구조물에 블라인드 장치를 하는 경우, 블라인드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 플러그를 벽체에 고정된 전원 공급 소킷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복층 유리 구조물일 경우 창호 문짝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인접하게 고정된 블라인드용 전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복층 유리 내부에 전원이 공급된다. 복층 유리 내부에는 블라인드 상하 이동을 위한 모터가 내장되는데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면서 블라인드 상하 동작이 이루어진다.
블라인드의 상하 동작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스마트폰 등 조작단말기와의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최근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음성을 통해 블라인드 상하 이동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의 자동 블라인드 장치가 내장된 복층 유리 창호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326호의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보면, 창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로서,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간봉을 사이에 두고 두 장의 유리가 밀폐식으로 제작된 복층 유리 구조물이다. 이 복층 구조물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창호의 문짝 프레임과 복층 유리 구조물 내부 상측에 인접하게 고정된 블라인드 전동 유닛과 복층 유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현수된 상태로 복층 유리 구조물 내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블라인드 전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개 또는 회수되는 자동 블라인드가 복층 유리 내부에 내장된다.
종래 기술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블라인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창틀프레임에 레일이 배치되고,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창에 레일과 접하면서 전원을 공급받는 롤러와 같은 부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과 롤러를 통해 전원이 창문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구조의 시스템 창호에서는 창이 창틀 프레임에서 회동하여 돌출되는 구조이어서 창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즉, 시스템 창호에서는 좌우 일측면 또는 상하 일측면이 프레임에서 돌출하여 회동하는 구조이므로 종래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전원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326호의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본 발명은,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에 원활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스템 창호에서도 자석을 이용하여 전원공급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로서, 외부로 돌출 가능한 원통 형상의 제1전도체(110)를 구비하고, 창문에 매립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전도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도체가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접하면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체(210)를 구비하고, 창틀프레임에 매립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체는 제1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도체는 제2자석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창문이 닫히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122)를 구비하는 제1지지체(120); 상기 제1전도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공부(122)에 수용되는 스프링(130); 상기 제1전도체의 후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 끼워지는 돌출결합부(115); 및 상기 제1전도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1자석(118);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00)의 제2전도체(210)는, 상기 제1전도체(110)와 접하는 원형플레이트 형상의 전면부(212);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214);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운데 가진 원통 형상의 제2자석(216);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작에서 창문이 닫히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전면부(212)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창문이 개방되면,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12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전면부(212)의 통전이 해제된다.
여기서, 창문이 닫혀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면 창문 내부에 구비된 전동블라인드 장치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창문이 개방되어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통전이 해제되면 전동블라인드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지지체(120)를 수용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양측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길이를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 확장부(1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의 양측단에는 상기 확장부와 결합을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의해서, 시스템 창호용 블라인드에 전원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시스템 창호의 동작을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블라인드 전원연결구조체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전동블라인드 전원연결구조체에서 제1몸체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전동블라인드 전원연결구조체에서 제2몸체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예시적인 모습은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 창호에서는 창문(10)의 좌우 일측면 또는 상하 일측면이 창틀프레임(20)에서 회동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창문(10)의 내부에는 블라인드(B)가 설치되어서 상하로 이동하게 제어된다. 블라인드는 창문(10)의 복층유리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전개(내려오거나 올라가는 등의 동작)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두 개의 유리창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으로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즉, 전동블라인드 동작을 위해서는 외부에서 창틀프레임(20)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창틀프레임(20)에서 다시 창문(10)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시스템 창호에서는 이러한 연결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서 창틀프레임(20)에서 창문(10)으로 전원을 공급하되 창문이 닫히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블라인드 전원연결구조체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전동블라인드 전원연결구조체에서 제1몸체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전동블라인드 전원연결구조체에서 제2몸체의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를 위해서 자석의 자력을 활용하였다. 먼저, 창문에는 제1몸체(100)가 매립되고, 창틀프레임에는 제2몸체(200)가 매립되어서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부가 서로 통전되는 구조이다. 창틀프레임에 매립되는 제2몸체(200)로는 별도 장치에 의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제1몸체(100)는, 외부로 돌출 가능한 원통 형상의 제1전도체(110)를 구비하고, 창문에 매립된다. 제2몸체(200)는 통전 가능한 제2전도체(210)를 구비하는데, 제2전도체는 상기 제1전도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전도체가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접하면서 전기가 통하게 된다. 상기 제1전도체(110)는 이하 설명할 자력에 의해서 제1몸체 내부로 들어가거나 제1몸체에서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상기 제1전도체(110)는 내부에 제1자석(118)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도체(210)는 내부에 제2자석(216)을 구비하고 있다.
창문이 창틀프레임에 닫히게 되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인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전도체와 제2전도체는 서로 인접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 외부로 인출하게 되어,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창문 내부에 구비되는 블라인트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창문이 개방되어 창틀프레임에서 멀어지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이 사라지고, 이하 설명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제1전도체(110)는 제1몸체(100)의 내부로 자동으로 인입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연결체 중 제1몸체(100) 내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122)를 구비하는 제1지지체(120)와, 상기 제1전도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공부(122)에 수용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제1전도체의 후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 끼워지는 돌출결합부(115)와, 상기 제1전도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1자석(118)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제1지지체(120) 등은 제1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전도체(110)의 돌출결합부(115)가 상기 스프링의 적절한 위치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어서,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전도체가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스프링(130)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저장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1자석과 제2자석이 거리가 멀어져 인력이 사라지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제1전도체(110)가 제1몸체(100)의 내부로 자동으로 인입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연결체 중 제2몸체(200) 내부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전도체(210)는, 상기 제2몸체(200)의 내부에 매립되면서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통전가능한 부품이다. 제2전도체(210)는, 상기 제1몸체의 제1전도체(110)와 접하는 원형플레이트 형상의 전면부(212)와,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214)와,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중공부(216a)를 가운데 가진 원통 형상의 제2자석(216)으로 이루어진다. 제2자석(216)의 중앙에는 중공부(216a)가 있어서 상기 원통 형상의 연결부(214)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전원연결구조체가 시스템 창호에서 동작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보면, 창문이 닫히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전면부(212)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창문이 개방되면,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12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전면부(212)의 통전이 해제된다.
여기서, 창문이 닫혀서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면 창문 내부에 구비된 전동블라인드 장치의 모터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창문이 개방되어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통전이 해제되면 전동블라인드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지지체(120)를 수용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양측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길이를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 확장부(1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의 양측단에는 상기 확장부와 결합을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는 창문에 적절한 공간에 매립되게 되는데, 매립되는 위치의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여 매립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확장부를 양측에 구비하였다. 창문에 매립 공간이 큰 경우 확장부를 양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몸체를 창문에 매립하고, 창문에 매립 공간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확장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몸체를 창문에 매립하게 되어 활용성을 높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외부로 인출 가능한 원통 형상의 제1전도체(110)를 구비하고, 창문에 매립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전도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도체가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접하면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체(210)를 구비하고, 창틀프레임에 매립되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체는 제1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도체는 제2자석을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창문이 닫히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몸체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122)를 구비하는 제1지지체(120);
    상기 제1전도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중공부(122)에 수용되는 스프링(130);
    상기 제1전도체의 후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에 끼워지는 돌출결합부(115); 및
    상기 제1전도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1자석(118);을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200)의 제2전도체(210)는,
    상기 제1전도체(110)와 접하는 원형플레이트 형상의 전면부(212);
    상기 전면부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부(214);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가운데 가진 원통 형상의 제2자석(216);을 구비하고,
    상기 창문이 닫히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전면부(212)가 서로 접하여 통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창문이 개방되면,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1전도체가 상기 제1지지체(12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1전도체와 상기 제2전도체의 전면부(212)의 통전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는,
    상기 제1지지체(120)를 수용하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양측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길이를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 확장부(1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의 양측단에는 상기 확장부와 결합을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KR1020220089786A 2022-07-20 2022-07-20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KR10249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86A KR102499094B1 (ko) 2022-07-20 2022-07-20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86A KR102499094B1 (ko) 2022-07-20 2022-07-20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094B1 true KR102499094B1 (ko) 2023-02-13

Family

ID=8520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786A KR102499094B1 (ko) 2022-07-20 2022-07-20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26Y1 (ko) 2004-10-12 2005-01-27 주식회사 한스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90005395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한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KR101457323B1 (ko) * 2014-01-21 2014-11-04 이재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KR20140130285A (ko) * 2013-04-30 2014-11-10 이영재 자동 작동방식의 창문 경보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26Y1 (ko) 2004-10-12 2005-01-27 주식회사 한스 원격 제어 가능한 자동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 유리 창호
KR20090005395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한스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리창호
KR20140130285A (ko) * 2013-04-30 2014-11-10 이영재 자동 작동방식의 창문 경보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KR101457323B1 (ko) * 2014-01-21 2014-11-04 이재부 유리 창호용 전원 공급 단자 구조체의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287B1 (ko)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공급장치
CN104863396A (zh) 一种电动隐私淋浴房
KR102499094B1 (ko) 자력을 이용한 창호용 전동 블라인드의 전원연결구조체
KR102516255B1 (ko) 배터리모듈을 구비한 전동블라인드 창호
KR100551802B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의 소음 방지 방법 및 장치
CN112803201A (zh) 一种防拔式新能源汽车充电口连接机构
CN111422085A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接通方法及装置
CN110242163B (zh) 一种智能家居用全开窗装置
KR100636410B1 (ko)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CN104887035A (zh) 一种轨道型电机驱动装置
CN205452064U (zh) 一种具有红外感应功能的智能家居开关
CN204782589U (zh) 一种智能电动的推拉窗
CN108685494A (zh) 一种浴室镜柜结构
CN209807155U (zh) 具有磁性自助力滑动盖体结构的低温烟具
CN110932016B (zh) 一种吹风机专用墙体智能插座及其使用方法
KR100820731B1 (ko) 공동주택의 복도설치용 전기조명기구
KR20020085620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위치
CN203562328U (zh) 机车门刮雨器电路连接装置
CN207801350U (zh) 一种电缆敷设用装置
CN216690796U (zh) 泵站厂房电动双向门窗
CN206639753U (zh) 一种双极磁保持继电器
CN220688953U (zh) 一种控制柜及用于控制柜的照明装置
CN210535589U (zh) 一种智能门供电结构
CN204764902U (zh) 一种轨道型电机驱动装置
CN212105680U (zh) 一种电动窗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