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99Y1 - 조명부를 갖는 패 - Google Patents

조명부를 갖는 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99Y1
KR200369599Y1 KR20-2004-0019752U KR20040019752U KR200369599Y1 KR 200369599 Y1 KR200369599 Y1 KR 200369599Y1 KR 20040019752 U KR20040019752 U KR 20040019752U KR 200369599 Y1 KR200369599 Y1 KR 200369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봉
Original Assignee
배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봉 filed Critical 배영봉
Priority to KR20-2004-0019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44F1/04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 B44F1/045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after passage through surface layers, e.g. pictures with mirrors on the back having mirrors or metallic or reflective layers at the back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조명부를 가지는 패는 문자나 문향이 형성되고 투명 반투명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에 램프 장착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램프 장착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유니트와,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부를 갖는 패{plate having lighting}
본 고안은 조명부를 가진 패(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명패, 트로피, 상패 등을 자발광시킬 수 있는 조명부를 가지는 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패, 트로피, 상패 등과 같은 패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물을 행사의 특성에 맞추어 가공한 것으로서, 각종 시상식이나 기념행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념품으로서도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패들은 사용 용도에 따라 이에 기록된 문자나 도안 등이 선명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으로 제작되거나 외형적인 형상을 중심으로 하여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점을 고려하여 제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패는 각종 행사에 기념이 되는 상징적인 각종 형상을 금속제나 합성수지 또는 크리스탈, 아크릴, 유리 등을 가공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단순한 전시물로서만이 아니라, 하나의 장식물로서 특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공개 실용신안 제 1998-01966호에는 형광물질의 글씨 및 숫자를 피막처리 한 명패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명패는 삼각형으로 된 지지판 정면으로 형광물질을 처리한 테두리선 또는 글씨 및 숫자를 부착하고, 그 상부로 투명체인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피막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공개 실용신안 1985-001661, 등록 실용신안 제 20-255501호에는 명패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1981-0002561호에는 상패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등록 실용신안 제20-0274958호에는 조명장치를 갖는 트로피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트로피는 내부에 레스트룸을 형성하고 있는 바디와, 상기 레스트룸에 설치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바디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하단부를 레스트룸 내에 위치시키는 트로피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장치를 갖는 트로피는 레스트룸에 설치된 조명을 이용하여 트로피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으나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직접 트로피 측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램프 빛의 산란 확산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특정 부위로의 광을 집속 및 발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램프의 발광색상에 따라 조명의 색상이 확정되므로 다양한 조명의 색상구현이 어렵다. 또한 상기 트로피는 강조하고자 하는 문자나 문향의 부분적인 조명이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형의 손상없이 전체 및 부분조명이 가능한 조명을 가지는 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 유니트와 패를 본체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하여 필요에 따라 조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가능한 조명부를 가진 패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부위만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을 가진 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를 갖는 패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의 단면도,
도 3은 본체의 내부에 광파이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를 갖는 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패의 본체에 광파이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체의 배면에 배면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명부를 갖는 패
20, 51; 본체
30; 받침대
60; 발광다이오드 유니트
70; 구동유니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명을 가진 패는
문자나 문향이 형성되며 투명 반투명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가 지지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광을 집속 및 확산하는 렌즈수단을 가지는 받침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렌즈수단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광파이버를 구비한다. 또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 부착되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층을 구비한 산란부재를 포함하여 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명을 갖는 패는,
문자나 문향이 형성되고 투명 반투명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에 램프 장착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램프 장착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유니트와,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램프 장착부의 내부에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유니트는 레드 발광다이오드, 그린 발광다이오드, 블루 발광다이오드와 이들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를 가지는 패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패는 명패, 상패, 트로피 등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그 일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명부를 가지는 패(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아크릴, 유리, 크리스탈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형, 문자 등이 형성된 본체(20)와, 사이 본체가 지지되는 받침대(30)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30)의 내부에는 발광다이오드(31)들이 설치되고, 이 발광다이오드(31)들과 본체(20)의 사이에는 랜즈수단(32)이 설치된다. 상기 렌즈수단(32)은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로 이루어지거나, 도광판과 확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의 내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31)로부터 조사된 광을 산란하기 위한 산란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산란부는 본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 산란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산란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되며 외면에 소정패턴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산란층이 형성된 산란부재(42)가 부착되거나 매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 내외면 중 적어도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31)로부터 광을 특정부위로 전송하여 발광시킬 수 있는 광파이버(43)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광파이버(43)의 단부는 렌즈수단(32)에 의해 집속되어 조사되는 광 궤적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30)에는 상기 본체(20)의 배면측으로 소정패턴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배면판(35)이 더 구비되는데, 이 배면판(35)은 상기 발광다이오드(31)들에 의해 조명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를 갖는 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부를 가지는 패(50)는 일측면에는 문향이나 문자가 형성된 것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램프 장착부(52)가 마련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램프 장착부(52)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유니트(60)와, 상기 본체(50)와 분리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유니트(60)의 발광다이오드(61)들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7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51)에 형성된 램프 장착부(52)의 내부에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거나 산란을 위한 렌즈부재(62)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본체(51)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특정영역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파이버(63)나 산란부재가 부착거나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란을 위하여 본체의 외면 또는 렌즈 장착부의 내면에 광산란층(6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유니트(60)는 회로기판(61a)에 적, 녹, 청색의 색상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이 형성되어 다양한 색상의 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동유니트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건전지가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1)의 배면에 부착되어 광을 전면으로 도광시키기 위한 배면판(55)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배면판(55)에는 소정의 산란패턴이 형성되거나 광파이버(63)가 매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를 갖는 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를 갖는 패(10)(50)는 명패, 트로피, 상패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색상의 조명이 내부로부터 조사될 수 있으므로 기념이 되는 상징적인 형상 뿐만아니라 장식구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패(10)(50)가 명패 또는 상패, 트로피 등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0)에 올려 놓게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31)로부터 조사된 광이 렌즈수단(32)을 통하여 집속 또는 산란되어 본체(20)를 조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본체(20)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광파이버가 매립되거나 산란판(4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특정부위를 집중적으로 발광시키거나 부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받침대(30)에는 도광판 역할을 하는 배면판(3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면의 배경에 따라 본체의 조명을 달리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조명부를 갖는 패(50)는 본체(51)의 일측에 렌즈 장착부(52)가 마련되고 이 렌즈 장착부(52)에 발광다이오드 유니트(6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패(50)의 조명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렌즈 장착부(52)의 내면에는 산란층이 형성되고, 광의 집속 및 산란을 위한 렌즈부재(6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부를 가지는 패는 본체에 다양한 패턴의 조명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장식구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문자나 문향이 각인 또는 인쇄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가 지지되는 것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들과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며 광을 집속 및 확산하는 렌즈수단을 가지는 받침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특정부위로 전달하기 위한 광파이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형성되며 본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 부착되어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부터 배면광을 조사하기 위한 배면판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5. 문자나 문향이 형성되고 투명 반투명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측에 램프 장착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램프 장착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유니트와, 상기 본체와 분리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장착부의 내부에는 광을 집속 및 확산시키기 위한 렌즈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장착부의 내면에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광산란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발광다이오드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특정부위로 도광시키기 위한 광파이버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부를 갖는 패.
KR20-2004-0019752U 2004-07-12 2004-07-12 조명부를 갖는 패 KR200369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52U KR200369599Y1 (ko) 2004-07-12 2004-07-12 조명부를 갖는 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752U KR200369599Y1 (ko) 2004-07-12 2004-07-12 조명부를 갖는 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99Y1 true KR200369599Y1 (ko) 2004-12-16

Family

ID=4944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752U KR200369599Y1 (ko) 2004-07-12 2004-07-12 조명부를 갖는 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16B1 (ko) * 2007-12-30 2010-09-20 정다은 상패 조명용 광확산 장치
KR200461371Y1 (ko) * 2010-12-20 2012-07-06 박용근 발광수단이 형성된 위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16B1 (ko) * 2007-12-30 2010-09-20 정다은 상패 조명용 광확산 장치
KR200461371Y1 (ko) * 2010-12-20 2012-07-06 박용근 발광수단이 형성된 위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909B2 (en) Mood-enhancing illumination apparatus
CA2360186A1 (en) Improvements in display signs, decorative lighting and ornaments for holiday seasons
JP4733086B2 (ja) 遊技機の電飾装置
KR200369599Y1 (ko) 조명부를 갖는 패
WO2007088621A1 (ja) 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JP2004361628A (ja) 電飾看板
JP2010204169A (ja) 電気機器
JP2000149606A (ja) 発光物
KR200477219Y1 (ko) 확산식 라이팅 구조를 갖는 장식 배지
JPH10222111A (ja) 発光装飾用具
CN213712862U (zh) 灯座装置及灯具
JP3052358U (ja) 照明具を用いた光輝表示装置
CN217082482U (zh) 一种光影水灯饰物
JP3134621U (ja) コースター
GB2436611A (en) Decorative illuminating plate
KR200423665Y1 (ko) 장식용구
KR200380214Y1 (ko) 발광부를 갖는 조명등 테의 장식
KR200321895Y1 (ko) 발광장식물
JP3095669U (ja) 発光型装飾品
JP3158260U (ja) 仏像
JP2004246260A (ja) 電飾表示装置
JP3116563U (ja) 発光式うちわ
JP2005160656A (ja) 発光装飾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127148U (ja) 電飾看板におけるledユニットの構造
JP2002329402A (ja) テラコッタ照明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