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895Y1 - 발광장식물 - Google Patents

발광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895Y1
KR200321895Y1 KR20-2003-0012668U KR20030012668U KR200321895Y1 KR 200321895 Y1 KR200321895 Y1 KR 200321895Y1 KR 20030012668 U KR20030012668 U KR 20030012668U KR 200321895 Y1 KR200321895 Y1 KR 200321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transparent
emitting body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20-2003-0012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물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조각된 음각문양을 가지며, 투광이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발광체와; 상기 투명발광체의 일부를 수용하여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고정하며, 내측에는 투명발광체가 걸리도록 하여 하단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며, 발광되는 빛을 상기 투명발광체의 음각문양에 조사함으로써 음각문양을 발광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조작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동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투명발광체의 음각문양이 발광되므로 별개의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음각문양의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장식물{ Lighting ornament }
본 고안은 발광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문양이 음각된투명한 장식물의 문양이 빛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되는 발광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유리나 크리스탈, 또는 아크릴 등의 장식물에는 샌딩가공이나 레이저가공으로 음각의 글씨나 그림과 같은 문양을 조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음각된 문양의 용이한 식별을 위하여 음각 부위에 안료를 상감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음각문양이 형성된 장식물이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장식물 주변에 램프를 설치하여 장식물을 조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음각문양을 특출나게 하기 위하여 음각문양에 안료를 상감하려면 준비된 안료를 음각문양 부분에 도포한 후, 음각부위 이외에 도포된 안료를 깨끗이 지워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장식물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장식물과는 별개로 형성된 램프를 장식물의 근접거리에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장식물이 작을 경우 오히려 램프가 더 크게 보여 장식물의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음각문양이 형성된 투명재의 장식물에 광원을 설치하여, 상감을 하지 않아도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음각문양이 용이하게 식별되며,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장식물이 조명도 되는 발광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가지 빛이 발광되어 장식물의음각문양도 여러가지 색으로 발광될 수 있어, 발광 색상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발광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다양한 색상의 광원을 원터치 스위치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발광 색상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발광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조사되는 광원이 장식물의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음각문양에 집속되어 광원의 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발광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의 내부가 도시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에 의한 광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투명장식물 12 : 음각문양
20 : 케이스 25 : 걸림턱
30 : 광원 32 : 회로기판
32a : 발광다이오드 36 : 반사경
38 : 경사부재
이와같은 목적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물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조각된 음각문양을 가지며, 투광이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발광체와; 상기 투명발광체의 일부를 수용하여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고정하며, 내측에는 투명발광체가 걸리도록 하여 하단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된 걸림턱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며, 발광되는 빛을 상기 투명발광체의 음각문양에 조사함으로써 음각문양을 발광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조작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동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식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식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의 내부가 도시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은, 배면에 음각문양(12)이 조각된 반원형의 투광가능한 투명발광체(10)와, 투명발광체(10)를 수용하여 수직으로 기립 및 고정시키는 케이스(20) 및,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광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발광체(10)는 하단부가 케이스(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고정되며, 케이스(20)는 투명발광체(10)의 하단부가 소정의 깊이 만큼만 삽입되도록 내측에 돌출된 걸림턱(25)을 갖는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측 소정 깊이에 형성된 걸림턱(25)에 투명발광체(10)의 하단부가 걸리게 되므로, 투명발광체(10)는 더이상 케이스(20)의 하단부로 하향되어 고정되지 않는다.
물론, 걸림턱(25)은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형 단면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내향 플랜지형태로 형성된 미도시된 걸림편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투명발광체(10)가 걸림턱(25)에 걸려 케이스(20)의 하부를 점유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유는 걸림턱(25)에 의하여 케이스(20)의 하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 공간에는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인 광원(30)이 설치된다.
여기서, 도 3을 참고하여 이러한 광원(30)을 자세히 설명하면, 광원(30)은미도시된 회로패턴이 디자인된 회로기판(32)과, 회로기판(32)에 실장되는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2a)를 포함한다.
이때, 회로기판(32)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32a)의 발광을 제어하는 미도시된 제어IC도 포함되며, 이 제어IC는 케이스(20)의 배면과 일측에 설치된 전원스위치(22) 및 동작스위치(24)와 연결된다.
따라서, 광원(30)은 전원스위치(22)에 의하여 전원이 제어되며, 동작스위치(24)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32a)의 동작은 제어된다.
즉, 전원스위치(22)를 조작하면 광원(30)으로 전원이 공급/차단되며, 동작스위치(24)를 조작하면 발광다이오드(32a)가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때, 미도시된 제어IC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스위치(24)가 다양한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동작스위치(24)는 원터치방식의 스위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 설명하면, 동작스위치(24)를 한번씩 누를 때 마다 광원(30)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IC를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IC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된 발광다이오드(32a)가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프로그램되어야 한다.
그러면, 발광다이오드(32a)에서 발광되는 빛은 도 3에서 처럼 투명발광체(10)의 배면에 형성된 음각문양(12)으로 조사되며, 이 빛은 음각문양(12)의 형성 각도에 의해 편광 반사되므로써 음각문양(12)은 그 형상을 따라 빛을 발산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광원(30)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음각문양(12)은 빛을 발산하게 되고, 발산되는 빛에 의하여 음각문양(12)은 두각을 나타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관람자는 조각된 음각문양(12)의 형상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케이스(20) 배면의 전원스위치(22)를 "온(ON)"하여 광원(3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원터치식 동작스위치(24)를 터치 조작하여 원하는 광원(30)의 발광 색상을 선택한다.
즉, 원하는 색상을 갖는 발광다이오드(32a)가 발광될 때 까지 동작스위치(24)를 터치한 다음, 원하는 색상의 발광다이오드(32a)가 발광이 되면 터치를 중단하여 광원(30)의 발광색상을 고정한다.
따라서, 투명발광체(1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빛이 조사되며, 이로 인하여 투명발광체(10)의 음각문양(12)은 편광 반사가 이루어져 그 색으로 발광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장식물은 투명발광체(10)의 음각문양(12)이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발광되므로, 종전과 같이 음각문양(12)의 식별을 위한 안료의 상감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광원(30)에서 빛이 발광되므로 발광발광장식물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키기 위한 별개의 조명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발광장식물에서 발광되는 빛이 원하는 색상의 빛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되는 빛을 원터치식으로 구성된 동작스위치(24)를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원에 의한 광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로서, 그 구성은 전술된 도 1 내지 도 3의 발광장식물과 대동소이하되, 단지 광원(30)이 경사를 갖는 것과, 발광되는 빛이 집속되도록 구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된 발광장식물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은, 광원(30)을 구성하는 회로기판(32)의 상부에는 발광다이오드(32a)의 양측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경사진 반사경(36)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경사를 갖는 이등변삼각형 형태의 경사부재(38)가 설치된다.
이때, 경사부재(38)는 발광다이오드(32a)의 축이 투명발광체(10)의 음각문양(12)을 향하도록 전방측이 높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경사부재(38)는 대략 20°∼ 60°의 각도(θ)로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32a)에서 발광되는 빛은 도 5에서 처럼 반사경(36)에 반사되어 집속된 다음 음각문양(12)으로 조사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은 발광다이오드(32a)에서 발광되는 빛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광도로도 음각문양(12)을 더욱 발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발광체(5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투명발광체(50)를 고정하는 케이스(60)를 투명발광체(50)의 형상에 적합하게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식물은, 투명발광체(50)와 케이스(60)를 원하는 모양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투명발광체(50)를 형성할 경우에는 케이스(60) 내의 미도시된 발광다이오드는 투명발광체(50)와 같은 원통형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4는 전술된 바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원터치 형식의 동작스위치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식물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하여 투명발광체의 음각문양이 발광되므로 별개의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뿐만 아니라 음각문양의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색상의 빛이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원터치식 동작스위치로 광원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분위기에 따라 발광되는 빛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실되지 않도록 반사경으로 집속할 수 있어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물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조각된 음각문양(12)을 가지며, 투광이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발광체(10)와;
    상기 투명발광체(10)의 일부를 수용하여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고정하며, 내측에는 투명발광체(10)가 걸리도록 하여 하단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된 걸림턱(25)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며, 발광되는 빛을 상기 투명발광체(10)의 음각문양(12)에 조사함으로써 음각문양(12)을 발광시키는 광원(30) 및;
    상기 광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30)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조작이 용이한 원터치 방식의 동작스위치(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식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은,
    상기 동작스위치(24)와 상기 외부의 전원에 연결된 회로기판(32)과;
    상기 회로기판(32)의 상부에 실장되어 발광되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2a)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2a)가 상기 동작스위치(24)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프로그램된 제어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식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32)은 상기 발광다이오드(32a)의 축이 상기 투명발광체(10)의 음각문양(12)을 향하여 발광되도록 하부에 20°~ 60°사이의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부재(3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32a)의 양측에는 발광다이오드(32a)에서 발광되는 빛이 한곳에 집속되도록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반사경(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식물.
KR20-2003-0012668U 2003-04-24 2003-04-24 발광장식물 KR200321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668U KR200321895Y1 (ko) 2003-04-24 2003-04-24 발광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668U KR200321895Y1 (ko) 2003-04-24 2003-04-24 발광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895Y1 true KR200321895Y1 (ko) 2003-07-31

Family

ID=4941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668U KR200321895Y1 (ko) 2003-04-24 2003-04-24 발광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8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991B1 (ko) * 2021-08-18 2022-06-16 김미애 크리스탈 장식용 조명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991B1 (ko) * 2021-08-18 2022-06-16 김미애 크리스탈 장식용 조명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34089A (ja) 歩行用ステッキ兼傘
KR100697181B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EP1811226A1 (en) Lighting means
KR200321895Y1 (ko) 발광장식물
JP4506977B2 (ja) 照明器具
WO2007088621A1 (ja) 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JP2004361628A (ja) 電飾看板
KR100371001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에지조명 광고장치
JP2003245392A (ja) 照明装置
JP2010204169A (ja) 電気機器
JP2016165460A (ja) うちわ
KR200200229Y1 (ko) 조명장치를 이용한 크리스탈 장식물
KR20060124390A (ko) 테이블
KR200369599Y1 (ko) 조명부를 갖는 패
US20040105279A1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light softening cover
KR200244578Y1 (ko) 다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KR200285465Y1 (ko) 완구용 발광 표시장치
KR200355995Y1 (ko) 크리스탈 장식품
KR200424253Y1 (ko) 크리스탈 조명 장식품
JP2004246260A (ja) 電飾表示装置
JP3116563U (ja) 発光式うちわ
KR100982416B1 (ko) 상패 조명용 광확산 장치
KR200423665Y1 (ko) 장식용구
JP3212605U (ja) 発光カップ形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