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685Y1 -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685Y1
KR200368685Y1 KR20-2004-0022858U KR20040022858U KR200368685Y1 KR 200368685 Y1 KR200368685 Y1 KR 200368685Y1 KR 20040022858 U KR20040022858 U KR 20040022858U KR 200368685 Y1 KR200368685 Y1 KR 200368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mold
lower mold
molds
pul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고려펄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펄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펄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2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per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펄프재료가 저장되어 지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펄프재료를 공급받는 제 1하부금형 및 상기 제 1하부금형의 후방에 일렬 배열된 제 2, 3하부금형과, 상기 제 1하부금형내로 공급된 펄프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 1상부금형 및 상기 제 1상부금형을 거쳐 성형된 펄프용기를 건조시키는 제 2, 3상부금형으로 이루어져 펄프용기를 연속적으로 자동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device of molding automatic for pulp vessel}
본 고안은 펄프용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방식으로 펄프용기를 성형하되, 펄프재료를 자동으로 이송 및 건조시키며 완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락, 컵등의 일회용 용기는 통상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합성수지재의 제품은 오랜기간 동안 분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이 용출되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지게 됨으로서 사회적으로 사용이 배제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 들어서는 분해가 용이하고 환경호르몬등의 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펄프를 이용한 일회용 용기가 제조되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펄프용기란 셀룰로이드등의 미세한 섬유질을 물에 용해시킨 펄프재료를프레스 금형으로 가압한 후, 일정시간의 건조과정을 거쳐 완제품으로 성형하게 되는 바, 이러한 종래의 펄프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는 합성수지용기에 비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먼저 합성수지로 용기를 제작하는 방식에 비해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함으로서 제작에 많은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불필요한 설치공간 및 작업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품의 성형과정이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관계로 합성수지재 용기에 비하여 성형시간이 많이 소모되었으며, 따라서 제품의 생산성 저하 및 생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펄프용기의 성형을 프레스방식으로 성형하고, 특히 성형과정에서 펄프재료의 공급과 성형된 펄프용기의 이송 및 건조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펄프용기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펄프용기가 금형에 들러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들을 설치하여 수평이나 수직이동하는 상, 하부금형들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송대의 전, 후방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대의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상, 하부금형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있어서, 저장호퍼내에 저장된 펄프재료를 배출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통해 펄프재료를 공급받으며 수평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하는 이송대에 설치되어 전, 후 이동하는 제 1하부금형 및 상기 제 1하부금형의 후방에 일렬 배열되며 상기 이송대를 타고 전, 후 이동하는 제 2, 3하부금형과, 제 1승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제 1하부금형내의 펄프재료를 가압 성형하며 성형된 펄프용기를 상기 제 1하부금형에서 흡착하여 상기 제 2하부금형으로 공급하게 되는 제 1상부금형과, 제 2승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승, 하강하며 내부에 구비된 열선으로 상기 제 2하부금형내의 펄프용기를 가압 건조시키며, 건조된 펄프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제 3하부금형으로 공급하게 되는 제 2상부금형과, 제 3승강실린더의 작동으로 승, 하강하며 내부에 구비된 열선으로 상기 제 3하부금형내의 펄프용기를 가압하여 재차 건조시키며, 건조된 펄프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이송대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취출대로 공급하게 되는 제 3상부금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하부금형에는 펌프의 작동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여 펄프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는 용액을 분리시키는 흡입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3하부금형에는 열선이 내설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 2, 3상부금형에는 펌프의 작동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또한 상기 펌프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컴프레셔의 작동으로 공기를 분사시키게 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상, 하부금형으로 공기를 흡입 및 분사시키기 위해 모터 및 컴프레셔와의 연결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m은 본 고안에 따른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1d: 펄프재료 2a, 2b, 2c ,2d: 펄프용기
10: 공급부 20: 이송대
30, 32, 34: 제 1, 2, 3하부금형 36, 38, 40: 제 1, 2, 3상부금형
46a, 46b, 52a, 52b: 리미트스위치
50a, 50b: 완충부재
100: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는 상기 펄프용기의 성형 및 이송 그리고 건조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러한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의 상세구조는 후술하는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지칭하는 펄프재료라 함은 섬유질인 펄프를 물에 용해시킨 겔상태를 말하며, 펄프용기란 상기 펄프재료를 가압하여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용기를 말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100)는 크게 펄프재료가 저장되어 지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펄프재료를 공급받는 제 1하부금형(30) 및 상기 제 1하부금형(30)의 후방에 일렬 배열된 제 2, 3하부금형(32, 34)과, 사기 제 1하부금형(30)내로 공급된 펄프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제 1상부금형(36) 및 상기 제 1상부금형(36)을 거쳐 성형된 펄프용기를 건조시키는 제 2, 3상부금형(38, 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부(10)에는 일정량의 펄프재료가 저장되어 지는 저장호퍼(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저장호퍼(12)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14)을 통해 펄프재료는 상기 제 1하부금형(30)으로 공급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14)의 출구측(14a)에는 상기 제 1하부금형(30)으로 정량의 펄프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정량공급밸브(16)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정량공급밸브(16)는 버터플라이밸브로서, 상기 출구측(14a)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18)가 타이머로 작동되는 모터(19)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출구측(14a)을 설정시간만큼 자동으로 개폐시키게 됨으로서 상기 제 1하부금형(30)으로 정량의 펄프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급부(10)의 하단부에는 수평실린더(22)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레일(24)을 타고 수평으로 전, 후 왕복 이동하는 이송대(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송대(20)에는 상기 제 1하부금형(30)이 설치되어 상기 이송대(20)의 작동에 따라 전, 후 이동하며 공급부(10)에서 펄프재료를 공급받아 제 1상부금형(36)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는 다수의 흡입유로(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입유로(30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60)와 연결 구성되어 상기 펌프(60)의 펌핑동작에 따라 펄프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용액만을 흡입하여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하부금형(30)의 후방에는 별도의 제 2, 3하부금형(32, 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 2, 3하부금형(32, 34)역시 이송대(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하부금형(30)과 동일하게 전, 후 왕복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3하부금형(32, 34)내에는 상기 제 1하부금형(30)과 달리 내부에 열선(32a, 34a)이 내설되어 있으며, 이 열선(32b, 34b)은 후술하겠지만 펄프용기의 이송시 상기 펄프용기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상부금형(36)은 성형금형으로서 제 1승강실린더(42)에 연결되어 상기 제 1승강실린더(42)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링(42a)을 타고 수직으로 승, 하강하며 후방으로 이동한 제 1하부금형(30)에 치합되어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 공급되어 있던 펄프재료를 일정형상을 가진 펄프용기로 가압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상부금형(36)에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60) 및 컴프레셔(70)의 작동에 따라 공기의 흡입과 분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를 통해 상기 제 1하부금형(30)내에서 가압 성형된 펄프용기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으로 흡착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제 1하부금형(30)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하부금형(30)의 후방에 위치한 제 2하부금형(32)으로 흡착된 펄프용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상부금형(36)의 후방에 위치한 제 2, 3상부금형(38, 40)들은 상기 제 1상부금형(36)을 거쳐 가압 성형된 펄프용기를 재차 가압하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열선(38b, 40b)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완제품인 펄프용기로 성형하게 되는 금형들이다.
상기 제 2상부금형(38)은 제 2승강실린더(44)에 연결되어 상기 제 2승강실린더(44)의 작동에 따라 승, 하강하며 후방으로 이동한 제 2하부금형(32)에 치합되어, 상기 제 2하부금형(32)으로 공급되어진 펄프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제 2하부금형(32)이 가지는 열선(32b)과 상기 제 2상부금형(38)이 가지는 열선(38b)을 이용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상부금형(38)에도 상기 제 1상부금형(3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8a) 역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60) 및 컴프레셔(70)의 작동에 따라 공기의 흡입과 분사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 2하부금형(32)내의 펄프용기를 상기 제 2상부금형(38)으로 흡착하고, 또한 제 2하부금형(32)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하부금형(32)의 후방에 위치한 제 3하부금형(34)으로 흡착된 펄프용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 3상부금형(40)은 상기 제 2상부금형(38)과 동일한 구조 즉, 내부에 열선(40b)과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40a)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제 3승강실린더(46)의 작동에 따라 승, 하강하며 후방으로 이동한 제 3하부금형(34)에 치합되어, 상기 제 3하부금형(34)내로 공급되어 진 펄프용기를 재차 가압하며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40a)를 통해 상기 제 3하부금형(34)내의 펄프용기를 흡착한 후, 상기 제 3하부금형(34)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3하부금형(34)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취출대(26)로 흡착된 펄프용기를 공급하게 됨으로서 펄프용기는 완제품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취출대(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한편, 전술한 이송대(20)의 전, 후방에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48a, 48b)가 각각 설치되어 진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8a, 48b)는 상기 이송대(20)의 전, 후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도면에 미 도시 함)로 신호를 출력해 상기 이송대(20)를 구동시키는 수평실린더(22)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에도 리미트스위치(52a, 52b)들이 상, 하로 두개씩 한조로 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미트스위치(52a, 52b)들은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해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을 승, 하강시키는 제 1, 2, 3승강실린더(42, 44, 46)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다수의 리미트스위치(48a, 48b, 52a, 52b)들을 통해 상기 상, 하부금형들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으로 상기 이송대(20)의 전, 후방에는 별도의 완충부재(50a, 5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완충부재(50a, 50b)는 왕복 이동중인 이송대(20)를 고정시켜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과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대(20)의 고정시 발생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겸비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5a 내지 도 5m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이 안치되어 있는 이송대(20)가 수평실린더(22)의 작동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하부금형(30)은 공급부(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정량의 펄프재료(1a)를 공급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하부금형(30)내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유로(30a)를 통해 상기 펄프재료(1a)에 포함되어 있는 용액은 분리되고 펄프만이 걸러지게 된다.(도 5a) 이때 상기 이송대(20)의 작동은 전,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48a, 48b)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지며, 또한 전,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부재(50a, 50b)에 의해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이송대(20)가 수평실린더(22)의 작동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은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의 하단부로 위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은 하강하며 상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에 각각 치합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 공급된 펄프재료(1a)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과의 치합으로 일정형상을 가진 펄프용기(2a)로 가압 성형되어 진다.(도 5b)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은 위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상부금형(36)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를 통해 일차 가압 성형된 펄프용기(2a)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으로 흡착되어 짐으로서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서 취출되어 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이 승강하면 이송대(2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1하부금형(30)을 공급부(10)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5c)
다음,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제 1하부금형(30)으로 다시 펄프재료(1b)가 공급되어 진다. 이때 펄프재료(1b)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은 하강하며 상기 제 1상부금형(36)은 제 2하부금형(32)에 치합되어 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상부금형(36)에 흡착되어 있는 펄프용기(2a)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의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상기 제 2하부금형(34)내로 정확히 공급되어 진다.(도 5d)
다음, 이송대(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을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의 하단에 위치시키게 된다.(도 5e)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은 하강하며 상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에 각각 치합되어 지며,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 공급된 펄프재료(1b)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과의 치합으로 일정형상을 가진 펄프용기(2b)로 가압 성형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도 5d의 과정에서 제 2하부금형(32)으로 공급되어 졌던 펄프용기(2a)는 상기 제 2상부금형(38)에 의해 다시 가압되어 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하부금형(32)과 제 2상부금형(38)내에 설치되어 있는 열선(32b, 38b)에서 발산되는 열로 인하여 펄프용기(2a)는 가압과 동시에 건조되어 진다.(도 5f)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은 위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2상부금형(36, 38)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 38a)를 통해 제 1하부금형(30)에 있던 펄프용기(2b)와 제 2하부금형(32)에 있던 펄프용기(2a)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과 제 2상부금형(38)에 각각 흡착되어 제 1, 2하부금형(30, 32)내에서 취출되어 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이 승강하면 이송대(2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1하부금형(30)을 공급부(10)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5g)
다음,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제 1하부금형(30)으로 다시 적정량의 펄프재료(1c)가 공급되어 진다. 이때 펄프재료(1c)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은 하강하며 상기 제 1상부금형(36)은 제 2하부금형(32)에 치합되고 상기 제 2상부금형(38)은 제 3하부금형(34)에 치합되어지며, 이 과정에서 제 1, 2상부금형(36, 38)에 각각 흡착되어 있는 펄프용기(2a, 2b)들은 상기 제 1, 2상부금형(36, 38)의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 38a)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 2, 3하부금형(32, 34)내로 정확히 공급되어 진다.(도 5h)
다음, 이송대(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을 승강한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의 하단에 위치시키게 된다.(도 5i)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은 하강하며 상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에 각각 치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 공급된 펄프재료(1c)는 상기 제 1상부금형(36)과의 치합으로 일정형상의 펄프용기(2c)로 가압 성형되어 진다. 그리고 도 5h의 과정에서 상기 제 2, 3하부금형(32, 34)내로 공급되어 졌던 각각의 펄프용기(2a, 2b)들은 상기 제 2, 3상부금형(38, 40)들과의 치합으로 다시 가압되어 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하부금형(32)과 제 2상부금형(38)사이의 펄프용기(2b)는 가압과 동시에 일차 건조되며, 상기 제 3하부금형(34)과 제 3상부금형(40)사이의 펄프용기(2a)는 가압과 동시에 다시 한번 재차 건조되어 진다.(도 j)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들은 위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 38a, 40a)를 통해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에 있던 펄프용기(2a, 2b ,2c)는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에 각각 흡착되어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에서 취출되어 진다. 이후, 이송대(2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 1하부금형(30)을 공급부(10)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5k)
다음,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제 1하부금형(30)으로 다시 정량의 펄프재료(1d)가 공급되어 진다. 이때 펄프재료(1d)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은 하강하며 상기 제 1상부금형(36)은 제 2하부금형(32)에 치합되고 상기 제 2상부금형(38)은 제 3하부금형(34)에 치합되어 지며, 이 과정에서 제 1, 2상부금형(36, 38)에 각각 흡착되어 있는 펄프용기(2b, 2c)들은 상기 제 1, 2상부금형(36, 38)의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 38a)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 2, 3하부금형(32, 34)내로 정확히 공급되어 진다. 또한 상기 제 3상부금형(40)에 흡착되어 있던 펄프용기(2a)는 상기 제 3상부금형(4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40a)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이송대(20)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취출대(26)로 취출되어 진다,(도 5 l)
다음, 이송대(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제 1, 2, 3하부금형(30, 32, 34)들을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의 하단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취출대(26)에 안치되어 있는 펄프용기(2a)는 자동이나 혹은 수동으로 배출하여 하나의 완제품으로 성형되어 진다.(도 5m)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펄프용기의 성형을 프레스방식으로 성형하고, 특히 성형과정에서 펄프재료의 공급과 성형된 펄프용기의 이송 및 건조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금형에 별도의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를 설치하여 펄프용기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펄프용기가 금형에 들러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의 리미트스위치들을 설치하여 상, 하부금형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완충부재를 통해 상기 상, 하부금형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치합될 수 있도록 하여 성형과정에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에 있어서,
    저장호퍼(12)내에 저장된 펄프재료를 배출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펄프재료를 공급받으며 수평실린더(22)의 작동으로 이동하는 이송대(20)에 설치되어 전, 후 이동하는 제 1하부금형(30) 및 상기 제 1하부금형(30)의 후방에 일렬 배열되며 상기 이송대(20)를 타고 전, 후 이동하는 제 2, 3하부금형(32, 34)과;
    제 1승강실린더(42)의 작동으로 승, 하강하며 상기 제 1하부금형(30)내의 펄프재료를 가압 성형하며 성형된 펄프용기를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서 흡착하여 상기 제 2하부금형(32)으로 공급하게 되는 제 1상부금형(36)과;
    제 2승강실린더(44)의 작동으로 승, 하강하며 내부에 구비된 열선(38b)으로 상기 제 2하부금형(32)내의 펄프용기를 가압 건조시키며, 건조된 펄프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제 3하부금형(34)으로 공급하게 되는 제 2상부금형(38)과;
    제 3승강실린더(46)의 작동으로 승, 하강하며 내부에 구비된 열선(40b)으로 상기 제 3하부금형(34)내의 펄프용기를 가압하여 재차 건조시키며, 건조된 펄프용기를 흡착하여 상기 이송대(20)의 후방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취출대(26)로 공급하게 되는 제 3상부금형(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하부금형(30)에는 펌프(60)의 작동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여 펄프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는 용액을 분리시키는 흡입유로(30a)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3하부금형(32, 34)에는 열선(32b, 34b)이 내설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에는 펌프(60)의 작동으로 공기를 흡입하며, 또한 상기 펌프(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컴프레셔(70)의 작동으로 공기를 분사시키게 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유로(36a, 36b, 36c)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20)의 전, 후방에는 상기 이송대(20)를 전, 후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2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48a, 48b)가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20)의 전, 후방에는 완충부재(50a, 50b)가 각각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에는 상기 제 1, 2, 3상부금형(36, 38, 40)을 승, 하강시키는 제 1, 2, 3승강실린더(42, 44, 4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52a, 52b)가 수직으로 두개씩 각각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KR20-2004-0022858U 2004-08-11 2004-08-11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KR200368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858U KR200368685Y1 (ko) 2004-08-11 2004-08-11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858U KR200368685Y1 (ko) 2004-08-11 2004-08-11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685Y1 true KR200368685Y1 (ko) 2004-12-03

Family

ID=4935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858U KR200368685Y1 (ko) 2004-08-11 2004-08-11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6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55B1 (ko) * 2019-01-24 2019-10-02 이현종 로스터 후드용 내부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3792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풍년그린텍 펄프 몰드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55B1 (ko) * 2019-01-24 2019-10-02 이현종 로스터 후드용 내부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3792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풍년그린텍 펄프 몰드 성형장치
KR102401634B1 (ko) 2020-02-14 2022-05-26 주식회사풍년그린텍 펄프 몰드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3291A (zh) 一种茶叶自动化压制设备
CN103317709B (zh) 一种全自动板材吸塑成型机
CN108517724A (zh) 一体式纸浆模塑成型设备及方法
CN206840808U (zh) 连体翻盖药盒自动成型机
CN113859660A (zh) 一种全自动水钻覆膜吸塑机
CN103457134B (zh) 一种换向器自动压制成型方法
CN107360860A (zh) 自动化菌瓶定量装料装置
KR200368685Y1 (ko)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CN200998903Y (zh) 一种注塑成型机
KR100427604B1 (ko) 펄프를 이용한 식품용기 생산용 몰딩기
CN206277581U (zh) 一种螺母自动进给装置
CN203806620U (zh) 马达铁芯机器人自动供给机
CN205905291U (zh) 一种led灯散热杯自动上料机构
CN214926516U (zh) 一种新型自动密封圈注射机
KR101037640B1 (ko) 사출기의 로딩/언로딩장치
KR20070087272A (ko) 직선형 회동식 펄프 몰드 금형장치
CN209971502U (zh) 吸盘上料装置
CN212147280U (zh) 注塑机的自动上下料系统
CN211227878U (zh) 一种纸托成型机
CN113246369A (zh) 一种纽扣电池镶塑设备
CN112477075A (zh) 全自动饰钻吸塑机
CN111391227A (zh) 注塑机的自动上下料系统
CN202192726U (zh) 一种自动放料注塑成型机
CN110683143B (zh) 一种双工位茶叶压块装盒机
CN205799276U (zh) 一种全自动砂轮片成型机的盖板和成品抓取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