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737Y1 - 립스틱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립스틱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737Y1
KR200367737Y1 KR20-2004-0024765U KR20040024765U KR200367737Y1 KR 200367737 Y1 KR200367737 Y1 KR 200367737Y1 KR 20040024765 U KR20040024765 U KR 20040024765U KR 200367737 Y1 KR200367737 Y1 KR 200367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tick
raw material
injection block
conveyo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원
Original Assignee
박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원 filed Critical 박신원
Priority to KR20-2004-0024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 B29L2031/7184Lipstick holders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립스틱 원료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러버몰드가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립스틱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러버몰드가 결합된 립스틱 용기에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주입한 다음 립스틱 원료가 응고되도록 급속냉동시킨 후, 상기 러버몰드를 진공흡착기로 분리하는 통상의 립스틱 제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구비된 이송수단과, 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그 상면에는 러버몰드가 결합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가 수직상태로 안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수단의 소정위치 상측에 이송수단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원료를 각각 주입하도록 다수개의 원료주입 노즐관이 길이방향을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주입블록과, 이 주입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통과, 이 원료공급통에 저장된 원료를 주입블록으로 공급하여 노즐관으로 배출을 통해 배출시키는 펌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립스틱 제조장치{Lipstick manufacture apparatus}
본 고안은 립스틱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립스틱 원료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러버몰드가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립스틱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스틱 제조는 용기형태의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러버몰드의 개구부에 립스틱 용기를 꽂은 상태에서 상기 립스틱 용기의 후단부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러버몰드의 내부공간에 주입한 다음,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가 고형화되도록 소정시간 냉각시킨 후, 상기 러버몰드를 고형화된 립스틱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이후 공정을 거쳐 립스틱을 제작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러버몰드에 립스틱 원료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개별적인 러버몰드에 수작업으로 립스틱 원료를 주입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러버몰드 분리시 고형화된 립스틱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아 립스틱이 부러지는 등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러버몰드가 결합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립스틱 원료를 자동으로 주입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러버몰드에 립스틱 원료 주입전에 러버몰드 내부에 오일을 분사하여 러버몰드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립스틱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오일분사수단 및 건조수단부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립스틱원료 주입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주입부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의 열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트레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러버몰드 20. 립스틱 용기 100. 프레임
200. 이송수단 300. 이송트레이 400. 제1승강수단
430. 오일분사블록 460. 제1열풍분사수단 500. 주입블록
510. 밸브체 550. 원료공급통 580. 노즐관가열수단
600. 펌핑수단 700. 제1위치교정수단 800. 냉각터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부에 러버몰드가 결합된 립스틱 용기에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주입한 다음 립스틱 원료가 응고되도록 급속냉동시킨 후, 상기 러버몰드를 진공흡착기로 분리하는 통상의 립스틱 제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구비된 이송수단과, 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그 상면에는 러버몰드가 결합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가 수직상태로 안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수단의 소정위치 상측에 이송수단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상기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원료를 각각 주입하도록 다수개의 노즐관이 길이방향을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주입블록과, 이 주입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통과, 이 공급통에 저장된 원료를 주입블록으로 공급하여 원료주입 노즐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오일분사수단 및 건조수단부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립스틱원료 주입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치의 주입부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립스틱 제조장의 열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립스틱 제조장치는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에 립스틱 원료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00)과, 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정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후술할 이송트레이(300)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200)과, 이 이송수단(200)에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가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트레이(300)와, 상기 이송수단(200)의 소정위치 상측에 이송트레이(30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에 원료를 각각 주입하는 주입블록(500)과, 이 주입블록(500)의 일측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히터(551)가 구비되어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통(550)과, 이 공급통(550)에 저장된 원료를 주입블록(500)으로 공급하는 펌핑수단(6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전방 중앙에는 작업대(110)가 구비되어, 이 작업대(110)에서 작업자가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를 안착시킨 이송트레이(300)를 이송수단(2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송수단(200)에서 이송트레이(300)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트레이(300)는 러버몰드(10)가 결합된 립스틱 용기(20)를 이송수단(200)에 한번에 다수개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티형상의 하측판(310)과, 다수개의 포스트(320)에 의해 상기 하측판(31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332)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상측판(3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332)에 립스틱용기(20)의 하단에 결합된 러버몰드(10)를 끼움결합하면 이 러버몰드(10)의 개구부 외측둘레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측판(330)의 상면에 걸려져 립스틱 용기(10)가 상측판(330)의 상측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수직설치되어, 한 번에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측판(330)의 양단부 중앙에는 그 상단 둘레부가 직경이 확관되도록 경사진 위치결정공(334)이 형성되어, 이 위치결정공(334)에 후술할 위치교정수단의 위치교정핀이 끼움결합되어 제1열풍분사수단과, 주입블록 및 제2열풍분사수단의 직하부에 이송트레이(300)가 위치되도록, 즉, 제1열풍분사수단과, 주입블록 및 제2열풍분사수단의 열풍분사 노즐관과 원료주입 노즐관의 직하부에 용기(20)의 주입구(22)가 위치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판(310)의 저면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홈(31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이 걸림홈(312)이 후술할 트레이승강수단(70)의 승강레일(78)에 걸려져 승강되게 된다. 그리고,상기 하측판(310)의 모서리부는 소정각도로 면처리된 면취부(315)가 마련되어, 이송트레이(300)가 주입블록(500)의 직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면취부(315)를 후술할 정위치교정수단(750)이 가압하여 이송트레이(300)가 주입블록(500)의 직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20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직사각형태의 경로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용기(20)가 안착된 이송트레이(30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0)의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한 쌍의 제1콘베이어(210) 및 제2콘베이어(220)와, 이 제1콘베이어(210)와 제2콘베이어(220) 사이의 양단부에 콘베이어(210,220)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설치되어 이송트레이(300)가 제1콘베이어(210)에서 제2콘베이어(220)로 이송 안내되도록 하거나 제2콘베이어(220)에서 제1콘베이어(210)로 이송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안내판(230) 및 제 2안내판(240)과, 이 각각의 제1, 2안내판(230,240)이 위치된 제1, 2콘베이어(210,220)의 진행방향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이송트레이(300)를 콘베이어(210,220)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즉, 제1콘베이어(210) 및 제2콘베이어(220)에서 이송되는 이송트레이(300)를 각각 제1안내판(230) 및 제2안내판(24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이송트레이(300)를 제1콘베이어(210)에서 제2콘베이어(220) 및 제2콘베이어(220)에서 제1콘베이어(210)로 이송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푸싱수단(250) 및 제2푸싱수단(2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콘베이어(210,220)는 서브모터에 작동되어, 소정길이 진행하였다가 소정시간 멈추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제1,2푸싱수단(250,260)은 각각의 제1,2콘베이어(210,220)의 일측에 이 콘베이어(210,220)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상태로 고정설치된 신축실린더(252,262)와, 이 신축실린더(252,262)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콘베이어(210,22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트레이(300)를 제1,2안내판(230,240)으로 이송시키는 푸셔(255,265)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트레이(300)가 제1콘베이어(210) 및 제2콘베이어(220)의 배출부측, 즉, 제1안내판(230) 및 제2안내판(240)부위로 이송된 것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신호전달하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신축실린더(252,262)를 작동시켜 이 신축실린더(252,262)에 연결된 푸셔(255,265)가 콘베이어(210,22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트레이(300)를 안내판(230,24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이후부터 이송트레이(300)가 푸셔(255,265)에 의해 안내판(230,240)으로 이송되면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콘베이어(210,220)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2콘베이어(210,220)의 진행방향 양측과 제1,2안내판(230,240)의 양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송트레이(300)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290)가 구비되어, 이 가이드부재(290)에 의해 이송트레이(300)가 콘베이어(210,220) 및 안내판(230,240)에서 직직이송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안내판(230,24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290)중 베이스프레임(100)의 외측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는 제1콘베이어(210) 및 제2콘베이어(220)로 연장형성되어 스톱퍼 역할을 하게되며, 이 가이드부재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이송트레이(300)가 센싱되면 푸싱수단(250,260)이 작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판(230)의 직상부에는 후술할 제1승강수단(400)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이송트레이(30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에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블록(430)이 구비된다. 이 오일분사블록(430)은 콘베이어(210,220)와 평행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형태의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유로와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오일분사노즐(432)이 다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용기(20)에 오일을 분사하게 된다. 즉, 상기 오일분사노즐(432)은 이송트레이(300)에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사블록(430)의 상면에는 실리콘오일 등이 저장되는 오일공급통(43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분사블록(430)의 직하부로 다수개의 용기(20)가 안착된 이송트레이(300)가 이송되면, 제1승강수단(400)이 작동되어 오일분사노즐(432)이 용기(20)의 주입구(22)에 인접되도록 오일분사블록(430)이 하강됨과 동시에 오일분사블록(430)에 연결된 에어공급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오일공급통(435)에 저장된 오일을 립스틱 용기(20)의 러버몰드(10) 내벽면에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20)에 립스틱 원료를 주입하기 전에 실리콘 등의 오일을 분사하게 되므로, 립스틱 원료 주입 후, 러버몰드(20)가 응고된 립스틱으로 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제1승강수단(400)은 제1안내판(230)의 직하부 중앙, 즉, 베이스프레임(100) 내부에 수직설치된 제1승강실린더(402)와, 이 제1승강실린더(402)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승강판(404)과, 이 제1승강판(404)의 모서리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되 베이스프레임(100)의 상판(10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슬라이드바아(406)과, 이 제1슬라이드바아(406)의 상단부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일분사블록(430)이 양단부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연결바아(408)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402)를 작동시킴에 따라 이 제1승강실린더(402)에 연결된 오일분사블록(430)이 하강되어 이 이송트레이(300)에 인접되거나 이격된다. 이때, 상기 오일주입블록(430)은 제1연결바아(408)에서 위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수단(400)의 둘레부에는 작동에 따라 제1승강수단(400)에 연결된 오일분사블록(430)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즉, 이송트레이(30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립스틱 용기(20)로 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높이조절수단(50)이 구비된다. 이 제1높이조절수단(50)은 제1승강수단(40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설치되는 한 쌍의 제1나사축(52)과, 이 제1나사축(52)에 그 양단부가 나사결합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제1승강실린더(402)가 고정결합된 제1승강판(5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나의 제1나사축(52)은 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에는 제1조작핸들(56)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나사축(52)은 스프로켓과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조작핸들(56)을 잡고 회전시켜 제1나사축(52)을 정역회전시키면 이 제1나사축(52)에 나사결합된 제1승강판(54)이 승강되면서 상기 제1승강수단(400)은 물론 제1승강수단(400)에 연결된 오일분사블록(430)이 승강되어 이송트레이(300)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분사블록(430)의 일측에는 제1열풍분사수단(460)이 구비된다. 이 제1열풍분사수단(460)은 용기(20)에 립스틱 원료를 주입전 용기(20) 내부에 잔류된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승강수단(400)에 연결되어 오일분사블록(430)과 동시에 승강된다. 이 제1열풍분사수단(460)은 상기 오일분사블록(430)과 평행하도록 그 양단부가 상기 제1연결바아(408)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공간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 제1열풍분사블록(462)과, 이 제1열풍분사블록(462)의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각각의 용기(20)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제1열풍분사 노즐관(464)과, 상기 제1열풍분사블록(462)의 상면에 설치되며 도시하지 않은 내부에 구비된 히터와 송풍팬에 의해 이 제1열풍분사블록(462)의 공간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제1열풍분사노즐관(464)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제1열풍분사기(46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풍분사수단(460)은 제1승강수단(400)에 의해 하강되면 다수개의 제1열풍분사 노즐관(464)이 각각의 립스틱 용기(20)에 삽입된 상태로 열풍을 분사하여 내부에 습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분사블록(430)과 제1열풍분사수단(460)은 제1승강수단(400)에 의해 동시에 승강되지면, 오일과 열풍은 선택적으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열풍분사블록(462)의 하측에는 이 제1열풍분사블록(462)이 하강됐을때 이 제1열풍분사블록(462)의 각각의 제1열풍분사 노즐관(464) 직하부에 이송트레이(300)의 결합공(332)이 위치되도록 이송트레이(300)의 위치를 교정하는, 즉, 각각의 제1열풍분사노즐관(464)의 직하부에 각각의 용기(20)가 위치되도록 잡아주는 제1위치교정수단(700)이 구비된다. 이 제1위치교정수단(700)은 제1열풍분사블록(462)의 저면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한 쌍의 제1가이드바아(702)와, 그 양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바아(702)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제1열풍분사노즐관(464)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703)이 형성된 제1연결부재(704)와, 이 제1연결부재(704)의 저면 양단부에 상기 이송트레이(300)의 위치결정공(334)과 대응되도록 수직설치되어 제1열풍분사블록(460)의 승강에 따라 위치결정공(334)에 끼움결합되어 이송트레이(300)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한 쌍의 제1위치교정핀(706)과, 상기 제1가이드바아(702)에 결합되어 제1연결부재(704)를 하향 탄지하는 제1스프링(70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풍분사수단(460)이 제1승강수단(400)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제1위치교정핀(706)이 이송트레이(300)의 위치결정공(334)에 삽입되어 제1열풍분사 노즐관(464)의 직하부에 용기(20)가 위치되도록 이송트레이(300)의 위치를 바로잡게 된다.
상기 주입블록(500)은 제2콘베이어(220) 중앙의 직상부에 이 제2콘베이어(220)의 진행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한번에 다수개의 용기(20)에 원료를 주입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2높이조절수단(50a)에 의해 이송트레이(300)로부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부(502)가 길게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이송트레이(30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에 원료를 각각 주입하도록 다수개의 원료주입 노즐관(504)이 길이방향을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입블록(500)의 배면 중앙부에는 이 주입블록(500)의 공간부(502)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펌핑공(506)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 펌핑공(506)에 후술할 펌핑수단(600)이 연결되어 원료공급통(550)에 저장된 립스틱 원료를 흡입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블록(500)의 공간부(502)에는 이 공간부(502)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회전수단(520)에 의해 정역회전되며 내부에는 작동에 따라 주입블록(500)의 원료 유입공(505)과 펌핑공(506)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펌핑공(506)과 원료주입 노즐관(504)과 연통되도록 하는 니은자 형상의 유로(5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밸브체(51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수단(520)의 상기 주입블록(500)의 일측에 노츨되도록 밸브체(510)에 연결고정된 피니언기어(522)와, 이 피니언기어(522)에 맞물리되 실린더(526)에 의해 전후진 되어 밸브체(510)를 정역회전시키는 랙기어(524)로 구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펌핑수단(600)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할 때에는 상기 밸브체(510)의 유로(512)가 원료 유입공(505)과 펌핑공(506)이 연통되도록 회전되어 원료를 흡입하고, 이어서, 용기(20)에 원료를 주입할때에는 상기 밸브체(510)의 유로(512)를 펌핑공(506)과 원료주입 노즐관(504)이 연통되도록 회전시킨 다음 펌핑작동하면 상기 유로(512) 및 펌핑공(506)으로 유입된 원료가 노즐관(504)을 통해 배출되어 용기(20)에 주입된다.
이때, 상기 주입블록(500)의 저면에는 상기 제2위치교정수단(700a)이 구비된다. 이 제2위치교정수단(700a)은 상기 제1위치교정수단(7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입블록(500)의 양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바아(702a)와, 그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바아(702a)에 고정결합되므로 그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관통공(703a)이 형성되며 그 저면 양단부에는 제2위치교정핀(706a)이 구비된 제2연결부재(704a)와, 이 연결부재(704a)를 하향 탄지하는 제2스프링(708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트레이(300)가 후술할 트레이승강수단(70)에 의해 주입블록(500)에 인접되도록 승강됐을때, 제2위치교정핀(706a)이 이송트레이(300)의 위치결정공(334)에 삽입되어 원료주입 노즐관(504)의 직하부에 용기(20)가 위치되도록 이송트레이(300)의 위치를 바로잡게 된다.
이때, 상기 주입블록(500) 하측의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작동에 따라 주입블록(500)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즉, 이송트레이(30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립스틱 용기(20)로 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높이조절수단(50a)이 구비된다. 이 제2높이조절수단(50a)은 제1높이조절수단(50)과 동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입블록(500) 하측의 프레임(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설치되는 한 쌍의 제2나사축(52a)과, 이 제2나사축(52a)에 나사결합되며 제2승강판(54a)과, 이 제2승강판(54a)의 둘레부에 위치되어 상기 주입블록(500)과 연결되며 프레임(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아(5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나의 제2나사축(52a)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100)의 상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에는 제2조작핸들(56a)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나사축(52a)도 스프로켓과 체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조작핸들(56a)을 잡고 회전시켜 제2나사축(52a)을 정역회전시키면 이 제2나사축(52a)에 나사결합된 제2승강판(54a)이 승강되면서 주입블록(500)이 승강되어 이송트레이(300)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료주입 노즐관(520)의 배면에는 이 노즐관(520) 내부로 유입된 원료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관 가열수단(580)이 구비된다. 이 가열수단(580)은 주입블록(500)의 저면에 노즐관(520) 방향으로 신장되는 신장실린더(582)와, 이 신장실린더(582)에 연결되며 그 전면에는 상기 노즐관(520)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삽입홈(584)이 다수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개의 전열히터(586)가 내장된 히팅블록(58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에 원료 주입전에는 상기 히팅블록(588)의 삽입홈(584)에 다수개의 노즐관(520)이 삽입되도록 전진시켜서 노즐관(520)을 가열하다가, 원료 주입시에는 실린더(582)를 신축시켜서 히팅블록(588)을 노즐관(520)으로 부터 이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블록(500)의 직하부 콘베이어(220)의 진행방향 양측에는 주입블록(500)의 직하부로 이송트레이(300)가 이송되면 이 이송트레이(300)를 주입블록(500)으로 인접되게 승강시키는 트레이 승강수단(70)이 구비된다. 이 트레이 승강수단(70)은 이송트레이(300)에 안착된 다수개의 용기(20)가 주입블록(500)의 노즐관(520)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승강실린더(72)와, 이 승강실린더(27)에 고정설치되는 승강판(74)과, 이 승강판(74)의 둘레부에 고정설치되되 프레임(100)의 상판(10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드바아(76)와, 이 전후측 슬라이드바아(76)에 각각 연결되며 그 일측면, 즉, 서로 마주보는면 하단에는 상기 이송트레이(300)의 하측판(330)에 형성된 걸림홈(312)에 걸려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레일(79)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한 쌍의 승강레일(78)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승강레일(78) 사이로 이송트레이(300)가 이송되면, 즉, 주입블록(500)의 직하부로 이송되면 후술할 푸셔(750)에 의해 이송트레이(300)를 승강레일(78)에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즉, 이송트레이(300)를 주입블록(500)의 길이방향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실린더(72)를 신장시켜 승강레일(78)에 걸려진 이송트레이(300)를 주입블록(500)으로 인접되도록 승강시키면 이송트레이(300)에 안착된 다수개의 용기(20) 내부로 주입블록(500)의 노즐관(520)이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승강레일(78)중 전방에 구비된 승강레일(78)의 양측에는 실린더(752)에 의해 후방 승강레일(78)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푸셔(750)가 구비된다. 이 푸셔(750)는 이송트레이(300)를 승강레일(78)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주입블록(50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 서로 마주보는모서리는 이송트레이(300)의 하측판(310) 면취부(315)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승강레일(78) 사이로 이송트레이(300)가 이동되면 실린더(752)에 의해 상기 푸셔(750)가 전진되면서 이송트레이(300)를 후방측 승강레일(78)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트레이(300)가 주입블록(50)의 길이방향 정중앙부에 위치되록 된다.
상기 원료공급통(550)은 주입블록(500)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블록(500) 일측의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55)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모터를 작동시켜 회전축(555)을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하게 내용물이 다른 립스틱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료공급통(500)의 내부에는 전열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립스틱 원료를 용융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원료공급통(550)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557)가 구비되어, 이 교반날개(557)에 의해 립스틱 원료가 원활하게 섞을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원료공급통(550)과 주입블록(500) 사이에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간부(572)가 형성된 연결블록(570)이 구비되고, 이 연결블록(570)의 공간부(572)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572)가 공간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어, 이 교반날개(572)를 회전시킴으로써, 원료공급통(550)의 원료가 주입블록(500)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펌핑수단(600)은 원료공급통(550) 내부의 립스틱 원료를 흡입하여 원료주입 노즐관(504)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주입블록(500)의 배면 둘레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아(610)와, 이 가이드바아의 단부에 연결 고정된 연결부재(620)와, 상기 가이드바아(6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주입블록의 펑핌공(506)에 기밀되게 슬라이드는 펌핑로드(630)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된 슬라이더(640)와, 상기 연결부재(620)의 중앙부에 구비된 모터(650)와, 이 모터(65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640)를 전후진 시키는 리드스크류(6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510)의 유로(512)가 주입블록(500)의 원료유입공(501)과 펌핑공(506)이 연통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펑핑로드(630)를 후진시키면 원료가 유로(512) 및 펑핑공(506)에 유입되고, 이어서, 밸브체(510)의 유로(512)가 펌핑공(506)과 노즐관(504)이 연통되도록 회전시킨 후, 펑핌로드(630)를 전진시키면 펑핑공(506) 및 유로(521)에 유입된 원료가 노즐관(50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주입블록(500)의 일측 콘베이어(220)상에는 냉각시스템(810)에 의해 대략 ―1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냉각터널(800)이 구비되어, 립스틱 원료가 주입되어 이송되는 다수개의 용기(20)를 냉각시켜 립스틱 원료가 응고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200)의 제2안내판(240) 직상부에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원료가 주입된 용기에(20)에 열풍을 분사하는 제2열풍분사수단(460a)이 구비된다. 이 제2열풍분사수단은(460a)은 주입블록(500)에서 용기(20)에 주입된 원료의 상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를 수평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제1열풍분사수단(460)과 동일한 구조인 제2열풍분사블록(462a)과, 제2열풍분사노즐관(464a)과, 제2열풍분사기(466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풍분사수단(460a)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도 제1열풍분사수단(46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높이조절수단도 상기 제1높이조절수단(50)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어 있어, 제2열풍분사블록(4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열풍분사블록(462a)에도 제1열풍분사블록(462)에 구비된 위치교정수단이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열풍분사수단(460a) 직하부로 이송트레이(300)가 이송되면, 승강수단에 의해 제2열풍분사블록(462a)이 하강되어 이 제2열풍분사블록(462a)에 구비된 제2열풍분사 노즐관(464a)이 용기(2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주입블록(500)에서 용기(20)에 주입된 원료의 상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더라도 열기에 의해 용융시켜 수평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립스틱 제조장치는 러버몰드(10)가 결합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를 안착시킨 이송트레이(300)를 작업자가 연속적으로 제1콘베이어(210)에 공급시켜 이송시키면 제1콘베이어(2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제1푸싱수단(250)에 의해 이송트레이(300)가 제1안내판(23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제2콘베이어(220)로 이동된다. 이때, 이송되는 용기(20)에는 제1안내판(230)의 직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오일분사블록(430) 및 제1열풍분사수단(460)에 의해 용기(20)의 내부에 오일을 분사하거나 고온의 열풍을 선택적으로 분사한 다음, 상기 주입블록(500)의 직하부로 이송트레이(300)가 이송되면 트레이승강수단(70)에 의해 이송트레이(300)가 승강되어 이 이송트레이(300)에 안착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20)의 주입구(22)로 주입블록(500)의 노즐관(504)이 삽입됨과 동시에 원료공급통(550)의 립스틱 원료가 펌핑수단(600)에 의해 펌핑되어 노즐관(504)을 통해 용기(20)에 주입된다. 이어서, 이송트레이(300)가 하강시켜 이송되면 냉각터널(800)을 거치면서 용융상태의 원료가 응고된다. 이어서, 제2푸싱수단(260)에 의해 이송트레이(300)가 제2안내판(240)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제1콘베이어(210)로 이송된다. 이때, 냉각터널(800)을 거친 용기(20)는 상기 제2안내판(240)의 직상부에 구비된 제2열풍분사수단(460a)에 의해 원료가 주입된 용기(20)에 고온의 열기를 분사하여 원료의 상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열기에 의해 용융시켜 수평상태로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열풍분사수단(460a)을 거친 다수개의 용기(20)가 안착된 이송트레이(300)를 약 ―30∼ ―35℃ 정도의 급속냉동고에서 약5분정도 급속냉동시켜 원료를 응고시킨 다음, 러버몰드(10)를 진공흡착기에 의해 분리한 후, 이후 공정을 거쳐 립스틱을 제작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립스틱 제조장치는 작업자가 이송트레이에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을 안착시켜 이송수단에 공급시키기만 하면 한번에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자동으로 원료가 주입되어 배출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립스틱 용기에 원료 주입전 러버몰드 내벽면에 실리콘 오일 등을 분사하게 되므로, 이후 립스틱 용기를 냉각 시킨 후 러버몰드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하단부에 러버몰드가 결합된 립스틱 용기에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주입한 다음 립스틱 원료가 응고되도록 급속냉동시킨 후, 상기 러버몰드를 진공흡착기로 분리하는 통상의 립스틱 제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구비된 이송수단과,
    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며 그 상면에는 러버몰드가 결합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가 수직상태로 안착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수단의 소정위치 상측에 이송수단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트레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에 원료를 각각 주입하도록 다수개의 원료주입 노즐관이 길이방향을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주입블록과,
    이 주입블록의 일측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용융상태의 립스틱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통과,
    이 원료공급통에 저장된 원료를 주입블록으로 공급하여 노즐관으로 배출을 통해 배출시키는 펌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블록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이 주입블록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펌핑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주입블록의 공간부에는 이 공간부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회전수단에 의해 정역회전되며 내부에는 작동에 따라 주입블록의 원료 유입공과 펌핑공이 연통되도록 하거나 펌핑공과 원료주입 노즐관과 연통되도록 하는 니은자 형상의 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밸브체가 구비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주입블록의 전면 또는 배면 둘레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아와, 이 가이드바아의 단부에 연결 고정된 연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바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측면에는 상기 주입블록의 펑핌공에 기밀되게 슬라이드는 펌핑로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된 슬라이더와,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진 시키는 리드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블록이 위치된 이송수단의 일측에는 이승트레이가 주입블록의 직하부로 이송됐을때 이송트레이를 승강시켜 각각의 립스틱 용기 내부로 상기 주입블록의 노즐관이 삽입되도록 하는 트레이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상의 상기 주입블록의 후단에는 냉각장치에 연결된 냉각터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콘베이어와, 제1 및 제2콘베이어 사이의 양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이송트레이가 제1콘베이어에서 제2콘베이어로 이송 안내되도록 하거나 제2콘베이어에서 제1콘베이어로 이송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 2안내판과, 이 제1 및 제 2안내판이 위치된 제1 및 제2콘베이어의 진행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이송트레이를 각각 제1안내판 및 제2안내판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 및 제2푸싱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콘베이어와 상기 제1 및 제2안내판의 양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송트레이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트레이가 직진이송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판의 직상부에는 콘베이어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오일분사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이송되는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 러버몰드 내주면에 오일을 분사하는 오일분사블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판의 직상부에는 콘베이어와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열분사노즐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립스틱 원료가 주입된 다수개의 립스틱 용기 내부에 고온의 열기를 분사하는 제2열풍분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스틱 제조장치.
KR20-2004-0024765U 2004-08-30 2004-08-30 립스틱 제조장치 KR200367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765U KR200367737Y1 (ko) 2004-08-30 2004-08-30 립스틱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765U KR200367737Y1 (ko) 2004-08-30 2004-08-30 립스틱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737Y1 true KR200367737Y1 (ko) 2004-11-12

Family

ID=4944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765U KR200367737Y1 (ko) 2004-08-30 2004-08-30 립스틱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73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19B1 (ko) 2006-09-01 2008-03-03 (주) 우정테크 립스틱 몰드 블럭 장치
KR200456110Y1 (ko) 2009-08-05 2011-10-13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 케이스 정렬장치
KR101241270B1 (ko) 2011-07-14 2013-03-15 주식회사 마린코스메틱 립스틱 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립스틱 성형방법
KR101285629B1 (ko) 2012-11-30 2013-07-12 주식회사 인스턴 마이크로 드릴비트 세척장치
KR101329549B1 (ko) 2013-06-18 2013-11-14 주식회사 인스턴 마이크로 드릴비트 세척장치의 드릴비트 클램핑유닛
KR102062114B1 (ko) * 2018-05-16 2020-01-06 최형근 립스틱 자동화 충진 시스템
CN114799081A (zh) * 2022-05-23 2022-07-29 南通良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高强度金属链条铸造设备及方法
KR20220135108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엔에프씨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19B1 (ko) 2006-09-01 2008-03-03 (주) 우정테크 립스틱 몰드 블럭 장치
KR200456110Y1 (ko) 2009-08-05 2011-10-13 (주)아모레퍼시픽 립스틱 케이스 정렬장치
KR101241270B1 (ko) 2011-07-14 2013-03-15 주식회사 마린코스메틱 립스틱 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립스틱 성형방법
KR101285629B1 (ko) 2012-11-30 2013-07-12 주식회사 인스턴 마이크로 드릴비트 세척장치
WO2014084469A1 (ko) * 2012-11-30 2014-06-05 주식회사 인스턴 마이크로 드릴비트 세척장치
CN104918718A (zh) * 2012-11-30 2015-09-16 因思特恩株式会社 微型钻头清洗装置
KR101329549B1 (ko) 2013-06-18 2013-11-14 주식회사 인스턴 마이크로 드릴비트 세척장치의 드릴비트 클램핑유닛
KR102062114B1 (ko) * 2018-05-16 2020-01-06 최형근 립스틱 자동화 충진 시스템
KR20220135108A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엔에프씨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KR102495576B1 (ko) * 2021-03-29 2023-02-06 주식회사 엔에프씨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CN114799081A (zh) * 2022-05-23 2022-07-29 南通良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高强度金属链条铸造设备及方法
CN114799081B (zh) * 2022-05-23 2023-10-24 南通良瑞机械加工有限公司 一种高强度金属链条铸造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7737Y1 (ko) 립스틱 제조장치
KR0171937B1 (ko) 내열용기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US3149373A (en) Production of hollow moulded articles
CN110035647B (zh) 一种贴片机及其贴片方法
CN108781827B (zh) 一种嫁接机及嫁接方法
CN109130318B (zh) 一种吸嘴袋生产线
CN206062478U (zh) 一种全自动口红填充机
CN116198164A (zh) 一种轮胎生产用一模多腔平板硫化机
KR101793018B1 (ko)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WO1998009795A1 (fr) Appareil et procede de formage par soufflage a chaud
US20130263445A1 (en) Reflow Solde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109621B1 (ko) 수지재 앰플의 제조장치
CN108966892B (zh) 一种嫁接夹持与切割机构及其嫁接方法
TWI630084B (zh) Linear circulation rubber injection process
CN108351161B (zh) 竖直板式冷冻机系统
JP3612388B2 (ja) 射出ブロー成形装置及び射出ブロー成形方法
CN115923024A (zh) 一种洗眼液生产包装用瓶身注塑设备
JP4877757B2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KR101580579B1 (ko) 빙과용 비닐용기 정렬이송장치
CN109093924A (zh) 一种自动化双料射出双模交换橡胶硫化机
JP3761017B2 (ja) プリフォームの冷却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の受け取り冷却方法
RU2458793C2 (ru) Автомат для выдува пэт-тары
KR200205302Y1 (ko) 알루미늄샤시의 중공부에 발포단열재 충진, 성형장치
KR20110112032A (ko) 사출성형기용 성형물 취출 냉각장치
KR20010113383A (ko) 알루미늄샤시의 중공부에 발포단열재 충진,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