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018B1 -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 Google Patents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018B1
KR101793018B1 KR1020150153007A KR20150153007A KR101793018B1 KR 101793018 B1 KR101793018 B1 KR 101793018B1 KR 1020150153007 A KR1020150153007 A KR 1020150153007A KR 20150153007 A KR20150153007 A KR 20150153007A KR 101793018 B1 KR101793018 B1 KR 10179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container
hot air
plate
uni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901A (ko
Inventor
박정곤
Original Assignee
(주)한테크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테크21 filed Critical (주)한테크21
Priority to KR102015015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0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29C45/382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disposed outside the mou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제1, 2, 3 플레이트(110, 120, 130)가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그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컨베이어(20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3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에 형성된 버(11)를 열풍으로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400);와, 상기 제3 플레이트(130)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를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50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60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이송부(6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Disposable containers Burr Removal Equipment}
본 발명은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제1, 2, 3 플레이트(110, 120, 130)가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그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컨베이어(20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3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에 형성된 버(11)를 열풍으로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400);와, 상기 제3 플레이트(130)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를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50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60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이송부(6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 또는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요구르트, 요거트 등의 호상발효유 식품은 섭취자가 한 번 섭취할 때의 양만 담을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일회용용기에 담겨져 판매된다.
이러한 일회용용기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여 사출성형법과 시트성형법 또는 공중성형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수지를 용융하여 액체로 하여 일정량을 모은 후, 원하는 금형 중으로 급속히 도입하여 냉각 후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형상을 성형되는 사출성형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사출성형법을 통하여 성형된 일회용용기는 사출공정에서 발생되는 용융재료의 압력에 의해 용융된 소재가 유입되어 성형된 일회용용기 표면에 실과같은 가느다란 버(Burr)가 발생된다.
이러한 버(Burr)는 섭취자가 내용물을 섭취시 버(Burr)로 인한 상해가 발생할 수 있고,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제작 공정과정에서 기계의 결함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끌 또는 칼 등의 수공구를 사용하여 버(Burr)를 제거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노무비가 추가적으로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99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Burr)가 형성된 일회용용기를 열풍이 발생되는 열풍공급장치에 순간적으로 통과시켜 버(Burr)를 승화열로 제거함으로써, 섭취자가 내용물 섭취시 버(Burr)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회용용기 표면에 흡집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공급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다수개의 일회용용기를 열풍공급장치로 상승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일회용용기를 한 번에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증가시킬 수 있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는, 상부에 제1, 2, 3 플레이트(110, 120, 130)가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그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컨베이어(200);와,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3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에 형성된 버(11)를 열풍으로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400);와, 상기 제3 플레이트(130)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를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50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600);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이송부(6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는, 중앙에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도록 이동공(410)이 타공형성되고, 일측에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관(420)이 형성되며, 타측에 폐열풍이 배출되는 폐열풍배출관(43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에는 상기 열풍공급관(420)으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분사되어 상기 버(11)를 녹이도록 열풍분사구(4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130)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이송부(500)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부(500)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상부에 안착되되, 중앙에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도록 통과공(511)이 타공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510)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상부에는 상기 통과공(511)을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그 내측에 돌출인입되는 거치플레이트(521)가 형성되는 거치가이드유닛(520)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전, 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블베어(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3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양측에는 제1 구동벨트(311)가 형성되는 제1 벨트타워유닛(3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벨트(311)와 연결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1 이송부(300)로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안착봉(321)이 형성되는 제1 수직이동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이송부(6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양측에는 제2 구동벨트(611)가 형성되는 제2 벨트타워유닛(61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벨트(611)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3 이송부(600)로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안착봉(621)이 형성되는 제2 수직이동부재(6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양측에는 다수개 적재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를 통해 각각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도방지판(210, 71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Burr)가 형성된 일회용용기를 열풍이 발생되는 열풍공급장치에 순간적으로 통과시켜 버(Burr)를 승화열로 제거함으로써, 섭취자가 내용물 섭취시 버(Burr)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회용용기 표면에 흡집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공급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다수개의 일회용용기를 열풍공급장치로 상승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일회용용기를 한 번에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의 내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의 구성 중 제1, 2, 3 이송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의 구성 중 제2 이송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는 도 1, 도 3,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베이스하우징(100), 공급컨베이어(200), 제1 이송부(300), 열풍공급장치(400), 제2 이송부(500), 제3 이송부(600) 및 배출컨베이어(7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통해 버(burr)(11)가 제거되는 일회용용기(10)는 보통 다수개 적재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나 단품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설명에서의 일회용용기(10)는 다수개 적재된 상태의 제품을 지칭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공급컨베이어(200), 제1 이송부(300), 열풍공급장치(400), 제2 이송부(500), 제3 이송부(600) 및 배출컨베이어(700)는 모터 등과 같은 일반적인 구동장치를 통해 작동되기 때문에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베이스하우징(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은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계단식 프레임으로서, 최하단에는 후술할 공급컨베이어(200), 제1, 3 이송부(300, 600) 및 배출컨베이어(700), 컨트롤부(800)가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후술할 열풍공급장치(400)가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2 이송부(500)가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130)로 각각 적층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환공(121)이 타공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버(11)가 제거된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2 이송부(120)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이송부(600)로 이송되는 것이 가능해지고, 통공(미도시)가 타공형성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로 투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환공(121) 및 통공(미도시)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1, 3 이송부(300)을 통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400)와 상기 제3 이송부(600)로 각각 수직이동하는 경우,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제1, 2 전도방지봉(140, 15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 플레이트(130)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2 이송부(500)의 슬라이드부재(510)가 정확하게 수평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공급컨베이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업자가 투입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제1 이송부(300)로 이송시키는 일종의 전동식 컨베이어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1 이송부(30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방지판(21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이송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이송부(300)는 도 2 또는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구비된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로 이동시켜 버(11)를 제거하고, 버(11)가 제거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제2 이송부(500)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벨트타워유닛(310), 제1 수직이동부재(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벨트타워유닛(310)은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양측에 형성되는 제1 구동벨트(311)를 통하여, 상기 제1 구동벨트(311)와 연결되는 후술할 제1 수직이동부재(320)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수직이동부재(320)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타측에 상기 제1 구동벨트(311)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수직이동부재(320)의 상부에는 봉(棒)형상의 제1 안착봉(3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 중심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상승하여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2 이송부(500)에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후술할 거치플레이트(521)가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 둘레부분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열풍공급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에 형성된 버(11)를 열풍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공(410), 열풍공급관(420), 폐열풍배출관(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공(410)은 상기 열풍공급장치(400)의 중앙에 타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투입되고, 버(11)가 제거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제2 이송부(500)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에는 원형띠형상의 열풍분사구(411)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열풍분사구(411)를 통해 분사되는 열풍으로 인하여 상기 일회용용기(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버(11)가 승화열로 모두 제거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상기 열풍분사구(411)를 통하여 열풍이 분사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일실시예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열풍공급관(42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분사구(411)의 전체방향에서 분사되도록 상기 열풍분사구(411)의 둘레를 감싸는 다수개의 분사공(402)이 형성된 링형상의 열풍이동관(401)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에는 후술할 폐열풍배출관(430)과 연결되어 열풍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토출공(40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풍공급관(420)을 통해 투입되는 열풍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온도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에 열풍이 일정하게 존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열풍공급관(420)은 외부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이동공(410)으로 전달하고, 상기 폐열풍배출관(430)은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의 열풍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2 이송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이송부(500)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3 플레이트(130)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를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수평이동시켜 상기 제3 이송부(600)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슬라이드부재(510), 거치가이드유닛(520), 케이블베어(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510)는 버(11)가 제거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제3 이송부(60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수평이동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에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삽입되도록 통과공(511)이 통공형성된다.
상기 거치가이드유닛(52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어 버(11)가 제거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통과공(511)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거치가이드유닛(520)의 내측에는 상황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측으로 인입되는 거치플레이트(521)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제3 이송부(600)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할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10)가 이동하여 상기 환공(12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환공(121) 상에 위치된 상기 제3 이송부(600)에 상기 제2 이송부(500)에 적재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케이블베어(53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3 이송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이송부(6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로 이송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2 벨트타워유닛(610), 제2 수직이동부재(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벨트타워유닛(610)은 상기 제1 벨트타워유닛(310)과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구동벨트(611)를 통하여, 상기 제2 구동벨트(611)와 연결되는 후술할 제2 수직이동부재(620)를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수직이동부재(620) 또한 상기 제1 수직이동부재(32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구동벨트(611)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2 수직이동부재(620)의 상부에는 봉(棒)형상의 제2 안착봉(6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이송부(500)가 상기 환공(12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 둘레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거치플레이트(521)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 중심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하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배출컨베이어(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3 이송부(600)를 통해 버(11)가 제거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다음 공정단계로 이송시키는 일종의 전동식 컨베이어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수준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와 마찬가지로 전도방지판(71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상기 배출컨베이어(700), 상기 제1, 2, 3 이송부(300, 500, 600)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 및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컨트롤부(80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를 통해 일회용용기(10)에 형성된 버(11)를 제거하고 이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업자가 버(11)가 형성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에 거치한다.
이후, 상기 공급컨베이어(200)가 구동되어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1 안착봉(321)에 적재되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벨트타워유닛(310)이 작동하여 상기 제1 구동벨트(311)에 연결된 상기 제1 수직이동부재(320)가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승되는 제1 수직이동부재(320)에 적재된 상기 일회용용기(10)는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로 투입되고, 상기 제1 수직이동부재(320)의 상승이 진행되면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버(11)는 상기 이동공(410)을 통해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승화열로 제거된다.
이후, 버(11)의 제거가 완료되면,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이송부(500)에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521)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거치플레이트(5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송부(500)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환공(121)이 형성된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 이송부(500)의 수평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플레이트(521)가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일회용용기(10)는 상기 환공(121) 상에 위치한 제2 안착봉(621)에 안착된다.
이후,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벨트타워유닛(610)이 작동하여 상기 제2 구동벨트(611)에 연결된 상기 제2 수직이동부재(620)가 하강하여 상기 일회용용기(10)를 하강이송시킨다.
상기 제2 수직이동부재(620)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일회용용기(10)는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로 이동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10: 일회용용기 11: 버(Burr)
100: 베이스하우징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121: 환공
130: 제3 플레이트 131: 가이드레일
140: 제1 전도방지봉 150: 제2 전도방지봉
200: 공급컨베이어 210: 전도방지판
300: 제1 이송부 310: 제1 벨트타워유닛
311: 제1 구동벨트 320: 제1 수직이동부재
321: 제1 안착봉
400: 열풍공급장치 401: 열풍이동관
402: 분사공 403: 토출공
410: 이동공 411: 열풍분사구
420: 열풍공급관 430: 폐열풍배출관
500: 제2 이송부 510: 슬라이드부재
511: 통과공 520: 거치가이드유닛
521: 거치플레이트 530: 케이블베어
540: 제3 전도방지봉
600: 제3 이송부 610: 제2 벨트타워유닛
611: 제2 구동벨트 620: 제2 수직이동부재
621: 제2 안착봉
700: 배출컨베이어 710: 전도방지판
800: 컨트롤부

Claims (5)

  1. 상부에 제1, 2, 3 플레이트(110, 120, 130)가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하우징(100);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그 일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컨베이어(200);
    상기 공급컨베이어(20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300);
    상기 제2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이송부(30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어 상기 일회용용기(10)에 형성된 버(11)를 열풍으로 제거하는 열풍공급장치(400);
    상기 제3 플레이트(130)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를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수평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500);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600);
    상기 제1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이송부(6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400)는,
    중앙에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도록 이동공(410)이 타공형성되고,
    일측에 열풍이 공급되는 열풍공급관(420)이 형성되며, 타측에 폐열풍이 배출되는 폐열풍배출관(43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410)의 내측에는 상기 열풍공급관(420)으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분사되어 상기 버(11)를 녹이도록 열풍분사구(4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플레이트(130)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이송부(500)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부(500)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상부에 안착되되, 중앙에 상기 일회용용기(10)가 통과되도록 통과공(511)이 타공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510)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상부에는 상기 통과공(511)을 통과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그 내측에 돌출인입되는 거치플레이트(521)가 형성되는 거치가이드유닛(520)이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10)의 전, 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블베어(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
  4.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3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양측에는 제1 구동벨트(311)가 형성되는 제1 벨트타워유닛(3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벨트(311)와 연결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1 이송부(300)로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안착봉(321)이 형성되는 제1 수직이동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이송부(6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양측에는 제2 구동벨트(611)가 형성되는 제2 벨트타워유닛(61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벨트(611)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이송부(5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제3 이송부(600)로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안착봉(621)이 형성되는 제2 수직이동부재(6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
  5.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700)의 양측에는 다수개 적재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상기 공급컨베이어(200) 및 상기 배출컨베이어(700)를 통해 각각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회용용기(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도방지판(210, 71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1).
KR1020150153007A 2015-11-02 2015-11-02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KR10179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07A KR101793018B1 (ko) 2015-11-02 2015-11-02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07A KR101793018B1 (ko) 2015-11-02 2015-11-02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01A KR20170050901A (ko) 2017-05-11
KR101793018B1 true KR101793018B1 (ko) 2017-11-01

Family

ID=5874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07A KR101793018B1 (ko) 2015-11-02 2015-11-02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3964A (zh) * 2017-10-27 2018-03-16 南京汇龙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橡胶制品边料处理装置
KR102129170B1 (ko) * 2018-07-06 2020-07-01 김민섭 열풍을 이용한 사출 성형물 표면 처리 장치
CN111231240B (zh) * 2020-03-04 2020-11-13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车灯反光镜浇口去除装置
CN114888874A (zh) * 2022-05-11 2022-08-12 安徽耐科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塑封框架废塑分层冲切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01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018B1 (ko) 일회용용기 버 제거 장비
KR100221232B1 (ko) 바탕이 열가소성 판재로 형성되는 중공물건의 열성형 및 치쌓기의 방법과 장치
WO2017080305A1 (zh) 一种贴标机立式上料入托机
US9517854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JP6313157B2 (ja) ブロー成形装置
KR101935168B1 (ko) 성형코어 배출장치
JP6516288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システム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2015155588A (ja) 立体網状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立体網状構造体の製造装置
CN108155129A (zh) 一种焊接模循环使用的合片机构
JPWO2014098194A1 (ja) 搬送装置、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207781548U (zh) 一种焊接模循环使用的合片机构
US11097459B2 (en) Blow molding apparatus
KR101737820B1 (ko) 사출성형품의 디버링 장치
KR102225042B1 (ko) 사출 금형장치
WO2009038245A1 (en) Workpiece transfer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container using the same
KR102129170B1 (ko) 열풍을 이용한 사출 성형물 표면 처리 장치
JP2017178372A (ja) フィルム加熱収縮装置
JP2007229981A (ja) 溶融樹脂供給方法及び溶融樹脂供給装置
KR200367737Y1 (ko) 립스틱 제조장치
KR20140100015A (ko) 일회용 비닐장갑 성형기
CN210257234U (zh) 一种自动吸塑机结构
KR101404599B1 (ko) 립스틱 성형장치
JP3761017B2 (ja) プリフォームの冷却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の受け取り冷却方法
JP4047051B2 (ja) プリフォーム口部結晶化方法及び装置
KR20110112032A (ko) 사출성형기용 성형물 취출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