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108A -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108A
KR20220135108A KR1020210040724A KR20210040724A KR20220135108A KR 20220135108 A KR20220135108 A KR 20220135108A KR 1020210040724 A KR1020210040724 A KR 1020210040724A KR 20210040724 A KR20210040724 A KR 20210040724A KR 20220135108 A KR20220135108 A KR 20220135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hot air
preheating
presen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576B1 (ko
Inventor
유우영
박윤수
최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씨
Priority to KR102021004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5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andscapes

  • Package Closur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를 예열함으로써, 내경이 작은 제품군도 예열이 가능하며 화장품 용기가 충전부까지 이동 시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Device for preheating cosmetic container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를 예열함으로써 화장품 용기가 충전부까지 이동 시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형 파운데이션이나 스틱형 컨실러 혹은 스틱형 립스틱, 스틱형 립밤 등의 소위 스틱형 화장품의 제조는 벨트 컨베이어 등의 이송 장치에 다수 줄지어 설치된 복수의 이송 홀더에 각각 한개씩 화장품 용기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수평으로 이송시키면서 화장품 용기를 예열하고 용기에 화장품을 충전하는 등의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때,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예열하는 과정에서는 화장품 용기의 내부에만 열을 가하기 때문에 충분한 예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예열된 화장품 용기가 충전부까지 이동시에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충전 시에 내용물이 뜯기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품 용기의 내경이 일정 크기 이하인 제품의 경우 용기 내부에 열을 가하는 풍로의 외경 또한 같이 작아지게 되는데, 이 때 풍로의 외경이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 경우 열풍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여 용기의 내경이 작은 제품은 예열이 불가한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3593호 (발명의 명칭: 립스틱 제조시스템, 공고일: 2018. 10. 3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품 용기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를 예열함으로써, 내경이 작은 제품군도 예열이 가능하며 화장품 용기가 충전부까지 이동 시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는, 화장품 용기를 예열하는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에 있어서,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열풍을 이동시키는 열풍블록과, 상기 열풍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으로 상기 화장품 용기를 예열하는 예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화장품 용기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를 예열함으로써 화장품 용기가 충전부까지 이동 시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기존 방식의 생산에서 발생되는 내용물 뜯김, 기포 발생 등의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화장품 용기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를 예열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내부에 열을 가하는 풍로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내경이 작은 제품군도 예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예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작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 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각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한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는 열풍기(100), 열풍블록(200), 예열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기(100)는 화장품 용기(10)를 예열시키기 위한 열풍을 발생시킨다.
열풍블록(200)은 상기 열풍기(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열풍기(100)에서 발생된 열풍기(100)를 후술할 예열유닛(300) 및 평탄화유닛(40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열유닛(300)은 상기 열풍블록(200)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블록(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열풍으로 화장품 용기(10)를 예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예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의 열풍블록(200)은 제1 바닥면(210), 제2 바닥면(220), 내부관 고정블록(230) 및 외부관 고정블록(240)을 포함할 수 있고, 예열유닛(300)은 내부관(310) 및 외부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블록(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면(210) 및 제1 바닥면(210)의 하부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바닥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관 고정블록(230)은 상기 제1 바닥면(210)에 설치되고, 중앙에 내부관 연결홀(231)이 형성되어 후술할 내부관(310)이 결합될 수 있다. 외부관 고정블록(240)은 상기 제2 바닥면(220)의 외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외부관(320)이 결합될 수 있다.
내부관 고정블록(230) 및 외부관 고정블록(24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용 볼트의 일측은 내부관 고정블록(230)의 볼트홀, 타측은 외부관 고정블록(240)의 볼트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관 고정블록(230)과 외부관 고정블록(240)이 서로 고정되며 후술할 내부관(310) 및 외부관(3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관 고정블록(230)의 내부관 연결홀(231) 양측에는 외부관 이동홀(232)이 형성되고, 제1 바닥면(210) 및 제2 바닥면(220) 사이에 가이드관(25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의 내부에는 후술할 내부관(310)이 수용될 수 있고, 가이드관(250)의 상측은 상기 외부관 이동홀(232)과 연결되며, 하측은 후술할 외부관(320)과 연결되어, 열풍블록(200)의 열풍이 외부관 이동홀(232)을 통해 가이드관(250)을 지나 후술할 외부관(320)으로 이동하여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를 예열하도록 할 수 있다.
내부관(310)은 상기 내부관 고정블록(230)에 형성된 내부관 연결홀(231)에 결합되고, 화장품 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열풍을 화장품 용기(10)의 내부로 전달하여 화장품 용기(10)의 내부를 예열할 수 있다.
외부관(320)은 상기 외부관 고정블록(240)에 결합되고,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열풍을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로 전달하여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를 예열할 수 있다. 외부관(320)의 직경은 열풍블록(200)에서 외부관(320)으로 이동하여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를 예열하는 열풍이 외부관(320)을 빠져나가면서 외부관(320) 하측의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도 예열할 수 있도록 화장품 용기(1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관(310)은 화장품 용기(10) 내부 깊숙히 열풍을 전달하여 예열 효과를 높임으로써 화장품 용기(10)가 충전부(미도시)까지 이동시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관(32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는 평탄화유닛(400), 실린더(500), 양수버튼(600), 비상 스위치(700) 및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의 예열유닛(300)을 통해 예열된 화장품 용기(10)는 충전부(미도시)로 이동하여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된 후 다시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풍블록(200)에 설치되는 평탄화유닛(400)이 열풍블록(200)으로부터 전달받은 열풍을 화장품 용기(10)의 입구로 전달하여 화장품 용기(10)에 충전된 내용물의 상면(얼굴면)을 고르게 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린더(500)는 상기 열풍기(10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기(100), 열풍블록(200), 예열유닛(300) 및 평탄화유닛(4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가 예열 및 평탄화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화장품 용기(10)를 예열유닛(300) 및 평탄화유닛(400)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실린더(500)가 열풍기(100), 열풍블록(200), 예열유닛(300) 및 평탄화유닛(400)을 상승시켰다가, 예열 및 평탄화 기능 수행 시에 예열유닛(300) 및 평탄화유닛(400)이 화장품 용기(10)에 삽입되도록 실린더(500)가 열풍기(100), 열풍블록(200), 예열유닛(300) 및 평탄화유닛(400)을 화장품 용기(10)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양수버튼(6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손으로 버튼을 동시에 누르게 되면 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비상 스위치(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의 일측에 설치되어 비상 시에 장치가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풍기(100)에서 발생되는 열풍의 온도나 열풍 발생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의 작용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의 화장품 용기(10)를 예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기(100)에서 열풍기(100)의 하방으로 열풍을 발생시키면, 열풍기(100)에서 발생된 열풍이 열풍기(100)에서 열풍블록(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열풍블록(200)으로 이동한 열풍은 예열유닛(300)과 평탄화유닛(400)으로 나뉘어 이동하기 때문에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되기 전의 화장품 용기(10)를 예열하고,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된 화장품 용기(10)의 화장품 내용물 상면을 고르게 펴주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열풍이 예열유닛(300)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열풍기(100)에서 열풍블록(200)으로 이동한 열풍이 내부관 연결홀(231)을 통해 내부관(310)을 통과하여 화장품 용기(10)의 내부를 예열한다. 이와 동시에 열풍블록(200)의 열풍은 외부관 이동홀(232)을 통해 가이드관(250)을 지나 외부관(320)을 통과하면서 화장품 용기(10)의 외부를 예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1)는 화장품 용기(1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10)를 예열함으로써, 화장품 용기(10)가 화장품 내용물 충전을 위하여 충전부(미도시)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기존 방식의 생산에서 발생되는 내용물 뜯김, 기포 발생 등의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1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열을 가하여 화장품 용기(10)를 예열하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10)의 내부에 열을 가하는 내부관(310)의 직경에 상관없이 내경이 작은 제품군도 예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10: 화장품 용기
100: 열풍기
200: 열풍블록
210: 제1 바닥면
220: 제2 바닥면
230: 내부관 고정블록
231: 내부관 연결홀
232: 외부관 이동홀
240: 외부관 고정블록
250: 가이드관
300: 예열유닛
310: 내부관
320: 외부관
400: 평탄화유닛
500: 실린더
600: 양수버튼
700: 비상 스위치
800: 제어부

Claims (1)

  1. 화장품 용기를 예열하는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에 있어서,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기;
    상기 열풍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열풍을 이동시키는 열풍블록;
    상기 열풍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으로 상기 화장품 용기를 예열하는 예열유닛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KR1020210040724A 2021-03-29 2021-03-29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KR102495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24A KR102495576B1 (ko) 2021-03-29 2021-03-29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24A KR102495576B1 (ko) 2021-03-29 2021-03-29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08A true KR20220135108A (ko) 2022-10-06
KR102495576B1 KR102495576B1 (ko) 2023-02-06

Family

ID=8359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24A KR102495576B1 (ko) 2021-03-29 2021-03-29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5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37Y1 (ko) * 2004-08-30 2004-11-12 박신원 립스틱 제조장치
KR20130009183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마린코스메틱 립스틱 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립스틱 성형방법
KR20180113352A (ko) * 2017-04-06 2018-10-16 남광우 화장품 충진장치
KR101913593B1 (ko) 2016-05-27 2018-10-31 (주)레이덱스 립스틱 제조시스템
KR20190131636A (ko) * 2018-05-16 2019-11-27 최형근 립스틱 자동화 충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37Y1 (ko) * 2004-08-30 2004-11-12 박신원 립스틱 제조장치
KR20130009183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마린코스메틱 립스틱 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립스틱 성형방법
KR101913593B1 (ko) 2016-05-27 2018-10-31 (주)레이덱스 립스틱 제조시스템
KR20180113352A (ko) * 2017-04-06 2018-10-16 남광우 화장품 충진장치
KR20190131636A (ko) * 2018-05-16 2019-11-27 최형근 립스틱 자동화 충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576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22923B (zh) 串色、混色一体式彩色3d打印机
CA2389876A1 (fr)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simultanee de deux produits conditionnes separement
KR101774873B1 (ko) 유리성형기의 금형 진공화장치
KR20220135108A (ko) 화장품 용기 예열 장치
CN106182909B (zh) 一种胶印瓦楞纸板生产线
SE440341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forpackning i steril miljo der forpackningarna formas av bandformigt termoplastmaterial
CN205537018U (zh) 一种用于处理西林瓶的多层干燥灭菌烘箱
US2479663A (en) Paraffin applicator for cap lining machines
CN205611672U (zh) 一种可伸缩的揉捻设备
CN205396704U (zh) 一种封口装置
JP6498401B2 (ja) タイヤ製造方法、及びタイヤ製造設備
JP2022524381A (ja) 可変曲げ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ガラス処理システム
US20210292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heat shrinkable film
ITTO971147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tappo in sughero ed apparecchiatu ra per attuare tale procedimento.
CN205747951U (zh) 陶瓷红外加热炉
KR102593977B1 (ko) 용기에 충진된 화장품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81536B1 (ko) 살균기
CN107531474A (zh) 用于填充和封闭容器的设备
CN210759172U (zh) 远红外旋转式调温机
ITMI20011286A1 (it) Dispositivo dosatore per prodotti liquidi oppure pastosi
CN205969948U (zh) 塑片气压热成型机入片装置预热炉
CN106313372A (zh) 一种电子操纵的模具预热装置
US2693522A (en) Cap heating apparatus
CN207243722U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曲面玻璃的成型装置
CN204474795U (zh) 全自动煮茧机煮茧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