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817Y1 - 빵류 포장 구조 - Google Patents

빵류 포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817Y1
KR200363817Y1 KR20-2004-0018354U KR20040018354U KR200363817Y1 KR 200363817 Y1 KR200363817 Y1 KR 200363817Y1 KR 20040018354 U KR20040018354 U KR 20040018354U KR 200363817 Y1 KR200363817 Y1 KR 200363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solid cake
packaging
packaging structur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김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주 filed Critical 김종주
Priority to KR20-2004-0018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1Holders or wrappers as eating aids for fast food, e.g. hambu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빵류 포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햄버거나 샌드위치를 먹을 때 액상의 내용물을 포함한 다양한 음식류가 밑으로 흘러내려 손이나 옷에 닿아 손과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빵류 포장 구조는, 제과 제빵 식품의 바깥 표면 일측에 빵류를 손에 들고 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빵의 겉면을 포장재로 일부 가려주는 빵류 포장 구조에 있어서, 전면과 뒷면 그리고 양측 및 바닥이 면으로 막혀진 벽을 형성하고, 그 한쪽면은 개방된 개방면을 형성하여, 상기 개방면을 통해 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통해 안착되는 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벽과 수납공간은 빵을 수납한 상태에서 변형 되지 않는 섭취 가능한 고체 케이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빵류 포장 구조{Structure of bread packing}
본 고안은 빵류 포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햄버거나 샌드위치를 먹을 때 액상의 내용물을 포함한 다양한 음식류가 밑으로 흘러내려 손이나 옷에 닿아 손과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류 식품중 햄버거는 도 1과 같이, 빵으로 만들어진 밑판빵(10)과 윗판빵(11) 사이에 고상의 햄(12)과 액상의 소스 또는 케찹 등의 양념류(13)가 도핑되고 또한 각종 야채류를 넣어 제조하여 낱 개의 햄버거 빵 상태로 유통된다.
햄버거 유통을 위한 포장은 도 2와 같이, 윗판빵(11)과 밑판빵(11)의 외부 일측에 포장 종이(14)를 씌워서 포장하며, 섭취할 때는 포장 종이(1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포장이 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섭취 도중 젤 또는 액상의 소스 및 양념류, 야채류가 겉을 싸고 있는 윗판빵(11)과 밑판빵(10) 사이로 흘러내려 손에 뭍거나 옷을 적시게 되어 위생적인 섭취를 불가능하게 한다. 이는, 빵과 다른 모든 재료들이 부드러운 연성 상태로 되어 있어 힘을 가하거나 누르면 빵의 형태가 변형되고 눌리기 때문에 재료의 밀림으로 빵의 겉으로 재료들이 흘러내리는 것이다.
한편, 밑판빵(10)과 윗판빵(11) 사이에 재료를 넣어서 만드는 샌드위치 빵류도 마찬가지로, 재료의 흘러내림 현상이 나타나 손에 뭇거나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일회용 인스턴트 식품 특성에 맞게 포장이 다양해져 비닐을 이용하는 포장법이 알려져 있지만, 마찬가지로 비닐을 벗기고 섭취할 때에는 재료의 눌림 현상으로 재료의 흘러내림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밑판빵과 윗판빵 사이에 재료를 넣어 제조하여 직접 유통시키거나 아니면 포장하여 유통되는 종래의 모든 빵류들은 섭취하거나 운반중 재료의 지속적인 눌림 현상으로 재료의 흘러내림에 의해 손이나 옷을 오염시켜 위생적인 보관과 섭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이포장을 할 경우 종이를 벗겨내면서 먹어야 하는 이용 불편이 따르고, 코팅종이나 비닐 그리고 다른 합성수지재 용기 들은 식품의 위생 포장에 배치되고, 폐자재를 양산하여 환경 오염을 증가시키고, 포장재는 폐기물로 되어 제품 원가 비용을 상승시키는 등의 간접적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윗판빵과 밑판빵 사이에 재료를 넣어 만드는 제과 제빵 과자류에 있어서, 빵사이 재료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손과 옷에 재료 묻힘 없이 간편하게 빵을 먹을 수 있게 하는 빵류 포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재료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도, 폐원자재 양산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적게하고, 폐자재 발생을 근원적으로 억제하여 저비용으로 빵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빵류 포장 구조는,
제과 제빵 식품의 바깥 표면 일측에 빵류를 손에 들고 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빵의 겉면을 포장재로 일부 가려주는 빵류 포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빵류 포장구조는,
전면과 뒷면 그리고 양측 및 바닥이 면으로 막혀진 벽을 형성하고, 그 한쪽면은 개방된 개방면을 형성하여, 상기 개방면을 통해 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통해 안착되는 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벽과 수납공간은 빵을 수납한 상태에서 변형 되지 않는 섭취 가능한 고체 케이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빵류의 포장 특징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고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빵류 포장 구조의 예를 보인 참고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햄버거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샌드위치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햄버거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샌드위치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이중 바닥 처리 구성 예
도 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예로서, (a)는 햄버거 포장 구조이고, (b)는 샌드위치 포장의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고체케이크 21:전면
22:뒷면 23:양측면
24:바닥면 25:벽
26:개방면 27:수납공간
28:스페이스 29:덧살
30:빵 31:이중바닥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햄버거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샌드위치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를 보인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햄버거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구성 예로서 샌드위치 포장을 위한 고체 케이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체 케이크의 이중 바닥 처리 구성 예이다. 도 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예로서, (a)는 햄버거 포장 구조이고, (b)는 샌드위치 포장의 예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빵류 포장 구조는, 도 3 내지 도 8과 같이, 제과 제빵 식품의 바깥 표면 일측에 빵류를 손에 들고 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빵의 겉면을 코체 케이크(20)로 일부를 가려주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전면(21)과 뒷면(22) 그리고 양측면(23) 및 바닥면(24)이 면으로 막혀진 벽(25)을 형성하고, 그 한쪽면은 개방된 개방면(26)을 형성하여, 상기 개방면(26)을 통해 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26)을 통해 안착되는 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7)을 구비하며, 상기 벽(25)과 수납공간(27)은 빵(30)을 수납한 상태에서 변형 되지 않는 섭취 가능한 고체 케이크(20)로 이루어지진다.
상기 고체 케이크(20)는, 도 3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면(23)을 통해 빵(30)을 수납하는 반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면(23)을 통해 빵을 수납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밖에 수납하는 빵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이 코체 케이크(20)는 수분이 닿으면 연성이 생기는 코체 과자로서 아이스크림 포장 케이크로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체 케이크(20)의 벽(25)부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특정면을 선택하여 케이크 재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스페이스(28)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스페이스(28)를 형성하면 이에 대응하는 양의 재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케이크(20)의 벽(25)부중 전면(21)과 뒷면(22)은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덧살(29)을 형성하여 흔들림이나 빠짐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덧살(29)은 면의 내벽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빵 표면을 가압하여 빵이 면으로 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바닥면(24)은, 도 7과 같이, 내용물의 유동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바닥(3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빵류 포장 구조는, 도 8의 (a)(b)와 같이, 햄버거나 샌드위치 포장 구조의 예로서 나타 나듯이, 빵의 일부를 수납공간(27)을 통해 수납하는 형태로 포장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흘러내림이나 유동 이탈을 방지하면서 위생적으로 포장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고체 케이크(20)는 빵류 및 내용물의 외부를 포장하면서도 섭취시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식용 가능한 고체 케이크(20)이기 때문에 포장재로서의 역할과 식용 과자로 되는 이중적 용도로 적용된다.
고체 케이크(20)는 물이 닿으면 녹아 연성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으나 충분한 양의 수분이 제공되지 않으면 분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고, 첨가물의 조절에 따라 연성화의 진행을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의 (a)는 햄버거 포장의 예이다. 햄버거는 보통 빵(30)의 형상이 둥근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형상에 따라 수납공간(27)과 전체적인 고체 케이크(20)의 형상을 만들어 포장한 것이고, 도 8의 (b)는 샌드위치 포장의 예로서, 샌드위치는 보통 빵(30)의 형상이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형상에 따라 수납공간(27)과 전체적인 고체 케이크(20)의 형상을 만드어 샌드위치를 포장 한 예이다. 따라서, 빵의 형상과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빵류 포장에 적용되는 코체 케이크(20)는 빵류와 함께 섭취 할 수 있어 종이나 합성수지재의 사용을 원인적으로 없애고, 내용물의 흘러내림과 이탈을 방지하여 손과 옷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바삭한 케이크의 맛을 빵류 섭취에 부가할 수 있고, 빵류 포장에 따르는 종이재 및 합성수지재 용기의 사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포장비 절감 뿐만아니라 식품 위생 포장을 가능하게 하고, 포장재로 되는 폐원자재 양산을 차단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빵류 포장 구조는, 빵류 포장에 고체 케이크를 적요함으로서, 빵류와 함께 섭취 할 수 있어 종이나 합성수지재의 사용을 원인적으로 없애고, 내용물의 흘러내림과 이탈을 방지하여 손과 옷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섭취 가능한 고체 케이크 적용으로 인한 바삭한 케이크의 맛을 빵류 섭취에 부가할 수 있고, 빵류 포장에 따르는 종이재 및 합성수지재 용기의 사용을없앨 수 있으므로 포장비 절감 뿐만아니라 식품 위생 포장을 가능하게 하고, 포장재로 되는 폐원자재 양산을 차단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과 제빵 식품의 바깥 표면 일측에 빵류를 손에 들고 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빵의 겉면을 포장재로 일부 가려주는 빵류 포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빵류 포장구조는,
    전면과 뒷면 그리고 양측 및 바닥이 면으로 막혀진 벽을 형성하고, 그 한쪽면은 개방된 개방면을 형성하여, 상기 개방면을 통해 빵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통해 안착되는 빵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벽과 수납공간은 빵을 수납한 상태에서 변형 되지 않는 섭취 가능한 고체 케이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 포장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케이크는, 양면상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면을 통해 빵을 수납하는 반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 포장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케이크는, 상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면을 통해 빵을 수납하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 포장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케이크의 벽부에는 재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 포장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케이크의 벽부중 전면과 뒷면은 내용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덧살이 형성되고, 바닥면은 내용물의 유동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바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류 포장 구조.
KR20-2004-0018354U 2004-06-29 2004-06-29 빵류 포장 구조 KR200363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54U KR200363817Y1 (ko) 2004-06-29 2004-06-29 빵류 포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354U KR200363817Y1 (ko) 2004-06-29 2004-06-29 빵류 포장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817Y1 true KR200363817Y1 (ko) 2004-10-06

Family

ID=4935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354U KR200363817Y1 (ko) 2004-06-29 2004-06-29 빵류 포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8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381A1 (en) * 2005-05-02 2006-11-09 Jong Ju Kim A solid cake for bread cover
KR20220001033U (ko) 2020-11-02 2022-05-10 윤혜림 제과류 포장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8381A1 (en) * 2005-05-02 2006-11-09 Jong Ju Kim A solid cake for bread cover
KR20220001033U (ko) 2020-11-02 2022-05-10 윤혜림 제과류 포장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511055A (ja) 2度焼いた可食ペーストリーから成るドリンク用カップ
US20040253346A1 (en) Liquid filled, wafer covered, edible communion cup
KR200363817Y1 (ko) 빵류 포장 구조
KR101291375B1 (ko) 밥버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6223177A (ja) 苺ジャム、可食皿及び苺菓子
JP2004215502A (ja) 冷菓子とこれに用いる冷菓子用コーン及び冷菓子用コーン入りの包装用容器
JP4535407B1 (ja) 複合セルによって形成される携行食品、即時食品
US8383176B2 (en) Han-burger and making method thereof
GB2302256A (en) Burger bun
JP3238743U (ja) 食用具材最中
KR100935296B1 (ko) 즉석 호떡
KR200391143Y1 (ko) 빵 포장용 고체 케이크
KR200200711Y1 (ko) 식용피막의 내부에 삽입된 스프
JP3237702U (ja) ステック状簡易食品
JP3156201U (ja) 小型包装容器入り食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組合せ食品
JP3796626B2 (ja) 可食性串付き製菓
JP3920116B2 (ja) 蓋付き冷凍菓子
JP2500473Y2 (ja) 卵型ケ―キ
JP3136202U (ja) 菓子
KR200341208Y1 (ko) 무스띠 구조
JP2022153860A (ja) ケーキをクレープで覆ったクレープケーキ
JP3210018U (ja) 軟粘性でんぷん食品
JP3039104U (ja) ご飯食品及び包装ご飯食品
KR200291067Y1 (ko) 간이형 피자
JPH0353859A (ja) 包装した米飯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