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62Y1 -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62Y1
KR200360762Y1 KR20-2004-0009825U KR20040009825U KR200360762Y1 KR 200360762 Y1 KR200360762 Y1 KR 200360762Y1 KR 20040009825 U KR20040009825 U KR 20040009825U KR 200360762 Y1 KR200360762 Y1 KR 200360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pe
mold
punches
ho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완
Original Assignee
우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완 filed Critical 우종완
Priority to KR20-2004-000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하부금형;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관통공들이 상기 금형관통공들과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 사이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펀치들을 파지하는 펀치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홀더가 하강 시에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통로에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며, 상기 펀치들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에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절단된 소재가 펀치의 가공 단부에 딸려 올라오고 그 상태로 연속된 다음의 가공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던 종래의 가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테이프에 천공 시 펀치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펀치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하부금형 상면을 타격함으로써 펀치 또는 하부금형이 파손되던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Mold Device of Processing Carrier Tape}
본 고안은,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자동삽입장치에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와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칩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품의 중량, 크기의 감소 그리고 작동 주파수의 큰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전자부품도 더욱 가볍고 얇게 그리고 짧게 제조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소형의 전자제품은 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삽입되는데,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자동삽입장치에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형태의 구멍 즉 수용공이 형성된 전자부품 캐리어테이프가 사용된다. 원형의 릴에 감겨있는 종이로 된 전자부품 캐리어테이프에는 전술한 수용공 외에도 이송 시 캐리어테이프를 정확한 피치로 이송하기 위한 원형의 이송용 구멍 즉 이송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어테이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전자부품을 삽입하여둘 수 있도록 캐리어테이프를 관통하는 수용공과 캐리어테이프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천공한 후에 한쪽 면에 보호테이프를 붙이고 전자부품을 수용공에 삽입하며 또 다른 한쪽 면에도 보호테이프를 붙여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캐리어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테이프(3)에는, 전자부품(5)을 수용하기 위한 전자부품 수용공(3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그 일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캐리어테이프(3)를 정확한 피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원형의 이송공(3b)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테이프(3)의 양면에는 보호테이프(7)가 부착되는데, 캐리어테이프(3)의 배면에는 하부보호테이프(7a)를 부착시키고 전자부품 수용공(3a)에 필요한 전자부품(5)을 수용시킨 후, 그 위에 다시 상부보호테이프(7b)를 부착하여 캐리어테이프(3)가 전자부품(5)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종래의 캐리어테이프의 가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전의 캐리어테이프(3)는 좌우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금형(110) 위로 통과하게 되고 하부금형(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격 및 접근가능하게 배치되는 펀치들은 하부금형(110)에 대하여 하방으로 작동되어 캐리어테이프(3)에 수용공(미도시)과 이송공(3b)을 천공하게 된다. 도 4에 확인할 수 있듯이, 이송공(3b)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143)의 캐리어테이프(3)의 진행방향 선단에 배치되는 파일럿핀(145)은 이송공가공핀(143)보다도 길게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펀치홀더(130)가 하강하면서 이송공가공핀(143)이 이송공(3b)을 천공하기에 앞서 캐리어테이프(3)에 이미 형성된 이송공(3b)에 삽입되어 캐리어테이프(3)의 이송공(3b) 및 수용공(미도시)의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는, 천공 중에 펀치들의 가공 단부에 캐리어테이프로부터 절단된 소재가 부착되어 펀치가 하부금형에 대하여 상승할 때 이 소재도 함께 올라오게 되고 그 후 펀치들로 다시 캐리어테이프에 이송공 또는 수용공을 가공할 때 이 절단된 소재가 펀치의 가공 단부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공 불량이 야기되기도 하며, 또한 펀치들의 직경이 작으므로 간혹 펀치들이 떨리는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펀치가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안착하지 못하면서 캐리어테이프와 하부금형 상면을 타격하게됨으로써 펀치와 하부금형이 상호 맞부딪혀 비교적 고가인 펀치 또는 하부금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단된 소재가 펀치의 가공 단부에 딸려 올라오고 그 상태로 연속된 다음의 가공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던 종래의 가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테이프에 천공 시 펀치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펀치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하부금형 상면을 타격함으로써 펀치 또는 하부금형이 파손되던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캐리어테이프의 평면도,
도 2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종래의 캐리어테이프의 가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
도 7은 도 5의 하부금형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
도 9는 도 5의 안내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5의 상부홀더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도 5의 하부홀더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도 5의 수용공가공핀의 단면도,
도 14는 도 5의 이송공가공핀의 단면도,
도 15는 도 5의 파일럿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3 : 캐리어테이프
3a : 수용공 3b : 이송공
5 : 전자부품 7 : 보호테이프
10 : 하부금형 12 : 금형관통공
20 : 안내플레이트 22 : 함몰부
24 : 안내관통공 26 : 통로
30 : 펀치홀더 31 : 하부홀더부재
32 : 고정홈 34 : 홀더관통홈
35 : 상부홀더부재 40 : 펀치
41 : 수용공가공핀 43 : 이송공가공핀
45 : 파일럿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하부금형;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관통공들이 상기 금형관통공들과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 사이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펀치들을 파지하는 펀치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홀더가 하강 시에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통로에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며, 상기 펀치들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에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에서 최하단 위치는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0.5∼2mm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치들은 두부(頭部)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펀치홀더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가 안착되는 고정홈과, 상기 안내관통공들과 대응되며 상기 펀치들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을 갖는 하부홀더부재; 상기 하부홀더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홀더부재와 접촉결합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를 고정하는 상부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펀치들은, 상기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이송공가공핀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1)는, 캐리어테이프의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하여 수용공 및 이송공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2)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금형(10)과,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들(12)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관통공(24)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20)와, 안내플레이트(20)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펀치들(40)을 파지하는 펀치홀더(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펀치들(40)은 펀치홀더(30)가 하강 시에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24)들을 따라 함께 하강하는데, 펀치들의 가공 단부(도 13 및 도 14에서의 41c, 43c)가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들(12) 내로 진입하면서 하부금형(10)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에 놓여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 및 하강하는 펀치들(40)의 스트로크(stroke)에서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항상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 내에 있게 된다. 즉 펀치들(40)은 천공 시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하더라도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에 의하여 안내되며 안내관통공들(24)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플레이트(20)의 두께는 펀치들(40)의 스트로크보다 더 큰데, 펀치들(40)의 스트로크는 약 6mm이나 안내플레이트(20)의 두께는 약 8mm이며, 펀치들(40)이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할 때펀치들(40)의 가공 단부가 놓이는 최하단의 위치 즉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의 최하단 위치는 하부금형(10)의 상면으로부터 약 1mm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이다.
도 7은 도 5의 하부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로서, 도 5 및 도 6과 함께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의 중앙영역에는 캐리어테이프의 수용공 및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금형(10)은 후술할 안내플레이트(20)의 함몰부(22)와 함께 캐리어테이프가 이송되는 통로(26)를 형성한다. 이 통로(26)를 통하여 캐리어테이프가 이동하는데, 이 통로(26)에 캐리어테이프가 있는 경우에 펀치들(40)이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에 안내되고 하강되어 수용공과 이송공을 천공하며 캐리어테이프에서 절단된 소재는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들(12) 내에 있다가 후속되는 천공 작업에 의하여 절단된 소재에 밀려 종국적으로 하방으로 낙하되게 된다. 수용공과 이송공이 천공되면 캐리어테이프는 다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고 새로운 수용공과 이송공에 대한 동일한 천공작업이 반복되게 된다.
도 9는 도 5의 안내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플레이트(20)에는, 전술한 안내관통공들(24)과,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플레이트(20)는 안내관통공들(24)이 금형관통공들(12)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부금형(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함몰부(22)와하부금형(10) 사이가 전술한 캐리어테이프의 통로(26)를 형성하게 된다.
펀치홀더(30)는, 안내플레이트(20)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펀치홀더(30)가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을 따라 하강할 때 함께 하강되어 하부금형(10)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의 통로(26)에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하는 복수 개의 펀치들(40)이 펀치홀더(30)에 파지되어 있다. 도 11은 도 5의 상부홀더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5의 하부홀더부재의 평면도로서, 도 6과 함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펀치홀더(30)는, 하부홀더부재(31)와, 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홀더부재(35)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부홀더부재(31)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펀치들(40)의 두부(頭部)가 안착되는 고정홈(32)과, 안내관통공들(24)과 대응되며 펀치들(40)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34)을 구비하며, 상부홀더부재(35)는 하부홀더부재(31)의 상부에서 하부홀더부재(31)와 접촉결합되어 하부홀더부재(31)의 고정홈(32)에 있는 펀치들(40)의 두부를 가압고정하게 된다.
도 13은 도 5의 수용공가공핀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5의 이송공가공핀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5의 파일럿핀의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들(40)은, 그 기능에 따라,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41)과,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43)과,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이송공가공핀(43)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45)으로 나누어져 있다. 파일럿핀(45)은 캐리어테이프의 진행방향의 이송공가공핀(43)의 전방에서 배치되어 펀치홀더(30)가 하강하면서 이송공가공핀(43)이 이송공을 천공할 때 캐리어테이프에 이미 형성된 이송공에 이송공가공핀(43)보다 먼저 삽입되어 캐리어테이프의 이송공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게 된다. 각 펀치들(40)은 두부(頭部)(41a, 43a, 45a)와, 몸체(41b, 43b, 45b)로 이루어져 있는데, 두부(頭部)(41a, 43a, 45a)의 직경이 몸체(41b, 43b, 45b)의 직경보다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부(頭部)(41a, 43a, 45a)는 하부홀더부재(31)의 고정홈(32)에 안착되고 두부(頭部)(41a, 43a, 45a)의 상부에서 상부홀더부재(35)가 두부(頭部)(41a, 43a, 45a)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펀치들(40)은 좌우 및 상하의 이동이 억제되게 되어 천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가공 금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리어테이프 공급릴을 적당한 속도로 회전시켜 캐리어테이프를 하부금형(10)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의 통로(26)로 공급한다. 그리고 캐리어테이프의 공급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속도로 펀치들(40)을 상하방향으로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켜 캐리어테이프에 펀치들(40)의 직경을 갖는 수용공과 이송공을 가공하게 된다. 펀치홀더(30)가 하강할 때 펀치홀더(30)로부터 단부가 가장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파일럿핀(45)이 가장 먼저 캐리어테이프에 이미 형성된 이송공에 삽입되어 캐리어테이프의 이송공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다음으로 수용공가공핀(41)과 이송공가공핀(43)이 캐리어테이프에 각각 수용공과 이송공을 천공하게 된다.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에서의 최상단 위치는 안내플레이트(20)내에 있으며,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할 때에 펀치들(40)의 가공 단부가 놓이는 최하단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의 상면으로부터 1mm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펀치들(40)이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하더라도 항상 펀치들(40)이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되기 때문에, 캐리어테이프에 천공 시 펀치들(40)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펀치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하부금형(10) 상면을 타격함으로써 발생되던 펀치 또는 하부금형(10)의 파손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캐리어테이프의 한 부분에서 수용공 및 이송공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펀치들(40)은 다시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펀치의 가공 단부(41c, 43c)들에 부착되어 있던 캐리어테이프로부터 절단된 소재는 안내관통공들(24)에 의하여 저지되어 펀치들(40)의 가공 단부로부터 딸려 탈락하게 되어 연속된 그 다음의 캐리어테이프의 수용공 및 이송공 천공 작업 시 발생하던 가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캐리어테이프는 다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고 펀치홀더(30)가 다시 하강함으로써 캐리어테이프에 새로운 수용공과 이송공에 대한 동일한 천공작업이 반복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가, 내부에 안내관통공들(24)이 형성되며, 펀치들(40)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에서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가 안내관통공들(24) 내에 있도록 하는 안내플레이트(20)를 더 구비함으로써, 캐리어테이프에 천공 시 펀치의 떨림 현상으로 펀치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하부금형(10) 상면을 타격하게 되어 펀치들(40) 또는 하부금형(10)이 파손되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가 안내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은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하부금형의 두께가 크고 펀치들의 가공 단부가 천공 시에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에 깊숙이 삽입되는 경우라서 펀치들의 가공 단부가 항상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 내에 존재하지만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가 안내플레이트의 두께보다 더 클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절단된 소재가 펀치의 가공 단부에 딸려 올라오고 그 상태로 연속된 다음의 가공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던 종래의 가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리어테이프에 천공 시 펀치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펀치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하부금형 상면을 타격함으로써 펀치 또는 하부금형이 파손되던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하부금형;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관통공들이 상기 금형관통공들과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 사이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펀치들을 파지하는 펀치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홀더가 하강 시에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통로에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며, 상기 펀치들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에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에서 최하단 위치는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0.5∼2mm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은 두부(頭部)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펀치홀더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가 안착되는 고정홈과, 상기 안내관통공들과 대응되며 상기 펀치들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을 갖는 하부홀더부재;
    상기 하부홀더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홀더부재와 접촉결합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를 고정하는 상부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은,
    상기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이송공가공핀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2004-0009825U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0360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5U KR200360762Y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5U KR200360762Y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467A Division KR100587468B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62Y1 true KR200360762Y1 (ko) 2004-09-07

Family

ID=4943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25U KR200360762Y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828B2 (en) Punch die for punching and laminating simultaneously
KR200443997Y1 (ko)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US3797342A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plated through holes
JP3822227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KR100587468B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US7533793B2 (en) Solder preforms for use in electronic assembly
KR200360762Y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101841162B1 (ko) 연성 회로기판용 부자재의 성형 금형 장치
KR101003887B1 (ko) 샤프트 방식을 이용한 고속 타발금형
JP3709176B2 (ja) 金属基板の加工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加工された金属基板
JP3181861B2 (ja) パンチ型
KR100587470B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101383826B1 (ko) 연성회로기판용 보조테이프 제조장치
KR200360763Y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200010989A (ko) 하부 안내플레이트와 상부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JP4439563B2 (ja) シェービング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JP3922464B1 (ja) 加工板及びその製造方法、母板加工用金型、並びに製品板の製造方法
KR101956372B1 (ko) 하부 안내플레이트와 상부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JP2003225723A (ja) ブランク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759743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JP2001177216A (ja) プリント配線母板の加工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母板
JP2674946B2 (ja) 半導体装置におけるリードフレーム切離し装置
JP3372247B2 (ja) プリント配線母板加工用金型及び実装用基板の製造方法
JP3880612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JP3759744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