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63Y1 -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63Y1
KR200360763Y1 KR20-2004-0009826U KR20040009826U KR200360763Y1 KR 200360763 Y1 KR200360763 Y1 KR 200360763Y1 KR 20040009826 U KR20040009826 U KR 20040009826U KR 200360763 Y1 KR200360763 Y1 KR 200360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rrier tape
holes
proces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완
Original Assignee
우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완 filed Critical 우종완
Priority to KR20-2004-0009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금형플레이트와, 중앙 영역에 관통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금형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금형플레이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형몸체를 갖는 하부금형;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들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안내관통공들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통공들이 상기 금형관통공들과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 사이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하강 시에 상기 통로에 있는 상기 캐리어테이프에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복수 개의 펀치들을 파지하며,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펀치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플레이트는 소정 기간 사용된 후에 뒤집어서 상기 금형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부금형의 수명을 종래보다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마모되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재료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Mold Device of Processing Carrier Tape}
본 고안은,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자동삽입장치에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와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칩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품의 중량, 크기의 감소 그리고 작동 주파수의 큰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전자부품도 더욱 가볍고 얇게 그리고 짧게 제조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소형의 전자제품은 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삽입되는데,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자동삽입장치에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형태의 구멍 즉 수용공이 형성된 전자부품 캐리어테이프가 사용된다. 원형의 릴에 감겨있는 종이로 된 전자부품 캐리어테이프에는 전술한 수용공 외에도 이송 시 캐리어테이프를 정확한 피치로 이송하기 위한 원형의 이송용 구멍 즉 이송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어테이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전자부품을 삽입하여둘 수 있도록 캐리어테이프를 관통하는 수용공과 캐리어테이프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천공한 후, 한쪽 면에 보호테이프를 붙이고 전자부품을 수용공에 삽입하며 또 다른 한쪽 면에도 보호테이프를 붙여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캐리어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테이프(3)에는, 전자부품(5)을 수용하기 위한 전자부품 수용공(3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고, 그 일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캐리어테이프(3)를 정확한 피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원형의 이송공(3b)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테이프(3)의 양면에는 보호테이프(7)가 부착되는데, 캐리어테이프(3)의 배면에는 하부보호테이프(7a)를 부착시키고 전자부품 수용공(3a)에 필요한 전자부품(5)을 수용시킨 후, 그 위에 다시 상부보호테이프(7b)를 부착하여 캐리어테이프(3)가 전자부품(5)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종래의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하부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우측면도이며, 도 7은 캐리어테이프의 가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101)는, 캐리어테이프(미도시)의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하여 수용공 및 이송공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12)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하부금형(110)과, 하부금형(110)의 금형관통공들(112)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관통공들(미도시)과 그리고 베이스(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고정공(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120)와, 복수 개의 펀치들(140)을 파지하며, 안내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펀치홀더(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펀치들(140)은 펀치홀더(130)가 하강 시에 안내플레이트(120)의 안내관통공들을 따라 함께 하강하는데, 펀치들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110)의 금형관통공들(112) 내로 진입하면서 하부금형(110)과안내플레이트(120) 사이의 통로(126)에 놓여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하게 된다. 펀치들(140)은, 그 기능에 따라,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141)과,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143)과,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이송공가공핀(143)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145)으로 나누어져 있다.
하부금형(110)의 중앙영역에는 캐리어테이프의 수용공 및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1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네 곳의 모서리부에는 하부금형을 베이스에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금형베이스고정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금형은,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12)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플레이트(111)가 중공부(116)를 갖는 금형몸체(115)의 중앙 영역에서 용접되거나 금형몸체(115)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인데, 캐리어테이프에서 절단된 소재는 하부금형(110)의 금형관통공들(112) 내에 있다가 후속되는 천공 작업에 의하여 절단된 소재에 밀려 종국적으로 금형몸체(115)의 중공부(116)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게 된다.
펀치홀더(130)는, 하부홀더부재(131)와, 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홀더부재(135)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부홀더부재(131)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펀치들(140)의 두부(頭部)가 안착되는 고정홈(132)과, 안내관통공들과 대응되며 펀치들(140)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134)을 구비하며, 상부홀더부재(135)는 하부홀더부재(131)의 상부에서 하부홀더부재(131)와 접촉결합되어 하부홀더부재(131)의 고정홈(132)에 있는 펀치들(140)의 두부를 가압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공 과정에 대하여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공 전의 캐리어테이프(3)는 좌우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금형(110)과 안내플레이트(120) 사이의 통로(126)를 통과하게 되고 하부금형(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격 및 접근가능하게 배치되는 펀치들(140)은 하부금형(110)에 대하여 하방으로 작동되어 캐리어테이프(3)에 수용공(미도시)과 이송공(3b)을 천공하게 된다. 이송공(3b)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143)의 캐리어테이프(3)의 진행방향 선단에 배치되는 파일럿핀(145)은 이송공가공핀(143)보다도 길게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펀치홀더(130)가 하강하면서 이송공가공핀(143)이 이송공(3b)을 천공하기에 앞서 캐리어테이프(3)에 이미 형성된 이송공(3b)에 삽입되어 캐리어테이프(3)의 이송공(3b) 및 수용공(미도시)의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는, 캐리어테이프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펀치들이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 내로 전진 및 후퇴를 반복하여야 하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게 되면 펀치들이 금형관통공들 특히 금형관통공들의 상부를 마모시키게 되고 따라서 금형관통공들의 상부가 폭이 넓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게 되며, 어느 정도에 다다르면 캐리어테이프의 품질 보증을 위해서 하부금형을 교체해야 되는데 실제로 마모되는 부분은 금형관통공들의 상부 부위이나 하부금형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재료 활용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며 하부금형이 고가인 점을 고려하면 하부금형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하부금형과 안내플레이트가 모두 베이스에 고정결합되는데, 베이스 표면의 평평도와 같은 조건에따라 하부금형 및 안내플레이트의 조립 상태가 모두 그에 의존하게 되어 펀치들에 대한 직각도 및 안내플레이트와 하부금형 사이의 평행도를 향상시키기가 어렵고 원하는 직각도 및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조립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금형의 수명을 종래보다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마모되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재료 활용이 가능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의 표면의 조건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도 종래보다 향상된 직각도 및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직각도 및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캐리어테이프의 평면도,
도 2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하부금형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우측면도,
도 7은 캐리어테이프의 가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
도 10은 도 8의 하부금형의 금형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8의 하부금형의 금형몸체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우측면도,
도 14는 도 8의 안내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도,
도 16은 도 8의 상부홀더부재의 평면도,
도 17은 도 8의 하부홀더부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3 : 캐리어테이프
3a : 수용공 3b : 이송공
5 : 전자부품 7 : 보호테이프
10 : 하부금형 11 : 금형플레이트
12 : 금형관통공 14 : 결합공
15 : 금형몸체 16 : 중공부
18 : 결합공 20 : 안내플레이트
22 : 함몰부 24 : 안내관통공
26 : 통로 27 : 베이스고정공
28 : 결합공 30 : 펀치홀더
31 : 하부홀더부재 32 : 고정홈
34 : 홀더관통홈 35 : 상부홀더부재
40 : 펀치 41 : 수용공가공핀
45 : 파일럿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금형플레이트와, 중앙 영역에 관통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금형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금형플레이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형몸체를 갖는 하부금형;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들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안내관통공들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통공들이 상기 금형관통공들과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 사이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하강 시에 상기 통로에 있는 상기 캐리어테이프에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복수 개의 펀치들을 파지하며,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펀치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플레이트는 소정 기간 사용된 후에 뒤집어서 상기 금형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금형플레이트는 상기 금형몸체보다 더 얇으며, 상기 금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금형몸체와 상기 안내플레이트를 결합부재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금형플레이트가 상기 금형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홀더가 하강 시에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펀치들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에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에서 최하단 위치는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0.5∼2mm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펀치들은 두부(頭部)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펀치홀더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가 안착되는 고정홈과, 상기 안내관통공들과 대응되며 상기 펀치들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을 갖는 하부홀더부재; 상기 하부홀더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홀더부재와 접촉결합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를 고정하는 상부홀더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치들은, 상기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이송공가공핀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분 파단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하부금형의 금형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우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8의 하부금형의 금형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우측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1)는, 캐리어테이프의 수용공 및 이송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하부금형(10)과,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들(12)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관통공(24)들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20)와, 안내플레이트(20)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강 시에 캐리어테이프를 가공하는 복수 개의 펀치들(40)을 파지하는 펀치홀더(30)를 구비한다.
하부금형(10)은, 복수의 금형관통공들(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금형플레이트(11)와, 중앙영역에 중공부(16)를 가지며 금형플레이트(1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형몸체(15)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1)로 일정 기간 캐리어테이프를 가공한 후에 예를 들어 캐리어테이프 400 롤(roll) 정도를 가공한 후에는 금형플레이트(11)를 금형몸체(15)로부터 탈거시키고 금형플레이트(11)를 뒤집은 상태로 다시 금형몸체(15)에 결합시킴으로써 새롭게 금형플레이트(11)가 장착된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형플레이트(11)는 별개로 제작되어 금형몸체(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금형플레이트(11)와 금형몸체(15)에는 결합공(14, 18)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1)를 조립할 때에는 후술할 안내플레이트(20)의 결합공(28)과 함께 이들 결합공들(14, 18, 28) 모두를 동축적으로 배치시키되 금형몸체(15)와 안내플레이트(20) 사이에 금형플레이트(11)가 개재되는 순서로 적층한 뒤 이 결합공들(14, 18, 28) 내로 착탈가능한 결합부재 예를 들어 스크류, 나사, 볼트, 핀 등을 삽입시켜 금형플레이트(11), 금형몸체(15), 안내플레이트(20)를 한꺼번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하부금형(10)이 안내플레이트(20)에 고정결합됨으로써 종래에 베이스에 고정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나은 조립성을 가지게 된다. 즉 펀치들(40)에 대한 하부금형(10) 및 안내플레이트(20)의 직각도와, 하부금형(10)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의 평행도가 종래에 비하여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직각도와 평행도를 맞추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1)를 조립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부금형(10)은 후술할 안내플레이트(20)의 함몰부(22)와 함께 캐리어테이프가 이송되는 통로(26)를 형성한다. 이 통로(26)를 통하여 캐리어테이프가 이동하는데, 이 통로(26)에 캐리어테이프가 있는 경우에 펀치들(40)이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에 안내되고 하강되어 수용공과 이송공을 천공하며 캐리어테이프에서 절단된 소재는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들(12) 내에 있다가 후속되는 천공 작업에 의하여 절단된 소재에 밀려 종국적으로 금형몸체(15)의 중공부(16)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되게 된다. 수용공과 이송공이 천공되면 캐리어테이프는 다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고 새로운 수용공과 이송공에 대한 동일한 천공작업이 반복되게 된다.
도 14는 도 8의 안내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우측면도로서, 도 9 및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플레이트(20)에는, 전술한 안내관통공들(24)과,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22)와, 하부금형(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28)과, 베이스에 고정결합을 위한 베이스고정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플레이트(20)는 안내관통공들(24)이 금형관통공들(12)과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부금형(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함몰부(22)와 하부금형(10) 사이가 전술한 캐리어테이프의 통로(26)를 형성하게 된다. 펀치들(40)은 펀치홀더(30)가 하강 시에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24)들을 따라 함께 하강하는데, 펀치들(40)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들(12) 내로 진입하면서 하부금형(10)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에 놓여 있는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 및 하강하는 펀치들(40)의 스트로크(stroke)에서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항상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 내에 있게 된다. 즉 펀치들(40)은 천공 시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하더라도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관통공들(24)에 의하여 안내되며 안내관통공들(24)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플레이트(20)의 두께는 펀치들(40)의 스트로크보다 더 큰데, 펀치들(40)의 스트로크는 약 6mm이나 안내플레이트(20)의 두께는 약 8mm이며, 펀치들(40)이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할 때 펀치들(40)의 가공 단부가 놓이는 최하단의 위치 즉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의 최하단 위치는 하부금형(10)의 상면으로부터 약 1mm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이다.
펀치홀더(30)는, 안내플레이트(20)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복수 개의 펀치들(40)이 펀치홀더(30)에 파지되어 있다. 도 16은 도 8의 상부홀더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8의 하부홀더부재의 평면도로서, 도 9와 함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펀치홀더(30)는, 하부홀더부재(31)와, 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홀더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부홀더부재(31)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펀치들(40)의 두부(頭部)가 안착되는 고정홈(32)과, 안내관통공들(24)과 대응되며 펀치들(40)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34)을 구비하며, 상부홀더부재(35)는 하부홀더부재(31)의 상부에서 하부홀더부재(31)와 접촉결합되어 하부홀더부재(31)의 고정홈(32)에 있는 펀치들(40)의 두부를 가압고정하게 된다.
펀치들(40)은, 그 기능에 따라,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41)과,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미도시)과,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이송공가공핀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45)으로 나누어져 있다. 파일럿핀(45)은 캐리어테이프의 진행방향의 이송공가공핀의 전방에서 배치되어 펀치홀더(30)가 하강하면서 이송공가공핀(43)이 이송공을 천공할 때 캐리어테이프에 이미 형성된 이송공에 이송공가공핀(43)보다 먼저 삽입되어 캐리어테이프의 이송공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게 된다. 각 펀치들(40)은 두부(頭部)(41a, 45a)와, 몸체(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는데, 두부(頭部)(41a, 45a)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부(頭部)(41a, 45a)는 하부홀더부재(31)의 고정홈(32)에 안착되고 두부(頭部)(41a, 45a)의 상부에서 상부홀더부재(35)가 두부(頭部)(41a, 45a)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펀치들(40)은 좌우 및 상하의 이동이 억제되게 되어 천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의 가공 금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리어테이프 공급 릴을 적당한 속도로 회전시켜 캐리어테이프를 하부금형(10)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의 통로(26)로 공급한다. 그리고 캐리어테이프의 공급속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속도로 펀치들(40)을 상하방향으로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켜 캐리어테이프에 펀치들(40)의 직경을 갖는 수용공과 이송공을 가공하게 된다. 펀치홀더(30)가 하강할 때 펀치홀더(30)로부터 단부가 가장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파일럿핀(45)이 가장 먼저 캐리어테이프에 이미 형성된 이송공에 삽입되어 캐리어테이프의 이송공 가공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다음으로 수용공가공핀(41)과 이송공가공핀이 캐리어테이프에 각각 수용공과 이송공을 천공하게 된다. 이 때 펀치들(40)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에서의 최상단 위치는 안내플레이트(20) 내에 있으며, 캐리어테이프에 수용공 및 이송공을 가공할 때에 펀치들(40)의 가공 단부가 놓이는 최하단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의 상면으로부터 1mm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펀치들(40)이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하더라도 항상 펀치들(40)이 안내플레이트(20)의 안내되기 때문에, 캐리어테이프에 천공 시 펀치들(40)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펀치들의 가공 단부가 하부금형(10)의 금형관통공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하부금형(10) 상면을 타격함으로써 발생되던 펀치 또는 하부금형(10)의 파손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캐리어테이프의 한 부분에서 수용공 및 이송공의 천공작업이 완료되면 펀치들(40)은 다시 하부금형(10)에 대하여 상승하게 되며, 캐리어테이프는 다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한다. 그 후 펀치홀더(30)가 다시 하강하여 캐리어테이프에 새로운 수용공과 이송공에 대한 동일한 천공작업이 반복되게 된다.
이와 같은 캐리어테이프에 대한 천공 작업을 계속 하게 되면, 펀치들(40)이 금형관통공들(12)의 상면 주위를 마모시키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금형관통공들(12)의 상부는 상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에 다다르면 캐리어테이프의 품질 보증을 위해서 새로운 금형관통공들(12)을 갖는 하부금형(10)으로 교체하여 하는데 종래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금형플레이트(11)를 금형몸체(15)로부터 탈거시키고 금형플레이트(11)를 뒤집은 다음 다시 금형몸체(15)에 결합시킨다. 물론 이때 금형몸체(15), 금형플레이트(11) 그리고 안내플레이트(20)를 결합공들(14, 18, 28)을 통하여 한꺼번에 결합시키며 또한 금형플레이트(11)는 뒤집은 다음 안내플레이트(20)에 대하여 처음 조립된 상태에서 180도 회전시킨 상태로 결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금형플레이트(11)의 하부가 상부가 되므로 금형관통공들(12)의 상부 쪽은 아직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새로운 금형플레이트(11)로 교체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 캐리어테이프 천공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하부금형(10)은 종래 보다 최소 1.5배에서 최대 2배까지 더 연장된 수명을 가질 수 있으며 더욱이 뒤집어서 사용하여 금형플레이트(11)의 수명이 다하더라도 금형플레이트(11)만을 교체하면 되고 금형몸체(15)는 계속하여 쓸 수 있으므로 재료 활용에 있어서 효율적이 된다.
이상과 같이,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서, 하부금형을, 소정 기간 캐리어테이프를 가공한 후에 금형플레이트(11)를 금형몸체(15)로부터 탈착시키고 금형플레이트(11)를 뒤집은 상태로 다시 금형몸체(15)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금형플레이트(11)와 이 금형플레이트(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형몸체(15)로 구성함으로써, 하부금형(10)의 교체시기를 종래 보다 현저히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마모되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재료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안내플레이트, 금형플레이트 및 금형몸체가 한꺼번에 결합함으로써 금형플레이트 및 금형몸체로 이루어진 하부금형이 안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금형플레이트 및 금형몸체로 이루어진 하부금형을 베이스에 고정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펀치들이 3개의 수용공가공핀과 3개의 이송공가공핀과 2개의 파일럿핀으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펀치들의 수는 적절히 선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금형의 수명을 종래보다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마모되는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재료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금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금형몸체와 안내플레이트를 결합부재로 결합함으로써 하부금형이 베이스가 아닌 안내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게 되어 베이스의 표면의 조건이 저하되더라도 종래보다 향상된 직각도 및 평행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직각도 및 평행도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공급되는 캐리어테이프에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가공하기 위한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금형관통공들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금형플레이트와, 중앙 영역에 관통형성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금형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금형플레이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형몸체를 갖는 하부금형;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들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의 안내관통공들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통공들이 상기 금형관통공들과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하부금형 사이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내플레이트; 및
    하강 시에 상기 통로에 있는 상기 캐리어테이프에 상기 수용공 및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복수 개의 펀치들을 파지하며,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펀치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플레이트는 소정 기간 사용된 후에 뒤집어서 상기 금형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플레이트는 상기 금형몸체보다 더 얇으며,
    상기 금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금형몸체와 상기 안내플레이트를 결합부재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금형플레이트가 상기 금형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는 상기 펀치홀더가 하강 시에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펀치들의 상승 및 하강 스트로크(stroke)에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최상단 위치는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안내관통공들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의 가공 단부의 스트로크(stroke)에서 최하단 위치는 상기 하부금형의 금형관통공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0.5∼2mm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은 두부(頭部)의 직경이 몸체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펀치홀더는,
    중앙 영역에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형성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가 안착되는 고정홈과, 상기 안내관통공들과 대응되며 상기 펀치들의 몸체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더관통공을 갖는 하부홀더부재;
    상기 하부홀더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홀더부재와 접촉결합되어 상기 펀치들의 두부를 고정하는 상부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들은,
    상기 수용공을 가공하는 수용공가공핀;
    상기 이송공을 가공하는 이송공가공핀;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에서 상기 이송공가공핀의 전방에 배치되는 파일럿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2004-0009826U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0360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6U KR200360763Y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6U KR200360763Y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468A Division KR100587470B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63Y1 true KR200360763Y1 (ko) 2004-09-07

Family

ID=4943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26U KR200360763Y1 (ko) 2004-04-09 2004-04-09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3885B1 (en) Punching apparatus for stamp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443997Y1 (ko)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KR100975500B1 (ko) 다이본딩장비의 다이 이젝팅장치
JP3822227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KR100587470B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0360763Y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US4791721A (en) Singula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101003887B1 (ko) 샤프트 방식을 이용한 고속 타발금형
JP3709176B2 (ja) 金属基板の加工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加工された金属基板
KR100587468B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200360762Y1 (ko)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KR101383826B1 (ko) 연성회로기판용 보조테이프 제조장치
CN218052932U (zh) 盘式钻针清洁装置
JP2541274B2 (ja) 穿孔用金型ユニット
CN104438549A (zh) 一种规则排版补强片的冲压设备
KR20110111027A (ko) 홀 가공용 금형 장치
JP3759744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CN112743632A (zh) 一种定位针可移动的治具
CN117301171A (zh) 具有快速批量清洁钻针装置
KR20200010989A (ko) 하부 안내플레이트와 상부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캐리어테이프 가공 금형장치
JP3759743B1 (ja) 母板加工用金型、加工板の製造方法、及び、製品板の製造方法
JP689793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板状治具、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個片のハンドリング用具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設備
KR20170016104A (ko) 점자 인쇄기능을 구비한 시트재 절단장치
JP3915982B2 (ja) 加工板及びその製造方法、母板加工用金型、並びに、プッシュバック板の製造方法
JP2000158393A (ja) 超硬板付ダ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