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236Y1 -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236Y1
KR200357236Y1 KR20-2004-0012241U KR20040012241U KR200357236Y1 KR 200357236 Y1 KR200357236 Y1 KR 200357236Y1 KR 20040012241 U KR20040012241 U KR 20040012241U KR 200357236 Y1 KR200357236 Y1 KR 200357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verload
crane
unit
pe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기
Original Assignee
안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기 filed Critical 안상기
Priority to KR20-2004-0012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의 본체에 설치되어 크레인 구동용 모터의 과부하 등을 감지하여 과부하시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지하던 과부하방지장치를 소형의 디지털 제어방식으로 구현하고, 이를 펜던트스위치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크레인 운전자가과부하 상태 및 운전상태 등을 매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편리 및 크레인의 안전운전에 크게 기여하도록 한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이 펜던트스위치를 통해 운전자가 크레인에 대한 상시운전상태 및 과부하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과부하장치의 정상작동여부를 수시로 체크 점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며, 크레인 제작자에게는 과부화방지장치와 일체화된 펜던트스위치의 구성으로 인건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A PENDANT SWITCH HAVING FUNCTION PREVENTING OVERLOAD FOR CRANE}
본 고안은 크레인 조작시 사용되는 펜던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본체에 설치되어 크레인 구동용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 및 보호(방지)하던 과부하방지장치를 소형의 디지털 제어방식으로 구현하고, 이를 펜던트스위치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크레인 운전자가 과부하 상태 및 운전상태 등을 매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편리 및 크레인의 안전운전에 크게 기여하도록 한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크레인용 펜던트스위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 상에는 크레인(2)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2)의 본체(3)는 와이어(8)를 통해 후크(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레인(2)은 후크(5)에 매달린 적재물을 이동하는 기구장치로 상기 레일(1) 상을 좌우로 이동하거나 와이어(4)를 감고 푸는 것에 의하여 상하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 운전조작은 상기 본체(3)로부터 케이블(6)을 통해 연결된 펜던트스위치(7)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보통 지상에서 조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크레인(2)의 본체(3)에는 통상 과부화방지장치(8)가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방지장치(8)는 크레인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여 과부하시 이를 경보하고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과부하로 인한 크레인의 고장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과부하방지장치(8)는 크레인의 본체(3)에 설치되는 관계로, 대부분의 설치 현장이 그렇듯이 높은 곳에 위치한 과부하방지장치(8)를 크레인 운전자가 일일이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과부하의 경종 또는 기타 다른 문제로 인해 크레인이 정지되어 있는 지 또는 과부하방지장치의 설정데이터상의 상이점이 있는지 확인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과부하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테스트기능을 활용하여 과부하방지장치의 이상유무 파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과부하방지장치의 점검을 위해서는 크레인 본체(3)에 접근하여야 하는데, 보통 벽면 또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접근을 시도했으며, 이러한 위험요인 때문에 점검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더욱 안전운전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한, 종래의 과부하방지장치(8)는 대부분 아날로그식 장치로 그 부피가 큰 관계로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레인의 본체에 설치되어 크레인 구동용 모터의 과부하 등을 감지하여 과부하시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지하던 과부하방지장치를 소형의 디지털 제어방식으로 구현하고, 이를 펜던트스위치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크레인 운전자가 과부하 상태 및 운전상태 등을 매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편리 및 크레인의 안전운전에 크게 기여하도록 한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에 사용되는 펜던트스위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과부하방지부 11: 전원부
12: 마이 컴 13: 부하감지부
14: 설정부 15: EEPROM
16: 과부하표시램프 17: 표시부
18: 경보부 19: 릴레이구동부
20: 펜던트스위치부 100: 펜던트스위치
110: 본체 120: 과부하방지판넬부
130: 펜던트스위치판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크레인 본체로부터 이어지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펜던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스위치의 본체의 전면부에는 과부하방지판넬부와 펜던트스위치판넬부를 함께 구성하되,
상기 과부하방지판넬부는 전원부와,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과부하방지부의 전체 회로를 중앙 제어하는 원 칩 마이컴과, 크레인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와, 모드스위치, 업스위치, 다운스위치 및 선택 스위치로 이루어져 과부하 등 각종 점검에 따른 메뉴선택 및 설정을 수행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값을 일시 저장하는 EEPROM과, 과부하시 발광되는 과부하표시램프와, 각종 설정 상태나 점검상태 등을 문자나 기호 및 숫자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과부하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와, 과부하시 구동모터의 출력을 정지하기 위하여 펜던트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조작전원을 오프시키는 릴레이구동부로 구성된 과부화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던트스위치판넬부는 크레인의 구동을 비상정지 시키는 비상정지스위치와, 상기 과부하감지부의 릴레이출력부에 의해 동작되는 릴레이접점부와, 크레인을 상승시키는 상승스위치와, 크레인을 하강시키는 하강스위치와, 직진스위치와, 후진스위치와, 좌방향스위치와, 우방향스위치와, 전원스위치와, 예비스위치로 구성된 펜던트스위치부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의회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레인 본체로부터 이어지는 전원 케이블(6)을 통해 연결되는 펜던트스위치(100)에 과부하방지부(10)와 펜던트스위치부(20)의 회로를 함께 내장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펜던트스위치(100)의 외형은 사각형상의 본체(11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과부하방지판넬부(120)와 펜던트스위치판넬부(130)가 함께 구성된다.
상기 과부하방지판넬부(120)에는 모드스위치(S1), 업스위치(S2), 다운스위치(S3), 선택스위치(S4), 과부하표시램프(16), 표시부(17) 및 경보부(18)가 구성된다.
상기 펜던트스위치판넬부(130)에는 비상정지스위치(S5), 상승스위치(S6), 하강스위치(S7), 직진스위치(S8), 후진스위치(S9), 좌방향스위치(S10), 우방향스위치(S11), 전원스위치(S12) 및 예비스위치(S13)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 펜던트스위치(100)의 내부 회로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과부화방지부(20)는 전원부(1)와,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과부하 방지부의 전체 회로를 중앙 제어하는 원 칩 마이컴(12)과, 크레인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M1,M2)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13)와, 과부하 등 각종 점검에 따른 메뉴선택 및 설정을 수행하는 설정부(14)와, 상기 설정부(14)를 통해 설정된 값을 일시 저장하는 EEPROM(15)과, 과부하시 발광되는 과부하표시램프(16)와,각종 설정 상태나 점검상태 등을 문자나 기호 및 숫자로 표시하는 표시부(17)와, 과부하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18)와, 과부하시 구동모터(M1,M2)의 출력을 정지하는 릴레이구동부(19)로 구성된다.
상기 부하감지부(13)는 메인모터(M1) 및 클립모터(M2)에 흐르는 전류를 전류 검출기(CT1,CT2)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 때 검출된 전류치가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통하고 제1 및 제2증폭기를 각각 통하여 마이컴(12)에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12)은 상기 제1 및 제2증폭기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검출하여 구동모터(M1,M2)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설정부(14)는 모드스위치(S1), 업스위치(S2), 다운스위치(S3) 및 선택스위치(S4)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스위치(S1)는 오버로드 설정전류, 딜레이타임, 오버로드 오퍼레이팅 타임, 테스트모드 등을 순차적 키 입력에 의하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업 또는 다운스위치(S2,S3)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스위치(S1)를 통해 설정된 모드에 대한 설정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택스위치(S4)는 상기 모드스위치(S1)와 업/다운스위치(S2,S3)를 통해 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선택종료를 키 입력하는 스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설정부(14)를 통해 각종 점검 및 과부하 설정치가 설정되면, 마이컴(12)은 부하감지부(13)의 입력값을 검출하게 된다.
만약, 구동모터(M1,M2)로부터 과부하가 발생되면 마이컴(12)은 이를 감지하여 과부하상태임을 판단하고, 과부하표시램프(16)를 점등시키고, 경보부(18)를 통해서는 과부하에 따른 경보를 발하며, 표시부(17)로는 과부하에 따른 에러상태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동시에 릴레이구동부(19)로 출력을 수행하여 구동모터(M1,M2)로의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구동모터(M1,M2)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한편, 펜던트스위치부(20)는 크레인의 구동을 비상정지 시키는 비상정지스위치(S5)와, 상기 과부하감지부(10)의 릴레이출력부(19)에 의해 동작되는 릴레이접점부(21)와, 크레인을 상승시키는 상승스위치(S6)와, 크레인을 하강시키는 하강스위치(S7)와, 직진스위치(S8)와, 후진스위치(S9)와, 좌방향스위치(S10)와, 우방향스위치(S11)와, 전원스위치(S12)와, 예비스위치(S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각종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크레인을 운전하게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과부하방지부(10)에 의한 모터 과부하시에는 릴레이접점부(21)가 개방(open)되어 모든 스위치 동작이 중단되고, 이로 인해 모터(M1,M2)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펜던트스위치를 통해 운전자가 크레인에 대한 상시운전상태 및 과부하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과부하장치의 정상작동여부를 수시로 체크 점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레인 제작자에게는 과부화방지장치와 일체화된 펜던트스위치의 구성으로 인건비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크레인 본체로부터 이어지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펜던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스위치(100)의 본체(110)의 전면부에는 크레인 동작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과부하방지판넬부(120)와 크레인을 운전하는 펜던트스위치판넬부(130)가 함께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과부하방지판넬부(120)는 전원부(1)와,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과부하방지부의 전체 회로를 중앙 제어하는 원 칩 마이컴(12)과, 크레인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M1,M2)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13)와, 모드스위치(S1), 업스위치(S2), 다운스위치(S3) 및 선택스위치(S4)로 이루어져 과부하 등 각종 점검에 따른 메뉴선택 및 설정을 수행하는 설정부(14)와, 상기 설정부(14)를 통해 설정된 값을 일시 저장하는 EEPROM(15)과, 과부하시 발광되는 과부하표시램프(16)와, 각종 설정 상태나 점검상태 등을 문자나 기호 및 숫자로 표시하는 표시부(17)와, 과부하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18)와, 과부하시 구동모터(M1,M2)의 출력을 정지하기 위하여 펜던트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조작전원을 오프시키는 릴레이구동부(19)로 구성된 과부화방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펜던트스위치판넬부(130)는 크레인의 구동을 비상정지 시키는 비상정지스위치(S5)와, 상기 과부하감지부(10)의 릴레이출력부(19)에 의해 동작되는 릴레이접점부(21)와, 크레인을 상승시키는 상승스위치(S6)와, 크레인을 하강시키는 하강스위치(S7)와, 직진스위치(S8)와, 후진스위치(S9)와, 좌방향스위치(S10)와, 우방향스위치(S11)와, 전원스위치(S12)와, 예비스위치(S13)로 구성된 펜던트스위치부(20)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방지판넬부(120)에는 모드스위치(S1), 업스위치(S2), 다운스위치(S3), 선택스위치(S4), 과부하표시램프(16), 표시부(17) 및 경보부(18)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던트스위치판넬부(130)에는 비상정지스위치(S5), 상승스위치(S6), 하강스위치(S7), 직진스위치(S8), 후진스위치(S9), 좌방향스위치(S10), 우방향스위치(S11), 전원스위치(S12) 및 예비스위치(S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KR20-2004-0012241U 2004-04-30 2004-04-30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KR200357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41U KR200357236Y1 (ko) 2004-04-30 2004-04-30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41U KR200357236Y1 (ko) 2004-04-30 2004-04-30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236Y1 true KR200357236Y1 (ko) 2004-07-23

Family

ID=4943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241U KR200357236Y1 (ko) 2004-04-30 2004-04-30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2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35B1 (ko) * 2016-10-19 2018-02-20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성이 보강된 해양시추설비용 맨 라이딩 윈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35B1 (ko) * 2016-10-19 2018-02-20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성이 보강된 해양시추설비용 맨 라이딩 윈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5237A2 (en) Robot control device
JP4831995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JP2007084177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110884972A (zh) 基于电梯安全回路的门锁检测方法
WO2002098780A1 (fr) Dispositif elevateur et dispositif de limitation de mouvement de l'automobile de celui-ci
KR200357236Y1 (ko) 크레인용 과부화방지기능이 구비된 펜던트스위치
KR20010080785A (ko) 호이스트 및 크레인의 과부하 차단장치
JP2007001667A (ja) 巻上機
KR20110063869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5178166B2 (ja) クレーンのドラムのロード状況表示装置
JP2009102158A (ja) 車両リフト装置
JPH0632590A (ja) 電動巻上機の安全保護装置
JP2633117B2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アウトリガ張出し幅の設定装置
JP3920598B2 (ja) クレーンの過巻防止装置および故障診断装置
KR100186360B1 (ko)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
JP2008007220A (ja) クレーンの過負荷防止装置
KR200338991Y1 (ko) 호이스트 과부하 방지장치
JP3812886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H05105395A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アウトリガ長さ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JP2011162316A (ja) クレーンの異常検出装置
JPH11310393A (ja) ブ―ム式作業機の表示装置
KR20150049825A (ko)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크레인 과부하 방지장치
JPH0348119B2 (ko)
JP2001251892A (ja) 電動巻上機の制御装置
JPS62140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