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139Y1 -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및 토목구축물 - Google Patents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및 토목구축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6139Y1 KR200356139Y1 KR20-2004-0011974U KR20040011974U KR200356139Y1 KR 200356139 Y1 KR200356139 Y1 KR 200356139Y1 KR 20040011974 U KR20040011974 U KR 20040011974U KR 200356139 Y1 KR200356139 Y1 KR 2003561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ne
- base
- shaped member
- strip
- bel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4—Ba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8—Sulfi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는 경우라도, 그 돌을 기반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격자 형상의 기반(16)에 띠형상 부재(10)가,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가, 기반(16)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로써 소정 크기 이상의 자연석(4)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자연석(4)의 부착 작업에 따라, 자연석(4)을 들어올리거나, 조립후, 반전 등의 작업을 불필요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돌을 유지하기 위한 돌 유지구, 돌이 유지된 돌 유지 유닛, 돌 유지 유닛의 조립 방법 및 돌 유지 유닛을 사용한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호안(護岸) 등의 토목구축물의 시공에서는, 복수의 돌 유지 유닛(토목구축물용 유닛)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각 돌 유지 유닛은, 일반적으로, 기반으로서의 망상편(網狀片)의 일면에 300㎜ 정도의 직경의 돌을 고정 수단을 통하여 부착한 것으로 되어 있고, 이 복수의 돌 유지 유닛을 시공면상에 부설함으로써, 본래의 호안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자연에의 회귀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돌 유지 유닛을 조립하는(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망상편상에 일단, 복수의 돌을 재치(載置)하고, 다음에 그 각 돌마다 돌을 들어올리고, 그 돌의 재치 장소에 고정 수단으로서의 접착제를 도포 또는 재치(이 경우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자기 유지할 수 있는 성상을 갖는 것)하고, 그 후에 그 접착제의 위에 돌을 내리고, 그 돌을 접착제를 통하여 망상편에 부착하는 방법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을 나란히 깔고, 그 돌의 위에 망상편을 씌우고, 다음에 그 망상편의 그물코를 이용하면서, 고정 수단으로서의 좌판, 앵커 등을 사용하여 돌을 망상편에 부착하고, 그 후에 그 돌이 일체화된 망상편을 반전시키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9-27313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0-27153호 공보
그러나, 최근, 상기 돌 유지 유닛에서, 그것에 사용되는 돌로서, 일반적인 크기인 300㎜ 정도의 직경을 넘는 것(예를 들면 직경이 500∼800㎜ 정도로, 중량이 300㎏을 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전자에 관계되는 방법을 채용할 때에는, 돌이 크고 또한 무거우므로, 그 돌을 들어올릴 때에 곤란성(작업자가 들어올리려고 할 때에는 들어올릴 수 없고, 기중기 등을 이용할 때에는 그 작업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수반하게 되어, 돌의 부착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 후자에 관계되는 방법에서는, 돌을 나란히 깔아놓는 것까지는 할 수 있어도, 돌이 크고 무거워서, 돌이 일체화된 망상편을 반전시킬 때에는, 그 반전 작업이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그 때에, 망상편이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 1 기술적 과제는,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는 경우라도, 그 돌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돌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기술적 과제는,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는 경우라도, 그 돌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돌 유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3 기술적 과제는, 상기 돌 유지 유닛을 사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사용한 토목구축물(호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구의 반송시(조립전)의 태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돌 유지구에 대한 자연석의 부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돌 유지구에 자연석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자연석에 대한 띠형상 부재의 단부의 부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기반교차부에의 자연석의 반송을 도시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자연석에 대한 부착 구멍의 형성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자연석에 대한 띠형상 부재 단부의 부착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돌 유지 유닛의 반송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의 조립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의 조립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의 반송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시공면에 부설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끼리의 연결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끼리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에서의 연결판 타단부의 연결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1은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제 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3은 제 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25는 제 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구가 자연석을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돌 유지 유닛 3 돌 유지구
4 자연석(돌) 5 띠재
6 띠재 9 구멍(연결구멍)
10 띠형상 부재 10a 띠형상 부재의 단부
11 교차부 13 부착 구멍
14 부착 앵커 15 호상(토목구축물)
16 기반 27 연결판
27a 제 1 연결판 27a 제 2 연결판
102 연결구조
상기 제 1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청구항 1의 고안)에 있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기 위한 돌 유지구에 있어서,
기반과 띠형상 부재를 가지고,
상기 기반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돌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1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2∼10, 22의 기재와 같이 된다.
상기 제 1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청구항 23의 고안)에 있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기 위한 돌 유지구에 있어서,
기반과 띠형상 부재를 가지고,
상기 기반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상기 기반에서의 연결부에 대하여 자세변경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돌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청구항 23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24∼27의 기재와 같다.
상기 제 2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청구항 11의 고안)에 있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기반상에 유지하는 돌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을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돌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11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12∼17에 기재된 것과 같다.
상기 제 2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청구항 19의 고안)에 있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기반상에 유지하는 돌 유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반의 모서리부에, 띠형상의 연결판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판이, 상기 기반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의 선단부가, 다른 돌 유지 유닛에서의 연결판의 선단부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청구항 19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20에 기재된 것과 같다.
상기 제 3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청구항 18의 고안)에 있어서는,
시공면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이 부설되고,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기반상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이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을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이라고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3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청구항 21의 고안)에 있어서는,
시공면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이 부설되고,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기반상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반의 모서리부에, 띠형상의 연결판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판이, 상기 기반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것으로 되고,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의 모서리부에서, 다른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상기 연결판의 선단부끼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0은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 도 1에서, 부호 1은, 근고공, 상지공(床止工), 낙차공, 수제공, 호안 등을 목적으로 하고, 시공면(하상, 법면 등)에 부설되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1)을 도시한다. 이 돌 유지 유닛(1)은, 서로 이웃하도록 시공면(필요할 경우에는 빨아내기 방지 시트를 통하여 시공면상에 부설)상에 다수 부설되고, 그 각 이웃하는 돌 유지 유닛(1)을 서로 연결구(섀클 등)(2)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토목구축물로서의 호상(護床)(15) 구축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돌 유지 유닛(1)끼리의 연결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돌 유지 유닛(1)끼리의 간격이 넓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간격은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돌 유지 유닛(1)은, 호상, 호안 등의 보호 기능,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키는 것, 자연에의 회귀를 촉진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 유지구(3)에, 소정 크기 이상의 돌로서의 자연석(4)이 유지되는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돌 유지구(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반(16)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반(16)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간격마다 배열 설치되는 일군의 띠재(5)와, 소정의 간격마다 배열 설치되고 이 일군의 띠재(5)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되는 타군의 띠재(6)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반(16)에서는, 일군의 띠재(5)와 타군의 띠재(6)는, 그 양 판면이 겹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고, 그 양 군의 띠재(5, 6)의 각 교차부(겹친 부분)는, 볼트(7)와 너트(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군 및 타군의 띠재(5, 6)로서, 스테인레스, 쇠 등의 금속제의 것이, 각각 3개씩 사용되고, 그 각 띠재(5(6))로서는, 스테인레스의 경우에는, 두께 3㎜, 폭 6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철의 경우에는, 두께 5㎜, 폭 60㎜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격자형상을 이루는 기반(16)은, 가장자리 부분의 일변(11)이 1900㎜∼2400㎜ 전후로 된 정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띠재 사이의 간격(L2)은 600㎜ ㎜전후로 설정되어 있다.
이 기반(16)에서의 각 띠재(5(6))의 단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구멍(9)에는, 섀클 등의 상기 연결구(2)가 부착되게 되어 있고(도 2에서는 도시 생략), 이 연결구(2)를 사용함으로써, 돌 유지 유닛(1)의 반송, 돌 유지 유닛(1)끼리의 연결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도 1, 도 6 참조).
상기 돌 유지구(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일군 및 타군의 띠재(5, 6)의 각 교차부(11)에서, 자연석(4)에 대한 연결 플레이트로서, 띠형상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띠형상 부재(10)로서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제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그 띠형상 부재(10)의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는, 각 교차부(11)에서, 겹치는 상기 띠재(5, 6) 사이에 끼워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이 양 띠재(5, 6)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볼트(7) 등을 이용함으로써(띠형상 부재(10)에도 볼트(7)를 관통 상태로 함) 상기 양 띠재(5, 6)에 고정되어 있다(기반(16)에 대한 연결부를 도시함). 이 각 띠형상 부재(10)는, 작업자의 힘으로, 적당하게, 변형(소성변형) 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변형시킨 경우에는, 그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고, 각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측(각 단측)은, 각 교차부(11)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에는,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로서 구멍(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각 구멍(12)의 직경은, 후술의 부착 앵커를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부재(10)의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가, 각 교차부(11)에서, 띠재(5, 6) 사이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지만, 띠형상 부재(1)의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를, 각 교차부(11)의 상부(띠재(6)) 또는 하부(띠재(5))에 부착해도 된다. 또, 각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에 관해서는, 모서리부의 모따기를 시행하여, 그 모서리부를 둥글게 마무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석(4)은,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크기 이상의 것이 사용되고, 그것이 상기 기반(16)상의 각 교차부(11)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자연석(4)으로서는, 옥석, 활석 등, 여러가지의 것이 사용되고, 그 소정 크기 이상의 것으로서는, 작업자가 인력으로는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없는 크기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이 자연석이 소정 크기 이상인 것에 따라, 중량의 관점에서도 작업자가 인력으로는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없는 것이 대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대 직경이, 300㎜를 넘고, 500∼800㎜ 정도의 것(바람직하게는 600㎜ 정도의 것), 중량으로서는, 300∼500㎏ 정도의 것이 대상이 되고, 기반(16)을 포함하는 당해 돌 유지 유닛(1) 전체의 중량은, 1t∼5t의 범위에서 원하는 중량이 확보되게 되어 있다. 이 각 자연석(4)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한 쌍의 부착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부착 구멍(13)은, 상기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의 구멍(1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잇고, 그 양 부착 구멍(13)은, 자연석(4)에서 대향 대치되어 있다.
상기 돌 유지구(3)에 의한 자연석(4)의 유지는, 상기 각 교차부(11)상의 자연석(4)에 대한 각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의 연결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띠형상 부재(10)에서의 각 단부(10a)의 구멍(12)에 부착 앵커(14)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 부착 앵커(14)가 상기 자연석(4)의 부착 구멍(13)에 박아 넣어져 있고, 그 부착 앵커(14)에 의해 각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가 자연석(4)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부착 앵커(14)에는, 기지의 어떤 것도 사용 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부착 앵커(14)를 부착 구멍(13)에 박아 넣음으로써, 부착 구멍(13) 내벽과 부착 앵커(14) 사이에서 강고한 마찰 유지 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돌 유지구(3)에 의한 자연석(4)의 유지에 있어서는, 각 띠형상 부재(10)는, 그 판면이 자연석(4)의 하부 표면을 가능한 한 따르면서, 자연석(4)의 수평 방향에서의 최대 직경(D)이 존재하는 높이(H)까지의 범위에서 기립되어 있다. 각 띠형상 부재(10)의 판면을 자연석(4)의 하부 표면을 가능한 한 따르게 하는 것은, 띠형상 부재(10)를 자연석(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시에, 유입되는 쓰레기 등을 걸어당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띠형상 부재(10)를, 자연석(4)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D)이 존재하는 높이(H)까지의 범위에서 기립시키는 것은, 이렇게 하면, 상측으로부터 당해 돌 유지 유닛(1)을 본 경우에도, 띠형상 부재(10)를 자연석(4)에 의해 보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주위의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작업성(선 채로의 작업)을, 보다 먼저할 때에는, 띠형상 부재(10)를, 자연석(4)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D)이 존재하는 높이(H)를 넘어서 위쪽으로 연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돌 유지 유닛(1)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먼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면(예를 들면 현장의 토면)상에서 격자 형상의 기반(16)을 조립한다. 자연석(4)을 재치할 베이스를 확보하는 동시에, 각 띠형상 부재(10)의 부착 대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일군의 띠재(5)를 소정의 간격마다 작업면상에 배치하는 동시에, 타군의 띠재(6)를, 그 일군의 띠재(5)상에 소정의 간격마다 교차시킨 상태에서 배치하고, 그 일군의 띠재(5)와 타군의 띠재(6)와의 각 교차부(11)에서, 띠형상 부재(10)를 상하의 띠재(5, 6) 사이에 끼워지지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거기에, 상기 각 교차부(11)(띠재(5, 6)를, 볼트(7)와 너트(8)를 이용함으로써 일체화한다.
물론, 이러한 기반(16)을 공장에서 조립해서, 그것을 시공 현장에 반송해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이 시공 현장에서 행해지는 것은 생략된다. 이 기반(16)의 반송때에는, 각 띠형상 부재(10)가 격자 형상의 기반(16)을 따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반송때, 기반(16)을 중첩해서 동시에 다수의 것을 반송할 수 있어, 반송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취급도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반(16)의 각 교차부(11)에서의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측을,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다. 자연석(4)을 받아들여 가능상태로서, 자연석(4)의 부착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 사이의 간격을, 넣을(설치할) 자연석(4)의 최대 직경(재치시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 보다도 약간 작게 해 두면, 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 사이에 자연석(4)을 넣을 때에, 그 양 단부(10a)를 바깥쪽으로 밀므로, 그 반발력(스프링력)에 의해 그 양 단부(10a)를 자연석(4) 표면을 따르게 할 수 있고(도 4 가상선 참조), 이 관점으로부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 사이의 간격을, 넣을(설치할) 자연석(4)의 최대 직경(재치시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 보다 약간 크게 해 두면, 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 사이에 자연석(4)이 넣어지기 쉬워지고, 이 관점에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를 자연석(4)의 최대 직경 보다 약간 크게 하는 한편, 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선단부)(10a) 보다도 하방측 부분에서, 상기 반발력을 얻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측을,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키는 공정에 관해서는, 공장에서 행해지고, 그것을 시공 현장에 반송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이 시공 현장에서 행해지는 것은 생략된다.
다음에 도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반(16)에서의 교차부(11)에 자연석(4)을 재치시킨다. 자연석(4)을, 교차부(11)에서, 상기 교차부(11)에 부착된 띠형상 부재(10)에 연결하기 위해서이다.
이 교차부(11)에 자연석(4)을 재치시킬 때에는, 각 교차부(11)의 몇인가 또는 전부에 자연석(4)을 재치해도 좋고, 하나의 교차부(11)에 자연석(4)을 재치하여 후술의 연결 작업을 끝낼 때마다 해도 좋다.
또, 상기 교차부(11)에의 자연석(4)의 재치시에는, 자연석(4)이 무겁고 또한 큰 것부터, 자연석(4)에 와이어 등을 걸고, 크레인 등의 기중기에 의해 그 자연석(4)을 들어 올려 반송하는 것이 행해지는데, 자연석(4)의 상부에 매달기용의 금구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금구에 크레인 등의 훅을 걸므로써, 그 자연석(4)을 들어 올려 반송해도 좋다. 자연석(4)에 와이어 등을 거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도인 기능을 가지므로, 고도한 기능을 갖지 않은 작업자라도 자연석(4)의 반송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형상 부재(10)의 판면을 자연석(4)의 하부 표면을 가능한 한 따르도록 하면서, 띠형상 부재(10)의 구멍(9)을 드릴공구(17)의 드릴(17a)의 안내 구멍으로서, 자연석(4)에 부착 구멍(13)을 형성한다. 부착 앵커(14)에 의한 부착을 원하는 것으로 하기 위해, 부착 구멍(13)을 소정의 위치에 적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작업시에, 띠형상 부재(10)의 판면을 자연석(4)의 표면을 가능한 한 따르도록 하는 것은,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를 자연석(4)에 부착 앵커(14)에 의해 연결했을 때, 띠형상 부재(10)가 자연석(4) 표면을 가능한 한 따른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당해 돌 유지 유닛(1)의 완성후에, 띠형상 부재(10)가, 사용시에 쓰레기 등을 걸어당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앵커(14)를, 띠형상 부재(10)에서의 각 단부의 구멍(9)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부착 구멍(13)에 해머(26) 등을 이용하여 박아 넣는다.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를 자연석(4)에 연결하여, 상기 자연석(4)을 격자 형상의 기반(16)에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교차부(11)에의 자연석(4)의 재치, 자연석(4)에서의 부착 구멍(13)의 형성, 부착 앵커(14)의 부착을, 각 교차부(11)에서 순차로, 행하여, 당해 돌 유지 유닛(1)을 얻는다.
이 다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반(16)의 가장자리부(각 띠재의 단부)에 연결구(섀클 등)(2)를 부착하고, 그 각 연결구(2)에 매달기 반송구(18)의 훅(19)을 각각 걸고, 그 매달기 반송구(18)를 통하여 돌 유지 유닛(1)을 크레인(20) 등에 의해 들어 올려, 그 돌 유지 유닛(1)을 시공면의 소정 장소에 반송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 방법에 의하면, 자연석(4)이 크고 무거운 것이라도, 작업자가 선채로 연결 작업을 행함으로써, 그 자연석(4)을 기반(16)에 확실 또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 도 12는 제 2 실시형태, 도 13은 제 3 실시형태, 도 14∼도 16은 제 4 실시형태, 도 17∼도 20은 제 5 실시형태, 도 21∼도 22는 제 6 실시형태, 도 23은 제 7 실시형태, 도 24, 도 25는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각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제 2 실시형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자연석(4)(큰 자연석(4))을 1개만 유지할 수 있는 돌 유지구(3)를 사용하여, 그 돌 유지구(3)에 그 소정 크기 이상의 자연석(4)을 1개만 유지하도록 한 돌 유지 유닛(1)을 도시한다. 즉, 이 돌 유지구(3)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구(3)에서의 자연석(4)의 1개분에 상당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돌 유지구(3)는, 기반(16)을 구비하고, 그 기반(16)은, 2개의 띠재(5, 6)를 +자 형상으로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형성되고, 그 띠재(5, 6)의 교차부(11)에서 상기 양 띠재(5, 6)에 띠형상 부재(10)가 끼워 지지되어 있다. 이 띠재(5(6))와 띠형상 부재(10)와의 일체화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볼트(7)와 너트(8)가 이용되고, 이 돌 유지구(3)에 대한 자연석(4)의 부착도, 동일하게(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가 부착 앵커(14)를 사용하여 자연석(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띠재(5, 6)에서의 각 단부의 구멍(9)에 섀클 등의 연결구(2)가 부착되고,그러한 돌 유지 유닛(1)은, 필요한 수만, 각 돌 유지 유닛(1)의 연결구(2)를 통하여 연결되어, 시공면에 부설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돌 유지 유닛(1)끼리의 연결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돌 유지 유닛(1)끼리의 간격이 넓게 도시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그 간격은, 더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 유지 유닛(1)을 사용하면, 작은 하천에서 호상 등을 위해 필요한 자연석(4)의 수가 적어도 되는 경우에도, 그 수만큼의 것을 준비할 수 있어, 시공에서, 적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제 3 실시형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자 형상으로 배치된 띠재(5, 6)(돌 유지구(3))를 부착 앵커(14)에 의해 직접, 자연석(4)에 부착하게 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자연석(4)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 부착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각 띠재(5, 6)에는, 그 양 단부에 구멍(9)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각 띠재(5, 6)의 연장 방향 중앙부에도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에 있어서는, 자연석(4)의 상부에, 띠재(5, 6)를 +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각 띠재의 구멍(21), 자연석(4)의 부착 구멍(13)에 부착 앵커(14)가 박아 넣어지게 되어 있다.
이후에, 이 1개의 자연석(4)을 유지한 돌 유지 유닛(1)은, 뒤집혀져서, 사용 상태의 태양으로 되고, 그 돌 유지 유닛(1)은, 그 사용 상태의 태양으로써, 상기 실시형태 동일하게 시공면의 소정 장소에 반송된다.
도 14∼도 16에 도시하는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이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유지 유닛(1)은, 3개의 자연석(4)을 일체화하기 위해, 3개의 자연석(4)이 한데 모여져서, 그 자연석(4)의 이웃하는 것끼리가, 그 측면에서, 연결 플레이트(2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이 각 자연석(4)의 상부에는, 걸기 구멍(24)을 갖는 매달기 금구(23)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각 자연석(4)의 매달기 금구(23)의 걸기 구멍(24)에 매달기 수단인 훅(19)을 걸므로써, 그 돌 유지 유닛(1)은, 크레인(20) 등을 사용하여 시공면의 소정 장소에 매달려 반송된다. 돌 유지 유닛(1)이 소정의 개소에 반송된 후는, 각 자연석(4)의 매달기 금구(23)로부터, 매달기의 훅(19)이 빠질 뿐만 아니라, 매달기 금구(23) 자체도 빠져서, 그 매달기 금구(23)로 인한 상처를 입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매달기 금구(23)를 자연석(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으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연석(4)에 부착 구멍(13)을 형성하고, 그 부착 구멍(13)에 인서트 너트(도시 생략)를 매설 고정하고, 그 인서트 너트와 볼트(25)에 의해 상기 매달기 금구(23)를 자연석(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일이 행해진다.
제 17∼도 20에 도시하는 제 5 실시형태는, 시공면(28)에 부설된 대략 정방형 형상의 돌 유지 유닛(1)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즉, 각 돌 유지 유닛(1)은, 그 네 모퉁이의 각 모서리부(각 모퉁이부)에서의 교차부(11)에서, 띠재(5, 6), 띠형상 부재(10)와 함께, 띠형상의 연결판(27)을 연결하고 있고, 이 각 연결판(27)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연결판(27a)과 제 2 연결판(2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결판(27a)은, 그 일단부가 교차부(11)에볼트(7)와 너트(8)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그 제 1 연결판(27a)의 타단은, 그 교차부(11)로부터,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돌 유지 유닛(1)의 대각선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그 제 1 연결판(27a)의 타단부는, 당해 교차부(11)에 배치되는 자연석(4)의 하중을 직접 받지 않는 위치, 즉 그 자연석(4)의 직경방향 바깥쪽 위치에 도달하게 되어 있다. 제 2 연결판(27b)은, 그 일단부가 제 1 연결판(27a)의 타단부에 볼트(29)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판(27b)은, 돌 유지 유닛(1)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지고, 그 후에 그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선단부)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되돌려지고, 그 타단부에는, 제 2 연결판(27b)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러한 돌 유지 유닛(1)을 시공면(28)에 다수 부설한 경우에는, 각 돌 유지 유닛(1) 모서리부의 자연석(4)이 구획하는 공간(31)에서, 그 각 돌 유지 유닛(1)의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가, 시공면(28)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위치되고(도 17, 도 18 참조), 그 각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는, 자연석(4)의 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연결판(27a)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운동 조정으로써 간단하게 서로 겹치게 된다. 이 각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의 겹침에 의해, 그 각 제 2 연결판(27b) 타단부의 긴 구멍(30)이 관통 구멍(32)(도 20 참조)을 형성하게 되고, 그 관통 구멍(32)에 섀클 등의 연결구(33)가 통과시켜져서 그 각 타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게 된다. 이 각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를 중첩할 때는, 제 1 연결판(27a)이 캔틸레버 상태로 돌 유지 유닛(1)의 교차부(11)에 연결되어서, 연결판(27)에 어느 정도의 스프링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각 제 2 연결판(27b)을 순차적으로, 휘게 함으로써, 그 각 타단부를 간단하게 중첩할 수 있고, 그 각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의 중첩 상태에서는, 각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의 판면은, 각 연결판(27)의 스프링력으로 인해 밀접하게 맞닿게 된다.
따라서 시공면(28)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1)을 부설한 경우에는, 그 각 돌 유지 유닛(1)에 사용되는 자연석(4)이 소정 크기 이상의 큰 것으로 인해 돌 유지 유닛(1) 상호간의 간극이 좁은 상태에서 깊어져, 작업자는 돌 유지 유닛(1) 끼리의 연결 작업을 행하기 어렵게 되지만, 각 연결판(27)의 제 2 연결판(27b)이 기립하여 연결 부분의 높이를 확보하여, 작업자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므로, 돌 유지 유닛(1)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큰 자연석(4)이 사용된다고 해도, 각 돌 유지 유닛(1)끼리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연결 작업시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판이 제 1, 제 2 연결판(27a, 27b)으로 구성되고, 제 2 연결판(27b)이 소정 크기 이상의 무거운 자연석(4)의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그 제 2 연결판(27b)을 제 1 연결판(27a)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운동 시켜서, 연결해야 할 각 제 2 연결판(27b)의 타단부를 간단하게 중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각 돌 유지 유닛(1)(기반(16))의 각 모서리부가, 이웃하는 별도의 돌 유지 유닛(1)의 모서리부에 연결되어, 거의, 각 돌 유지 유닛의 네 모퉁이부가 다른 돌 유지 유닛(1)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돌 유지 유닛(1) 끼리의 연결에 대한강도(신뢰성)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각 돌 유지 유닛(1)의 띠재(5(6))의 각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경우(도 1 참조)에 비해, 연결구(2(33))의 사용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연결구를 사용하는 작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제 6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1)(이하, 이 실시형태에서 이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부호 1a를 사용함)과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1)(이하, 이 실시형태에서 이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부호(1b)를 사용함)을 조합하여, 자연석(4)을 다단으로 쌓은 돌 유지 유닛(1)을 도시하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 유지 유닛(1a)에서의 4개의 자연석(4) 마다, 그 중앙부에서 돌 유지 유닛(1b)을 배치하고, 그 돌 유지 유닛(1b)에서의 띠재(5(6))의 단부를, 앵커(34)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제조시에는, 먼저, 돌 유지 유닛(1a)을 준비하고, 그 돌 유지 유닛(1a)에서의 4개의 자연석(4)의 중앙부에 돌 유지구(3)를 각각 배치한다(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다음에 그 돌 유지구(2)에서의 각 띠재(5(6))의 단부의 구멍(9)을 드릴의 안내 구멍으로 하여 이용하고, 돌 유지 유닛(1a)에서의 4개의 각 자연석(4)에 부착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다음에 각 자연석(4)의 부착 구멍에 띠재(5(6))에서의 각 단부의 구멍(9)을 통하여 앵커(34) 박아 넣고, 각 자연석(4)과 돌 유지구(3)(띠재(5, 6))의 각 단부를 연결한다. 이 다음, 그 각 돌 유지구(3)의 교차부(11)에,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자연석(4)을 배치하고, 그 자연석(4)을, 띠형상 부재(10), 부착 앵커(14) 등을 사용하여,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돌 유지구(3)에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자연석(4)을 다단으로 쌓은 돌 유지 유닛(1)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제 7 실시형태에는, 각 띠형상 부재(10)로서, 자세상태 비유지성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자세상태 비유지성 부재는, 소재로서, 자기의 성질에 기초하여 자세상태를 유지할 수 없든지 또는 자세상태 유지력이 극히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인장 강도가 강하여, 상정하는 큰 인장 하중이 작용해도, 끊어지거나, 신장하여 가늘어지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자세상태 비유지성 부재로서는, 폴리에스텔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등을 짜서 형성한 직물재가 사용되고 있고, 이 직물재로 이루어지는 띠형상 부재(10)는, 폭, 두께에 관하여, 폭 30㎜∼100㎜, 두께 2∼10㎜ 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띠형상 부재(10)에 한층더, 높은 강도가 요구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직물재를 복수매 겹쳐서 일체화(접착, 봉제 등에 의해 일체화) 한 것을, 띠형상 부재(10)로서 사용하거나, 직물재의 짜는 방법으로서, 인장 하중이 작용했을 때 등에 직물재가 신장하여 가늘어지지 않도록 방법이 적당하게,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띠형상 부재(10)에 사용되는 직물재로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자체가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직물재자체 또는 그 직물재를 구성하는 섬유에 내마모성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띠형상 부재(10)의 내마모성을 높이는 것도 행해진다.
이러한 띠형상 부재(10)도,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가 띠재(5, 6)의 교차부(11)에 연결되고, 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가, 그 각 단부에 형성되는 구멍(12), 자연석(4)의 부착 구멍(13), 부착 앵커(14)를 이용함으로써, 자연석(4)에 연결된다(도 23에서는, 가상선으로 1개의 자연석을 연결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다른 개소에서의 자연석(4)의 연결에 관해서는 생략). 이 경우, 직물재로 이루어지는 띠형상 부재(10)가, 그 자세상태 비유지성에 기초하여,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보다도 연장 방향 외측부분이 약간의 작업자의 힘으로 자유롭게 자세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취급성의 향상), 띠형상 부재(10)를 자연석(4)의 표면을 따르게 하면서 연결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띠형상 부재(10)가, 그 자세상태 비유지성에 기초하여, 자연석(4)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따르게 되므로, 띠형상 부재(10)가 쓰레기 등을 걸어 당기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자연석(4)에 대한 띠형상 부재(10)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특히 자연석에 대한 띠형상 부재(10)의 유지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띠형상 부재(10)의 폭을 될 수 있으면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석(4)에 대한 띠형상 부재(4)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여, 그 접촉 면적이 증대한 띠형상 부재(10)가, 자연석(4)의 이동을 규제하려고 해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재(5, 6)에 의해 기반(16)을 격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적용하여 설명했지만, 그 밖의 기반,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재(5, 6)에 의해 기반(16)을 +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 등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 7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자연석(4)에 대한 연결부를,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에 한하지 않고, 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를 포함하는 띠형상 부재(10)(판면) 대략 전체로 해도 좋다. 띠형상 부재(10)의 자세상태 비유지성에 기초하여, 자연석(4) 표면에 대한 띠형상 부재(10)의 접촉면의 면적이 각별히 증대하게 되고, 그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하면, 자연석(4)에 대한 띠형상 부재(10)의 유지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도 24, 도 25에 도시하는 제 8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제 8 실시형태에서는, 자연석(4)의 기반(16)밖으로의 구름 방지와, 격자 형상의 기반(16)의 변형 억제를 높인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즉, 기반(16)의 주위에 위치하는 각 교차부(11)보다도 기반(16) 내측에서, 띠형상 부재(10)가, 그 각 교차부(11) 근방위치에서의 띠재(5, 6)에 고정구(볼트, 너트 등)(10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각 교차부(11) 부근에서, 띠재(5)와 띠재(6)와 띠형상 부재(10)에 의해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구조(102)가 형성되어 있다(도 24 참조). 한편, 자연석(4)은, 기반(16)에의 재치시, 그 하면 중앙부가 교차부(11)상에 위치하고, 자연석(4)의 중심이 교차부(11) 위쪽에 위치하게 되어, 이 자연석(4)이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10a)에 의해 연결되었을 때에는(도 25에서는, 부착 앵커(14)는 도시 생략), 그 자연석(4)과 띠형상 부재(10)와의 연결부는, 교차부(11)(볼트(7))로부터 기반(16) 안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된다(도 24, 도 25 참조). 이 때문에, 이러한 구조에서는, 자연석(4)에 외력이 작용하여 자연석(4)을 기반(16)의 외측으로 구르게 해도, 그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띠재(5)와 띠재(6)와 띠형상 부재(10)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 보아 삼각형인 각 연결구조(102)는, 띠재(5, 6)와의 직각 배치 관계를 보강하게 되어, 격자 형상의 기반(16)의 변형을 억제하게 된다. 특히 이 경우, 기반(16)에서의 네 모퉁이부의 직각 구조가 보강되면, 변형 억제에 효과적이므로, 적어도 기반(16)의 네 모퉁이부에 위치하는 띠형상 부재(10)에 대하여 상기 배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연석(4)이 기반(16)의 외측으로 구르려고 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연결구조(102)로써 띠재(5, 6)의 직각 배치 관계도 보강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띠형상 부재(10)로서는, 기립 변형 가능하게 하면서도,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는 강도(강성)를 갖는 금속제 부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부재(10)를, 그 각 교차부(11) 근방위치에서의 띠재(5, 6)의 각 상면에 고정구(101)에 의해 연결하게 되어 있는데, 띠형상 부재(10)를, 그 각 교차부(11) 근방 위치에서의 띠재(5, 6)의 각 하면,또는 띠재(5)의 상면(또는 하면)과 띠재(6)의 하면(상면)에 연결하는 등, 적당한 태양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태양을 포함한다.
(1) 돌로서, 의석(擬石)(4) 대신에 모조석을 사용하는 것.
(2)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를 돌에 부착할 때에는, 부착 앵커(14) 대신에, 다른 수단으로서, 접착제나, 볼트, 너트(한쪽을 돌에 매설함) 등을 사용하는 것.
(3)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매달기 금구(23)를, 제 1 실시형태 등에서, 자연석(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것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석(4)을 기반(16)의 교차부(11)에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4) 돌 유지 유닛(1)을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기반을, 돌(4)에 덮히도록 하여, 기반을 보기 어렵게 하거나, 이웃하는 돌 유지 유닛(1)과의 연결의 작업성도 고려하여, 기반(16)을, 돌(4)로부터 약간, 돌출해 보이도록 하는 것.
(5) 제 4 실시형태에서, 연결 플레이트(22)에 대신에, 각 자연석(4)에 부착도구를 설치하고, 그 부착도구 사이를 체인이나 복수의 섀클에 의해 연결하는 것.
(6) 제 5 실시형태에서, 연결판으로서, 제 1, 제 2 연결판을 일체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
(7) 제 1 실시형태에서, 돌 유지 유닛(1)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모든 띠재(5(6))의 단부에 사용하지 않고, 수를 줄여서 사용하는 것.
(8) 기반(16)으로서, 격자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평판 형상의 것 등, 여러 것을 사용하는 것.
(9) 어류에 대하여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띠형상 부재(10) 및 기반(16)의 표면에 갈색이나 흑색 등의 색채를 칠하는 것.
(10) 자연석(4)이 길어서 크기 때문에, 그 자연석(4)이 기반(16)의 복수의 교차부(11)를 타고 넘도록 배치되는 경우, 그 1개의 자연석(4)에 대하여, 복수의교차부(11)에서의 띠형상 부재(10)의 단부(10a)를 각각 연결하는 것.
(11)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에 구멍(12)을, 그 띠형상 부재(10)의 연장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하여 복수(예를 들면 2개) 설치하고, 각 단부(10a)를, 그 각 단부(10a)에서의 복수의 구멍(12), 그 각 구멍(12)으로부터 각각 박아 넣는 부착 앵커(14) 등에 의해, 자연석(4)에 연결하는 것. 이것에 의해, 자연석(4)에 대한 연결부인 띠형상 부재(10)의 양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자연석(4)이 회전하려고 하는 것을,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에 구멍(12)을 1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2) 띠형상 부재(10)를 연결할 자연석(4)이 상정하고 있었던 것보다도 클 경우에, 띠형상 부재(10)의 각 단부(10a)에 연결 플레이트(금속제, 직물제 등)를 연결해서, 띠형상 부재(10)의 길이를 연장하여, 그 띠형상 부재(10)의 구성 요소가 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자연석(4)에 연결하는 것.
(13) 띠형상 부재(10)를, 그 연장 방향 내측 부분에 있어서 금속제로 하는 한편, 그 연장 방향 양측부분을 직물제로 하는 것. 이것에 의해, 띠형상 부재(10)에서의 금속제 부분이 기립 소성변형 가능한 것을, 자연석(4)의 하부 표면에 대략 따르게 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고, 띠형상 부재(10)의 직물제 부분이 취급 용이한 것을, 자연석(4)에 대한 연결 작업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4) 제 5 실시형태(도 17∼도 20)에서의 돌 유지 유닛(1) 끼리의 연결구조(연결판(27))를, 각 돌 유지 유닛(1)의 모서리부 이외, 예를 들면 돌 유지 유닛(1)에서의 각 변부의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 연결구조(연결판(27))를 설치하는 것.
(15) 돌 유지 유닛(1) 끼리를 연결할 때에, 돌 유지 유닛(1)에서의 기반(16)을 구성하는 띠재(5(6))의 일부의 것을 연장하고, 그것을 이웃하는 돌 유지 유닛(1)의 띠재(5(6))와 겹치고, 그 겹친 띠재(5(6))의 상호 구멍(9)에 대하여 섀클 등의 연결구를 통과시키는 것(연결하는 것). 예를 들면 돌 유지 유닛(1)에서의 각 변부의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띠재(5(6))를 연장하여 상기 연결을 행하는 것.
(16) 제 7 실시형태에서,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선재를, 직물재로 이루어지는 띠형상 부재(10)에 편입하고, 직물재로 이루어지는 띠형상 부재(10)를 기립 소성변형 가능하게 하는 것.
(17) 돌 유지구(3)에 유지된 각 자연석(4) 사이에 개재물을 개재시켜서, 각 자연석(4)의 기반(16)내측에의 자세변경을 규제하고, 이것에 의해 기반(16)이 내측에 변형하는 것(매달 때 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그 상태(각 자연석(4)이 개재물을 통하여 일체화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돌 유지 유닛(1)의 주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자연석(4)의 주위에 대하여 수지 시트(에틸렌 수지, EVA 수지 등)를 감는 것. 이것에 의해, 돌 유지 유닛(1)을 매달기 반송한다고 해도, 기반(16)이 크게 휘는 것이 억제되게 되어, 돌 유지 유닛(1)의 매달기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자연석(4)의 주위를 감는 수지 시트의 권수는, 수지 시트의 강도, 성질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2∼3중 감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또는 이점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그 띠형상 부재가,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돌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 유지구에서의 기반상에 재치되는 소정크기 이상의 돌에 대하여, 기립 소성변형되는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띠형상 부재를 통하여 기반에 돌을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돌을 기반에 유지시킬 때에, 돌을 들어 올릴 필요도, 돌이 일체화된 기반을 반전시킬 필요도 없어져, 돌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돌 유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당해 돌 유지구를 사용하면, 작업자는, 단순한 기립 작업하에서, 돌의 유지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돌을 얹고 하측으로부터 유지 작업을 행하는 강고한 작업대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되어서, 돌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 사이에 돌을 가져오면(넣으면),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를, 돌의 표면을 적확하고 또한 간단하게 따르게 하면서, 상기 돌에 연결할 수 있어, 기반에 대한 돌의 부착 작업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된다.
청구항 3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에, 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연결구멍을 이용하여,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를 자연석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자연석에 대한 연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그 연결구멍을, 돌에 부착 구멍을 형성할 때에, 드릴 등의 안내 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띠형상 부재를 원하는 상태(돌 표면을 따르게 한 상태)에서 돌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기반에 따르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 유지구를 시공 현장에 운송할 때에, 복수의 것을 겹쳐 쌓아서 운송할 수 있게 되어, 운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튀어나오지 않고 평평하므로, 취급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복수로 되어 있으므로, 기반상에 복수의 돌을 띠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복수 갖는 돌 유지 유닛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이, 띠재를 교차시켜서 배치함으로써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띠재의 각 교차부에 띠형상 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띠형상 부재에 의해 복수의 돌을 기반에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돌을 각 교차부에서 적확하게 받아내고, 기반을 통하여 복수의 돌을 시공면에 적확하게 들어 올려 반송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써 만들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의 고안에 의하면, 각 띠형상 부재가, 띠재의 각 교차부에서, 겹치는 이 띠재 사이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이 띠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겹치는 양 띠재의 관계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띠형상 부재를 견고하게 기반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의 고안에 의하면, 각 띠형상 부재가,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되어서, 돌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각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 사이에 돌을 가져오면(넣으면), 그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 판면을 돌의 표면을 따르게 하는 원하는 상태로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돌에 대한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의 연결을 적확하고 또한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기반에 대한 돌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된다.
청구항 9의 고안에 의하면, 각 띠형상 부재가 기반을 따르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 유지구를 시공 현장에 운송할 때에, 복수의 것을 겹쳐 쌓아서 운송할 수 있게 되어, 운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튀어나오지 않아 평평하므로, 취급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이, 소정 크기의 돌을 1개만 재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고, 그 기반의 대략 중앙부에 띠형상 부재가 1개만 연결되어 있으므로, 소정 크기 이상의 1개의 돌을 띠형상 부재에 의해 유지하여, 1개의 돌을 유지한 돌 유지 유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이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을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로써 돌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사용되고 있어도, 작업자의 기립자세의 조립 작업이 가능한 상황하에서,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돌에 대한 연결부로서 이용되고 있어, 돌 유지 유닛으로서, 돌을 기반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돌에 대하여 상기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이 존재하는 높이까지의 범위에서 기립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기립자세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띠형상 부재가 돌의 상방측으로부터 보기 어렵게 되어, 외견상 주체를 돌로 하여, 주위의 자연 환경(자연경관)에 융화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의 판면이 돌의 표면을 따르게 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띠형상 부재가 돌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규제하여, 사용시에, 유입도는 쓰레기 등을 띠형상 부재가 걸어 두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4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이, 띠재를 교차시켜서 배치함으로써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띠재의 각 교차부에 띠형상 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띠형상 부재에 의해 복수의 돌을 기반에 연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각 돌을 각 교차부에서 적확하게 받아내어, 기반을 통하여 복수의 돌을 시공면에 적확하게 들어 올려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가능한 한 적은 재료로써 만들 수 어고, 당해 돌 유지 유닛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5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이, 띠재를 교차시켜서 배치함으로써 대략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띠재의 교차부에 띠형상 부재가 1개 연결되어 있으므로, 돌 유지 유닛으로서, 소정 크기 이상의 1개의 돌을 기반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당해 돌 유지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그다지 크지 않게, 또 불규칙한 시공면이라도, 당해 돌 유지 유닛의 수를 조정하여, 그 시공면에 대하여 적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6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띠재의 교차부에서, 겹치는 이 띠재 사이에 끼워 지지된 상태에서 이 띠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겹치는 양 띠재의 관계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각 띠형상 부재를 견고하게 기반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7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돌에 대하여 상기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이 존재하는 높이 까지의 범위에서 기립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기립자세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띠형상 부재가 돌의 상방측으로부터 보기 어렵게 되어, 외견상 주체를 돌로 하여, 주위의 자연 환경(자연경관)에 융화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8의 고안에 의하면, 시공면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이 부설되고,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기반상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이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을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를 가지고상기 돌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11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사용하여 토목구축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9의 고안에 의하면, 모서리부에, 띠형상의 연결판을 부착할 수 있고, 연결판이, 기반의 바깥 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연결판의 선단부가, 다른 돌 유지 유닛에서의 연결판의 선단부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 유지 유닛을 시공면에 다수 부설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큰 돌에 의해 이웃하는 돌 유지 유닛 사이의 간극이 좁게 또한 깊게 된다고 해도, 연결판의 선단부가 작업할 수 있는 일정한 높이을 확보하게 되어, 각 돌 유지 유닛을, 그 모서리부 주위의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적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각 돌 유지 유닛을, 모서리부에서 서로 연결하므로, 적은 수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돌 유지 유닛끼리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0의 고안에 의하면, 연결판이, 상기 기반을 따르면서, 이 기반의 내측으로부터 이 기반의 대략 대각선 방향 바깥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반 모서리부에서의 돌의 하부로부터 드러나도록 연장되는 제 1 연결판과, 상기 제 1 연결판에 상기 돌의 하부로부터 드러나는 부분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기반의 바깥 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연결판의 선단부가, 다른 돌 유지 유닛에서의 연결판의 선단부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으므로, 소정 크기 이상의 무거운 돌의 하중을 제 2 연결판이 받는 일이 없어지고, 그 제 2 연결판을 제 1 연결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연결해야 할 돌 유지 유닛에서, 제 2 연결판의 선단부끼리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돌 유지 유닛끼리의 연결 작업을 한층더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1의 고안에 의하면, 시공면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이 부설되고,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기반상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부에, 띠형상의 연결판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판이, 상기 기반의 바깥 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되고,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이 각 돌 유지 유닛의 모서리부에서, 다른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상기 연결판의 선단부끼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19에 관계되는 돌 유지 유닛을 사용하여 토목구축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2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 유지구를 사용하여 형성된 돌 유지 유닛을, 다른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3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과 띠형상 부재를 가지고,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그 띠형상 부재가,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기반에서의 연결부에 대하여 자세변경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돌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 유지구에서의 기반상에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재치한 점에서, 기반에서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띠형상 부재의 자세를 변경하고, 그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를 돌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돌을 기반에 유지시킬 때에, 돌을 들어 올릴 필요도,돌이 일체화된 기반을 반전시킬 필요도 없어지고, 돌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돌 유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당해 돌 유지구를 사용하면, 작업자는, 단순한 기립자세의 작업하에서, 돌의 유지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돌을 얹고 하측으로부터 유지 작업을 행하는 튼튼한 작업대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질 뿐만아니라, 현장에서도,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4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가, 자기의 성질에 기초하여 자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자세 상태 비유지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띠형상 부재의 자세상태 비유지성에 기초하여 띠형상 부재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를 돌에 연결하는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띠형상 부재의 자세상태 비유지성에 기초하여, 띠형상 부재의 판면을 돌의 표면에, 보다 따르게 할 수 있게 되어, 돌에 대한 띠형상 부재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쓰레기 등을 당해 띠형상 부재가 걸어당기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5의 고안에 의하면, 자세상태 비유지성 부재로서, 직물재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직물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청구항 24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6의 고안에 의하면, 띠형상 부재의 자세상태 비유지성을 이용하여, 그 띠형상 부재의 판면의 대략 전체를 돌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접촉시킬 수 있고,연결 수단으로서 접착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그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띠형상 부재의 대략 전체를, 돌에 대하는 연결부로서, 돌에 연결 할 수 있게 되어, 돌을 띠형상 부재를 통하여 기반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7의 고안에 의하면, 기반이, 띠재끼리를 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일체화 함으로써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띠형상 부재가, 기반의 주위에 위치하는 띠재끼리의 각 교차부보다도 이 기반의 안쪽에서, 이 각 교차부를 형성하는 띠재에 걸치도록 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교차부상에 돌을 재치하는 동시에, 그 돌을 띠형상 부재로 연결하면, 돌과 띠형상 부재와의 연결부의 위치가, 돌의 중심(교차부)으로부터 안쪽에 치우쳐서 위치하게 되어, 돌에 대하여 기반 바깥쪽을 향한 외력이 작용해도, 기반 외측에 돌이 구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7)
-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기 위한 돌 유지구에 있어서,기반과 띠형상 부재를 가지고,상기 기반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돌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되어, 상기 돌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에, 상기 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을 따르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복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기반이, 띠재를 교차시켜 배치함으로써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재의 각 교차부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각 띠형상 부재가, 상기 띠재의 각 교차부에서, 중첩하는 상기 띠재 사이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띠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각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소성변형되어, 상기 돌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각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을 따르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기반이, 상기 소정 크기의 돌을 1개만 재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고,상기 기반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1개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기반상에 유지하는 돌 유지 유닛에 있어서,상기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을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에 대하여 상기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이 존재하는 높이까지의 범위에서 기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의 판면이 상기 돌의 표면을 따르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기반이, 띠재를 교차시켜 배치함으로써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띠재의 각 교차부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기반이, 띠재를 교차시켜 배치함으로써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띠재의 교차부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1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띠재의 교차부에서, 중첩하는 상기 띠재 사이에 끼워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띠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에 대하여 상기 띠형상 부재의 각 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 돌의 수평방향에서의 최대 직경이 존재하는 높이까지의 범위에서 기립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시공면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이 부설되고,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기반상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반에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이 띠형상 부재의 양 단측을 상기 기반에 대한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립 변형시킨 상태로 상기 돌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
-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기반상에 유지하는 돌 유지 유닛에 있어서,상기 기반의 모서리부에, 띠형상의 연결판이 부착되고,상기 연결판이, 상기 기반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도록 연장되고,상기 연결판의 선단부가, 다른 돌 유지 유닛에서의 연결판의 선단부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판이, 상기 기반을 따르면서, 상기 기반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기반의 대략 대각선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반 모서리부에서의 돌의 하부로부터 드러나도록 연장되는 제 1 연결판과, 상기 제 1 연결판에 상기 돌의 하부로부터 드러나는 부분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기반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연결판을 구비하고,상기 제 2 연결판의 선단부가, 다른 돌 유지 유닛에서의 연결판의 선단부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시공면에 다수의 돌 유지 유닛이 부설되고,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이 기반상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반의 모서리부에, 띠형상의 연결판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판이, 상기 기반의 바깥쪽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것으로 되고,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은, 상기 각 돌 유지 유닛의 모서리부에서, 다른 돌 유지 유닛에 대하여, 상기 연결판의 선단부끼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기반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 유닛.
- 소정 크기 이상의 돌을 유지하기 위한 돌 유지구에 있어서,기반과 띠형상 부재를 가지고,상기 기반에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돌을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그 판면으로 연결되고,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연장 방향 대략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상기 기반에서의 연결부에 대하여 자세변경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돌에 대한 연결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띠형상 부재가, 자기의 성질로 인해 자세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자세상태 비유지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자세상태 비유지성 부재로서, 직물재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25 항에 있어서,상기 돌에 대한 연결부가, 상기 띠형상 부재의 양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띠형상 부재의 대략 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기반이, 띠재끼리를 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일체화 함으로써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기반의 주위에 위치하는 상기 띠재 끼리의 각 교차부보다도 상기 기반의 안쪽에서, 상기 각 교차부를 형성하는 띠재에 걸치도록 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124254 | 2003-04-28 | ||
JP2003124254 | 2003-04-28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9440A Division KR100602105B1 (ko) | 2003-04-28 | 2004-04-28 |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돌 유지 유닛의 조립 방법 및토목구축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6139Y1 true KR200356139Y1 (ko) | 2004-07-14 |
Family
ID=37373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9440A KR100602105B1 (ko) | 2003-04-28 | 2004-04-28 |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돌 유지 유닛의 조립 방법 및토목구축물 |
KR20-2004-0011974U KR200356139Y1 (ko) | 2003-04-28 | 2004-04-29 |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및 토목구축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9440A KR100602105B1 (ko) | 2003-04-28 | 2004-04-28 |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돌 유지 유닛의 조립 방법 및토목구축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844851B2 (ko) |
KR (2) | KR10060210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671B1 (ko) * | 2007-05-22 | 2010-03-12 | 용두조경개발(주) | 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 장치 |
KR101174262B1 (ko) * | 2012-01-05 | 2012-08-14 | 이길구 | 제방 보호 부재 |
KR101345575B1 (ko) | 2012-10-08 | 2013-12-27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자연석 결합 매트형 호안재 |
JP7385455B2 (ja) * | 2019-12-13 | 2023-11-22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KR102714325B1 (ko) * | 2023-12-29 | 2024-10-14 | 주식회사 원스톤 | 결속형 스톤네트 및 그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7745Y2 (ja) * | 1993-12-15 | 1999-07-12 | 環境工学株式会社 | 自然石保持ユニット |
JPH10280360A (ja) | 1997-04-02 | 1998-10-20 | Kyowa Concrete Ind Co Ltd | 塊体を連設したマット |
JPH11117257A (ja) * | 1997-08-13 | 1999-04-27 | Sanki Block Kk | 護岸用ブロック |
JPH11152727A (ja) * | 1997-09-17 | 1999-06-08 | Hokuetsu:Kk | 石材等を用いた布設体 |
JP4083931B2 (ja) * | 1999-08-10 | 2008-04-30 | 道男 龍嶋 | 石材の連結固定工法 |
JP2001107336A (ja) * | 1999-10-08 | 2001-04-17 | Hatanaka Sekizai Kk | 自然石固着シート |
KR200240430Y1 (ko) | 2001-04-21 | 2001-10-12 | 김달환 | 자연석을 이용한 호안 법면(法面) 보호구조 |
JP2003171920A (ja) * | 2001-12-07 | 2003-06-20 | Nangoku Doboku Koji:Kk | 自然石固着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多自然型工法 |
KR200272950Y1 (ko) | 2002-01-25 | 2002-04-20 | 이춘우 |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
JP2003239249A (ja) * | 2002-02-20 | 2003-08-27 | Shikoku Jari:Kk | 護岸用既製岩石塊連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3652335B2 (ja) * | 2002-07-31 | 2005-05-25 | 株式会社南国土木工事 | 自然石固着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多自然型工法 |
-
2004
- 2004-04-28 KR KR1020040029440A patent/KR1006021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4-29 KR KR20-2004-0011974U patent/KR2003561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9-16 JP JP2008236618A patent/JP484485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3453A (ko) | 2004-11-05 |
JP2009019497A (ja) | 2009-01-29 |
KR100602105B1 (ko) | 2006-07-25 |
JP4844851B2 (ja) | 2011-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796249B (zh) | 形状保持型吊运式长方体包 | |
KR101215356B1 (ko) | 파일 인양용 기구 | |
JP4844851B2 (ja) | 石保持ユニット及び土木構築物 | |
EP2921754B1 (en) | An improved lifting assembly | |
KR20120095156A (ko) | 소파 블록의 부설법 | |
JP4205625B2 (ja) | 石保持具、石保持ユニット、石保持ユニットの組立方法及び土木構築物 | |
JP5421805B2 (ja) | 吊り具及び杭のブラケット | |
JP6646220B2 (ja) | 吊り天井用の吊り鉄骨フレームの施工方法 | |
JP2000045302A (ja) | 土木構築物用施工石、土木構築物用施工石の製造方法、土木構築物用施工石の使用方法、土木構築物用施工石ユニット及び土木構築物 | |
JP3069315B2 (ja) | リーダレスオーガの作業方法及び装置 | |
JP7002189B2 (ja) | アーチ状構造物形成方法及びアーチ状構造物の骨組 | |
JP4981415B2 (ja) | ポール間にネットを張る方法 | |
CN214653051U (zh) | 一种人工挖孔桩提升装置 | |
CN217629981U (zh) | 一种对沟槽开挖施工中对现有燃气管道保护的防护装置 | |
CN214537601U (zh) | 一种基于螺旋网的伪装网 | |
JPH09217327A (ja) | 護岸、自然石保持ユニット組立体、自然石保持ユニット | |
JP5537332B2 (ja) | ふとん篭の吊上用基材および当該吊上用基材を用いたふとん篭の敷設方法 | |
JP4100109B2 (ja) | 砂面安定化構造体 | |
JP2015218510A (ja) | 除雪用シート | |
CN211000322U (zh) | 一种新型抗菌涤纶面料 | |
CN209413921U (zh) | 一种多功能作业平台 | |
JP4461126B2 (ja) | 法面植栽用土留め資材 | |
EP0874097A2 (en) | Lifting chair and method of lifting | |
JP3765102B2 (ja) | 傾斜地における工事の施工方法 | |
JP2005143381A (ja) | 樹木の転倒防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