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50Y1 -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 Google Patents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50Y1
KR200272950Y1 KR2020020002481U KR20020002481U KR200272950Y1 KR 200272950 Y1 KR200272950 Y1 KR 200272950Y1 KR 2020020002481 U KR2020020002481 U KR 2020020002481U KR 20020002481 U KR20020002481 U KR 20020002481U KR 200272950 Y1 KR200272950 Y1 KR 200272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oncrete
wire mesh
artificial stone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2020020002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50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문양의 형틀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같은 넓이의 철망을 놓은 후 인조석 형틀에 콘크리트 레미콘을 부어 넣고 굳힌 다음 형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돌모양의 콘크리트 인조석이 철망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태의 스톤매트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이것을 하천의 제방공사에 연속 축조하고 인조석 돌출부 사이를 흙으로 복토 한 후 종자를 파종하여 식물을 키우면 돌과 식물이 어우러진 모양의 아름다운 경관을 창출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철망사이로 제방의 토사유출 우려가 있으므로 본 고안은 철망 하부에 토사유출은 막고 식물의 뿌리는 통과시켜 주는 코코넛섬유매트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omitted}
본 고안은 콘크리트를 원료로 만든 돌모양의 인조석을 철망에 서로 연결한 스톤매트로서 이것을 하천의 제방축조에 응용하는 기술분야이다.
기존에 나와 있는 제품은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형태로 그 블록의 가장자리나 중간에 돌문양의 돌출부를 둔 것인데 시공 후 돌문양의 돌출부 사이를 흙으로 복토하고 식물을 식재하면 본 고안품이나 인조석 블록이나 그 경관은 같게 되지만 인조석 블록의 경우 제방 표면의 요철부분이나 곡선부위에 연속 축조할 경우 블록과 블록 사이가 밀착되지 않아 그 사이를 시멘트 몰탈로 채우는 등 일체형으로 고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낱개의 콘크리트 인조석을 유연성이 높은 철망에 고정킨 매트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방 표면의 요철 부분이나 곡선 부위등 제방의 지형에 잘 적응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로 인조석을 만들고 이것을 철망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이것을 하천의 제방에 적용할 경우 철망사이로 토사유출이 우려되는데 대한 대책으로 침식방지매트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침식방지매트는 제방의 토사유출을 막아주면서 식물의 뿌리는 통과시켜 원지반에 활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도 1은 인조석 스톤매트의 평면도
도 2는 인조석 스톤매트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콘크리트 인조석
20:철망
30:침식방지용 코코넛섬유매트
40:콘크리트 인조석과 철망을 고정시켜주는 연결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콘크리트 인조석(10)이 철망(20)위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 준다.
도 2는 콘크리트 인조석(10)이 연결핀으로 철망(2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와 철망 밑에 침식방지용 코코넛섬유매트(30)가 부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돌문양의 형틀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고 위에 같은 넓이의 철망(20)을 놓은 후 인조석 형틀에 콘크리트 레미콘을 부어 넣고 굳힌다음 형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만든 돌모양의 콘크리트 인조석(10)들이 철망(20)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태의 스톤매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인조석(10)과 철망(20)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공정 없이 콘크리트 레미콘을 타설함과 동시에 인조석과 철망이 일체형으로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철망에는 인조석 형틀이 배치되는 위치의 중앙에 연결핀(40)이 부착되어 있어 이 연결핀(40이 콘크리트 레미콘 타설시 함께 묻혀 굳음으로서 서로 고정되는 것이다.
철망에 고정된 콘크리트 인조석(10)들은 각각 독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철망(2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철망의 철선 굵기를 2내지 5mm를 사용하면 곡선 부위에도 잘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고 쉽게 절단할 수도 있어 작업성이 뛰어나다. 또한 스톤매트의 연속 축조방법은 철망의 끝부분을 철선으로 묶어 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하며 현장 상황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철물앙카를 박아 제방과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철선은 녹이 슬지 않도록 아연도금 철선을 사용한다.
콘크리트 인조석이 철망으로 연결된 스톤매트를 하천의 제방축조에 사용하면 토목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철망사이의 공간으로 제방의 토사가 유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고안에는 철망 하부에 코코넛섬유매트(30)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제방의 토사는 유출되지 못하게 막으면서 식물의 뿌리는 통과시켜 원지반에 활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품을 하천의 제방공사시 호안블록 용도로 연속축조 한 후 콘크리트 인조석(10)사이의 공간을 흙으로 복토하고 종자를 파종하여 식물을 키우면 돌과 식물이 어우러진 모양의 아름다운 경관을 창출 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제방에 토목적인 안정성을 부여하면서 식물을 도입하여 돌과 식물이 어우러진 자연 경관을 제공하고 생태계의 복원을 꾀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지반 토사의 침식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뿌리를 원지반에 활착시킴으로써 장기적인 사면안정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Claims (1)

  1. 돌문양의 형틀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같은 넓이의 철망(철선의 굵기 2내지 5mm정도)을 놓은 후 인조석 형틀에 콘크리트 레미콘을 부어 넣고 굳힌 다음 형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만드는 돌모양의 콘크리트 인조석(10)들이 철망(20)으로 서로 연결되는 형태의 스톤매트로서 콘크리트 인조석(10)과 철망(20)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공정 없이 콘크리트 레미콘을 타설함과 동시에 인조석과 철망이 일체형으로 되게 하기 위하여 철망에는 인조석 형틀이 배치되는 위치의 중앙에 연결핀(40)이 부착되어 있어 이 연결핀(40이 콘크리트 레미콘 타설시 함께 묻혀 굳힘으로서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천의 제방에 사용될 때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식물의 뿌리는 통과시켜 주는 기능의 코코넛섬유매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호안용 스톤매트.
KR2020020002481U 2002-01-25 2002-01-25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KR200272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481U KR200272950Y1 (ko) 2002-01-25 2002-01-25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481U KR200272950Y1 (ko) 2002-01-25 2002-01-25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950Y1 true KR200272950Y1 (ko) 2002-04-20

Family

ID=7311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481U KR200272950Y1 (ko) 2002-01-25 2002-01-25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105B1 (ko) 2003-04-28 2006-07-25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돌 유지 유닛의 조립 방법 및토목구축물
KR100802197B1 (ko) 2006-01-24 2008-02-11 주식회사 동호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0425B1 (ko) * 2009-12-10 2010-10-29 덕산콘크리트(주) 재활용 골재와 시멘트를 이용한 자연석 모양의 구조체를 갖는 식생 네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105B1 (ko) 2003-04-28 2006-07-25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돌 유지구, 돌 유지 유닛, 돌 유지 유닛의 조립 방법 및토목구축물
KR100802197B1 (ko) 2006-01-24 2008-02-11 주식회사 동호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0425B1 (ko) * 2009-12-10 2010-10-29 덕산콘크리트(주) 재활용 골재와 시멘트를 이용한 자연석 모양의 구조체를 갖는 식생 네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471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492056B1 (ko) 복토유실 방지포트가 구비된 스톤매트리스
KR200272950Y1 (ko) 식생호안용 인조석 스톤매트
KR101662690B1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KR200240391Y1 (ko) 블록형 식생망태
KR200404318Y1 (ko) 친환경적인 사면보강구조
KR200403455Y1 (ko) 식생블럭
KR100192709B1 (ko)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KR20070039017A (ko) 재해를 방지하여 주는 작용과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호안공법
KR20070108464A (ko) 친환경 호안공법
KR200324512Y1 (ko) 식생호안용 인조석 블록
KR200303587Y1 (ko) 다공질 망태블록
KR100710493B1 (ko) 식생 호안블록
CN108411851A (zh) 一种河海围垦区斜坡堤用混凝土板护面结构的施工方法
KR20060125643A (ko) 자연석 형상을 연출하는 자연형 식생블럭 구조체의구성방법
CN208430484U (zh) 消落带边坡绿色防护结构
KR20030077105A (ko)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JPH08199529A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ト覆土ブロック護岸
JP3807801B2 (ja) 法面の緑化工法
KR200263766Y1 (ko) 하천의 굴곡부 방호용 호안부재
KR200324519Y1 (ko) 호안블럭
JPH04118427A (ja) 構築用ブロック
JP3049054U (ja) 人工石連結ブロック
KR200327425Y1 (ko) 다수의 호박돌 형상 구조를 갖는 생태 옹벽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