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647Y1 -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647Y1
KR200354647Y1 KR20-2004-0010405U KR20040010405U KR200354647Y1 KR 200354647 Y1 KR200354647 Y1 KR 200354647Y1 KR 20040010405 U KR20040010405 U KR 20040010405U KR 200354647 Y1 KR200354647 Y1 KR 200354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torage
pottery
kimchi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희
곽혜준
Original Assignee
이두희
곽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희, 곽혜준 filed Critical 이두희
Priority to KR20-2004-0010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곡물류나 김치를 보관용기에 넣은 채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덮개가 구비된 보관용기의 덮개와 보관용기에는 열차단을 위한 단열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보관용기의 내부 공간에 소금이나 간장이 채워지는 보관통을 밀착시켜 설치한 후 상기 보관통의 내부 공간에 보관옹기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관옹기에 곡물 또는 김치를 넣어줄 경우 장기간에 걸쳐 신선하게 보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Cereals and Kimchi storage cabbage}
본 고안은 각종 곡물류나 김치를 보관용기에 넣은 채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농촌에서 생산하는 각종 곡물은 포대에 담아 창고에 보관하거나 가공된 쌀 등은 쌀통에 담아 보관하게 되나, 곡물의 보관기간이 길어질수록 곡물이 쉽게 상하고 신선도가 떨어지며 또한 쌀에서는 쌀벌레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김치는 냉장고에 담아 보관하거나 땅에 묻어 보관하게 되나 겨울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는 땅에 묻어 보관할 수 있으나 외기 온도가 높을 경우 땅에 묻어 보관하는 것도 빨리 숙성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김치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는 전기료가 들고 김치 냉장고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각종 곡물류나 김치 등을 보관용기에 담아두면 전기를 사용하여 강제로 온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장기간에 걸쳐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덮개가 구비된 보관용기의 덮개와 보관용기에는 열차단을 위한 단열재를 내장시키고, 상기 보관용기의 내부 공간에 소금이나 간장이 채워지는 보관통을 밀착시켜 설치한 후 상기 보관통의 내부 공간에 보관옹기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관옹기에 곡물 또는 김치를 넣어줄 경우 장기간에 걸쳐 신선하게 보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수단 일부 절결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수단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관용기 12,13 : 단열재
20 : 덮개 25 : 결합수단
30 : 보관통 31 : 소금
32 : 부직포 40 : 보관옹기
41 : 뚜껑
본 고안은 보관용기(10)와, 상기 보관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보관통(30)과, 상기 보관통(3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관옹기(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관용기(10)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20)가 설치되며, 보관옹기(40)에는 내용물을 덮어주는 뚜껑(41)이 구비된다.
상기 보관용기(10)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나 금속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보관용기(10)는 내부에 단열재(12)를 채워 열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관용기(10)의 일측에는 힌지(11)를 이용하여 덮개(20)를 설치하되 상기 덮개(20)는 내부에 단열재(13)를 채우는 한편 힌지(11) 또는 다른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관용기(10)와 결합된 채로 덮개(2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20)와 보관용기(10)의 일측에는 개폐수단(25)을 설치하여 덮개(20)가 보관용기(10)에 덮여있을 경우 밀폐를 유지하는 한편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고, 덮개(20)를 열을 경우 개폐수단(25)을 조작하면 쉽게 덮개(20)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수단(25)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측에 걸림돌기(22)가 형성된 손잡이(23)를 보관용기(10)의 일측에 링크(24)로 결합하고, 상기 걸림돌기(22)가 끼워지는 걸림턱(21)을 덮개(20)의 일측에 형성시키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된 실시예 이외에 덮개(20)를 닫아준 상태에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면 그 실시예로서 만족된다.
상기 보관용기(10)의 내측 공간에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보관통(30)을 끼워주되 상기 보관통(3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보관통(30)의 내부 공간은 마개(35)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관통(30)의내부에는 소금(31)을 채우거나 솜 또는 부직포(32) 등을 채운 후 간장을 채워주도록 한다.
보관통(30)에 간장을 채울 경우는 간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3)를 보관통(30)에 설치하여 필요시 부직포(32) 또는 솜이 채워진 내부공간에 채운 간장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관통(30)의 내측 공간에는 보관옹기(40)를 설치하되 상기 보관옹기(40)는 뚜껑(41)을 구비시켜 보관옹기(40)에 담긴 내용물이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보관옹기(40)는 옹기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나 필요에 따라 재질을 바꾸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보관옹기(40)는 보관통(30)의 내측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개폐수단(25)의 손잡이(23) 하단부를 잡고 위로 들어 올리면 손잡이(23)가 링크(24) 결합에 의해 약간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부로 들리게 되어 받침턱(21)에서 결합돌기(22)가 이탈되어 덮개(20)를 구속하지 못하게 된다.
이 같이 손잡이(23)를 이용하여 덮개(20)의 구속을 해제시킨 후 손잡이(23)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덮개(20)는 힌지(11)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들리게 되어 보관용기(10)의 내부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덮개(20)가 열려지면 보관옹기(40)의 뚜껑(41)을 열고 보관옹기(40)의 내부에 곡물이나 과일 또는 김치를 담가주거나 담겨진 내용물을 꺼낼 수 있게 되고, 보관옹기(40)에 곡물이나 과일 또는 김치의 수납이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보관옹기(40)의 뚜껑(41)을 닫고 덮개(20)를 닫은 후 손잡이(23)를 하향 이동시키면 손잡이(23)의 걸림돌기(22)가 걸림턱(21)에 걸리며 손잡이(23)가 고정되므로 덮개(20)가 보관용기(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사각옹기(40)는 보관통(3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보관통(30)에는 마개(35) 부위를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소금(31)이 채워지거나 부직포(32)가 채워지게 되고, 부직포(32)가 채워지는 경우는 간장을 부어 부직포(32)가 간장에 적셔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필요시 배출구(33)를 개방시켜 간장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관통(30)에 소금(31)을 채우는 경우는 보관옹기(40)에 곡물류가 저장되는 경우이고 보관통(30)에 부직포(32)를 채우고 간장을 부어준 경우는 보관옹기(40)에 과일이나 채소 또는 김치를 보관하는 경우이다.
보관통(30)의 내부 공간에 소금(31)을 채운 상태에서 보관옹기(40)에 곡물을 넣게 되면 쌀벌레 등의 해충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곡식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유지 비용이 들지 않고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따르게 된다.
상기 보관통(30)의 외부는 단열재(12)가 충진된 보관용기(10)로 감싸주어 보관옹기(40) 내부의 온도변화가 적고, 보관옹기(40)의 재질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과 소금(31)에 의한 해충 방지가 이루어져 보관옹기(40)에 담긴 각종 곡물을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곡물 이외에 과일이나 채소 또는 김치 등 수분함량이 많고 쉽게 부패될 수있는 것을 저장하는 경우는 과일이나 채소 또는 김치를 보관옹기(40)에 담아서 보관하는 것은 곡물 보관시와 동일하나 다만 이 경우는 보관통(30)을 바꾸어 보관통(30)의 내부에 부직포(32)가 채워지고 마개(35)를 이용하여 부직포(32)가 간장을 채워지게 하면 된다.
보관통(30)에 간장에 채워진 부직포(32)가 충진되어 있게 되면 보관옹기(40)에 담긴 과일이나 채소 또는 김치는 보관옹기(40)의 원적외선 효과와 간장에 의하여 변질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부패 또한 진행되지 않아 보관옹기(40)에 담긴 과일이나 채소 또는 김치를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를 사용하여 보관용기(40)의 내부 온도를 낮추지 않더라도 보관용기(10)의 단열재(12)와 보관통(30)의 소금(31) 또는 간장에 적신 부직포(32) 그리고 보관옹기(40)에 의해 충분한 단열이 이루어지게 되어 외부 열기가 보관옹기(40)에 담긴 내용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보관용기의 내부에 소금 또는 간장에 적신 부직포가 충진된 보관통을 설치하고 상기 보관통의 내부 공간에 보관옹기를 설치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보관옹기에 각종 곡물류나 과일 또는 김치를 보관하면 장기간에 걸쳐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과 함께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이동이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들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단열재(12)가 내부에 충진되고 내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용기(10)와,
    상기 보관용기(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개폐수단(25)이 설치되어 보관용기(10)에 밀착 고정되는 덮개(20)와,
    상기 보관용기(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소금(31)이 충진되며 내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통(30)과,
    상기 보관통(3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뚜껑(41)이 구비된 보관옹기(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용기.
  2. 단열재(12)가 내부에 충진되고 내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보관용기(10)와,
    상기 보관용기(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개폐수단(25)이 설치되어 보관용기(10)에 밀착 고정되는 덮개(20)와,
    상기 보관용기(1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간장에 적신 부직포(32)가 충진되며 내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통(30)과,
    상기 보관통(3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뚜껑(41)이 구비된 보관옹기(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보관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관통(30)의 상부 일측에는 소금(31)이나 부직포(32)의 충진을 위한 마개(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KR20-2004-0010405U 2004-04-14 2004-04-14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KR200354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05U KR200354647Y1 (ko) 2004-04-14 2004-04-14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05U KR200354647Y1 (ko) 2004-04-14 2004-04-14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647Y1 true KR200354647Y1 (ko) 2004-07-05

Family

ID=4943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405U KR200354647Y1 (ko) 2004-04-14 2004-04-14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6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22Y1 (ko) 2009-12-02 2010-07-15 김영민 합성 수지 용기 및 사각 옹기가 결합된 저장 용기
KR20210104407A (ko) * 2020-02-17 2021-08-25 박성철 곡물냉장고
WO2021167316A1 (ko) * 2020-02-17 2021-08-26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20220019921A (ko) * 2020-08-11 2022-02-18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22Y1 (ko) 2009-12-02 2010-07-15 김영민 합성 수지 용기 및 사각 옹기가 결합된 저장 용기
KR20210104407A (ko) * 2020-02-17 2021-08-25 박성철 곡물냉장고
WO2021167316A1 (ko) * 2020-02-17 2021-08-26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102303538B1 (ko) * 2020-02-17 2021-09-17 박성철 곡물냉장고
KR20220019921A (ko) * 2020-08-11 2022-02-18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102596672B1 (ko) * 2020-08-11 2023-11-01 박성철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4647Y1 (ko)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KR20110134215A (ko) 곡물 진공포장장치
KR200386492Y1 (ko) 냉장고용 김치통
CN205771078U (zh) 一种果蔬快递包装结构
KR200195601Y1 (ko) 정온 저장쌀통
US10925300B2 (en) Packaging with pressure driven oxygen egress
CN205909612U (zh) 烟叶冰柜冷藏保存防水浸湿装置
CN107089426B (zh) 一种蔬菜包装运输箱
KR100706633B1 (ko) 자동 질소충전 쌀통
KR101513214B1 (ko) 발포폴리스티렌 포장상자
KR101320866B1 (ko) 이중 도어가 구비된 낚시용 밑밥통
KR200489686Y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통
US20090011094A1 (en) Bag For Frozen Seafood Products And The Like
CN207450701U (zh) 一种低温抗菌便携式水果保鲜盒
JP2004189285A (ja)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KR200438188Y1 (ko) 수산물용 용기
KR102068104B1 (ko) 일회용 용기
KR101882205B1 (ko) 냉동만두 패키지
KR20100089407A (ko) 과실용 난좌
KR200381971Y1 (ko) 피라미드형 쌀통
KR100588995B1 (ko) 김치 숙성장치
KR20100000073A (ko)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JP3097452U (ja) 蓋の形態をなす食品用保冷具
KR20000030986A (ko) 김치통
FR2610903A1 (fr) Procede et emballage pour la conservation au froid, a temperature voisine de 0oc, d'un produit perissable et notamment d'un produit de pecher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