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601Y1 - 정온 저장쌀통 - Google Patents

정온 저장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601Y1
KR200195601Y1 KR2020000004798U KR20000004798U KR200195601Y1 KR 200195601 Y1 KR200195601 Y1 KR 200195601Y1 KR 2020000004798 U KR2020000004798 U KR 2020000004798U KR 20000004798 U KR20000004798 U KR 20000004798U KR 200195601 Y1 KR200195601 Y1 KR 20019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ice
plate
partition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식
구점섭
박헌수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합명회사신흥기업사
Priority to KR2020000004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를 내장함으로써, 쌀통내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상태로 유지하여 저장된 쌀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있고 쌀이 자연건조 및 쌀의 맛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온 저장쌀통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온 저장쌀통은 내부에 쌀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판, 전면판의 양측에 일체로 부착된 측면판 및 측면판의 연장부사이에 장착된 배면판과 바닥판을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측면판의 연장부 상단에는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를 구비한다.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격벽에 의하여 분할되어 상기 격벽의 일측에 덮개와 연통하는 수납통, 계량기 및 배출통이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되며, 격벽의 타측에는 열전소자를 가지는 열교환장치, 배수부 및 제어부가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 정온 저장쌀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온 저장쌀통{A fixed temperature rice tank}
본 고안은 정온 저장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를 내장함으로써, 곡물 수납통내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상태로 유지하여 저장된 쌀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있고 쌀이 자연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온 저장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은 정미된 날로부터 약 15일이 경과하게 되면 온도나 습도등의 외적인요인으로 인하여 변질이 시작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최적조건인 약 12∼17℃로 유지하고, 내부 습도는 75∼80%가 유지되어야 한다.
종래의 쌀을 보관하는 저장고는 저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하부에서 쌀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버튼 및 인출버튼의 하부에 배치된 인출구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조의 저장쌀통은 외부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저장고의 내부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하절기에는 고온다습으로 인해서 쌀벌레의 발생을 유발하고, 동절기에는 쌀이 쉽게 건조되기 때문에 쌀의 급속한 변질로 오래 보관할수록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고 윤기가 없어 밥을 짓더라도 밥맛이 떨어지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를 내장함으로써, 곡물 수납통내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상태로 조절 및 유지하여 저장된 쌀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있고 쌀이 자연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온 저장쌀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온 저장쌀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a의 선 A-A를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정온 저장쌀통 102 : 제 1 챔버
103 : 제 2 챔버 110 : 본체
112 : 덮개 130 : 수납통
132 : 계량기 134 : 배출통
160 : 열교환장치 162 : 배수부
164 : 제어부 166 : 냉각판
168 : 반도체열전소자 170 : 방열판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부에 쌀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판, 전면판의 양측에 일체로 부착된 측면판 및 측면판의 연장부사이에 장착된 배면판과 바닥판을 구비하는 본체;
전면판의 중앙에 장착되며, 바닥판의 상단에서부터 상측으로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전단되는 제 1 전단부, 하단부가 제 1 전단부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제 2 전단부를 구비하는 계량기고정틀;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측면판의 연장부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격벽에 의하여 분할되고, 격벽의 일측에 덮개와 연통하는 수납통, 계량기 및 배출통이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 제 1 챔버; 그리고
격벽에 의하여 분할되고, 격벽의 타측에 열교환장치, 배수부 및 제어부가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 제 2 챔버를 포함하는 정온 저장쌀통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반도체열전소자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수납통내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상태로 유지하여 저장된 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고, 저장된 쌀에서 발생하는 벌레, 곰팡이, 냄새 및 자연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온 저장쌀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온 저장쌀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온 저장쌀통(100)은 내부에 쌀 저장공간이 마련된 본체(110) 및 본체(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112)를 구비한다. 덮개(112)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본체(110)는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판(114), 전면판(114)의 양측에 일체로 부착된 측면판(116) 및 측면판(116)의 연장부사이에 장착된 배면판(118)을 구비한다. 이때, 측면판(116)의 연장부 상단에는 덮개(112)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면판(114)의 중앙에는 계량기고정틀(122)이 장착되는데, 계량기고정틀(122)은 제 1 전단부(124) 및 제 2 전단부(126)을 구비한다. 제 1 전단부(124)는 바닥판(120)의 상단에서부터 상측으로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전단된다. 제 1 전단부(124)의 상단은 제 2 전단부(126)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제 2 전단부(126)는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배면판(118)에는 다수의 흡입구(119)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본체(110) 내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격벽(101)에 의하여 제 1 챔버(102)와 제 2 챔버(103)로 분할된다. 격벽(101)의 상단인접위치에는 관통공(104)이 형성된다.
제 1 챔버(102)는 쌀 저장공간이 되며, 제 1 챔버(102)내에는 수납통(130), 계량기(132) 및 배출통(134)이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다. 수납통(130)은 전면판(114)의 내면 및 격벽(101)의 일측면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수납통(130)의 측면은 전면판(114)의 내면 및 각각의 측면판(116)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수납통(130)의 후면과 격벽(101)의 일측면사이에는 배수로(136)가 형성된다. 배수로(136)의 하단에는 제 1 집수통(148)이 형성된다. 제 1 집수통(148)에는 제 1 배수파이프(150)가 장착된다. 제 1 배수파이프(150)는 격벽(101)을 관통하여 제 2 챔버(103)측으로 연장된다.
수납통(130) 내부에는 수납통(130)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4)가 장착된다. 온도센서(144)의 하측에는 수납통(130)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146)이 장착된다.
이러한, 수납통(130)은 상단이 개방되고, 상단면 상에는 덮개(112)의 하단과 밀착될 수 있도록 덮개패킹(138)이 부착된다. 수납통(130)의 하단에는 방사상 하측으로 좁아지는 호퍼(140)가 일체로 부착된다. 호퍼(140)의 하단에는 계량기(132)와 연통하는 배출공(142)이 형성된다.
계량기(132)는 배출공(142)과 연통하는 배출기어(151), 배출기어(151)의 일측에서 배출기어(151)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반달기어(152) 및 각각의 반달기어(152) 일측에 부착된 조절레버(153)를 구비한다. 이때, 조절레버(153)의 자유단은 제 2 전단부(126)의 외부로 노출된다.
배출통(134)은 계량기(132)의 하단에 배치된다. 배출통(134)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배출통(134)의 일측면은 제 1 전단부(124)의 외부로 노출되고, 제 1 전단부(124)를 통해서 본체(110)의 외부로 출입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챔버(103)에는 열교환장치(160), 배수부(162) 및 제어부(164)가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다.
먼저, 열교환장치(160)는 냉각판(166), 열전소자(168) 및 방열판(170)을 구비한다. 냉각판(166)은 수납통(130)의 후면과 격벽(101)의 일측면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냉각판(166)의 일측에는 열전소자(168)가 일체로 부착된다. 열전소자(168)는 격벽(101)에 형성된 관통공(104)에 장착된다. 열전소자(168)의 타측에는 방열판(170)이 장착된다. 격벽(101)에 장착된 열전소자(168)를 중심으로 냉각판(166)은 제 1 챔버(102)내에 배치되며, 방열판(170)은 제 2 챔버(103) 내에 배치된다.
방열판(170)의 하단에는 배수부(162)가 배치된다. 배수부(162)는 제 2 집수통(172), 제 2 배수파이프(174), 다수의 방열팬(176) 및 배수통(178)을 구비한다. 제 2 집수통(172)은 방열판(170)의 하단 격벽(101)에 부착된다. 제 2 집수통(172)의 하단에는 방열팬(176)이 일체로 부착된다. 이러한 방열팬(176)의 하단 소정위치에는 배수통(178)이 격벽(101)의 타측에 부착된다. 이때, 제 2 집수통(172)과 배수통(178)사이에는 제 2 배수파이프(174)가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 1 배수파이프(150)의 연장부는 배수통(178)까지 연장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정온 저장쌀통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덮개(112)를 개방하여 수납통(130)에 쌀을 충만시킨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사용자가 제어부(164)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어부(164)는 수납통(130)내에 공기순환팬(146) 및 온도센서(144)를 작동시킨다. 이와동시에 제어부(164)는 열전소자(168)를 가동시킨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열전소자(168)는 냉각판(166)을 통하여 냉기를 수납통(130)에 직접 전달시킨다. 이때, 방열판(17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팬(176)을 구동시켜서 배면판(118)의 흡입구(119)를 통해 외부 공기를 본체(110)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써 신속하게 냉각시킨다. 이와같은 제어부(164)의 연속작동에 의해서 수납통(130)내의 온도를 저장 최적온도인 약 12∼17℃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수납통(130)내의 습도를 75%∼80%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온 저장쌀통(100)은 열전소자(168)를 가지는 열교환장치(160)를 내장함으로써, 수납통(130)내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으로 상태로 유지하여 저장된 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고, 저장된 쌀에서 벌레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 곰팡이, 좋지않은 냄새의 발생 및 쌀의 자연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내부에 쌀 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판(114), 상기 전면판(114)의 양측에 일체로 부착된 측면판(116) 및 상기 측면판(116)의 연장부사이에 장착된 배면판(118)과 바닥판(120)을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전면판(114)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바닥판(120)의 상단에서부터 상측으로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전단되는 제 1 전단부(124), 하단부가 상기 제 1 전단부(124)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제 2 전단부(126)를 구비하는 계량기고정틀(122);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측면판(116)의 연장부 상단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112);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격벽(101)에 의하여 분할되고, 상기 격벽(101)의 일측에 상기 덮개(112)와 연통하는 수납통(130), 계량기(132) 및 배출통(134)이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 제 1 챔버(102); 그리고
    상기 격벽(101)에 의하여 분할되고, 상기 격벽(101)의 타측에 열교환장치(160), 배수부(162) 및 제어부(164)가 수직하게 차례로 배치된 제 2 챔버(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저장쌀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01)의 상단 인접위치에는 관통공(104)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통(130)은 상기 전면판(114)의 내면 및 상기 격벽(101)의 일측면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통(130)의 측면은 상기 전면판(114)의 내면 및 각각의 상기 측면판(116)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렇게 이격된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수납통(130)의 후면과 상기 격벽(101)의 일측면사이에는 배수로(136)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로(136)의 하단에는 제 1 집수통(148)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집수통(148)에는 제 1 배수파이프(150)가 상기 격벽(101)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챔버(103)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저장쌀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160)는 상기 수납통(130)의 후면과 상기 격벽(101)의 일측면사이에 배치되는 냉각판(166)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판(166)의 일측에는 상기 격벽(10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04)에 장착되는 열전소자(168)를 구비하며, 상기 열전소자(168) 타측에는 방열판(17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저장쌀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70)의 하단에는 배수부(162)가 배치되고, 상기 배수부(162)는 제 2 집수통(172), 방열팬(176), 배수통(178) 및 제 2 배수파이프(174)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집수통(172)은 상기 방열판(170)의 하단에서 상기 격벽(101)에 타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집수통(172)의 하단에는 상기 방열팬(176)이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방열팬(176)의 하단 소정위치에는 상기 배수통(178)이 상기 격벽(101)의 타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집수통(172)과 상기 배수통(178)사이에는 상기 제 2 배수파이프(174)가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저장쌀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수파이프(150)의 연장부는 상기 배수통(178)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저장쌀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13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덮개(112)의 하단과 밀착될 수 있도록 덮개패킹(138)이 부착되며, 상기 수납통(130)의 하단에는 방사상 하측으로 좁아지면서 하단에 상기 계량기(132)와 연통하는 배출공(142)이 형성된 호퍼(140)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수납통(130)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44)가 장착되고, 상기 온도센서(144)의 하측에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146)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온 저장쌀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132)는 상기 배출공(142)과 연통하는 배출기어(151), 상기 배출기어(151)의 일측에서 상기 배출기어(151)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반달기어(152) 및 상기 반달기어(152) 일측에 부착된 조절레버(153)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레버(153)는 상기 제 2 전단부(126)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방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134)은 상기 계량기(132)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통(134)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전단부(124)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온 저장쌀통.
KR2020000004798U 2000-02-22 2000-02-22 정온 저장쌀통 KR20019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98U KR200195601Y1 (ko) 2000-02-22 2000-02-22 정온 저장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98U KR200195601Y1 (ko) 2000-02-22 2000-02-22 정온 저장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601Y1 true KR200195601Y1 (ko) 2000-09-01

Family

ID=1964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798U KR200195601Y1 (ko) 2000-02-22 2000-02-22 정온 저장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60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83B1 (ko) * 2000-04-20 2002-10-11 김성옥 저온 쌀통
KR100363579B1 (ko) * 2000-06-15 2002-12-05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쌀통의 온도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100424627B1 (ko) * 2001-09-12 2004-03-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저온 저습 쌀통
KR100747145B1 (ko) 2005-01-21 2007-08-08 김영훈 쌀 냉장고
KR20100083485A (ko) * 2009-01-14 2010-07-22 조학현 쌀 보관용 저장고
KR102293188B1 (ko) 2020-03-24 2021-08-25 주식회사 더맘 곡물 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283B1 (ko) * 2000-04-20 2002-10-11 김성옥 저온 쌀통
KR100363579B1 (ko) * 2000-06-15 2002-12-05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열전소자를 이용한 쌀통의 온도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100424627B1 (ko) * 2001-09-12 2004-03-24 동양매직 주식회사 저온 저습 쌀통
KR100747145B1 (ko) 2005-01-21 2007-08-08 김영훈 쌀 냉장고
KR20100083485A (ko) * 2009-01-14 2010-07-22 조학현 쌀 보관용 저장고
KR102293188B1 (ko) 2020-03-24 2021-08-25 주식회사 더맘 곡물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9991B (zh) 冷藏库
KR200195601Y1 (ko) 정온 저장쌀통
JP2012255615A (ja) 冷蔵庫
KR200279254Y1 (ko) 쌀통
JP3892211B2 (ja) 穀物保冷装置
JP3911084B2 (ja) 保冷米びつ
JPH09133459A (ja) 冷蔵庫
KR960014840B1 (ko) 2단 김치 자동숙성 및 저장장치
KR200273982Y1 (ko) 드라이아이스기체가 나오는 그릇
JP3887522B2 (ja) 穀物保冷装置
KR200277502Y1 (ko)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100653447B1 (ko) 아이스박스
KR200264140Y1 (ko) 냉각수단을 갖는 아이스박스
KR200321309Y1 (ko) 두부 보관용 온장고
KR910002354Y1 (ko) 활어수조
JP2003287337A (ja) 収納装置
KR200307226Y1 (ko) 쌀 저온 저장고
JP2000111234A (ja) 穀物冷蔵装置
JPS5843750Y2 (ja) 冷蔵庫
KR100502209B1 (ko) 쌀 저온 저장고
JP2011163610A (ja) 保冷米びつ装置
JPS5835983Y2 (ja) 冷蔵庫
JPS5839348Y2 (ja) 冷蔵庫
KR910005595Y1 (ko) 식품 저장고
JP4228986B2 (ja) 冷蔵米び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