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921A -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 Google Patents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921A
KR20220019921A KR1020200100210A KR20200100210A KR20220019921A KR 20220019921 A KR20220019921 A KR 20220019921A KR 1020200100210 A KR1020200100210 A KR 1020200100210A KR 20200100210 A KR20200100210 A KR 20200100210A KR 20220019921 A KR20220019921 A KR 20220019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grain
grain storage
moistur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672B1 (ko
Inventor
박성철
박남규
Original Assignee
박성철
박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박남규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102020010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672B1/ko
Priority to PCT/KR2021/001958 priority patent/WO2021167316A1/ko
Publication of KR2022001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9/12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18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9/20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23L3/3427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in which an absorbent is placed or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저장부의 벽들 내부에 소금이 충진되어 외부의 수분 및 열이 곡물저장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열에 의해 냉각효율이 감소되어 곡물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곡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냉각부의 내부공간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며, 냉각보조물질의 경우 열용량 및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냉각부의 냉각효율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냉각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냉각부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도 일정 시간동안 냉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냉각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기 설정된 온도까지 곡물저장통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곡물냉장고 전체의 부피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감소하게 되며,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통의 1회 배출량이 일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계량없이 일정한 양의 곡물을 얻을 수 있으며, 냉각부의 내부공간에서 형성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수분이 가열된 상태의 방열판 구조체를 따라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되는 수분이 방열판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어 기체 상태로 배출되어 별도의 수분 배출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Refrigerator for grain having improved cooling efficiency by cooling aid material}
본 발명은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곡물저장통의 외벽 내부에 소금을 충진시킴으로써 외부 습도에 의해 냉각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며, 냉각부의 내부에 열전도도 및 열용량을 증가시키는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부의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현미, 보리, 콩 및 팥 등과 같은 곡물은 쌀통, 항아리 등에 담아 햇빛에 노출되지 않는 곳에 보관되거나, 냉장고 내에 보관되었다.
그러나 곡물은 외부에 보관될 때에는 외부 습도의 영향을 받게 되어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해충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며, 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곡물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곡물의 식감 및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곡물은 냉장고에 보관될 때에는 냉장고 내의 음식 냄새가 배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90039(발명의 명칭 : 곡물냉장고의 냉각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포스트(110)와, 하우징(120), 히터선(130), 방열핀(140), 냉각팬(150)으로 이루어진다.
냉각포스트(1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냉각포스트(110)의 하면에는 펠티어소자(111)가 부착된다.
펠티어소자(111)는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일면이 냉각되며, 타면이 가열된다.
이러한 펠티어소자(111)는 냉각되는 면이 냉각포스트(110)와 부착되어 냉기를 냉각포스트(110)로 전달하며, 가열되는 면이 방열핀(140)과 부착되어 열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하우징(120)은 냉각포스트(1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냉각포스트(110)로부터 발산되는 냉기를 곡물로 전달한다.
또한 하우징(120)은 통기성을 갖으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황토, 숯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냉각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곡물이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선(130)은 냉각포스트(110)와 하우징(12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하우징(120) 내부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20) 내부의 습도가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결로 현상에 의해 냉각포스트(110)의 외표면에 수분이 맺힌 것으로 판단하여 열로 냉각포스트(110)의 외표면에 맺힌 수분을 제거한다.
방열핀(140)은 펠티어소자(111)와 일면이 접촉되며, 펠티어소자(111)를 통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냉각팬(150)은 방열핀(140)에 설치되어 방열핀(140)의 열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이 적용되는 곡물냉장고는 냉각포스트(110) 및 하우징(120)을 통해 내부의 곡물이 냉각되며, 히터선(130)을 통해 하우징(12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해줌으로써 하우징(120)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곡물이 썩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의 냉각수단은 냉각포스트(110)와 하우징(120)이 붙어있을 경우 냉각효율이 증가하지만, 하우징(120)이 과냉각되어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곡물저장고에 저장된 곡물이 썩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냉각포스트(110)와 하우징(120)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냉각포스트(110)의 냉기가 냉각포스트(110)와 하우징(120) 사이의 공기로 인하여 냉기의 전달이 늦어져 냉각효율 및 냉각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의 냉각수단은 별도의 냉각효율 증가수단이 없기 때문에 외부의 온도가 높을 경우, 곡물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되지 못하여 곡물냉장고 내부에 저장된 곡물이 원활하게 냉각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100)의 냉각장치는 방열부에 별도의 강제 냉각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시키켜야 하기 때문에 곡물냉장고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이 적용된 곡물냉장고는 하우징의 내부의 성에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히터선(130)을 통해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곡물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내부에 저장된 곡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이 적용된 곡물냉장고는 곡물냉장고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곡물냉장고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계량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됨으로써 곡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이 적용된 곡물냉장고는 외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막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외부의 습도가 높아지게 될 경우,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에 의해 냉각효율이 감소하여 곡물저장부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내려가지 않게 됨으로써 곡물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곡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저장통의 외벽 내부에 소금이 충진되어 곡물저장통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에 의해 냉각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냉각부의 내부공간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며, 냉각보조물질의 경우 열용량 및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냉각부의 냉각효율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기 설정된 온도까지 곡물저장통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통의 1회 배출량이 일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계량 없이 원하는 양의 곡물을 배출할 수 있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냉각부의 내부공간에서 형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배출되는 수분이 가열된 상태의 방열판 구조체를 따라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분이 기체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저장부와, 상기 곡물저장부에 저장된 곡물을 냉각시켜주는 냉각부로 이루어지는 곡물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단부가 상기 곡물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곡물저장부 내로 돌출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곡물저장부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봉; 상기 냉각봉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봉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단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 구조체; 상기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는 충진부; 상부가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진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냉각관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 6 내지 12 중량%와, 소금 40 내지 50 중량%와, 물 40 내지 50 중량%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곡물저장부의 외벽들 내부에는 수분흡수제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분흡수제는 간수가 제거된 소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관체는 황토재질로 헝성되되, 제작 시 내부에 소금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관체는 내외주면에 소금이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봉의 외주면에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봉의 하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내측테두리가 상기 냉각봉의 외주면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높이가 가장 낮은 위치에 수분이 배출되는 물배출구가 형성되는 물받이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 구조체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단의 하면에 설치되되, 상기 물받이판의 물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물배출공이 형성되는 방열프레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방열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봉과 상기 냉각관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생성된 수분이 상기 물받이판의 물배출구와 상기 물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물배출구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개폐문; 내주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은 평시에는 폐쇄되어 상기 방열판 구조체의 열기가 상기 내부공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물배출구 내에 수분이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될 경우에는 전극들이 수분에 의해 통전되어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곡물저장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 곡물배출구가 형성되는 곡물저장통; 일단이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가 상기 곡물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통 하우징; 양단이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제3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통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통은 설치 시 상기 회전통 하우징의 제2 개구부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회전각도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저장부의 벽들 내부에 소금이 충진되어 외부의 수분 및 열이 곡물저장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및 열에 의해 냉각효율이 감소되어 곡물저장부 내부에 저장된 곡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부의 내부공간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며, 냉각보조물질의 경우 열용량 및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냉각부의 냉각효율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냉각효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냉각부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도 일정 시간동안 냉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냉각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기 설정된 온도까지 곡물저장통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곡물냉장고 전체의 부피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통의 1회 배출량이 일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계량없이 일정한 양의 곡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부의 내부공간에서 형성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수분이 가열된 상태의 방열판 구조체를 따라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되는 수분이 방열판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어 기체 상태로 배출되어 별도의 수분 배출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곡물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곡물냉장고의 곡물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냉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곡물냉장고(1)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와, 곡물저장부(3), 냉각부(4), 단열블록(5), 곡물배출통(6)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곡물저장부(3)와 냉각부(4), 단열블록(5), 곡물배출통(6)이 설치된다.
이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스(2)의 형상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케이스(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의 일면에는 곡물배출통(6)이 삽입되는 배출통 삽입공(21)이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곡물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다.
곡물저장부(3)는 곡물저장통(31)과, 회전통 하우징(32), 회전통(33), 회전축(34), 손잡이(35)로 이루어진다.
곡물저장통(31)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일측벽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벽인 타측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곡물저장통(31)의 측벽들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금(S)이 충진된다. 이때 충진되는 소금은 간수가 제거된 소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저장통(31)의 외부가 고온 다습할 때, 곡물저장통(31)의 측벽들의 내부에 충진된 소금(S)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습기에 의해 내부의 곡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습기에 의해 냉각효율이 감소되어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소금(S)은 곡물저장통(31)의 측벽들보다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외부의 열이 곡물저장통(31)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온효과를 가짐으로써 외부 열의 유입이 차단됨과 동시에 내부의 냉기가 보전되어 냉각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곡물저장통(31)은 고온 다습한 장소에 설치되어도 소금(S)에 의해 습기를 흡수하여 내부에 저장된 곡물(G)이 수분에 의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내부에 저장된 곡물(G)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물저장통(31)은 소금(S)에 의해 외부의 열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외부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곡물저장통(31) 내부에 저장된 곡물(G)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소금(S)은 곡물저장통(31)의 측벽들 내부에 충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소금(S)이 충진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판의 내부에도 충진될 수 있다.
또한 곡물저장통(31)의 타측벽에 인접된 하부면에는 중앙에 냉각부(4)가 관통되는 냉각부 관통공(311)이 형성된다.
또한 곡물저장통(31)은 곡물배출구(312)의 하부에 원형 관 형상의 회전통 하우징(32)이 설치된다.
회전통 하우징(32)은 일단이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321)와 제2 개구부(3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통 하우징(32)은 제1 개구부(321)가 곡물저장통(3)의 곡물배출구(31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회전통 하우징(32)의 내부에는 회전통(33)이 회전축(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통(33)은 양단이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제3 개구부(3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통(33)의 외주면에는 걸림턱(332)이 연결된다.
회전축(34)은 회전통 하우징(32)과 회전통(33), 케이스(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케이스(2)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손잡이(35)가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34)은 회전통 하우징(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통(33)과 결합되어 회전통(33)이 회전통 하우징(3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34)은 단부에 설치된 손잡이(35)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회전통(3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곡물냉장고의 곡물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회전통(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시에는 하우징(32)의 제1 개구부(321)를 폐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곡물저장통(31) 내부에 저장된 곡물(G)이 회전통(3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곡물(G)은 곡물저장통(31)의 내부에서 냉각부(4)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저장된다.
또한 회전통(33)은 손잡이(3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제3 개구부(331)가 제1 개구부(321)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곡물저장통(31) 내부의 곡물(G)이 회전통 내부로 유입되되, 곡면부가 회전통 하우징(32)의 제2 개구부(322)를 폐쇄시켜 곡물(G)이 곡물배출통(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통(33)은 손잡이(35)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곡물배출구(312)가 곡면부에 의해 폐쇄되어 곡물저장통(31) 내부 곡물(G)의 유입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3 개구부(331)가 회전통 하우징(32)의 제2 개구부(322)를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회전통(33) 내부의 곡물(G)이 곡물배출통(6)으로 배출된다.
이때 한번에 배출되는 곡물(G)의 양은 회전통(33)의 내부 부피만큼으로 한정된다.
또한 회전통(33)은 회전 시, 외주면에 연결된 걸림턱(332)이 회전통 하우징(32)과 접촉됨으로써 회전각도가 제한되어 지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곡물저장부(3)는 평시에는 곡물(G)이 곡물저장통(31) 내에 위치되어 냉각부(4)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보존되며, 사용자가 손잡이(35)를 회전시킬 때에만 곡물저장통(31) 내의 곡물(G)이 곡물배출통(6)으로 배출된다.
이때 곡물저장통(31)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G)의 양은 회전통(33)의 내부 체적으로 한정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35)를 회전시킬 때마다 일정한 양의 곡물(G)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계량이 없어도 정해진 양만큼의 곡물(G)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의 냉각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냉각부(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봉(41)과, 방열판 구조체(42), 냉각팬(43), 냉각관체(44). 충진부(45), 메쉬망(46)으로 이루어진다.
냉각봉(41)은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냉각봉(41)의 하면에는 펠티어소자(411)가 부착된다.
펠티어소자(411)는 전류가 흐를 때, 일면이 냉각되되, 타면이 가열되는 원리로 작동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펠티어소자(411)는 일면이 냉각봉(41)의 하면에 부착되어 냉각봉(41)을 냉각시키며, 타면이 방열판 구조체(42)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방열판 구조체(42)를 가열시킨다.
또한 냉각봉(41)의 외주면에는 하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물받이판(412)이 설치된다.
물받이판(412)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냉각봉(41)의 하부와 인접한 위치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물받이판(412)의 내측테두리는 냉각봉(41)의 외주면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물받이판(412)의 외측 테두리는 설치 시, 냉각관체(44)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물받이판(412)는 높이가 가장 낮게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수분이 모이는 위치에 수분이 배출되는 깔대기 형상의 물배출구(4121)가 하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물배출구(4121)는 설치 시, 하단부가 방열판 구조체(42)와 접촉됨과 동시에 방열프레임(421)에 형성된 물배출공(4211)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물배출구(4121)의 하단부에는 개폐문(41211)이 설치된다.
또한 물배출구(4121)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전극(41212)들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전극(41212)들은 통전되었을 때에만 개폐문(41211)을 개방시킨다.
이러한 전극(41212)들은 평시에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류가 통하지 않지만, 개폐문(41211)의 상부에 수분이 모여 전극(41212)들까지 도달하게 될 경우에는 수분에 의해 서로 통전되어 개폐문(41211)을 개방함으로써 수분을 배출한다.
이로 인해, 개폐문(41211)은 평시에는 폐쇄되어 방열판 구조체(42)로부터 열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을 배출할 때에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방열판 구조체(42)의 열기가 내부공간(441) 내로 유입되어 냉각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판(412)은 냉각봉(41)이 냉각되어 수증기가 응축되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경우, 수분이 물배출구(4121) 및 물배출공(4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방열판 구조체(42)는 상면에 펠티어소자(411)가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방열프레임(421)과, 방열프레임(421)의 하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평판 형상의 방열판(422)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판 구조체(42)는 방열프레임(421)을 통해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발생한 열기를 전달받으며, 방열판(422)들을 통해 대기 중으로 열기를 방출한다.
또한 방열프레임(421)에는 상면부터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물배출공(4211)이 형성된다.
물배출공(4211)은 설치 시, 상단부가 물배출구(4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하단부가 방열판(422)들 중 하나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물배출공(4211)은 물배출공(4211)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방열판(422)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방열판(422)은 펠티어소자(411)의 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수분이 방열판(422)을 따라서 하향 이동할 때 기화되어 수증기 형태로 변화된다.
이로 인해 곡물냉장고(1)는 냉각부(4)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수증기 형태로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의 수분 배출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피 및 비용이 감소된다.
냉각팬(43)은 방열판 구조체(42)의 하부에 설치되며, 방열판 구조체(42)를 냉각시켜줌으로써 펠티어소자(411)의 열기를 더욱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어 냉각봉(41)의 냉각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냉각관체(44)는 상부가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황토로 제작되되, 제작 과정에서 내부에 소금을 첨가함으로써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냉각관체(4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황토로 제작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냉각관체(44)의 제작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숯과 세라믹 등 다양한 종류의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냉각관체(44)의 내외주면에는 소금이 도금됨으로써 내외부면에 도금된 소금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냉각관체(44)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예를 들어, 냉각부(4)는 전원이 차단되거나 꺼졌을 때,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외주면에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곡물냉장고의 경우에는 수분에 의해 냉각관체(44)에 곰팡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곡물냉장고(1)는 냉각관체(44) 제작 시, 내부에 소금이 첨가되며 내외주면에 소금이 도금되어 있기 때문에 곰팡이의 발생이 저하된다.
또한 냉각관체(44)는 내경이 냉각봉(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내주면이 물받이판(412)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설치 시, 냉각봉(41)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내부공간(441)이 형성된다.
이때 내부공간(44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판(412)의 상부에 충진부(45)가 설치된다.
충진부(45)는 상단부가 폐쇄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411)에 설치되어 냉각봉(41)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된다.
이때 충진부(45)는 내부가 복수개의 격벽(미도시)들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냉각보조물질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냉각관체(44)가 불균일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 6 ~ 12 중량%와, 소금 40 ~ 50 중량%와, 물 40 ~ 50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금은 온도가 20℃인 물에 대한 용해도가 36g/100ml이다. 즉, 소금은 물의 용해도보다 많은 양이 투입되기 때문에 냉각보조물질 내부에 소금이 석출된다.
이러한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이 물에 수용될 때, 아세트산과 물이 수소결합을 하기 때문에 열용량 및 비열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각보조물질은 물에 용해된 소금 및 석출된 소금에 의해 열전도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에 의해 열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외부의 열이 유입되어도, 충진부(45)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냉각보조물질은 내부에 포함된 소금에 의해 열전도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냉각봉(41)의 하면에 부착된 펠티어소자(411)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냉각관체(44)로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곡물저장통(31) 내부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충진부(45)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에 의한 온도 증가량이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펠티어소자(411)로부터 전달된 냉기가 냉각관체(44) 전체에 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각보조물질은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전원이 차단되거나 꺼졌을 때, 온도의 증가속도가 감소되어 장기간동안 음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충진부(45)는 내주면이 냉각봉(41)과 접촉되며, 외주면이 냉각관체(44)와 접촉된다
이러한 충진부(45)는 내주면과 접촉되는 냉각봉(41)에 의해 냉각되며, 냉각봉(41)으로부터 전달된 냉기를 외주면과 접촉된 냉각관체(44)로 전달하여 냉각관체(44)를 냉각시킨다.
메쉬망(46)은 상부가 폐쇄된 원통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냉각관체(44)가 내부로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메쉬망(46)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461)들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461)들은 곡물저장통(31) 내부로 유입된 곡물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곡물이 냉각관체(44)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과냉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부(4)는 냉각봉(41)과 냉각관체(44), 충진부(45), 메쉬망(46)이 곡물저장통(31)에 형성된 냉각부 관통공(312)으로 삽입되어 곡물저장통(31)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냉각시켜 준다.
이때 냉각부(4)는 곡물저장통(31)이 측벽들 내부에 충진된 소금(S)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및 열을 감소되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증가되어 냉각 가능한 온도의 범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각부(4)는 충진부(45) 내부에 충진된 냉각보조물질이 높은 열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냉각봉(41)의 냉기가 냉각관체(44)로 빠르게 전달될 뿐만 아니라, 높은 열용량을 갖기 때문에 외부의 열에 의해 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부(4)의 동작이 중단되었을 때,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전원이 차단되거나 꺼졌을 때,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여 내부에 저장된 곡물이 변질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는 별도의 흡습 장치나 냉각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냉각부(4)의 내부에서 발생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며, 장치의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냉각부(4)는 내부에서 발생한 수분이 냉각봉(41)에 형성된 물받이판(41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되, 배출되는 수분이 방열판 구조체(42)의 열기에 의해 기화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수분 배출 과정 및 도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피 및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다음의 [표 1]은 외부의 온도가 25℃이고, 냉각온도가 5℃로 설정한 상태에서 충진부(45)의 내부에 서로 다른 물질이 충진될 때, 냉각부(4)를 가동시킴에 따라 변화하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0h 4h 8h 12h 16h 20h 24h 28h 32h 36h
실시예1 25.0 21.9 19.0 16.2 13.6 11.0 8.2 5.0 5.0 5.0
실시예2 25.0 21.7 18.6 15.9 13.4 11.2 10.0 10.0 10.0 9.9
비교예1 25.0 23.3 21.8 20.5 19.4 18.4 17.5 16.8 16.0 16.0
* 단위는 ℃임.
이때 충진부(45)의 내부공간은 600mL이다.
실시예1은 충진부(45)의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실시예2는 충진부(45)의 내부에 소금이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비교예1은 충진부(45)의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표 1을 참조하여 실시예1을 살펴보면, 실시예1은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24시간 내지 28시간이 경과할 때 설정온도인 5℃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또한 실시예2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되, 20시간 내지 24시간이 경과할 때 10℃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이에 반해 비교예1은 냉장실(3)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되, 28시간 내지 32시간이 경과할 때 16℃에 도달하게 되며, 더 이상 온도가 감소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1은 충진부(45)의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됨으로써 충진부(45)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지 않은 실시예2 및 비교예1과 비교하였을 때, 최종 냉각온도가 더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2는 곡물저장통(31)의 내부 온도가 10.0℃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2는 충진부(45) 내부에 소금이 충진되어 열전도도가 증가됨으로써 냉각속도가 실시예1보다 증가되되, 소금의 열용량이 냉각보조물질보다 낮기 때문에 냉각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감소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교예1은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16℃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못하게 되어 비교예1보다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더 높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비교예1은 충진부(45)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단열재 역할을 함으로써 냉각관체(44)의 냉각속도 및 냉각효율이 감소하여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감소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냉각부(4)는 충진부(45)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될 경우, 설정온도까지 냉각이 되지만, 소금만 충진되어 있거나, 공기가 충진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냉각부(4)는 실시예1과 같이 충진부(45)의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될 경우, 내부에 소금이 충진되었을 때(실시예2) 또는 공기(비교예1)가 충진되었을 때보다 냉각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의 [표 2]는 외부의 온도가 25℃이고, 냉각온도가 5℃로 설정한 상태에서 냉각보조물질 내에 투입된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변화되었을 때,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이때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변화하여도 물과 소금의 비율은 동일하도록 이루어진다.
0h 4h 8h 12h 16h 20h 24h 28h 32h 36h
실시예3 25.0 21.9 19.0 16.2 13.6 11.0 8.2 5.0 5.0 5.0
비교예2 25.0 22.2 19.5 17.0 14.6 12.3 10.0 10.0 9.9 10.0
비교예3 25.0 22.7 20.7 18.9 17.1 15.3 13.9 12.7 12.0 12.0
* 단위는 ℃임.
이때 충진부(45)의 내부공간은 600mL이다.
실시예3은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10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비교예2는 아세트산의 함유량 4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비교예3은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15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표 2를 참조하여 실시예3을 살펴보면, 실시예2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24시간 내지 28시간이 경과할 때 설정온도인 5℃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반면에 비교예2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되, 20시간 내지 24시간이 경과할 때 10℃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또한 비교예3은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되, 28시간 내지 32시간이 경과할 때, 12℃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이러한 실시예3은 충진부(45)의 내부에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10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었을 때,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4 중량%인 비교예2와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15 중량%인 비교예3과 비교하였을 때, 곡물저장통(31)의 최종 냉각온도가 더 낮다는 것을 확일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2는 곡물저장통(31)의 냉각속도가 실시예3보다 느리며, 내부의 온도가 10℃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2는 충진부(45)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보조물질 내부에 포함되는 아세트산의 양이 실시예3의 냉각보조물질보다 감소하였기 때문에 냉각보조물질의 열용량이 감소하게 되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외부 온도가 높을 경우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교예3은 충진부(45)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보조물질 내부에 포함되는 아세트산의 양이 실시예3의 냉각보조물질보다 증가하였기 때문에 냉각보조물질의 열용량이 증가하여 동일한 효율의 펠티어소자(411)를 사용하게 될 경우,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감소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냉각부(4)는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보조물질의 아세트산의 함유량이 일정 수치 이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하였을 때, 냉각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표 3]은 외부의 온도가 25℃이고, 냉각온도가 5℃로 설정한 상태에서 냉각보조물질 내에 투입된 소금의 함유량을 변화하였을 때,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이때 냉각보조물질은 소금의 함유량이 변화하여도 물과 아세트산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0h 4h 8h 12h 16h 20h 24h 28h 32h 36h
실시예4 25.0 21.9 19.0 16.2 13.6 11.0 8.2 5.0 5.0 5.0
비교예4 25.0 22.4 19.7 17.3 14.8 12.6 10.6 9.4 9.0 9.0
비교예5 25.0 22.8 20.6 18.3 16.3 14.4 12.7 11.2 11.0 11.0
* 단위는 ℃임.
이때 충진부(45)의 내부공간은 600mL이다.
실시예4는 소금의 함유량이 45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비교예4는 소금의 함유량이 30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비교예5는 소금의 함유량이 60 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된 곡물냉장고이다.
표 3을 참조하여 실시예4를 살펴보면, 실시예4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24시간 내지 28시간이 경과할 때 설정온도인 5℃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반면에 비교예4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되되, 28시간 내지 32시간이 경과할 때, 9℃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또한 비교예5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감소되되, 20시간 내지 24시간이 경과할 때, 11℃에 도달하게 되며 온도가 유지된다.
이러한 실시예4는 충진부(45) 내부에 소금의 함유량이 45중량%인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었을 때, 소금의 함유량이 30 중량%인 비교예4 및 소금의 함유량이 60중량%인 비교예5와 비교하였을 때, 곡물저장통(31)의 최종 냉각온도가 더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4는 곡물저장통(31)의 냉각속도가 실시예4보다 느리며, 내부의 온도가 9℃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4는 냉각보조물질의 소금의 함유량이 감소되어 석출되는 소금의 양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열용량이 감소하여 실시예4보다 냉각속도 및 최대 냉각온도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교예5는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가 9℃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5는 냉각보조물질의 소금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석출되는 소금의 양이 증가하게 되며, 석출된 소금에 의해 열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냉각속도가 증가되되, 최대 냉각온도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냉각부(4)는 충진부(45)의 내부에 충진되는 냉각보조물질의 소금 함유량이 일정 수치 이상으로 감소되거나 증가하였을 때, 냉각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로서, 냉각보조물질은 6 ~ 12 중량%와, 소금 40 ~ 50 중량%와, 물 40 ~ 50 중량%로 이루어질 때 냉각효율이 가장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곡물냉장고(1)는 충진부(45)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됨으로써 냉각부(4)의 냉각효율이 증가되어 외부의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설정온도까지 곡물저장통(31)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단열블록(5)은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열블록(5)의 내부에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의 단열재가 충진된다.
또한 단열블록(5)의 상부면은 곡물저장통(31)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단열블록(5)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냉각부 삽입공(51)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열블록(5)은 곡물저장부(3)로 삽입되지 않은 냉각봉(41)과, 냉각관체(44), 메쉬망(46)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냉기가 곡물저장통(3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증가시켜준다.
또한 단열블록(5)은 방열판 구조체(42)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곡물저장통(31)의 하부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곡물저장통(31)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곡물이 방열판 구조체(42)의 열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곡물배출통(6)은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2)에 형성된 배출통 삽입공(21)에 삽입된다.
이러한 곡물배출통(6)은 회전통(33)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통(33)을 회전시켰을 때 회전통(33) 내부의 곡물이 유입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케이스(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1 : 곡물냉장고 2 : 케이스
21 : 배출통 삽입공 3 : 곡물저장부
31 : 곡물저장통 32 : 회전통 하우징
33 : 회전통 34 : 회전축
35 : 손잡이 4 : 냉각부
41 : 냉각봉 42 : 방열판 구조체
43 : 냉각팬 44 : 냉각관체
45 : 충진부 46 : 메쉬망
5 : 단열블록 6 : 곡물배출통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저장부와, 상기 곡물저장부에 저장된 곡물을 냉각시켜주는 냉각부로 이루어지는 곡물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단부가 상기 곡물저장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곡물저장부 내로 돌출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곡물저장부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냉각봉;
    상기 냉각봉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봉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단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판 구조체;
    상기 냉각봉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는 충진부;
    상부가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진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냉각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보조물질은
    아세트산 6 내지 12 중량%와, 소금 40 내지 50 중량%와, 물 40 내지 50 중량%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저장부의 외벽들 내부에는 수분흡수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흡수제는
    간수가 제거된 소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체는 황토재질로 헝성되되, 제작 시 내부에 소금이 첨가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체는 내외주면에 소금이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7. 청구항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봉의 외주면에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봉의 하단부와 인접한 부분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내측테두리가 상기 냉각봉의 외주면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높이가 가장 낮은 위치에 수분이 배출되는 물배출구가 형성되는 물받이판이 설치되고,
    상기 방열판 구조체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단의 하면에 설치되되, 상기 물받이판의 물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물배출공이 형성되는 방열프레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방열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봉과 상기 냉각관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생성된 수분이 상기 물받이판의 물배출구와 상기 물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구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개폐문;
    내주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문은
    평시에는 폐쇄되어 상기 방열판 구조체의 열기가 상기 내부공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물배출구 내에 수분이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될 경우에는 전극들이 수분에 의해 통전되어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저장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 곡물배출구가 형성되는 곡물저장통;
    일단이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가 상기 곡물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곡물저장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통 하우징;
    양단이 폐쇄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제3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통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통은
    설치 시 상기 회전통 하우징의 제2 개구부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회전각도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냉장고.
KR1020200100210A 2020-02-17 2020-08-11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10259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10A KR102596672B1 (ko) 2020-08-11 2020-08-11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PCT/KR2021/001958 WO2021167316A1 (ko) 2020-02-17 2021-02-16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10A KR102596672B1 (ko) 2020-08-11 2020-08-11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921A true KR20220019921A (ko) 2022-02-18
KR102596672B1 KR102596672B1 (ko) 2023-11-01

Family

ID=8049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210A KR102596672B1 (ko) 2020-02-17 2020-08-11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6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47Y1 (ko) * 2004-04-14 2004-07-05 이두희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KR20130068731A (ko) * 2011-12-16 2013-06-26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20140008740A (ko) * 2012-07-11 2014-01-22 박성철 곡물냉장고
JP6055114B2 (ja) * 2013-03-15 2016-12-27 ポスコPosco 鋳造設備及びこれを用いた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47Y1 (ko) * 2004-04-14 2004-07-05 이두희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KR20130068731A (ko) * 2011-12-16 2013-06-26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20140008740A (ko) * 2012-07-11 2014-01-22 박성철 곡물냉장고
JP6055114B2 (ja) * 2013-03-15 2016-12-27 ポスコPosco 鋳造設備及びこれを用いた鋳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672B1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9379B2 (ja) 冷蔵庫
JP2009121803A (ja) 冷蔵庫
CN103453710B (zh) 墙中冰箱及其控温方法
JP2011099645A (ja) 冷蔵庫
KR20220019921A (ko) 냉각보조물질이 충진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 곡물냉장고
KR102383867B1 (ko) 곡물냉장고
KR102303538B1 (ko) 곡물냉장고
KR20130076023A (ko) 냉장고 내부 습기조절용 조습판 및 이를 갖는 야채박스와 상기 야채박스가 구비된 냉장고
US20060248917A1 (en) Air cooling device
KR101170718B1 (ko) 곡물 냉장고
CN206399083U (zh) 风冷冰箱
CN215864379U (zh) 一种干燥防凝露箱和干燥包装间
WO1998034075A1 (fr) Appareil d'entreposage frigorifique
CN215175587U (zh) 除湿器
KR20140104940A (ko) 축냉제습기
CN113124507A (zh) 除湿器
KR100517995B1 (ko) 화장품 냉장고
CN107976007A (zh) 一种新型冷暖保藏柜
JPH09126623A (ja) 食品貯蔵庫
JP2939255B1 (ja) 穀物冷蔵装置
KR200381151Y1 (ko) 기능성 신발장
CN219223221U (zh) 存储设备
CN218650868U (zh) 储物柜
CN218495399U (zh) 储物柜
CN220931453U (zh) 冷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