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73A -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 Google Patents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073A
KR20100000073A KR1020080059426A KR20080059426A KR20100000073A KR 20100000073 A KR20100000073 A KR 20100000073A KR 1020080059426 A KR1020080059426 A KR 1020080059426A KR 20080059426 A KR20080059426 A KR 20080059426A KR 20100000073 A KR20100000073 A KR 2010000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onggi
case
refrigerato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범
Original Assignee
(주)유니글로브에이치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글로브에이치엔티 filed Critical (주)유니글로브에이치엔티
Priority to KR102008005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073A/ko
Publication of KR2010000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쌀을 포함한 곡물을 담는 용도의 옹기로 마련된 옹기쌀통; 상기 옹기쌀통이 삽입 및 결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수납실; 및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 공기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쌀의 변질을 막고 일정 수분을 유지시켜 밥맛을 향상시키며,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를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고 소음을 없애는 친환경적인 쌀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쌀냉장고, 옹기, 열전반도체, 냉매관, 냉장고, 보존, 해충

Description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Rice Refrigerater Using Rice Pail made by Earthenware}
본 발명은 쌀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기 쌀통이 구비된 쌀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쌀벌레나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의해 쌀의 품질이 변질되는 것을 막아 쌀을 장기간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쌀의 함수율을 유지함으로써 맛을 보존하기 위한 쌀냉장고에 대한 개발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쌀통에 쌀을 저장할 경우, 적당한 습도와 온도유지가 어려워 쌀벌레가 생기거나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의하여 쌀이 변질되는 현상이 생기며, 냉장 쌀통이라고 하더라도 냉기의 송풍방식일 경우 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빠져나가므로 쌀의 함수율이 떨어져 장기 보관에 불리할 뿐만 아니라 맛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프레온가스를 사용하는 냉장방식은 냉매 압축기에 의해 소음이 생길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문제에 노출되어 향후 그 사용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쌀의 보관 성능이 높으며 환 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냉장 방식을 이용하는 쌀 냉장고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쌀의 변질을 막고 적당한 수분을 유지시켜 밥맛을 향상시키며, 전력 소비를 줄이고 소음이 없는 친환경적인 옹기쌀통을 구비한 쌀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쌀을 포함한 곡물을 담는 용도의 옹기로 마련된 옹기쌀통; 상기 옹기쌀통이 삽입 및 결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수납실; 및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 공기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상기 옹기쌀통은 사각통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는 후면에 물받이통과 상면에 여닫이덮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와 상기 냉각장치는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를 제공함으로써, 쌀의 변질을 막고 일정 수분을 유지시켜 밥맛을 향상시키며, 전력 소비를 줄이고 소음을 없애는 친환경적인 쌀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냉장고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냉장고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쌀냉장고(1)는 크게 옹기로 마련된 옹기쌀통(10)과 옹기쌀통(10)을 수납하는 케이스(70)와 옹기쌀통(10)과 케이스(70)의 이격 공간인 수납실(15)의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30)를 사용한 냉각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30)를 사용한 냉각방식은 기존의 압축기(미도시)를 이용한 냉각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쌀통으로 이용되는 옹기의 특징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면, 주재료가 되는 찰흙에는 수많은 모래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어 옹기 벽의 안과 밖으로 미세한 통기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옹기 내부의 보존물은 자연적으로 적당한 수분을 유지하며 외부 온도에 따른 급격한 변화도 적게 된다. 또한 옹기의 제작과정에서 옹기를 가마 안에 넣고 구울 때 나무가 타면서 생기는 검댕이가 옹기의 안과 밖을 휘감으면서 방부성 물질이 입혀지고, 잿물 유약에 들어가는 재도 음식물이 썩지 않게 하는 방부성 효과를 높여 줌으로써 옹기에 쌀이나 보리, 씨앗 등을 넣어두면 다음해까지 썩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된다.
이러한 옹기의 특징으로 인해 옹기 안에 곡물이나 음식물을 저장하게 되면 발효가 잘 되며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옹기는 자연에 가장 가까운 그릇으로 주로 야산에서 얻어지는 찰흙을 재료로 만들어지고 부엽토와 재를 섞어 만든 잿물을 입혀 구워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단단하여 백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냉각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레온가스를 사용하는 압축기 방식 외에도 열전반도체를 이용한다.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는 열전반도체소자와 방열판, 흡열판 등으로 구성되며, 열전반도체소자는 전류를 가하게 되면 일면은 주변의 열을 흡수하고 타면은 열을 방출하도록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따라서 열전반도체소자에 흡열판과 방열판을 부착하여 효율을 우수하게 만든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는 저전력을 사용하며 일체의 소음이 없이 작동되고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차세대 냉각방식이다.
옹기쌀통(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발명의 수납실(15)에 수납 가능한 기존의 항아리형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옹기이면 그 효과는 동일하다. 옹기쌀통(10)의 높이와 폭은 수납실(15)에 수납 가능한 크기로 마련되며, 쌀냉장고(1)의 개폐는 케이스(70)의 상면 일측에 부착된 힌지부(25)에 결착된 여닫이덮개(20)로 이루어진다.
옹기쌀통(10)을 수납실(15)에 수납함으로써 옹기쌀통(10)을 쉽게 청소하거나 쌀을 옹기쌀통(10)에 넣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도 언급하였듯이 옹기에 곡물을 담게 되면 일정수분을 유지시켜 곡물의 과건조를 막음과 동시에 옹기쌀통(10) 자체의 방부 효과에 의해 곡물이 변질되거나 쌀벌레 등 해충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
케이스(70)는 일반적인 형태인 내부케이스(73)와 외부케이스(71)로 구성되고 그 이격공간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75)를 충진시켜 열차단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73) 양측 상부영역에는 내부케이스 둘레로 걸림턱(13)이 구성되어 있고, 옹기쌀통(10)의 상측외면 둘레에는 걸림돌기(11)가 구성되어 있어 옹기쌀통(10)을 넣었을 경우 옹기쌀통(10)이 걸림턱(13)에 걸쳐 수납실(15) 바닥과 이격되게 된다. 이는 옹기쌀통(10)의 냉각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옹기쌀통(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납실(15)을 냉각시키기 위해 케이스(70) 일측면 중단에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30)가 부착되어 있다.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30)는 열전반도체소자(32), 방열판(33), 외측방열판(39), 쿨링팬(35) 및 방열그릴(31)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스(73)의 일측에 부착된 온도센서(50)에서 수납실(15)의 온도를 감지하여 수납실(15)의 냉각이 진행되면 열전반도체소자(32)의 방열판(33)이 부착된 부분에서는 흡열을 진행하여 방열판(33)의 온도가 낮아지고 방열그릴(31)과 인접한 부분인 외측방열판(39)에서는 발열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쿨링팬(35)이 회전함으로써 찬공기는 수납실(15) 내부로 순환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열그릴(31)은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그릴(31)은 긴 파이프 형태를 'S'자 형태로 첩첩으로 굴곡시켜 열 방출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양 끝단은 외측방열판(39)과 용 접으로 결착되어 있다. 또한, 방열그릴(31) 내부에는 냉매(미도시)가 충진되어 있어 냉각의 효율을 높였으며 방열그릴(31)의 굴곡면에 방열선(37)을 다수 부착시켜 열 방출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케이스(70) 일측 하단에는 냉각에 의해 수납실(15) 내부에서 응축될 수 있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받이통(4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70) 외측으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30)는 전면의 콘트롤러(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납실(15)의 온도에 따라 자동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실(15) 내부의 온도는 10℃~15℃가 바람직하며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30)의 쿨링팬(35)은 소음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80)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 및 각종 센싱회로(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어 수납실(15)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쌀냉장고는 옹기쌀통를 사용함으로써 쌀을 포함한 곡물의 적당한 수분유지 및 온도유지로 쌀의 변질을 막고 쌀벌레 등의 해충을 방지하며, 또한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를 사용하여 수납실을 냉각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이고 소음을 없애는 환경친화적인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쌀냉장고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쌀냉장고의 후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쌀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쌀냉장고 10: 옹기쌀통
11: 걸림돌기 13: 걸림턱
15: 수납실 20: 여닫이덮개
25: 힌지부 30: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
31: 방열그릴 32: 열전반도체소자
33: 방열판 35: 쿨링팬
37: 방열선 39: 외측방열판
40: 물받이통 50: 온도센서
70: 케이스 71: 외부케이스
73: 내부케이스 75: 단열재
80: 컨트롤러

Claims (5)

  1.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
    쌀을 포함한 곡물을 담는 용도의 옹기로 마련된 옹기쌀통;
    상기 옹기쌀통이 삽입 및 결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수납실; 및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실 내부 공기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쌀통은 사각통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후면에 물받이통과 상면에 여닫이덮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열전반도체소자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KR1020080059426A 2008-06-24 2008-06-24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KR20100000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426A KR20100000073A (ko) 2008-06-24 2008-06-24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426A KR20100000073A (ko) 2008-06-24 2008-06-24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73A true KR20100000073A (ko) 2010-01-06

Family

ID=4181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426A KR20100000073A (ko) 2008-06-24 2008-06-24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0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88B1 (ko) 2020-03-24 2021-08-25 주식회사 더맘 곡물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88B1 (ko) 2020-03-24 2021-08-25 주식회사 더맘 곡물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7382B2 (ja) 冷蔵庫
KR20100000073A (ko) 옹기 쌀통을 이용한 쌀냉장고
CN205448451U (zh) 一种腊制品储藏柜
WO1998034075A1 (fr) Appareil d'entreposage frigorifique
KR20020036106A (ko) 김치저장고의 소음 저감 구조
JP2004075188A (ja) 保温、保冷の蓄熱源用断熱二重容器
JP3159081B2 (ja) 低温貯蔵庫
KR200195601Y1 (ko) 정온 저장쌀통
JPH0889426A (ja) 米びつ
KR960014840B1 (ko) 2단 김치 자동숙성 및 저장장치
KR200401762Y1 (ko) 테이블용 김치냉장고
KR20060082284A (ko)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회용기
JP3066242B2 (ja) 生鮮食品の保存方法
JPH03217779A (ja) 高湿度冷蔵庫
KR200210899Y1 (ko)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JP6926698B2 (ja) 保冷庫
KR20070016913A (ko) 도자기제 냉장 항아리
JP2003287337A (ja) 収納装置
KR200382378Y1 (ko)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회용기
KR200214134Y1 (ko) 차음판이 설치된 김치저장고용 케이스
KR101069468B1 (ko) 쌀냉장고
KR100812364B1 (ko) 김치냉장고용 이중도어구조
KR200267104Y1 (ko) 보조트레이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JP2614564B2 (ja) 冷却貯蔵庫
JP2001066030A (ja) 保冷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