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99Y1 -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 Google Patents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99Y1
KR200210899Y1 KR2020000021865U KR20000021865U KR200210899Y1 KR 200210899 Y1 KR200210899 Y1 KR 200210899Y1 KR 2020000021865 U KR2020000021865 U KR 2020000021865U KR 20000021865 U KR20000021865 U KR 20000021865U KR 200210899 Y1 KR200210899 Y1 KR 200210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onggi
low temperature
contain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교
Original Assignee
오인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교 filed Critical 오인교
Priority to KR2020000021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9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통의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쌀을 저온 상태로 저장 보관할 수 있는 쌀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쌀을 저장보관하는 쌀통의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쌀이 저장된 옹기의 표면에 접근시켜 쌀이 저장된 옹기가 저온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쌀의 신선도가 유지되어 저장 보관성이 좋아지도록 한 저온 쌀통에 있어서, 상기 쌀통에는 냉각장치에서 발생한 냉기가 쌀저장 옹기의 중앙에 내설된 냉각관을 통하여 표출되는데, 이와 같이 표출된 냉기를 회전 휀에 의하여 쌀이 저장되는 옹기 외면으로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서, 냉장실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쌀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본 고안은 쌀을 저장 보관하는 쌀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쌀통의 일측에 냉기를 생성시키는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쌀이 저장된 옹기의 표면에 접근시켜줌으로서, 쌀의 신선도가 유지되어 저장 보관성이 좋아지도록 한 저온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통은 쌀을 청결하게 보관하여 쌀의 상태가 원래대로 유지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적당량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쌀통에 있어서, 쌀의 신선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쌀이 저장된 통의 내부에 자연공기가 통기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쌀통의 경우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쌀이 쉽게 변질되거나 필요이상으로 건조되어 쌀의 질이 저하되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쌀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밀폐식 쌀통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수분이 많이 함류된 쌀을 저장 보관하는 경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며, 오히려 통풍성을 막는 결과가 되어 저장된 쌀의 생리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목적은 쌀통의 내부 일측에 별도의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이 냉각장치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쌀이 저장된 옹기의 표면에 접근시켜줌으로서, 쌀 저장옹기의 내부 온도가 쌀을 보관 저장하는데 알맞도록 일정한 저온을 유지됨으로 쌀에서 세균이나 쌀벌레 등의 해충발생을 막아주며, 습기를 방지하여 양질의 쌀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저온 쌀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저온 옹기쌀통의 외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저온 옹기쌀통의 전면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의 내부설명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저온 옹기쌀통의 일측면의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저온 옹기쌀통의 배면내부를 설명한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 저온 옹기쌀통의 상면내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저온 옹기쌀통의 냉기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쌀통 2 : 쌀저장 옹기
3 : 냉각관 4 : 전동기(콤프레셔)
5 : 회전 휀 6 : 냉매 순환 배관
7 : 냉각장치 8 : 제어부
9 : 다용도실 10 : 전기밥솥 보관대
11 : 콘덴셔 12 : 드라이필터
13 : 팽창장치 14 : 쌀 배출구
15 : 단열재 16 : 쌀저장실 도어
17 : 냉각장치실 도어 18 : 다용도실 도어
19 : 밀폐용 고무 20 : 냉장실
본 고안에 따르면, 쌀을 저장보관하는 쌀통(1)의 일측에 냉각장치(7)를 부설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쌀이 저장된 옹기(2)의 표면에 접근시켜 쌀이 저장된 옹기(2)가 저온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쌀의 신선도가 유지되어 저장 보관성이 좋아지도록 한 저온 쌀통(1)에 있어서, 상기 쌀통(1)에는 냉각장치(7)에서 발생한 냉기가 쌀저장 옹기(2)의 중앙에 내설된 냉각관(3)을 통하여 표출되는데, 이와 같이 표출된 냉기를 회전 휀(5)에 의하여 쌀이 저장되는 옹기(2) 외면으로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서, 냉장실(20)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쌀통(1)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장치(7)가 부설된 저온 쌀통(1)의 전면(前面)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의 프레임 구성은 상단을 두칸으로 구성하여 일측 공간은 다양한 물건을 넣을 수 있는 다용도실(18)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며,나머지 일측 공간은 요식업소나 가정에서 흔이 사용하는 전기 밥솥 또는 밥통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10)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하단의 일측부에는 냉각장치(7)를 안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며, 나머지 일측공간은 쌀을 저장하는 옹기(2)를 설치하는 공간으로서 냉장실(20)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쌀 저장옹기(2)가 설치되는 냉장실(20) 내부 전면(全面) 및 도어 내면은 냉기 보존을 위한 단열재(15)를 부착하는 것에 유의한다.
상기와 같은 본체의 프레임은 저온 쌀통(1)의 틀로 활용되는 것으로, 견고함과 경량감을 위하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채용하여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 프레임의 전면(前面)에는 도 1내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열리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식 도어(16,17,18)가 각각 구비되며, 상단의 일측 즉, 전기 밥솥이나 밥통을 보관하는 공간(10)은 편의성을 위하여 도어부착을 생략하고, 전기제품의 소켓을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한 것이다.
예시도 6은 본 고안의 저온 쌀통(1)의 냉각장치(7)의 냉기 흐름도를 설명한 것으로, 전동기(콤프레셔)(4)에서 생성된 냉기는 콘텐셔(11)을 거쳐 드라이필터(12)을 경유하여 팽창장치(13)을 거쳐 냉각관(3)에 도달하며, 여기서 발생하는 냉기를 회전 휀(5)에 의하여 강제로 분산시키므로서, 쌀 저장 옹기(2)의 외면 즉,냉장실(20)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쌀 저장 옹기(2)의 적절한 저온 유지를 위하여 냉장실(20) 공간의 각각 이음부를 밀폐성을 유지시키는데 유의하며, 또한, 내부 전면(全面)은 단열재(15)을 채용하여 해결하고자 했으며, 쌀 저장실 도어(16)의 내부 테두리부에는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용 고무(19)를 부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밀폐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쌀 저장 옹기(2)의 외부로 순환되는 냉기는 쌀의 온도와 냉장실(20)내부를 서늘하게 유지시키면서 냉장실(20)의 중앙 상부에 구비된 냉기 회전 휀(5)에 의하여 냉장실(20) 내부 공간에서 강제로 분산 순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냉장실(20)의 내측에는 냉장실(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적절한 온도를 관리함으로서, 쌀이 저장된 옹기(2)내의 온도를 쌀을 저장시키기에 가장 이상적인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8)를 거쳐 냉각장치(7)에 보내짐으로서 냉각장치(7)의 작동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냉각장치(7)의 작동상태에 따라 냉장실(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쌀통(1) 상단에 구비된 쌀 인입부를 통하여 저장된 쌀은 하단의 전면(前面)에 구비된 배출구(14)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보관 및 저장상태가 좋은 쌀을 식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쌀을 저장 또는 보관하는 쌀통의 일측에 냉각장치를 부설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쌀이 저장된 옹기의 표면에 접근시켜 쌀이 저장된 옹기가 저온상태가 유지되어 쌀의 신선도가 유지되어 저장 보관성이 좋아지도록 한 저온 쌀통을 제공함으로서, 쌀의 변질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에 의한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쌀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쌀통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쌀을 저장하는 쌀통(1)의 일측에 냉각장치(7)를 부설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쌀이 저장된 옹기(2)의 표면에 접근시켜 쌀이 저장된 옹기(2)가 저온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쌀의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쌀통(1)에 있어서, 상기 쌀통(1)에는 일측에 부설된 냉각장치(7)에 냉각관(3)이 연결되어 이 냉각관(3)이 쌀 저장옹기(2)의 중앙에 내설되는 구조로, 냉각관(3)에서 발생한 냉기를 상부에 구비된 회전 휀(5)에 의하여 냉장실(20) 공간으로 강제 순환시켜 저온 유지가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쌀통.
  2. 제1항에 있어서, 쌀 저장 통의 재료가 옹기(질그릇)(2)재를 채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쌀통.
KR2020000021865U 2000-07-28 2000-07-28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KR200210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65U KR200210899Y1 (ko) 2000-07-28 2000-07-28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65U KR200210899Y1 (ko) 2000-07-28 2000-07-28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99Y1 true KR200210899Y1 (ko) 2001-01-15

Family

ID=7307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65U KR200210899Y1 (ko) 2000-07-28 2000-07-28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50B1 (ko) 2004-11-30 2006-09-12 박성철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WO2007139241A1 (en) * 2006-05-30 2007-12-06 Sung-Chul Park Refrigerator for grain with evaporator installed in receiving pa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50B1 (ko) 2004-11-30 2006-09-12 박성철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WO2007139241A1 (en) * 2006-05-30 2007-12-06 Sung-Chul Park Refrigerator for grain with evaporator installed in receiving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491B2 (en) Refrigerator
CN103453710B (zh) 墙中冰箱及其控温方法
CN212378330U (zh) 在门体上形成储物空间的冰箱
KR101564101B1 (ko) 냉장고
EP3132214B1 (en) Refrigerator
KR200210899Y1 (ko)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JP3159081B2 (ja) 低温貯蔵庫
CN211903482U (zh) 一种具有保鲜功能的冷柜箱储物架
KR200300319Y1 (ko) 음식물 쓰레기 냉장고
JP3478795B2 (ja) 冷蔵庫
KR100285044B1 (ko) 김치 저장고용 도어
KR19990074943A (ko) 김치냉장고
CN219720256U (zh) 一种食品保鲜用制冷设备
JP2001317852A (ja) 冷蔵庫
CN213687430U (zh) 一种上制冷式米柜
KR100201273B1 (ko) 쇼케이스
WO2022057613A1 (zh) 在门体上形成储物空间的冰箱
KR200169837Y1 (ko) 김치저장고의 내기차단 장치
JPS5918284Y2 (ja) 冷蔵庫
KR100930878B1 (ko) 정수기와 곡물 냉장고 겸용 복합기
CN107339844A (zh) 壁挂式冷藏箱
KR100482741B1 (ko) 김치냉장고
KR100731004B1 (ko) 냉각 킷트를 갖는 냉장고
CN117419495A (zh) 真空保鲜装置、冰箱及其真空保鲜方法
CN114408382A (zh) 一种兼具制冷和真空保存功能的储物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