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550B1 -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550B1
KR100620550B1 KR1020040099414A KR20040099414A KR100620550B1 KR 100620550 B1 KR100620550 B1 KR 100620550B1 KR 1020040099414 A KR1020040099414 A KR 1020040099414A KR 20040099414 A KR20040099414 A KR 20040099414A KR 100620550 B1 KR100620550 B1 KR 10062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evaporator
vertical rod
heating means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362A (ko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102004009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5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수용기내에 설치된 증발기에 좌, 우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결빙, 결로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강제로 수용기내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고내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내의 냉장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연직방향으로 통과하는 수직봉;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증발기; 상기 수용부내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을 기 설정조건에서 가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히터, 수용부, 나선관, 온도감지센서

Description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refrigerator for grain with evaporator installed in receiving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수납공간의 중심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의 중심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내부에 증발기를 수용하는 수용관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고내에 냉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벽체에 증발기가 설치되어져 있어 고내에 채워지는 냉각대상물체, 특히 곡물인 경우에 냉기순환이 방해되기 때문에 저장된 곡물 전체에 냉기를 적절히 공급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고내의 저장공간의 중심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본원의 동일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2003-19092호로 출원되 어져 있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에는 증발기에 직접 곡물이 접촉하기보다는 증발기가 수용기에 수용되어 수용기에 곡물이 접촉하는 것이 결로방지등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기재되어져 있다.
상기 기출원된 발명에 대하여 수용기가 결로되거나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량발전시킨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출원2003-100422호(현재 미공개상태)로 다시 출원되었다.
상기 특허출원2003-100422호의 기술구성은 수용기가 갖는 재료적 특성과 증발기의 배치에 의하여 결로, 결빙현상을 억제하는 것이나, 수용기내에 증발기의 배치를 균형있게 정밀설치되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부 온도, 습도 등에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기내에 설치된 증발기에 좌, 우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결빙, 결로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강제로 수용기내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고내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곡물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기내에 형성되는 수분에 의하여 형성된 물로 수용기 하부에 설치된 압축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며, 냉각팬 등의 냉각장치를 줄여 제작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냉장고내의 냉장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연직방향으로 통과하는 수직봉;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증발기; 상기 수용부내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을 기 설정조건에서 가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의 측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판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의 외주연 내측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부의 저면은 상기 하판의 외주연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봉이 상기 하판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직봉과 상기 하판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내에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 하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직봉에는 탄력성을 갖는 탄성관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나선부는 상기 탄성관의 외측에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온도와 기설정되는 조건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가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설정되는 조건은 제어부내에 저장된 기설정온도보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가열수단을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냉장고의 하우징(1)의 내부는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격판(2)이 수평으로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고, 격판(2)의 상부는 냉각대상물, 특히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저장부(5)가 형성되고, 관통공의 직하부의 격벽(6) 상면에는 격판(2)의 관통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곡물을 담는 배출통(4)이 설치된다. 배출통(4)은 격벽(6) 상면에 이동가능상태로 놓여지며, 격벽(6)과 격벽(9)의 공간에는 압축기(7)가 설치된다. 격판(2)의 관통공은 배출손잡이(3)에 의하여 연결되어져 관통공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배출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1은 배출손잡이(3)를 우측으로 밀면 관통공이 개방되어져 곡물 저장부(5)에 저장된 곡물이 관통공을 통하여 관통공 하부에 설치된 배출통(4)으로 내려온다. 또한, 격판(2)의 중심의 상부로 증발기 및 내부에 증발기를 수용하는 수용부(100)가 설치된다.
격판(2)은 중심의 관통공(21)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져 곡물 저장부(5)에 저장된 곡물이 관통공(21)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고, 4개의 모서리로부터 수평면상의 지지대(22), (23), (24)가 용접되어 설치된다. 이 때, 지지대(22)는 대각선의 모서리들간에 설치되고, 지지대(23)의 일단은 모서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대(2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또한, 지지대(24)의 일단은 남겨진 모서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대(22)에 결합된다. 양 모서리를 연결하는 지지대(22)의 중심에는 수직봉(101)이 연직상방으로 용접된다. 수직봉(101)의 하단과 상단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진다. 수직봉(101)에는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수용부 하판(110)이 끼워진다. 이때, 수용부 하판(110)은 중심의 관통공과 외주면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돌출턱(111)이 형성되어있고, 수직봉(101)에 수용부 하판(110)이 끼워지면, 와셔(104)와 너트(102)가 채워져 수용부 하판(110)을 수직봉(101)에 결합시킨다. 이때, 수용부 하판(110)의 저부는 지지대(22)와 지지대(23)의 연결부, 지지대(22)와 지지대(24)의 연결부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 하판(110)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관(105)이 수직봉(101)에 삽입되어 수용부 하판(110)의 돌출턱(111)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가이드관(105)의 상부에는 스폰지 재질의 탄력성 있는 스폰지관(106)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가이드관(105)은 증발기(130)가 스폰지관(106)의 외주연을 따라 끼워질 때 스폰지관(106)을 고정, 지지해준다. 또한, 수용부의 하판(110)의 돌출턱(111)의 외측으로는 원통형상의 수용부 외관(120)의 하부면이 삽입, 설치된다. 이때, 수용부 하판(110), 가이드관(105), 수용부 외관(120), 후술되는 수용부 상부관(140), 유도관(144)은 고체로 이루어져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이나,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 방사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세라믹이나 황토재질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도 수분을 일정량 함유할 수 있어 냉각과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는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스폰지관(106)의 외측으로는 증발기(130)가 설치된다. 증발기(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으로 하향되는 직선부(131)와 직선부(131)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나선부(132)로 이루어진다. 직선부(131)의 상단은 모세관(133)이 연결되어져 모세관(133)으로부터 직선부(131)로 냉매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나선부(132)의 외측으로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관(150)과 수용부 외관(120) 사이에 면상발열체 또는 니크롬선 등으로 이루어진 히터(16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가열된다. 또한, 수용부 외관(120)과 절연관(150) 사이에는 온도감지센서(170)가 설치되어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또한, 수용부 하판(110)에는 수용부 내부에 고인물을 압축기(7)로 흘릴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 가이드관(180)이 설치된다.
또한, 수용부 외관(120)의 상부면에는 수용부 상부관(140)이 대접되어 설치된다. 수용부 상부관(140)은 저면이 개방되고, 측면이 원통관으로 이루어지되 원통관의 저면은 수용부 외관(120)의 상부면과 대접되며, 소정의 크기의 관통공이 측부에 형성되고, 상면은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심에 수직봉(101)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수용부 상부관(140)의 상면 관통공에 수직봉(101)을 통과시키며, 증발기(130)의 나선부(13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토출관(134)과 모세관(133)을 측부의 관통공(141)으로 배출시킨다. 토출관(134)과 모세관(133)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수직봉(101)에 와셔(142)와 너트(143)를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토출관(134)에 연결관을 연결시킨 후 유도관(144)을 통하여 하우징 외부로 인출시키고, 유도관(144)을 수용부 상부관(140)의 관통공(141)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또한, 수용부 상부관(140)의 상면 관통공에는 수직봉(101)의 상단부가 돌출되고, 너트(143)가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므로 캡(145)을 씌워, 이러한 것들을 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캡(145)은 수용부 상부관(140)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어부(40)는 데이터 저장부가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바람직하고, 데이터 저장부에는 설정온도, 설정시간이 저장되며, 제어부(40)에는 온도감지센서(170)로 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42)가 접속되어 있고, 히터(171)를 구동하기 위한 히터 구동부(43), 증발기(130)에 유입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변(46)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변 구동부(45), 설정온도 및 설정시간을 제어부(40)에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부(47)가 접속된다.
냉장고의 운전중 온도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수용부(100)내의 감지된 온도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4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40)에 입력된다. 제어부(40)에서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42)에서 입력되는 온도와 데이터 저장부의 저 제한 설정온도와 같아지게 되면 제어변구동부(45)를 동작시켜 제어변(46)이 증발기(130)에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유로를 차단하고, 히터(171)가 가열되도록 히터 구동부(43)를 제어한다.
히터(171) 가열중에 온도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제어부(40)에 입력되는 온도가 고 설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제어부(40)는 증발기(130)에 유체가 다시 흐르도록 제어변 구동부(45)을 제어하여 제어변(46)을 동작시키고, 히터구동부(43)를 제어하여 히터(171)의 가열을 멈추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온도감지센서(170)를 이용하여 결빙, 결로 현상을 예측하는 것이나, 습도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170)에서 저 설정온도가 감지되면 설정시간동안만 히터(171)를 가열하도록 하는 시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온도를 측정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히터를 가동시키도록 하는 방식이외에도 수용부(100)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냉장고의 용도로 설명되어져 있으나, 상기 고 설정온도와 저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값에 따라 겨울에 증발기(130)는 동작하지 않고, 히터(171)만을 가동시켜 온장고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에 수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고내의 결빙, 결로현상을 없애 고내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기내에 형성되는 수분에 의하여 형성된 물로 수용기 하부에 설치된 압축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며, 냉각팬 등의 냉각장치를 줄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에 의하여 수용부의 결빙, 결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내의 나선관의 시공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봉이 격판에 고정되고, 수직봉에 의하여 수용부가 고정되므로 그 구조가 견고해진다.

Claims (8)

  1. 냉장고내의 냉장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를 연직방향으로 통과하는 수직봉;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권취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증발기;
    상기 수용부내에 설치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을 기 설정조건에서 가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측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판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판의 외주연 내측으로 이격되어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부의 저면은 상기 하판의 외주연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봉이 상기 하판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직봉과 상기 하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내에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 하부에 설치되는 냉각수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에는 탄력성을 갖는 탄성관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나선부는 상기 탄성관의 외측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감지되는 온도와 기설정되는 조건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되는 조건은 제어부내에 저장된 기설정온도보다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가열수단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KR1020040099414A 2004-11-30 2004-11-30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KR10062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14A KR100620550B1 (ko) 2004-11-30 2004-11-30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14A KR100620550B1 (ko) 2004-11-30 2004-11-30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62A KR20060060362A (ko) 2006-06-05
KR100620550B1 true KR100620550B1 (ko) 2006-09-12

Family

ID=3715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14A KR100620550B1 (ko) 2004-11-30 2004-11-30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25B1 (ko) * 2006-12-01 2009-01-08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101142827B1 (ko) 2009-08-18 2012-05-08 박성철 곡물 냉장고
US11561038B2 (en) 2017-11-23 2023-01-24 Sung-Chul Park Grain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241A1 (en) * 2006-05-30 2007-12-06 Sung-Chul Park Refrigerator for grain with evaporator installed in receiving part
KR100830687B1 (ko) * 2007-03-06 2008-05-20 박성철 가열 및 냉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025A (ko) * 1998-08-17 2000-03-06 황한규 냉장용 쌀통
KR200210899Y1 (ko) 2000-07-28 2001-01-15 오인교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KR20030036398A (ko) * 2003-01-22 2003-05-09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20030036263A (ko) * 2003-01-22 2003-05-09 박성철 쌀냉장고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070642A (ko) * 2003-12-30 2005-07-07 박성철 곡물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025A (ko) * 1998-08-17 2000-03-06 황한규 냉장용 쌀통
KR200210899Y1 (ko) 2000-07-28 2001-01-15 오인교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KR20030036398A (ko) * 2003-01-22 2003-05-09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20030036263A (ko) * 2003-01-22 2003-05-09 박성철 쌀냉장고를 구비한 정수기
KR20050070642A (ko) * 2003-12-30 2005-07-07 박성철 곡물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25B1 (ko) * 2006-12-01 2009-01-08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101142827B1 (ko) 2009-08-18 2012-05-08 박성철 곡물 냉장고
US11561038B2 (en) 2017-11-23 2023-01-24 Sung-Chul Park Grain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362A (ko) 2006-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191B2 (ja) インキュベータ
US20080250799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KR102199375B1 (ko) 제습기
CN110454901B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杀菌能力强的新风系统
KR100620550B1 (ko) 증발기가 고내에 설치되는 냉장고
KR102427466B1 (ko) 차량, 차량용 냉장고, 및 차량용 냉장고의 제어방법
JP2006522471A (ja) 油絶縁変圧器、チョークコイル及びタップ切換器用の除湿機
KR100830688B1 (ko) 가열 및 냉각 장치
KR100877525B1 (ko) 곡물 냉장고
KR101170718B1 (ko) 곡물 냉장고
WO2007139241A1 (en) Refrigerator for grain with evaporator installed in receiving part
KR100531504B1 (ko) 곡물 냉장고
KR20110062725A (ko) 곡물 냉장고
KR20140001722U (ko) 곡식 건조기
EP3891449B1 (en) A cooling device wherein the frost formation in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evented
EP3887734B1 (en) A cooling device wherein the frost formation in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evented
KR20130110174A (ko) 축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101996911B1 (ko) 곡물 냉장고
JP4226035B2 (ja) 穀物冷蔵庫
US11561038B2 (en) Grain refrigerator
JP3540162B2 (ja) 除湿機
JPH0377616A (ja) エアフィルタ装置における水の凍結防止装置
JPH076824Y2 (ja) 乾燥保管容器を備えたキッチン収納庫
CN213480561U (zh) 用于空气处理机组的排水机构和空气处理机组
KR100830687B1 (ko) 가열 및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