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979Y1 -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979Y1
KR200353979Y1 KR20-2004-0008956U KR20040008956U KR200353979Y1 KR 200353979 Y1 KR200353979 Y1 KR 200353979Y1 KR 20040008956 U KR20040008956 U KR 20040008956U KR 200353979 Y1 KR200353979 Y1 KR 200353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conveyor
present
m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해광
Original Assignee
서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해광 filed Critical 서해광
Priority to KR20-2004-0008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기 등을 굽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가열체가 놓여져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상기 컨베이어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는 컨베이어 위의 피가열체를 향하여 열을 가하는 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 하화식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고기 등의 피가열체를 일면 만을 위주로 가열하지 않고 양면 모두를 동시에 균등한 조건으로 익힐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Upward and downward Broiler using conveyer system}
본 고안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에서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도 열이 공급되어 피가열체를 상, 하의 양 방향에서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장치는 고기 등의 피가열체의 저면에 별도의 열원을 갖고 있고 그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로 피가열체를 익힌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구이장치에 의해 고기를 구울 경우 일면만이 주로 익게 되어 사람이 수시로 직접 고기를 뒤집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러한 번거로움은 특히 구워야 될 고기의 양이 많을 경우에 더욱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이장치를 이용하여 피가열체의 양 쪽면 모두를 동시에 구울 수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고안은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가열체로부터 나오는 찌꺼기로부터 열원을 보호할 수 있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피가열체가 구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상부열원 20 : 하부열원
30 : 컨베이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이장치에 있어서 피가열체가 놓아져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열원, 및 상기 컨베이어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상부열원의 하방에 위치하는 세라믹불판 및 상기 하부열원의 상방에 위치하는 옥돌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열원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열원에서 공급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피가열체의 가열로부터 얻어지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접시 형상의 가스불 분배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2 및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크게 상부열원(10), 하부열원(20) 및 컨베이어(30)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30)는 회전 구동축(31)에 의해 움직이며 이에 따라 피가열체(32; 도2)가 컨베이어(30) 위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피가열체(32; 도2)가 위치되는 곳으로 컨베이어(30)를 쓴 이유는 각 피가열체(32; 도2)의 굽는 시간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열원은 상부열원(10)과 하부열원(20)으로 구성되며, 상부열원(10)은 하방에 위치하는 피가열체(32; 도2)를 향하여 열을 가하고(하화식), 하부열원(20)은 상방에 위치하는 피가열체(32; 도2)를 향하여 열을 가한다(상화식). 즉, 쌍방향 모두에서 피가열체(32; 도2)를 굽기 때문에 피가열체의 양 면 모두 같은 상태로 구워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원의 안정적인 기능을 위해 본 고안은 열원의 온도, 컨베이어(30)의 이동 속도, 컨베이어(30)의 모터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스위치(40)는 상부열원(10)과 하부열원(20)이 위치한 곳 모두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며,상부열원(10)과 하부열원(20)이 위치한 곳의 각각의 네 모서리는 서로 기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스위치(40)가 보이는 상기 기둥과 기둥사이에는 내열유리(5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듯 내열유리(50)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두 군데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내열유리(50)는 전자를 의미하며, 후자는 하부열원(20)이 위치한 곳에 포함된다. 한편, 윗부분에 위치한 내열유리(50)와 아랫부분에 위치한 내열유리(50)의 장착된 형태는 상이하다. 즉, 윗부분에 위치한 내열유리(50)의 경우 내열유리(50)가 가운데 부분에 손잡이(51)가 위치한 여닫이 문으로 되어 있고, 아랫부분에 위치한 내열유리(50)의 경우 내열유리(50)는 서랍(25)의 전면부에 위치된다.
특히, 윗부분에 위치한 내열유리(50)의 경우 내열유리(50) 즉, 여닫이 문의 형태로 되어 있는 내열유리(50)를 통해 작업자는 고기가 익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으며, 결국, 작업자는 피가열체(32; 도2)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연기나 튀는 기름으로부터 독립된 공간에서 굽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용이한 이동 및 장착을 위해 본 고안은 받침대(70) 및 우레탄바퀴(7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일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았던 상부열원(10) 및 하부열원(20)이 위치한 곳의 외부 표면에 에 위치된 스위치(40)는 각기 가스공급기(11)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부열원(10)과 하부열원(20)은 가스공급기(11)을 통하여 열원으로 가스버너(10의 경우 21; 20의 경우 22)를 사용한다.
다만, 상부열원(10)으로서의 가스버너(22)는 세라믹불판(12)을 달궈, 세라믹불판(12)을 통하여 고기를 간접적으로 구우며, 가스버너(22)의 열로 고기를 직접 굽지 않는다. 또한, 하부(20)의 가스버너(22)는 옥돌(26)을 달궈, 옥돌(26)을 통하여 고기를 간접적으로 구우며, 가스버너(22)의 열로 고기를 직접 굽지 않는다. 이로써, 고기를 직접 구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발암물질의 발생을 막고,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를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열원(20)으로서의 가스버너(22)는 서랍(25)하방에 위치하며 하부열원(20)의 사이사이의 서랍(25)의 바닥에는 찌꺼기 받침대(24; 도3)가 있다. 이는 피가열체(32)를 구울 때에 발생하는 기름 등의 찌꺼기가 가스버너(22)안에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찌꺼기가 서랍(25)내부에 무질서하게 묻어 세척을 곤란하게 할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열원(20)으로서의 가스버너(22)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스불 분배대(23)는 접시 모양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하부열원(20)에서 공급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피가열체(32)의 가열로부터 얻어지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피가열체가 구워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서랍(25)의 윗 표면, 즉, 옥돌(26)이 위치한 표면에는 상당 수의 구멍이 존재하며, 이로써, 고기를 구울 때에 발생하는 기름 등의 찌꺼기가 서랍(25)안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찌꺼기는 찌꺼기 받침대(24)와 가스불분배대(23)에 모이게 되며 작업자는 굽는 과정이 모두 종료된 후 세척을 할 때에 서랍(25)전체에 대한 세척이 아닌 찌꺼기 받침대(24)와 가스불 분배대(23; 도2)만을 세척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는 고기의 양 면을 균등하게 구울 수 있고,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고기를 대량으로 구울 수 있다. 또한, 고기를 가스버너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세라믹 불판과 옥돌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발암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라믹 불판과 옥돌에 의한 원적외선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기름 등의 찌꺼기를 한 곳에 모을 수 있어 세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스불 분배대에 의해 가스버너의 불을 골고루 분배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다.

Claims (3)

  1. 구이장치에 있어서,
    피가열체가 놓아져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열원; 및
    상기 컨베이어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열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원의 하방에 위치하는 세라믹불판; 및
    상기 하부열원의 상방에 위치하는 옥돌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열원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열원에서 공급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피가열체의 가열로부터 얻어지는 찌꺼기를 수용하는 접시 형상의 가스불 분배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KR20-2004-0008956U 2004-03-31 2004-03-31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KR200353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56U KR200353979Y1 (ko) 2004-03-31 2004-03-31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956U KR200353979Y1 (ko) 2004-03-31 2004-03-31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979Y1 true KR200353979Y1 (ko) 2004-06-23

Family

ID=4943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956U KR200353979Y1 (ko) 2004-03-31 2004-03-31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9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45B1 (ko) 2007-06-11 2009-06-15 최희식 음식물 조리 장치
KR101953255B1 (ko) * 2018-04-12 2019-05-30 자이글주식회사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20190114319A (ko) * 2018-03-29 2019-10-10 박영란 구이장치
KR102247192B1 (ko) * 2020-11-09 2021-05-03 오용연 컨베이어 화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45B1 (ko) 2007-06-11 2009-06-15 최희식 음식물 조리 장치
KR20190114319A (ko) * 2018-03-29 2019-10-10 박영란 구이장치
KR102367292B1 (ko) 2018-03-29 2022-02-25 안원기 구이장치
KR101953255B1 (ko) * 2018-04-12 2019-05-30 자이글주식회사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2247192B1 (ko) * 2020-11-09 2021-05-03 오용연 컨베이어 화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606B2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CN105101853B (zh) 包括至少两个可移动嵌板的烹饪设备
CA2141693C (en) Outdoor cooking device
EP3107435A1 (en) Multi-zoned clamshell charbroiler
CN211432407U (zh) 一种带侧烤的多用烹调器
US20060054157A1 (en) Smokeless grill
KR200353979Y1 (ko)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 하화식 구이장치
JPH03178615A (ja) 肉の直焼き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JP5896979B2 (ja) グリル皿及び加熱調理器
JP5908677B2 (ja) 調理システム
CN101507580A (zh) 烤架装置
JP6374710B2 (ja) 加熱調理器
CN211212723U (zh) 一种便携式易收纳易清洗燃气烤炉
KR200336244Y1 (ko) 고기구이판의 각도 조절장치
JP6084736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及び網焼き器
WO2020074179A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cooking stone
KR20100119832A (ko) 구이기구의 자동 세척방법
KR101624427B1 (ko)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모터에 의해 손쉽게 교환될 수 있는 구이 장치
KR200314629Y1 (ko) 고기구이판의 각도 조절장치
JP4053161B2 (ja) ロースター兼用電気鍋
US11937736B2 (en) Cooking appliance with conductive heating capabilities
KR200348104Y1 (ko) 고기구이용 석쇠
JP3157293U (ja) 電磁調理装置
KR20110020989A (ko) 육류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