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165Y1 -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 Google Patents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165Y1
KR200353165Y1 KR20-2004-0008482U KR20040008482U KR200353165Y1 KR 200353165 Y1 KR200353165 Y1 KR 200353165Y1 KR 20040008482 U KR20040008482 U KR 20040008482U KR 200353165 Y1 KR200353165 Y1 KR 200353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embossed
jig
gui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완영
Original Assignee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8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165Y1/ko
Priority to US10/887,526 priority patent/US7201101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0Making cuts of other than simple rectiline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17No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748With work immobilizer
    • Y10T83/7593Work-stop abu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76Constantly urged tool or tool support [e.g., spring biased]
    • Y10T83/8785Through return [noncutting] stro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41Tool driver movable relative to tool support
    • Y10T83/8853Including details of guide for tool or tool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55With spaced guide pins [e.g., die set leader p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 Y10T83/9425Tool p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 Y10T83/9428Shear-type male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42Notching tool
    • Y10T83/9444Shear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부재에 대하여 소정 패턴의 천공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사방에서 시트부재를 공급할 수 있는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펀칭 중심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펀칭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펀칭영역에는 각각 소정 문양의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 상기 지그 상면의 펀칭영역들의 경계선상 각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칼럼; 상기 지그가 고정되며, 천공될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가 상기 인접하는 가이드 칼럼 사이로 공급되도록 공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에 상응하는 펀치핀 및/또는 엠보싱 양각(또는 음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칼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지그에 대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공급된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를 천공 및/또는 엠보싱하는 펀칭부재; 및 상기 펀칭부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펀칭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펀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PUNCH CAPABLE OF PUNCHING AN OBJECT AT FOUR DIRECTIONS}
본 고안은 소정 패턴의 펀칭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편지지, 사진, 판재받침, 종이와 같은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에 대하여 펀칭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네 방향에서 시트부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문양의 펀칭 패턴을 구비할 수 있는 펀치에 관한 것이다.
펀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패턴의 통공(10a)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10) 및 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20)와, 지그(10)의 통공(10a)을 관통하여 슬라이딩하게 되는 예리한 날을 갖는 절단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시트부재(1)의 특정 부분을 지그(10)의 통공(10a) 패턴대로 천공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펀치의 구조에 있어 지그(10) 부분에는 시트부재의 투입을 위한 간극이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바, 그 간극의 형성을 위해 지그(10)는 측단면이 실질적으로 'ㄷ'자를 이루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통공(10a) 패턴을 가지도록 지그(10)를 사출성형한 다음에 상기 간극 부분을 기계적으로 절삭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그의 구조에서는 시트부재를 최대한 세 방향에서 투입할 수는 있으나 네 방향에서 동시에 투입하여 서로 다른 펀칭 또는 엠보싱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네 방향에서 시트부재를 투입할 수 있는 펀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펀치의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될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그의 네 방향에서 시트부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근본적으로 개선된 펀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네 방향에 대해서 펀칭 및/또는 엠보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제품에서 다양한 패턴의 천공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펀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펀칭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에 시트부재가 공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에 의해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에 펀칭 및 엠보싱 문양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지그 100a...패턴공
100b...엠보싱 양각 101...가이드칼럼
102...베이스 103...가이드부
104...펀칭부재 104a...펀치핀
104b...절단날 104c...엠보싱 음각
104d...가이드장공 105...탄성체
106...버튼부재 107...캡
S1,S2,S3,S4...시트부재 공급영역 P1,P2,P3,P4...펀칭영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펀치는, 펀칭 중심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펀칭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펀칭영역에는 각각 소정 문양의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이형성되어 있는 지그; 상기 지그 상면의 펀칭영역들의 경계선상 각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칼럼; 상기 지그가 고정되며, 천공될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가 상기 인접하는 가이드 칼럼 사이로 공급되도록 공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에 상응하는 펀치핀 및/또는 엠보싱 양각(또는 음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칼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지그에 대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공급된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를 천공 및/또는 엠보싱하는 펀칭부재; 및 상기 펀칭부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펀칭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펀칭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칼럼이 결합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칼럼과 방사상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시트부재의 코너부의 양 모서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펀칭영역에 형성된 패턴공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는 상기 펀칭부재 상부에 결합되어 손으로 누르는 접촉부가 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버튼부재, 펀칭부재, 탄성체를 감싸는 캡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펀칭 중심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펀칭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펀칭영역에는 각각 소정 문양의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 상기 지그가 고정되며, 천공될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가 상기 인접하는 가이드 칼럼 사이로 공급되도록 공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을 둘러싸도록 지그 상에 구비되며, 그 내주면에 있어 상기 지그 상면의 펀칭영역들의 경계선상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에는 수직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지지프레임;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에 상응하는 펀치핀 및/또는 엠보싱 양각(또는 음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결합되는 가이드칼럼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지그에 대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공급된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를 천공 및/또는 엠보싱하는 펀칭부재; 및 상기 펀칭부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펀칭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펀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102) 상에 상호 직교하는 네 부분의 시트부재 공급영역(S1,S2,S3,S4)이 마련되고, 버튼부재(106)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102) 상의 임의의 공급영역(S1,S2,S3,S4)에 시트부재를 투입한 상태에서 버튼부재(106)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편리하게 다양한 패턴의 문양을 시트부재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패턴공(100a)이 형성된 지그(100)와, 상기 지그(100)를 지지하되 가이드부(103)가 네 지점에 걸쳐 구비된 베이스(102)와, 가이드칼럼(10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지그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펀칭부재(104) 및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05)를 포함한다.
지그(100)에는 가상의 펀칭 중심축(도 5의 O 참조)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펀칭영역(도 5의 P1,P2,P3,P4참조)이 구비되며, 각각의 펀칭영역(P1,P2,P3,P4)에는 각각 소정 문양의 패턴공(100a) 및/또는 엠보싱 양각(100b)이 형성된다.
상기 지그(100)의 패턴공(100a)은 일체는 물론, 시트부재 공급영역(S1,S2,S3,S4)에 각각 대응하여 분포되는 복수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공(100a)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라 수행되는 네 방향 펀칭작업시 패턴공(100a)을 사분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 패턴공(100a)은 사분되는 각 부분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그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02)는 천공될 시트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베이스(102)의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가이드부(103)가 구비되어 상호 직교하는 네 방향에서 시트부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103)는 천공될 시트부재의 코너부의 직각 모서리가 상기 패턴공(100a)에 상응하여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공(100a)을 중심으로 방사상을 이루되 일정간격으로 네 부분에 걸쳐 형성된턱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상기 가이드부(103)는 인쇄된 라인타입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펀칭부재(104)는 상기 지그(10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턴공(100a)의 관통시 시트부재를 천공 및/또는 엠보싱한다.
상기 펀칭부재(104)의 승강을 위해, 상기 지그(100) 상면의 펀칭영역(P1,P2,P3,P4)들의 경계선상 각각에는 패턴공(100a)을 둘러싸면서 복수의 가이드칼럼(101)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펀칭부재(104)의 몸체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칼럼(10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장공(104d)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펀칭부재(104)를 선택적으로 지그(100) 방향으로 하강시키도록 상기 펀칭부재(104)와 상기 지그(100) 사이에는 탄성체(105)가 개재되어 상기 펀칭부재(104)를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칼럼(101)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펀칭부재(104)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그 펀치핀(104a)이 선택적으로 지그(100)의 패턴공(100a)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칼럼(101)는 패턴공(100a)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것으로서, 반드시 지그(100) 상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펀칭부재(104)의 둘레를 따라 가이드칼럼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칼럼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의 가이드장공이 그 내주면에 복수개 형성된 소정의 원통형 지지프레임을 상기 지그(100) 상에 패턴공(100a)을 둘러싸도록 설치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가이드장공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펀칭부재(104)가 지그(100)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펀칭부재(104)에는 지그(100)의 패턴공(100a)에 상응하는 절단날(104b)이 단부에 마련된 펀치핀(104a)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펀치핀(104a)은 단일체는 물론, 지그(100) 상의 펀칭영역(P1,P2,P3,P4)에 대응하여 분할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펀치핀(104a)이 단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라 수행되는 네 방향 펀칭작업시 시트부재의 투입방향에 상응하는 부분의 절단날(104b)만이 실질적으로 컷팅작용에 관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펀칭부재(104)에 있어 펀치핀(104a) 주변의 평면부에는 다양한 문양의 엠보싱 음각(도 4의 104c 참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펀칭부재(104)의 평면부는 펀칭동작시 패턴공(100a) 주변의 지그(100) 표면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이 경우 상기 지그(100) 표면에는 상기 엠보싱 음각(104c)에 대응하는 엠보싱 양각(100b)이 형성된다. 대안으로, 상기 펀칭부재(104)의 펀치핀(104a) 주변에 엠보싱 양각이 형성될 경우 상기 지그(100)의 패턴공(100a) 주변에는 엠보싱 음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펀칭부재(104)의 상부에는 버튼부재(106)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누름에 따라 펀칭부재(104)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버튼부재(106)는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베이스(102)와 결합을 이루는 캡(107)에 의해 씌워짐으로써 그 상부가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며, 그 상부 테두리 부분이 상기 캡(10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펀칭부재(104)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캡(107)은 상기 버튼부재(106)와 아울러 그 하부의 펀칭부재 및 탄성체를 일괄적으로 감싼 상태로 하부 베이스(102)에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펀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시트부재의 공급은 베이스(102) 상에 네 부분에 걸쳐 구비된 시트부재 공급영역(S1,S2,S3,S4)에 대하여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부재 공급영역(S1,S2,S3,S4)의 각 경계선은 펀칭영역(P1,P2,P3,P4)의 경계선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 경계선에는 바람직하게 턱구조로 형성된 가이드부(103)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두 가이드부(103)에 의해 그 코너부의 양 모서리가 가이드되도록 시트부재(1)를 공급하면 간편하고도 정확하게 해당 펀칭영역에 시트부재(1)의 직각 코너부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네 부분의 펀칭영역(P1,P2,P3,P4) 중 P2영역에 시트부재(1)가 투입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부재(106)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그에 가압되어 펀칭부재(104)의 펀치핀(104a)이 하강하여 시트부재(1)의 해당부분을 컷팅하면서 지그(100)의 패턴공(100a)을 관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패턴공(100a) 주변에 엠보싱 양각(100b)이 형성되고, 펀치핀(104a)주변에 상기 엠보싱 양각(100b)에 대응하는 엠보싱 음각(104c)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부분의 시트부재(1)를 사이에 두고 양측 엠보싱 패턴(100b,104c)이 상호 압착됨으로써 올록볼록한 패턴의 해당 엠보싱 문양(A)을 펀칭문양(P)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그의 네 방향에서 시트부재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하나의 펀치를 통해 다양한 패턴의 천공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에 대하여 펀칭과 엠보싱 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뛰어난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무용이나 산업용의 펀칭작업을 비롯하여 카드나 편지지, 사진, 판재받침대 등 장식을 요하는 시트부재의 코너부에 대한 펀칭작업시 다양한 문양의 펀칭이나 엠보싱 패턴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ㄷ'자 모양의 지그 구조에서는 패턴공이 펀치핀의 슬라이딩을가이드하므로 상대적으로 패턴공이 형성된 지그 블럭이 크고 무거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가이드칼럼과 가이드장공의 결합에 의해 펀칭부재가 가이드되므로 지그 블럭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정밀한 절삭 작업 등을 병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Claims (6)

  1. 펀칭 중심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펀칭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펀칭영역에는 각각 소정 문양의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
    상기 지그 상면의 펀칭영역들의 경계선상 각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칼럼;
    상기 지그가 고정되며, 천공될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가 상기 인접하는 가이드 칼럼 사이로 공급되도록 공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에 상응하는 펀치핀 및/또는 엠보싱 양각(또는 음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칼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지그에 대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공급된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를 천공 및/또는 엠보싱하는 펀칭부재; 및
    상기 펀칭부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펀칭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펀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재에는 상기 가이드칼럼이 결합되는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칼럼과 방사상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되는 시트부재의 코너부의 양 모서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펀칭영역에 형성된 패턴공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재 상부에 결합되어 손으로 누르는 접촉부가 되는 버튼부재; 및
    상기 버튼부재, 펀칭부재, 탄성체를 감싸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6. 펀칭 중심축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네 개의 펀칭영역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펀칭영역에는 각각 소정 문양의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
    상기 지그가 고정되며, 천공될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가 상기 인접하는 가이드 칼럼 사이로 공급되도록 공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을 둘러싸도록 지그 상에 구비되며, 그 내주면에 있어 상기 지그 상면의 펀칭영역들의 경계선상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에는 수직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지지프레임;
    상기 패턴공 및/또는 엠보싱 음각(또는 양각)에 상응하는 펀치핀 및/또는 엠보싱 양각(또는 음각)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결합되는 가이드칼럼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장공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지그에 대하여 승강되면서 상기 공급된 시트부재의 직각 코너부를 천공 및/또는 엠보싱하는 펀칭부재; 및
    상기 펀칭부재와 상기 지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펀칭부재를 상방으로 바이어스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펀치.
KR20-2004-0008482U 2004-03-26 2004-03-26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KR200353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82U KR200353165Y1 (ko) 2004-03-26 2004-03-26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US10/887,526 US7201101B2 (en) 2004-03-26 2004-07-07 Punch capable of punching an object at four dire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482U KR200353165Y1 (ko) 2004-03-26 2004-03-26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165Y1 true KR200353165Y1 (ko) 2004-06-14

Family

ID=3498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482U KR200353165Y1 (ko) 2004-03-26 2004-03-26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01101B2 (ko)
KR (1) KR2003531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77B1 (ko) * 2007-03-16 2008-02-28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사진 부착용 시트 펀칭 장치
KR101641082B1 (ko) * 2016-01-05 2016-07-20 주식회사 월드인쇄 인쇄물 코너용 커터를 적용한 인쇄물 코너 커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48294Y (zh) * 2004-10-28 2005-12-28 邓业清 可形成立体浮雕图案的图案裁剪器
US20070044618A1 (en) * 2005-08-30 2007-03-01 Marks Joel S Hole punch element
CN2860778Y (zh) * 2005-09-13 2007-01-24 刘东欣 便于定位的单孔打孔机
US20080060567A1 (en) * 2006-09-11 2008-03-13 Ronald Aniceto Buckle punch
US20080066599A1 (en) * 2006-09-18 2008-03-20 Ronald Aniceto Die cut punch with slots
NZ576918A (en) * 2006-10-13 2012-06-29 Antioch Co A punch which used the depth of cut to create different patterns in a workpiece
JP4968792B2 (ja) * 2007-08-20 2012-07-04 カール事務器株式会社 パンチ
US20090301282A1 (en) * 2008-06-10 2009-12-10 Fiskars Brands, Inc. Material Corner Shaper
US8522680B2 (en) * 2008-10-07 2013-09-03 Faye Angevine Apparatus for forming embossed and printed images
JP2010131785A (ja) * 2008-12-02 2010-06-17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NL2004050C2 (en) * 2009-08-06 2011-08-30 Lai Chu Tsai Die for embossing and cutting.
US9114545B2 (en) * 2009-08-18 2015-08-25 Martha Stewart Living Omnimedia, Inc. Edge punch system
US9409307B2 (en) 2010-03-08 2016-08-09 Chung-Yi Lee Punching device
TWM382896U (en) * 2010-03-08 2010-06-21 Zhong-Yi Li Double level puncher
JP2013540528A (ja) * 2010-10-21 2013-11-07 レゴ エー/エス 玩具組立セット
US8789461B2 (en) 2011-01-03 2014-07-29 Bai Win Mercantile Corp (H.K.) Ltd. Double-sided paper embossing apparatus
US8826817B2 (en) * 2011-07-27 2014-09-09 Fiskars Brands, Inc. Die cutting system with added capabilities
CN102501266B (zh) * 2011-11-17 2014-03-19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塑料安瓿的模切装置
WO2017010987A1 (en) * 2015-07-13 2017-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rner punch device
WO2017074293A1 (en) * 2015-10-26 2017-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rner punching device
KR102005155B1 (ko) * 2017-11-13 2019-07-29 박홍순 절삭 장치
USD939018S1 (en) * 2019-01-24 2021-12-21 Erwin Muller Gmbh Paper cutt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3377A (en) * 1936-05-13 1938-07-12 Peters Brothers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cutting, embossing, and adhering labels
US2331059A (en) * 1941-03-17 1943-10-05 Bell Aircraft Corp Blanking die set
US3026754A (en) * 1957-02-18 1962-03-27 William A Conner Sheet-metal trimming machine
US3450037A (en) * 1966-12-27 1969-06-17 Robert P Lickliter Pneumatic press
US3568555A (en) * 1968-09-11 1971-03-09 Porter Precision Products Co Guidepost construction for die sets
US3673902A (en) * 1970-02-09 1972-07-04 Walter Strobel Die set; fixture and method of making dies
US4787283A (en) * 1987-03-26 1988-11-29 Foster Larry L Metal stud and channel cornering die
US4945954A (en) * 1989-09-28 1990-08-07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mating form tools
US5245904A (en) * 1990-06-26 1993-09-21 Meyerle George M Non-skid ball bearings with adjustable stroke for punch presses
US5067242A (en) * 1991-01-23 1991-11-26 Singer Mark G Multiple design punch and embosser
US5495671A (en) * 1994-09-28 1996-03-05 Shun-Yi; Wang Apparatus for multi-shape cutting
US6154942A (en) * 1997-09-26 2000-12-05 Tesco Engineering, Inc. Closure panel hemming apparatus
US20020002891A1 (en) * 2000-07-05 2002-01-10 Robert Arnold Corner alignment device for punching sheet materials
US6672191B2 (en) * 2001-08-13 2004-01-06 Chien-Fu Lin Paper trimmer having multiple trimmer devices
KR100492237B1 (ko) * 2002-05-03 2005-05-31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GB2397267B (en) * 2003-01-14 2005-09-14 Tradewise Engineering Ltd Punc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77B1 (ko) * 2007-03-16 2008-02-28 디앤크래프트 주식회사 사진 부착용 시트 펀칭 장치
KR101641082B1 (ko) * 2016-01-05 2016-07-20 주식회사 월드인쇄 인쇄물 코너용 커터를 적용한 인쇄물 코너 커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11036A1 (en) 2005-09-29
US7201101B2 (en)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3165Y1 (ko) 네 방향 펀칭이 가능한 펀치
KR200353163Y1 (ko) 펀칭과 엠보싱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펀치
KR100492237B1 (ko)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KR100279566B1 (ko) 종이모서리 장식용 펀칭기
KR102077813B1 (ko)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KR200418709Y1 (ko) 타원형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KR200353164Y1 (ko) 두 방향에서 펀칭과 엠보싱이 가능한 펀치
KR200283757Y1 (ko) 펀칭장치
CN205763248U (zh) 轮辐一次性冲风孔模
KR101179043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조판
KR101804399B1 (ko) 천공 모양 변환이 가능한 펀칭기
US2823468A (en) Paper holder and stylus for producing raised characters of the braille system
CN211333566U (zh) 用于从材料切割形状或图案的模具和包括该模具的套件
CN112743632A (zh) 一种定位针可移动的治具
CN210387176U (zh) 一种压花薄板冲孔模具
US1940767A (en) Sewing machine attachment for stamping and hammering sheet metal and the like
KR200209839Y1 (ko) 장식용 펀칭기
KR200408476Y1 (ko) 가압방식의 조각기를 위한 조각칼 지지구
CN116442667A (zh) 一种印章盖印机
CN211656535U (zh) 线路板生产用辅助装置
CN213856576U (zh) 一种锁孔冲压装置
EP3187340B1 (en) Braille printing system and braille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4821743U (zh) 一种导气垫板
CN217915670U (zh) 一种多孔打孔机
CN216705619U (zh) 一种切换式打凸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