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813B1 -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813B1 KR102077813B1 KR1020190106978A KR20190106978A KR102077813B1 KR 102077813 B1 KR102077813 B1 KR 102077813B1 KR 1020190106978 A KR1020190106978 A KR 1020190106978A KR 20190106978 A KR20190106978 A KR 20190106978A KR 102077813 B1 KR102077813 B1 KR 102077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ille
- core
- pen
- input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상부박스; 상기 상부박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점자펜; 상기 상부박스의 하단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박스; 및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서 중앙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점자펜이 입력을 위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펜에 의해 눌러져 종이에 박히는 점자심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면서 다니다가 쉽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점자 입력 도구로는 '점자 판'과 '회중 점관'이 있으며 시각장애인들은 주로 이것들을 이용하여 필기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점자판과 회중 점관을 사용할 경우 종이를 뒤집어 점자를 찍어야 하거나 특정한 종이를 사용해야하는 점, 점자의 수정이 불가한 점 등 많은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특히, 종이를 뒤집어 점자를 찍어야 하는 경우 일일이 대칭으로 새겨야 하기 때문에 점자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상태로 사용할 경우 혼란스러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점자가 튀어나오는 형태를 위해 두꺼운 종이(특정한 종이)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일반적인 공책이나 A4용지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종이를 뒤집을 필요없이 점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점자의 수정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종이에도 점자를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점자 입력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종이를 뒤집지 않고 일반 종이에 입력할 수 있으며, 점자를 손쉽게 수정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배울 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장애인의 주변인 즉 비장애인들도 쉽게 점자를 접할 수 있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상부박스; 상기 상부박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점자펜; 상기 상부박스의 하단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박스; 및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서 중앙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점자펜이 입력을 위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펜에 의해 눌러져 종이에 박히는 점자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박스와 상기 하부박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박스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자펜은, 하단이 상대적으로 폭이 작고, 상기 상부박스에 형성된 고정홀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점자펜 몸체부; 및 상기 점자펜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점자펜 몸체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점자펜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펜 머리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점자펜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박스에는 상기 점자펜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점자심이 중앙 쪽에 위치하는 점자심 입력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점자심 입력부에는 상기 점자심이 눌러져 하방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점자심 입력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박스에는, 복수개의 상기 점자심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점자심이 상기 점자심 입력부 상에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점자심이 입력되는 점자심 고정틀이 더 포함되는데, 상기 점자심 고정틀은 상기 점자심 입력부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점자심이 각각 입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심은, 원통 형상의 점자심 머리부; 및 상기 점자심 머리부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점자심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를 종이를 뒤집지 않고 일반 종이에 입력할 있으며, 점자를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배울 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장애인의 주변인 즉 비장애인들도 쉽게 점자를 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상부박스(2); 상기 상부박스(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점자펜(12); 상기 상부박스(2)의 하단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박스(18); 및 상기 하부박스(18)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점자펜(12)이 입력을 위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펜(12)에 의해 눌러져 종이에 박히는 점자심(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박스(2)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4)와, 수평부(4)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 및 수직부(6)는 본 실시예에서 일 예로 든 것에 불과하고 상부박스(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부(4)에는 점자펜(12)이 삽입되기 위한 제1 펜홀(8)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펜홀(8)은 점자펜(12)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점자펜(12)은 6개로 구성되어 하나의 점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제1 펜홀(8)은 총 6개가 형성된다. 제1 펜홀(8)은 점자펜(12)의 상하 운동의 통로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제1 펜홀(8)은 도면에서와 같이 총 6개가 3개씩 2열로 배치된다. 또한, 수평부(4)에는 제1 펜홀(8)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진 제2 펜홀(9)이 형성된다.
수직부(6)는 수평부(4)의 하단에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는 것으로서, 수평부(4)보다는 작은 폭을 가진다. 이는 제2 펜홀(9)의 내부에 탄성부재(11)가 삽입되어 후술할 점자펜(12)의 점자펜 머리부(14)의 하단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탄성부재(11)는 점자펜(12)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수직부(6)의 측면에는 고정돌기(15)가 걸어지는 고정홀(10)이 형성된다. 고정홀(10)은 수직부(6)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고정돌기(15)가 고정홀(10)에 걸어져 고정되면 외부로 노출이 되고, 점자펜(12)을 사용한 후에 초기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사용자가 고정돌기(15)를 다시 누르면 탄성부재(11)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점자펜(12)은 하단이 상대적으로 폭이 작고, 상부박스(2)에 형성된 고정홀(10)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돌기(15)가 구비되는 점자펜 몸체부(16); 및 점자펜 몸체부(16)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점자펜 몸체부(16)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점자펜 머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점자펜(12)은 일반 펜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 6개의 점자펜(12)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다. 점자펜 몸체부(16)는 점자펜 머리부(14)보다 작은 폭을 가지기 때문에 탄성부재(11)는 점자펜 머리부(14)의 하단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점자펜 몸체부(16)는 아래로 향할수록 상대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되어 점자심(32)에 압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부박스(18)는 점자심(32)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20)와, 점자심(32)이 입력되기 위해 위치하는 점자심 입력부(22)와, 본체부(20)와 분리 가능한 커버 역할을 하는 머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하부박스(18)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한 것으로서 하부박스(18)는 위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박스(2)와 하부박스(18)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3)가 개재되고, 탄성부재(23)는 상부박스(2)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23)는 상부박스(2)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이를 하방에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20)의 내부에는 점자심(32)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점자심(32)은 양측면 쪽에서 중앙 쪽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본체부(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점자심(32)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26); 및 레일부(26)의 일측에 구비되어 점자심(32)이 점자심 입력부(22) 상에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판(28)이 설치된다. 지지판(28)은 전면은 점자심(32)을 지지하고 후면은 탄성부재(29)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점자심(32) 공급구조는 일 예로 제시한 것이며 점자심(32)을 중앙 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될 수 있다.
점자심 입력부(22)의 내부에는 점자펜(12)에 의해 눌러지는 점자심(32)이 입력되는 통로인 점자심 입력홀(30)이 형성된다. 점자심 입력홀(30) 또한 점자펜(12)의 개수에 대응되게 6개로 형성된다. 점자심 입력홀(30)은 점자펜(12)에 의해 눌러진 점자심(32)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간으로서 활용된다.
점자심(32)은 원통 형상의 점자심 머리부(34); 및 점자심 머리부(34)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점자심 다리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점자심 머리부(3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면이 평평하여 점자펜(12)이 누르기 쉽게 형성되며, 점자심(32)이 박힌 후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접촉하여 점자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점자심 다리부(36)는 복수개로 구비되는데, 레일부(26)를 따라 이동될 때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종이에 박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하부박스(18)의 하부에는 점자심(32)이 입력되는 점자심 고정틀(40)이 구비된다. 점자심 고정틀(40)은 점자심 입력부(22)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틀부(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하부박스(18)를 점자심 고정틀(4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점자심(32)을 종이에 안정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점자심 고정틀(40)의 하부에는 받침판(44)이 구비되어 그 사이에 종이를 놓고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받침판(44)에는 가이드홈(46)이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점자심(32)을 입력하여 종이에 박은 상태에서 점자심 다리부(36)가 가이드되어 안쪽으로 오므라져 종이에 박힐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기 전의 초기 세팅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먼저 입력하고자 하는 점자에 맞는 점자펜(12)을 적어도 하나 이상 누르게 된다.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에 배치된 점자펜(12)을 누른 경우 점자펜(12)은 탄성부재(11)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눌러져 고정돌기(15)가 고정홀(10)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눌러진 점자펜(12)은 다른 점자펜(12)에 비하여 소정의 높이만큼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상부박스(2)의 수평부(4)를 손바닥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상부박스(2)가 탄성부재(23)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눌러지고 하방으로 돌출된 점자펜(12)은 점자심 입력부(22) 상에 위치한 점자심(32)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눌러진 해당 점자심(32)은 종이에 박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점자가 입력되면, 점자를 대칭이 아닌 바로 윗면에서 그대로 직관적으로 쓸 수 있어 점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고, 점자심(32)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종이에 변형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자심(32)을 빼낸 후 새로 점자심(32)을 입력할 수 있어 수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2 : 상부박스 4 : 수평부
6 : 수직부 8 : 제1 펜홀
9 : 제2 펜홀 10 : 고정홀
11 : 탄성부재 12 : 점자펜
14 : 점자펜 머리부 15 : 고정돌기
16 : 점자펜 몸체부 18 : 하부박스
20 : 본체부 22 : 점자심 입력부
23 : 탄성부재 24 : 머리부
26 : 레일부 28 : 지지판
29 : 탄성부재 30 : 점자심 입력홀
32 : 점자심 34 : 점자심 머리부
36 : 점자심 다리부 40 : 고정틀
42 : 틀부 44 : 받침판
46 : 가이드홈
6 : 수직부 8 : 제1 펜홀
9 : 제2 펜홀 10 : 고정홀
11 : 탄성부재 12 : 점자펜
14 : 점자펜 머리부 15 : 고정돌기
16 : 점자펜 몸체부 18 : 하부박스
20 : 본체부 22 : 점자심 입력부
23 : 탄성부재 24 : 머리부
26 : 레일부 28 : 지지판
29 : 탄성부재 30 : 점자심 입력홀
32 : 점자심 34 : 점자심 머리부
36 : 점자심 다리부 40 : 고정틀
42 : 틀부 44 : 받침판
46 : 가이드홈
Claims (7)
-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로서,
상부박스;
상기 상부박스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점자펜;
상기 상부박스의 하단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박스; 및
상기 하부박스의 내부에서 중앙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점자펜이 입력을 위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펜에 의해 눌러져 종이에 박히는 점자심을 포함하고,
상기 점자펜은,
하단이 상대적으로 폭이 작고, 상기 상부박스에 형성된 고정홀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점자펜 몸체부; 및
상기 점자펜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점자펜 몸체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점자펜 머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펜 머리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점자펜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박스와 상기 하부박스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박스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에는 상기 점자펜이 이동가능하고 상기 점자심이 중앙 쪽에 위치하는 점자심 입력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점자심 입력부에는 상기 점자심이 눌러져 하방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점자심 입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에는,
복수개의 상기 점자심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점자심이 상기 점자심 입력부 상에 위치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지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박스의 하부에는 상기 점자심이 입력되는 점자심 고정틀이 더 포함되는데,
상기 점자심 고정틀은 상기 점자심 입력부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점자심이 각각 입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심은,
원통 형상의 점자심 머리부; 및
상기 점자심 머리부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점자심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978A KR102077813B1 (ko) | 2019-08-30 | 2019-08-30 |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978A KR102077813B1 (ko) | 2019-08-30 | 2019-08-30 |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7813B1 true KR102077813B1 (ko) | 2020-02-14 |
Family
ID=6951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6978A KR102077813B1 (ko) | 2019-08-30 | 2019-08-30 |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781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3861A (ko) * | 2020-07-27 | 2022-02-04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 점자 라벨기 |
KR20220170307A (ko) | 2021-06-22 | 2022-12-29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휴대용 점자 기록 장치 |
KR102517806B1 (ko) * | 2022-11-15 | 2023-04-04 | 송승협 | 점자 표시 도구 |
WO2023090489A1 (ko) * | 2021-11-16 | 2023-05-25 | 이기동 | 점자 표시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767U (ja) * | 1992-06-29 | 1994-01-21 | 静一 片 | 点字盤 |
JP2000267560A (ja) * | 1999-03-17 | 2000-09-29 | Hokuriku Denki Seisakusho:Kk | 点字プレートと、それを製作する点字形成装置 |
JP2001348826A (ja) * | 2000-06-12 | 2001-12-21 | Maruemu Seisakusho:Kk | 点字鋲 |
EP1494195A2 (en) * | 2003-07-03 | 2005-01-05 | Accent Signage Systems, Inc. | A hand-held apparatus for semi-automatically inserting raster members into braille signs. |
KR20190079880A (ko) | 2017-12-28 | 2019-07-0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점자 입력 장치 |
-
2019
- 2019-08-30 KR KR1020190106978A patent/KR1020778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767U (ja) * | 1992-06-29 | 1994-01-21 | 静一 片 | 点字盤 |
JP2000267560A (ja) * | 1999-03-17 | 2000-09-29 | Hokuriku Denki Seisakusho:Kk | 点字プレートと、それを製作する点字形成装置 |
JP2001348826A (ja) * | 2000-06-12 | 2001-12-21 | Maruemu Seisakusho:Kk | 点字鋲 |
EP1494195A2 (en) * | 2003-07-03 | 2005-01-05 | Accent Signage Systems, Inc. | A hand-held apparatus for semi-automatically inserting raster members into braille signs. |
KR20190079880A (ko) | 2017-12-28 | 2019-07-08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점자 입력 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유럽 특허출원공개공보 EP1494195(2005.1.5.) 1부.*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348826호(2001.12.21. 공개) 1부.*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3861A (ko) * | 2020-07-27 | 2022-02-04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 점자 라벨기 |
KR102431881B1 (ko) * | 2020-07-27 | 2022-08-1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장애인 점자 라벨기 |
KR20220170307A (ko) | 2021-06-22 | 2022-12-29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휴대용 점자 기록 장치 |
WO2023090489A1 (ko) * | 2021-11-16 | 2023-05-25 | 이기동 | 점자 표시구 |
KR102517806B1 (ko) * | 2022-11-15 | 2023-04-04 | 송승협 | 점자 표시 도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7813B1 (ko) |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 |
US9358823B2 (en) | Braille erasure mechanism | |
AU2022218635B2 (en) | A smart interactive system for braille learning | |
US2565608A (en) | Braille writing device | |
JP2007065604A (ja) | 点字器 | |
US11373549B2 (en) | Braille writing device | |
US2823468A (en) | Paper holder and stylus for producing raised characters of the braille system | |
US20070190500A1 (en) | Method for expressing characters for reading by tactile sense and apparatus | |
KR102098799B1 (ko) |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 |
US20130183641A1 (en) | Braille reading-writing device | |
US3340625A (en) | Braille slate | |
KR20190055402A (ko) | 가이드 롤러 프레스를 구비한 휴대용 점자 인쇄기 | |
KR102074693B1 (ko) | 버튼식 기표도구 및 버튼식 기표 세트 | |
KR102688354B1 (ko) | 수동 점자메이커 | |
KR20160035293A (ko) | 점자 인쇄기 | |
KR102669243B1 (ko) | 점자의 작성 방향과 읽는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단위 점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점관 장치 | |
KR101099778B1 (ko) | 오엠알 카드 마킹장치 및 마킹방법 | |
CN211264483U (zh) | 中文教学装置 | |
CN110962494A (zh) | 一种临摹尺 | |
WO2019138423A1 (en) | Direct braille slate with slate base, slate frame and line guide unit | |
KR20050060048A (ko) | 컴퓨터 키보드의 쉬운 한글 자판배열 | |
US2742997A (en) | Braille stamp or press | |
JP2007304513A (ja) | 点字打刻用受体、点字打刻具、及び製品打抜装置 | |
EP3187340A1 (en) | Braille printing system and braille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244013Y1 (ko) | 한자 학습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