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880A - 점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점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880A
KR20190079880A KR1020170181947A KR20170181947A KR20190079880A KR 20190079880 A KR20190079880 A KR 20190079880A KR 1020170181947 A KR1020170181947 A KR 1020170181947A KR 20170181947 A KR20170181947 A KR 20170181947A KR 20190079880 A KR20190079880 A KR 20190079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key
input
keypad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철
김대영
이재영
김건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880A/ko
Publication of KR2019007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H04M1/7259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점자 입력 장치{DOT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이용하기 용이한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이동통신은 매우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동 통신을 위한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서비스가 지원되는 지역 어디에서나 이동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과 접속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하기 간편한 개인용 통신 장비이다.
휴대 단말기는 성인이면서 정상인이라면 누구나 한 대 정도는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선택이 아닌 필수 개인 소지품이 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공급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음성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와 글자 입력 방식의 문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대부분 일반인만이 사용할 수 있는 입출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의 확대와 더불어 모든 사람들은 이제 필수품으로 사용하고 있는바,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도 점자의 입력에 있어 어려움이 많이 개선되어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점자는 점판과 점자용 묵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점자는 총 8개의 점들이 두 개씩 쌍을 이루며 세 줄의 일정 간격으로 점판을 통하여 구멍을 뚫어 볼록하게 표기가 되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점판과 점자용 묵지를 촉각에 의존하여 이를 인식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작 불편이 있어 일상생활에 도움을 받아야 할 시각 장애인들은 현재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간단한 의사전달도 어렵고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도 어려워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하나의 숫자키와 선택키를 구비하여 숫자키를 누르는 횟수와 선택키 입력 신호에 의해 그 횟수에 대응되는 숫자로 인식되도록 하는 기술과 누른 숫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시키는 발명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명은 0~9의 숫자 키패드를 찾아서 눌러야 하고 숫자키에 대응되는 음성 출력은 제한되어 시각장애인의 사용에 불편한 점을 크게 개선하지 못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력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입력 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 촉각을 통해 이미 친숙한 점자 형태의 표기법을 이용하므로 편하게 읽고 쓰기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a) 본 발명의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의 외관과, (b) 이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가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일람표.
도 4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1. 문자 : 문자는 각 점자에 대응하는 점자 일람표 상의 초성, 모음, 종성, 약자,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2. 점 : 점은 점자를 구성하는 성분이다. 각 8개 내지 12개의 점들이 모여서 하나의 점자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키 패드는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의 점은 점자의 점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점자를 구성하는 성분인 점과 점자 키패드의 점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3. 점자 : 점자는 점들이 모여서 구성된다. 하나의 점자는 각 8개 내지 12개의 점들이 필요하다.
4. 문자 메시지 : 문자 메시지는 각각의 문자가 모여서 나타내는 문자열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00),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 저장(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점자/문자 변환부(102) 및 모터 가동 기계부(104)를 포함한다. 또한, 점자 입출력 키패부(110)는 진동 모터(112)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의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점자 출력 키패드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의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고,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100)는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구비한다. 즉, 점자/문자 변환부(102)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고,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를 통해 점자를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모터 가동 기계부(104)를 구비한다. 이때,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점자 8개의 점에 대응되는 점을 진다. 또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각 점과 연결되는 8개의 진동 모터(1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모터 가동 기계부(104)를 통해 점자에 대응하는 진동 모터(112)를 진동시킨다. 그러면, 진동 모터(112)가 진동함에 따라 각 점이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점자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모터 가동 기계부(104)는 진동 모터(112)를 기계적으로 켜고 끄는(ON/OFF)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점자를 입력하고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의 외형이 도 2에 도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키(210), 문자키(220), 약자키(230), 취소키(240), 통화/확인키(250), 종료/전원키(260), 방향키(270), 점자 키패드(280) 및 진동 모터(112)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키(210), 문자키(220), 약자키(230), 취소(240), 통화/확인키(250), 종료/전원키(260) 및 방향키(270)를 포함하는 기능키들은 사용자 손끝의 촉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점자 형태로 구성했다. 즉, 각 기능키들은 각 기능키들의 명칭이 점자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 확인/작성키(200)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수신된 문자 메세시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키이다. 즉,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한다.
입력키(210)는 점자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점자 입력을 마치고, 입력키(210)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하나의 점자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다가 원하지 않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에 취소키(240)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문자를 삭제한다.
제어부(100)는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통화/확인키(250)가 감지되면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발신한다.
통화/확인키(250)는 문자 메시지 작성의 완료, 통화 연결 및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이다.
종료/전원키(260)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것이다.
방향키(270)는 상하좌우 각 4방향의 키로 구성된다. 특히, 방향키(27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문자 메시지 수신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되, 커서를 문자 메시지와 함께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방향키(270)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서가 이동되면, 제어부(100)는 해당 커서에 위치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출력한다.
점자 키패드(280)는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지며, 각 점은 진동 모터(112)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 8개의 점 중 입력하고자하는 점자에 해당되는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점자 키패드(2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하는 점을 진동 시켜 사용자가 해당 점자를 인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각 점에 연결된 진동 모터(112)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해당 점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자키(220) 및 약자키(230)는 점자 입력 시 같은 모양으로 사용되는 점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8개의 점을 사용하여 표현된 점자는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초성, 모음, 종성, 약자, 숫자, 부호 및 알파벳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8개의 점자 키패드(280)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한글,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하나의 키인 문자키(220)를 통해 사용 가능 하도록 하였고, 자주 사용하는 약자는 약자키(230)를 통해 사용 가능하다. 그 이유로 점자는 총 8개의 점들이 두 개씩 쌍을 이루며 세 줄의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며,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양을 통해 글자를 표현한다. 하지만 제한된 점의 개수로 인해 같은 모양으로 사용되는 글자들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의 점자 일람표에 따라, 숫자 앞에는 수표를 먼저 쓰고, 알파벳 앞에는 영어표를 먼저 사용한 후 해당 문자를 쓴다. 예를 들어, 초성의 "ㅁ", 숫자의 " 5" 및 알파벳의 "E"는 서로 점자가 나타내는 모양이 같다. 이에 따라, 숫자 앞에는 수표를 먼저 쓰고, 알파벳 앞에는 영어표를 먼저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문자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키(220)를 사용하여 한글, 영어, 숫자 및 부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문자키(220)는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사용하여 문자 구성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제어부(100)는 문자키(220)를 사용하여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입력 받는다. 제어부(100)는 문자키(220) 버튼이 선택되면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입력되는 점자를 해당되는 문자로 변환한다. 이는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변환된 문자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약자키(230)는 약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제어부(100)는 약자키(230)가 선택되면, 도 3에 따른 약자들을 입력받는다. 즉, 약자키(230)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입력되는 각 8개 내지 12개의 점을 약자로 인식하여 도 3의 점자 일람표에 따라 해석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 기능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142)를 통해 송출하며, 마이크(144)는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50)와 ANT(152)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및 확산(Spreading)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를 역확산(Despreading)및 채널부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는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전송 시 S401단계에서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이 감지되면, S405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S4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을 받지 못하고, 다른 키 입력을 받으면, S403단계에서 입력받은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작성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S407단계에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를 통해 점자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문자키(220) 및 약자키(230)를 이용하여 점자의 분류에 따라 점자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각 8개의 점으로 모든 점자를 입력 및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주 쓰는 문자들을 모아 약자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류에 따라 문자키(220) 또는 약자키(230)를 먼저 입력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점자 일람표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문자키(220) 입력 후 점자를 입력하면,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의 분류에 따른 점자가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약자키(230)를 입력 후 점자를 입력하면, 약자의 분류에 따른 점자가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는 8개의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점자가 자음 입력(초성), 모음 입력 및 자음 입력(종성) 순으로 한자씩 입력하고, 입력키(210)를 선택하면, 하나의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411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점자를 문자로 변환한다. 이는 점자/문자 변환부(102)에서 점자에 해당되는 문자로 변환한다.
S41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점자/문자 변환부(102)로부터 변환 받은 문자를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30)에 나타낸다.
제어부(100)는 S415단계에서 보낼 문자 메시지가 완성이 되면 통화/확인키(250)를 짧게 눌러 확인하고 S417단계에서 도 5b와 같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란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S415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S407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S419단계에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점자로 입력받는다.
제어부(100)는 S421단계에서 앞서 입력받은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점자를 점자/문자 변환부(102) 통해 문자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S423단계에서 표시부(130)에 변환된 문자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S425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을 감지하고, S427단계에서 입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보낸다. 한편, 제어부(100)는 S425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S419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방향키, 점자 키패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8개의 점에 각각 연결되며,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 메시지의 문자 중 커서가 위치한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출력하도록,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KR1020170181947A 2017-12-28 2017-12-28 점자 입력 장치 KR20190079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47A KR20190079880A (ko) 2017-12-28 2017-12-28 점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47A KR20190079880A (ko) 2017-12-28 2017-12-28 점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80A true KR20190079880A (ko) 2019-07-08

Family

ID=6725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947A KR20190079880A (ko) 2017-12-28 2017-12-28 점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8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813B1 (ko) 2019-08-30 2020-02-14 신진희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KR102246119B1 (ko) * 2020-02-28 2021-04-29 전수아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813B1 (ko) 2019-08-30 2020-02-14 신진희 휴대용 점자 입력 장치
KR102246119B1 (ko) * 2020-02-28 2021-04-29 전수아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3982A (ko) 시각장애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90079880A (ko) 점자 입력 장치
KR101433154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KR100370528B1 (ko) 휴대 단말 장치
JP2006246108A (ja) 点字出力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JP2002232944A (ja) 携帯型通信端末、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該通信中継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80014323A (ko)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20120010283A (ko)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JP2006074716A (ja) 携帯用電子機器
JP3683195B2 (ja) 点字を表現可能な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点字表現方法
KR100275773B1 (ko)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KR20080098153A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101122386B1 (ko)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4418997B2 (ja) 指点字装置
KR100672343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KR200378650Y1 (ko)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1003657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방법
KR1010335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
KR100638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600248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볼륨 업/다운키를 이용하여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90037243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2082760A (ja) 携帯通信機器
KR200400845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