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153A -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153A
KR20080098153A KR1020070043475A KR20070043475A KR20080098153A KR 20080098153 A KR20080098153 A KR 20080098153A KR 1020070043475 A KR1020070043475 A KR 1020070043475A KR 20070043475 A KR20070043475 A KR 20070043475A KR 20080098153 A KR20080098153 A KR 2008009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essage
specific
key
c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4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8153A/ko
Publication of KR2008009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로 부호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부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키입력부, 부호 변환부 및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특정 부호들과 매칭되는 복수의 키버튼들을 가진다. 상기 부호 변환부는 특정 메시지 입력시 상기 특정 메시지를 해당 부호들로 변환시켜 부호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부호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부호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키버튼들에 기존에 사용되는 부호(예를 들어, 모르스 부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부호를 매칭시키므로, 사용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부호, 아마추어 무선, 모르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A CODE CONVERS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호 변환 기능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부호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임의로 부호를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부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아마추어 통신, 즉 모르스 통신은 매니아들 사이에서만 성행하고 있다. 이 것은 이러한 무선 아마추어 통신을 위한 장비들이 대다수 비싸고 무거워서 보급화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반면에, 휴대용 단말기는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이러한 무선 아마추어 통신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개인들 사이에 교환한 메시지 등이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아마추어 통신을 제공하면서도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특정 부호를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키입력부, 부호 변환부 및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특정 부호들과 매칭되는 복수의 키버튼들을 가진다. 상기 부호 변환부는 특정 메시지 입력시 상기 특정 메시지를 해당 부호들로 변환시켜 부호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부호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부호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키버튼들에 제 1 특정 부호들을 각기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키버튼들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를 입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특정 메시지를 해당 제 1 특정 부호들로 변환시켜 제 1 부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키버튼들에 기존에 사용되는 부호(예를 들어, 모르스 부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부호를 매칭시키므로, 사용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를 슬라이드폰으로 가정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부(102) 및 슬라이드부(10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설정한 특정 부호를 설정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rm, PCS),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PDA),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는 특정 부호, 예를 들어 모르스 부호를 설정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체부(102)는 복수의 제 1 키버튼들이 배열된 제 1 키입력부(108)를 포함한다.
제 1 키입력부(10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모음, 영문 알파벳 또는 숫자가 기록된 제 1 키버튼들을 가진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 1 키버튼들을 통하여 특정인의 전화번호를 눌러 특정인과 통화를 할 수도 있고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특히, 제 1 키입력부(108)의 제 1 키버튼들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르스 부호들이 매칭(matching)되어 있으며, 그래서 사용자가 특정 키 버튼들을 누르면 이에 반응하여 해당 모르스 부호들이 타단말기로 전송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슬라이드부(104)는 디스플레이부(106)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키버튼들이 배열된 제 2 키입력부(1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6)는 소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특히 모르스 부호들이 기록된 메시지를 송수신할 때 상기 모르스 부호들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제 2 키입력부(110)는 통화 버튼, 종료 버튼 등과 같은 제 2 키버튼들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르스 부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는, 키입력부들(108 및 110)이 돔(Dome)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키버튼들이 구현되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 키버튼을 누르면 상기 키버튼 내부에 부착된 돌기가 돔 스위치를 가압하여 돔 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접점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돔 스위치와 상기 접점 단자의 접촉, 즉 접속을 인지하여 상기 특정 키버튼이 눌러졌음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키버튼에 해당하는 명령을 출력하여 해당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시킨다.
그러나, 키입력부들(108 및 110)은 터치 센서가 키버튼의 하부에 배치된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키입력부들(108 및 110)은 상기 키버튼들에 모르스 부호들을 매칭시키는 한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하,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 및 동작 방법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200), 키입력부(108), 모드부(202), 모르스 변환부(204), 디스플레이부(106), 메모리(206), 무선 송수신부(208), 음성 인식부(210), 사운드 출력부(212) 및 주파수부(214)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08)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르스 부호들과 매칭된 복수의 키버튼들을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모르스 부호들의 배열 관계를 아래의 표 1 내지 3을 참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키버튼들과 모르스 부호들의 매칭 관계를 설명하겠다.
ㆍㅡㆍㆍ ㅡㆍㅡㆍ ㆍㅡ
ㆍㆍㅡㆍ ㅡㆍㆍㅡ ㅡㆍ
ㅡㆍㆍㆍ ㅡㅡㆍㆍ ㆍㆍㆍㆍ
ㆍㆍㆍㅡ ㅡㅡㅡ ㆍㅡㆍ
ㅡㅡ ㆍㅡㅡㅡ ㅡㆍㆍ
ㆍㅡㅡ ㆍㆍㅡ
ㅡㅡㆍ ㆍㆍ ㅡㆍㅡㅡ
ㅡㆍㅡ ㅡㅡㆍㅡ
ㆍㅡㅡㆍ ㆍㆍㆍ
A ㆍㅡ J ㆍㅡㅡㅡ S ㆍㆍㆍ
B ㅡㆍㆍㆍ K ㅡㆍㅡ T
C ㅡㆍㅡㆍ L ㆍㅡㆍㆍ U ㆍㆍㅡ
D ㅡㆍㆍ M ㅡㅡ V ㆍㆍㆍㅡ
E N ㅡㆍ W ㆍㅡㅡ
F ㆍㆍㅡㆍ O ㅡㅡㅡ X ㅡㆍㆍㅡ
G ㅡㅡㆍ P ㆍㅡㅡㆍ Y ㅡㆍㅡㅡ
H ㆍㆍㆍㆍ Q ㅡㅡㆍㅡ Z ㅡㅡㆍㆍ
I ㆍㆍ R ㆍㅡㆍ
1 ㆍㅡㅡㅡㅡ, ㆍㅡ
2 ㆍㆍㅡㅡㅡ, ㆍㆍㅡ
3 ㆍㆍㆍㅡㅡ, ㆍㆍㆍㅡ
4 ㆍㆍㆍㆍㅡ, ㆍㆍㆍㅡ
5 ㆍㆍㆍㆍㆍ, ㆍㆍㆍㆍㆍ
6 ㅡㆍㆍㆍㆍ, ㅡㆍㆍㆍㆍ
7 ㅡㅡㆍㆍㆍ, ㅡㆍㆍㆍ
8 ㅡㅡㅡㆍㆍ, ㅡㆍㆍ
9 ㅡㅡㅡㅡㆍ, ㅡㆍ
0 ㅡㅡㅡㅡㅡ, ㅡ
위의 표 1 내지 표 3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르스 부호는 단점(短點, dot: ·)과 장점(長點, dash: -)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점은 '돈'으로 발음되고, 상기 단점의 3배 길이인 장점은 '쓰 또는 쓰으'로 발음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러한 모르스 기호에 따라 상기 키버튼들에 상기 모르스 부호들을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글 자판을 선택하고 'ㄱ'을 누르면, '돈쓰돈돈'이 메시지로서 표시된다. 즉, 'ㄱ'의 키버튼에 '돈쓰돈돈'이 매칭된다. 물론, 'ㄱ'의 키버튼에 '돈쓰돈돈'이 아니라 '·-··'와 같이 기호가 매칭될 수도 있다.
다시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드부(202)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특정 모드를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드부(202)는 사용자가 특정 키버튼을 눌렀을 때, 사용자가 모르스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르스 통신 모드를 디스플레이부(10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모르스 변환부(204)는 사용자가 모르스 통신 모드를 선택하고 소정 키버튼들을 누른 경우, 상기 눌러진 키버튼들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모르스 부호들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키버튼들을 조작하여 "사랑해"를 입력한 경우, 모르스 변환부(204)는 "사랑해"를 "쓰쓰돈 돈 쓰돈쓰 돈돈돈쓰 돈 쓰돈쓰 돈쓰쓰쓰 쓰쓰돈쓰"의 메시지로 변환시킨다.
메모리(206)는 모르스 부호에 대한 정보 및 각종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무선 송수신부(208)는 모르스 변환부(204)에 의해 변환된 메시지를 가지는 모르스 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음성 인식부(2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사랑해"라고 말한 경우 음성 인식부(210)는 이를 인식하며, 이에 따라 모르스 변환부(204)는 "사랑해"를 "쓰쓰돈 돈 쓰돈쓰 돈돈돈쓰 돈 쓰돈쓰 돈쓰쓰쓰 쓰쓰돈쓰"로 변환시킨다.
사운드 출력부(212)는 소정 데이터에 상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며, 특히 외부로부터 모르스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모르스 신호에 포함된 메시지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시킨다.
주파수부(214)는 모르스 통신의 특성상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기기와도 통신할 수 있으므로 소정 범위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기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키버튼들에 모르스 부호들을 매칭시키고, 사용자가 소정 메시지를 상기 키버튼들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모르스 부호들로 변환시킨다. 그런 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모르스 부호들을 가지는 모르스 신호를 타단말기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모르스 통신 기기들 사이에만 수행되었던 모르스 통신이 휴대용 단말기들 사이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100)가 종래의 모르스 통신 기기들보다 휴대하기 편하고 가벼우므로, 모르스 통신이 널리 보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하, 이러한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모르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모르스 통신 모드가 선택된다(S300).
이어서, 한글, 영문 등의 언어들 중 어느 언어를 사용할 지의 여부가 선택된다(S302).
계속해서, 상기 키버튼들을 이용함에 의해 특정 메시지가 기설정 시간 내에 입력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04).
상기 특정 메시지가 상기 기설정 시간 내에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되고 일반 모드가 실행된다(S312). 즉, 상기 기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소정 메시지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메시지가 모르스 부호들로 변환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상기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특정 메시지가 상기 기설정 시간 내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메시지가 해당 모르스 부호들로 변환된다(S306). 예를 들어, 사용자가 "SOS"를 상기 키버튼들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 "SOS" 메시지가 "돈돈돈 쓰쓰쓰 돈돈돈"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상기 변환된 모르스 부호들을 가지는 모르스 신호가 타단말기로 전송된다(S308).
계속하여,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10).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즉 모르스 통신 모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단계 S304가 다시 실행된다.
반면에,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일반 모드가 실행된다(S312).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6)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모르스 통신 모드 외의 다른 프로그램(문작 작성 등)이 실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모르스 통신 모드가 선택된다(S400).
이어서, 음성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S402), 그래서 사용자의 음성이 인식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사랑해"와 같은 소리를 내며, 이러한 소리는 음성 인식부(210)에 의해 인식된다.
그런 후, 음성 인식된 소리가 해당 모르스 부호들로 변환된다(S404). 예를 들어, 사용자가 "SOS"를 말로 하는 경우, 모르스 변환부(204)는 "SOS" 메시지를 "돈돈돈 쓰쓰쓰 돈돈돈"으로 변환시킨다.
이어서, 상기 변환된 모르스 부호들을 가지는 모르스 신호가 타단말기로 전송된다(S406).
계속하여,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되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408).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즉 모르스 통신 모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단계 S404가 다시 실행된다.
반면에, 모르스 통신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일반 모드가 실행된다(S4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6)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모르스 통신 모드 외의 다른 프로그램(문작 작성 등)이 실행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소정 키버튼들 및 음성을 인식하여 특정 메시지를 모르스 부호들로 변환시키고, 그런 후 타단말기로 전송하여 모르스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위에서는, 복수의 키버튼들에 모르스 부호들을 매칭시켜서 동작시켰으나, 하나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키입력부(110)에 포함된 OK 버튼(112)을 짧게 누르면 "돈"이고, 길게 누르면 "쓰"로 인식되게 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키버튼들 중 하나는 "돈"으로 설정하고, 다른 키버튼을 "쓰"로 설정하여 모르스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500)는 제어부(502), 키입력부(504), 모드부(506), 부호 설정부(508), 부호키 생성부(510), 부호 변환부(512), 메모리(514), 디스플레이부(516), 무선 송수신부(518), 음성 인식부(520), 사운드 출력부(522) 및 주파수부(524)를 포함한다.
부호 설정부(508), 부호키 생성부(510) 및 부호 변환부(51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과 유사하므로, 이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부호 설정부(508)는 위에 언급한 모르스 부호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던 부호가 아닌 사용자가 임의로 부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부호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연인들이 서로 문자를 교환하되 다른 사람이 알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연인들은 자신들만이 아는 부호를 만들고 이 부호를 통하여 서로 문자를 교환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부호 생성 방식으로는 키버튼들에 사용자가 설정한 부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실제 예를 통하여 상술하겠다.
부호키 생성부(510)는 사용자가 임의로 부호를 설정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부호키를 생성시킨다. 즉, 상기 부호키는 상기 키버튼들에 어떤 부호가 매칭되도록 설정되었는 지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이렇게 생성된 부호키는 무선 송수신부(518)를 통하여 타단말기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남자친구가 특정 부호를 만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부호키를 여자 친구에게 보내고, 그런 후 이 부호로 만들어진 메시지를 여자 친구에게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여자 친구는 부호키를 통하여 소정 키버튼들에 어떤 부호가 매칭되었는 지를 확인하여 남자친구로부터 온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다. 다만, 연인들끼리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부호키에 연인들 상호간에만 알 수 있는 암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그래서 비밀번호를 모르는 타인은 연인들 사이에 주고 받은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부호 변환부(512)는 부호 설정부(508)에 의해 설정된 부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부호들을 가지는 부호 메시지를 생성시킨다. 그런 후, 부호 변환부(512)는 상기 생성된 부호 메시지를 무선 송수신부(518)를 통하여 타단말기로 전송한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500)는 기존에 있는 부호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만든 부호를 이용하며, 그래서 개인의 사생활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호를 설정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키버튼들에 특정 부호를 매칭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본 실시예의 부호 설정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부호와 달리 일반인도 이런 부호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부호 설정 방법이 보편화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제 예를 통하여 상술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호 변환 능 제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부호 설정 모드가 선택된다(S600).
이어서, 휴대용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부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키버튼들 및 각종 부호들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는 이러한 키버튼들 및 각종 부호들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부호, 예를 들어 아래의 표 4와 같은 부호를 설정하고 표 4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부호키를 생성시킨다(S602).
a j s
b k t
c l u
d m v
e n w
f o x
g p y
h q z
i r
계속하여, 무선 송수신부(518)는 상기 생성된 부호키를 타단말기로 전송한다(S604).
그런 후, 사용자는 키버튼들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를 입력한다(S606).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랑해"라는 메시지를 한글을 이용하여 입력시킨다.
이어서, 부호 변환부(512)는 상기 입력된 특정 메시지를 사용자가 설정한 부호로 변환시키며, 즉 표 4와 같이 설정된 부호를 이용하여 "사랑해"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ewaebjaea"로 변환시키고, 그런 후 이렇게 변환된 메시지를 가지는 부호 메시지를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한다(S608).
계속하여, 상기 타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부호 메시지, 즉 "taewaebjaea"를 미리 전송된 부호키를 통하여 해석하며(S610), 결과적으로 "taewaebjaea"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랑해"로 해석된다. 여기서, 상기 부호키는 상기 부호 메시지 이전에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부호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부호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부호가 설정되고 이에 해당하는 부호키가 타단말기로 전송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부호 모드가 선택된다(S800).
이어서, 사용자가 키버튼들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랑해"를 입력한다(S802).
계속하여, 부호 변환부(51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메시지, 즉 "사랑해"를 사용자가 설정한 부호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부호들을 가지는 부호 메시지를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한다(S804).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래의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를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도'(♩) 미"(♬)
레'(♩) 파"(♬)
미'(♩) 솔"(♬)
파'(♩) 라"(♬)
솔'(♩) 시"(♬)
라'(♩) 도°(♪)
시'(♩) 레°(♪)
도"(♬) 미°(♪)
레"(♬)
위 표 5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 "사랑해"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도°레° 파'도°레°도" 시"도°레°도°"로 변환된다. 또는, "사랑해"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선지 위에 표시된 음표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타단말기는 상기 부호 메시지를 상기 특정 부호와 관련된 부호키를 이용하여 해석한다(S806).
계속하여, 상기 타단말기는 상기 해석에 따라 상기 부호 메시지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시킨다(S808). 즉, 상기 타단말기는 멜로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멜로디 소자(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로디 소자는 상기 부호 메시지에 기록된 음 또는 음표를 인식하여 이에 해당하는 사운드, 즉 멜로디를 출력한다. 이렇게 멜로디로 출력되면, 사용자는 상기 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확인하지 않고도 상기 출력된 멜로디만으로 전송된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멜로디로 출력되므로 사용자의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멜로디가 아니라 해석된 메시지 그 자체, 즉 "사랑해"가 사운드로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부호 모드가 선택된다(S1100).
이어서, 소정 키버튼들을 이용함에 의해 특정 메시지가 입력된다(S1102).
계속하여, 상기 입력된 특정 메시지가 기설정된 부호에 따라 소정 부호들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부호들을 가지는 부호 메시지가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다(S1104).
그런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가 부호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06).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부호 메시지가 아닌 경우, 즉 일반적인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 그대로 디스플레이된다(S1112).
반면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부호 메시지인 경우, 해당 부호키를 독출하여 암호 입력을 요청한다(S1108).
이어서, 암호가 패스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110).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아서 암호가 패스(pass)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부호 메시지 그대로 디스플레이되며, 즉 부호화된 상태로 상기 부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S1112).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부호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는 부호키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부호 메시지의 내용을 알 수 없게 된다.
반면에,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암호가 패스된 경우, 상기 부호 메시지에 상기 부호키가 적용되어 상기 부호 메시지가 해석된다(S1114).
계속하여, 상기 해석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며(S1116), 그래서 사용자는 상대방이 보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신저 기능을 이용함에 의해 특정 상대방과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경우, 대화자들이 다른 메신저와 동일하게 대화하다가 부호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 대화, 예를 들어 "사랑해"를 입력하는 경우, 기설정된 부호에 따라 소정 음표들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대화창에는 "사랑해", "나도"와 같은 실제 대화 내용이 보일 수도 있고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는 실제 대화 내용이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키버튼들에 기존에 사용되는 부호(예를 들어, 모르스 부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부호를 매칭시키므로, 사용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특정 부호들과 매칭되는 복수의 키버튼들을 가지는 키입력부;
    특정 메시지 입력시 상기 특정 메시지를 해당 부호들로 변환시켜 부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부호 변환부; 및
    상기 부호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부호 메시지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들에는 모르스 부호들이 각기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키버튼들에 특정 부호들이 매칭되도록 부호를 설정하는 부호 설정부; 및
    상기 부호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부호키를 생성하는 부호키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호키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메시지는 상기 키버튼들 또는 음성을 이용함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메시지는 문자가 아닌 특정 기호로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변환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7. 복수의 키버튼들에 제 1 특정 부호들을 각기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키버튼들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를 입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특정 메시지를 해당 제 1 특정 부호들로 변환시켜 제 1 부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정 부호들은 모르스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정 부호들을 각기 매칭시키는 단계는,
    부호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부호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키버튼들에 상기 제 1 특정 부호들을 설정하여 상기 키버튼들에 상기 제 1 특정 부호들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키버튼들과 매칭된 제 1 특정 부호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 1 부호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호키에는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부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호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특정 메시지를 문자가 아닌 특정 기호들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특정 기호들로 이루어진 제 1 부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호는 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 2 특정 부호들로 이루어진 제 2 부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특정 부호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 2 부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부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부호 메시지를 해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 2 부호 메시지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70043475A 2007-05-04 2007-05-04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80098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75A KR20080098153A (ko) 2007-05-04 2007-05-04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475A KR20080098153A (ko) 2007-05-04 2007-05-04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153A true KR20080098153A (ko) 2008-11-07

Family

ID=4028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475A KR20080098153A (ko) 2007-05-04 2007-05-04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8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377A2 (en) * 2010-03-08 2011-09-15 Eva Andreass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input signals when using touch-screens and other input interfaces
WO2013085286A1 (ko) * 2011-12-06 2013-06-13 Kim Jeong Ho 오선화면 및 음악기호자판을 이용하여 음과 리듬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377A2 (en) * 2010-03-08 2011-09-15 Eva Andreass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input signals when using touch-screens and other input interfaces
WO2011112377A3 (en) * 2010-03-08 2012-01-05 Eva Andreass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input signals when using touch-screens and other input interfaces
US9245154B2 (en) 2010-03-08 2016-01-26 Eva Andreasso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input signals when using touch-screens and other input interfaces
WO2013085286A1 (ko) * 2011-12-06 2013-06-13 Kim Jeong Ho 오선화면 및 음악기호자판을 이용하여 음과 리듬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33749A (ja) 無線通信装置
US7907702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KR20080098153A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101433154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JPH11331407A (ja) 信号変換装置
JP2006246108A (ja) 点字出力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KR20190079880A (ko) 점자 입력 장치
JP2002232944A (ja) 携帯型通信端末、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該通信中継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10914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numeric data
KR101294214B1 (ko)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00028764A (ko)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690841B1 (ko) 근접스위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점자 입력 장치
KR100275773B1 (ko)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JP2003188948A (ja) 携帯端末装置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10105573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화 중 키 버튼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501896B1 (ko)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
JP3683195B2 (ja) 点字を表現可能な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点字表現方法
KR200400162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
KR20050094092A (ko) 한 개의 키에 의하여 문자메세지를 편집하고 발송하는이동단말기.
KR100590557B1 (ko)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
JP2003188972A (ja) 携帯端末装置
KR19990075540A (ko) 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190021Y1 (ko) 다이얼 톤을 이용한 데이타전송장치
JP2005236526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