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764A -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764A
KR20100028764A KR1020080087644A KR20080087644A KR20100028764A KR 20100028764 A KR20100028764 A KR 20100028764A KR 1020080087644 A KR1020080087644 A KR 1020080087644A KR 20080087644 A KR20080087644 A KR 20080087644A KR 20100028764 A KR20100028764 A KR 2010002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건
김현욱
김남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764A/ko
Priority to PCT/KR2009/004938 priority patent/WO2010027190A2/ko
Priority to CN2009801436388A priority patent/CN102204225B/zh
Priority to US12/737,976 priority patent/US8581954B2/en
Priority to EP09811689.0A priority patent/EP2323351A4/en
Publication of KR2010002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 중인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인 진동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진동 정보를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 중에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한 진동 정보를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과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및 감성을 진동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과 음성 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및 감성 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흔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감정 및 감성 등을 진동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진동, 감정, 감성, 전달

Description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Vibration Information Among Vo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단말기를 흔들면 단말기에서 이에 따른 진동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촉각을 자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와 달리 현재의 통신이라는 것은 단순히 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와 감성 공유의 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과 같은 경우 높은 이동성과 개인화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국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이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타인과의 소통의 공간 및 감성의 전달 매체로 생활의 한가운데에 자리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이와 같은 이용 형태의 변화에 맞추어 과거와 같이 단순히 음성 통화 기능,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해 왔으며, 그 결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 기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흔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에 따른 진동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촉각을 자극하는 햅틱 기능이 개발되었다.
지금까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햅틱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사용자를 교감시켜 주는 역할,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터치하거나 흔들었을 경우에만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양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과 사용자 간의 감정 및 감성 등을 상대방 단말기와의 진동 정보 공유를 통해 통화 중인 상대방의 감정 및 감성 등을 지금까지의 햅틱 기능, 즉 진동을 통해서는 공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과 단말기 사용자 간의 감정 및 감성을 진동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공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 중인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인 진동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진동 정보를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 중에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한 진동 정보를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과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및 감성을 진동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메모리부 및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전달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키인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가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가 입력되면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 1 진동 정보로 변환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 및 전송한 디지털 신호인 제 2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 또는 상기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제 1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회로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A/D 변환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에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한 후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제 1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A/D 변환부에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키 입력부, 모션 센서부, 제어부, 진동 발생부, A/D 변환부 및 무선 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동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부가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모션 센서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모션 센서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모션 센서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A/D 변환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진동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무선 회로부, A/D 변환부, 제어부 및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 성 및 전송한 디지털 신호인 진동 정보를 상기 무선 회로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A/D 변환부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A/D 변환부에서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전달하는 단계; 및 (e)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과 음성 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및 감성 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흔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감정 및 감성 등을 진동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키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부(130), 모션 센서부(140), 제어부(150), A/D 변환부(160), 진동 발생부(170), 오디오 변환부(180) 및 무선 회로부(19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50)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기능버튼과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일반 버튼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키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진동 전달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키인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미도시)가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에 의해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가 입력되면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여기서, 진동 전달 모드란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상태에서 진동 정보를 생성 및 통화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에 전송하기 위한 모드이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화면,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화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화면, 그림이나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편집화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화면 등을 제공한다.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모션 센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흔들었을 때에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여기서, 모션 센서부(140)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전화 번호부, 휴대폰 설정, 일정 관리, 게임, 화면 설정 및 음량 벨 소리 등의 각종 메뉴 항목과 통화 서비스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키 입력부(110)로부터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전달받으면, 모션 센서부(140)를 활성화하여 모션 센서부(140)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A/D 변환부(160) 및 진동 발생부(170)에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한 후, A/D 변환부(160)에서 생성한 제 1 진동 정보를 후술할 이동통신망(220)을 통해 통화 연결되어 있는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통화 중 상태에서 이동통신망(220)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가 제 1 진동 정보라는 것을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제 1 진동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여 제 1 진동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제 1 진동 정보를 UUS(User to User Signaling) 메시지 포맷 및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 포맷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와 통화 중인 상태에서 무선 회로부(19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에서 생성 및 전송한 진동 정보인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면, A/D 변환부(160)에서 제 2 진동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의 움직임 감지 신호인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하도록 하고, A/D 변환부(160)에서 변환된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진동 발생부(17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제 2 진동 정보와 함께 수신한 제 2 진동 정보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 2 진동 정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대방 단말기(미도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일 때,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2 진동 정보는 UUS 메시지 포맷 및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포맷 중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D 변환부(16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A/D 변환부(160)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 1 진동 정보로 변환하거나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에서 생성 및 전송한 디지털 신호인 제 2 진동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한다.
진동 발생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서, 진동 발생부(17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 또는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 또는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한다.
오디오 변환부(180)는 마이크(18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 회로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184)를 통해 음성 출력한다.
무선 회로부(190)는 안테나(195)를 통해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 고, 오디오 변환부(180)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이동통신망(220)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 회로부(190)는 제 1 진동 정보를 이동통신망(22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 송출하고, 상대방 단말기(미도시)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인 제 1 단말기(210) 및 제 2 단말기(230)가 이동통신망(220)을 통해 음성 통화가 연결되어 있을 때, 제 1 단말기(210)의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가 입력된 상태에서 제 1 단말기(210)가 단말기의 흔들림에 상응하는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통신망(22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인 제 2 단말기(230)에 전송하면, 제 2 단말기(230)는 제 1 단말기(210)의 흔들림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음성 통화 중인 제 1 단말기(210) 및 제 2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진동 정보를 상호 간에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단말기 사용자와 제 2 단말기 사용자 간에 감정 및 감성 등을 단말기의 진동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키 입력부(110)로부 터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하면, 제어부(150)에서 이를 수신하고 모션 센서부(140)를 활성화한다(S310, S320).
활성화된 모션 센서부(1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하면, 제어부(150)는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A/D 변환부(160) 및 진동 발생부(170)에 전달한다(S330, S340).
제어부(150)로부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진동 발생부(170) 및 A/D 변환부(160) 중 진동 발생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고, A/D 변환부(160)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 1 진동 정보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S350, S360).
제어부(150)는 A/D 변환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제 1 진동 정보를 무선 회로부(190)를 통해 음성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S370). 여기서, 제어부(150)는 통화 중 상태에서 이동통신망(220)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가 제 1 진동 정보라는 것을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제 1 진동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여 제 1 진동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 1 진동 정보를 UUS 메시지 포맷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미도 시)에서 생성 및 전송한 디지털 신호인 제 2 진동 정보를 무선 회로부(190)에서 수신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하면, 제어부(150)는 제 2 진동 정보를 A/D 변환부(160)에 전달한다(S410, S420). 여기서, 무선 회로부(190)는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 2 진동 정보라는 제어부(15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제 2 진동 정보 플래그를 제 2 진동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 변환부(160)에서 제 2 진동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하면, 제어부(150)는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진동 발생부(170)에 전달하여 진동 발생부(170)에서 상대방 단말기(미도시)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도록 한다(S430, S440, S450).
여기서, 상대방 단말기(미도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일 때,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상대방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분야에 적용되어, 상대방과 음성 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및 감성 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흔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 통화 중인 상대방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감정 및 감성 등을 진동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키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메모리부
140: 모션 센서부 150: 제어부
160: A/D 변환부 170: 진동 발생부
180: 오디오 변환부 190: 무선 회로부
210: 제 1 단말기 220: 이동통신망
230: 제 2 단말기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 메모리부 및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동 전달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기 위한 키인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가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가 입력되면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키 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모션 센서부;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 1 진동 정보로 변환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 및 전송한 디지털 신호인 제 2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 또는 상기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제 1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회로부;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상기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모션 센서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모션 센서부로부터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A/D 변환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에 상기 제 1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한 후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제 1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A/D 변환부에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 2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중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가 상기 제 1 진동 정보라는 것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제 1 진동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진동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진동 정보와 함께 수신한 제 2 진동 정보 플래그를 확인하여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 2 진동 정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진동 정보를 UUS(User to User Signaling) 메시지 포맷 및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 포맷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키 입력부, 모션 센서부, 제어부, 진동 발생부, A/D 변환부 및 무선 회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동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부가 진동 전달 모드 전환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모션 센서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모션 센서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모션 센서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A/D 변환부 및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A/D 변환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진동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중 상태에서 상기 무선 회로부를 통해 전송한 데이터가 진동 정보라는 것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진동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여 상기 진동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정보를 UUS(User to User Signaling) 메시지 포맷 및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지 포맷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9. 무선 회로부, A/D 변환부, 제어부 및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 및 전송한 디지털 신호인 진동 정보를 상기 무선 회로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A/D 변환부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A/D 변환부에서 상기 진동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인 움직임 감지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부에 전달하는 단계; 및
    (e)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무선 회로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상기 진동 정보라는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진동 정보 플래그를 상기 진동 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화 중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KR1020080087644A 2008-09-05 2008-09-05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00028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44A KR20100028764A (ko) 2008-09-05 2008-09-05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CT/KR2009/004938 WO2010027190A2 (ko) 2008-09-05 2009-09-02 진동 정보를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2009801436388A CN102204225B (zh) 2008-09-05 2009-09-02 传送振动信息的移动通信终端及其方法
US12/737,976 US8581954B2 (en) 2008-09-05 2009-09-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elivers vibr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EP09811689.0A EP2323351A4 (en) 2008-09-05 2009-09-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IBRATION INFORMATION AND ASSOCIATE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644A KR20100028764A (ko) 2008-09-05 2008-09-05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764A true KR20100028764A (ko) 2010-03-15

Family

ID=4217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644A KR20100028764A (ko) 2008-09-05 2008-09-05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7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03B1 (ko) * 2013-12-30 2014-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소리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진동 소리 코드를 복호하는 방법 및 진동 소리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KR20180070467A (ko) 2016-12-16 2018-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촉각기반의 감성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1878475B1 (ko) * 2016-12-28 2018-07-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관련 물리량 측정센서 기반 모션데이터 생성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903B1 (ko) * 2013-12-30 2014-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소리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 진동 소리 코드를 복호하는 방법 및 진동 소리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KR20180070467A (ko) 2016-12-16 2018-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촉각기반의 감성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1878475B1 (ko) * 2016-12-28 2018-07-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관련 물리량 측정센서 기반 모션데이터 생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939B1 (ko) 카메라부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306119B1 (ko) 휴대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05100141B (zh) 多媒体内容网络分享方法、装置及系统
CN101611617A (zh) 受运动控制的音频输出
CN101599224A (zh) 一种演示系统以及移动终端和无线上网卡
KR102116053B1 (ko) 스마트 와치
KR20080058124A (ko) 촉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CN105677023B (zh) 信息呈现方法及装置
CN103945065A (zh) 消息提醒的方法及装置
US8456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WO201916328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28764A (ko) 음성 통화 중에 진동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3051786A (zh) 移动终端互动方法和装置
KR100743402B1 (ko) Rfid 기술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259111B1 (ko)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CN102711055A (zh) 一种控制终端设备的方法及终端设备
CN102150470A (zh) 用于在空闲屏幕上显示缩略图组的方法和移动通信终端
CN108141496A (zh) 一种呼叫等待处理方法
KR101294214B1 (ko)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90069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2176510A (ja) 音声通信装置と支援装置、および記録媒体
CN101640860B (zh) 用于通信的方法、用于通信的相关系统和相关的转换部件
WO2018035873A1 (zh) 音频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1011888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신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효과를가진 이모티콘 사용방법
CN107645604B (zh) 一种通话处理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