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119B1 -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119B1
KR102246119B1 KR1020200025181A KR20200025181A KR102246119B1 KR 102246119 B1 KR102246119 B1 KR 102246119B1 KR 1020200025181 A KR1020200025181 A KR 1020200025181A KR 20200025181 A KR20200025181 A KR 20200025181A KR 102246119 B1 KR102246119 B1 KR 10224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remote control
home
inpu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수아
Original Assignee
전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수아 filed Critical 전수아
Priority to KR102020002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전기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기; 통합 제어기와 통신가능한 점자 리모컨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되고, 여기서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을 위한 점자판으로 이루어진 점자 입력부; 및 통합 제어기로부터의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및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를 포함하고,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점자를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제어기로 전송하고, 통합 제어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난 후 처리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점자 리모컨으로 전송하고, 점자 리모컨은 처리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 출력부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BRAILLE REMOTE CONTROL FOR THE BLIND AND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장애인이 홈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기기 제어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복수개의 가전기기를 가정 내에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망이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되도록 하여 가정 내외의 어느 장소에서도 상기 가전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정 내의 어느 장소에서도 특정 가정기기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에서도 컴퓨터 등의 수단을 통해 가정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많은 호응을 얻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의 응용범위는 나날이 넓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의 경우 가전기기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호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가전기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 제어기가 설치되고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통합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일반사용자의 경우 리모컨을 통한 가전기기의 동작 여부를 리모컨을 이용하여 특정 가전기기에 대해 명령을 수행하는 순간 시각적으로 알 수 있지만, 시각 장애인의 경우 통상적인 가전기기 제어용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하더라도 시각 장애인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명령이 온전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실제 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가전기기 네트워킹 시스템을 원할하게 이용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본 발명은 시각장애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가전기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동작시킨 후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수신받아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점자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등이 리모컨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기기 제어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전기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기; 통합 제어기와 통신가능한 점자 리모컨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에서,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을 위한 점자판으로 이루어진 점자 입력부; 및 통합 제어기로부터의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및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를 포함하고,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점자를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제어기로 전송하고,
통합 제어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난 후 처리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점자 리모컨으로 전송하고,
점자 리모컨은 처리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점자로 변환하여 전자 출력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서 포함한다.
전술한 양태에서 점자 리모컨의 제어회로부는 음성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음성-명령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복수의 가전기기, 통합 제어기 및 점자 리모컨은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제어회로부는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CU; 점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점자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점자-명령 변환부; 복수의 가전기기 및 통합제어기와 무선연결하기 위한 Wi-Fi 통신 모듈; 통합제어기를 통해 수신된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점자 변환부; 문자-점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 코드에 대응하여 점자 출력부에 점자를 출력하기 위한 점자 셀 드라이버; 및 문자-점자를 변환을 위해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점자 리모컨은 복수의 특수 기능키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특수 기능키의 각각에는 복수의 가전기기가 등록되거나, 가전기기의 온 또는 오프 명령; 점자입력 확인 명령; 점자입력 취소 명령; TV 채널 변경 명령; TV 볼륨 업/다운 명령을 포함하는 명령이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가전기기가 연결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가전기기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의 점자 리모컨이 제공되고,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을 위한 점자판으로 이루어진 점자 입력부; 외부로부터의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및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를 포함하고,
제어회로부는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CU; 점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점자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점자-명령 변환부; 복수의 가전기기 및 통합제어기와 무선연결하기 위한 Wi-Fi 통신 모듈; 통합제어기를 통해 수신된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점자 변환부; 문자-점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 코드에 대응하여 점자 출력부에 점자를 출력하기 위한 점자 셀 드라이버; 및 문자-점자를 변환을 위해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저장부;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입력부; 수신된 음성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음성-명령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전술한 다른 양태에서 점자 출력부는 솔레노이드 방식, 압전체 방식, 고분자 유전체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가전기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동작시키면 통합 제어기로부터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수신받아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점자가 사용자의 리모컨에 출력됨으로써 시각장애 사용자가 해당하는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전기기들의 내부 구성과 IP 또는 포트의 할당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일련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점자 리모컨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리모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 네트워크 또는 홈기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전기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기(200); 상기 통합 제어기(200)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 또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시각장애인용의 리모컨(이하 점자 리모컨이라고 함)(100)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전기기(300), 예를 들면, TV(310), 조명(330), 에어컨(320), 보일러(340)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은 유선 또는 무선과 같은 홈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 홈 네트워크(300)는 무선 Wi-Fi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복수의 가전기기는 무선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가전기기(300)는 유선 LAN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전기기들의 내부 구성과 IP 또는 포트의 할당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전기기 각각은 무선 Wi-Fi 네트워크 또는 유선 LAN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부와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제어부를 포함한다. Wi-Fi 네트워크에는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킹을 위한 IP 공유기(또는 Wi-Fi 공유기)(400)가 제공되고, IP 공유기는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해 내부 IP주소를 부여한다. IP 공유기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대해 각각 고유한 내부 IP주소를 설정하여 부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동일한 내부 IP주소를 부여하는 대신 각각 다른 포트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P 공유기는 복수의 가전기기에 부여된 내부 IP주소 또는 포트번호에 관한 정보를 해당 가전기기와 매핑시킨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통합 제어기(200)는 원격 점자 리모컨(100)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통합 제어기(200)는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Wi-Fi 공유기(400)와 통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통합 제어기(200)는 원격 점자 리모컨(100)으로부터 전가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Wi-Fi 공유기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로부터 해당하는 가전기기의 내부 IP 주소 또는 할당된 포트 번호를 수신하고 해당하는 내부 IP 주소 또는 포트 번호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해당하는 가전기기(310~340)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원격 점자 리모컨(10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일련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10에서 사용자는 원격 점자 리모컨(100)을 이용하여 통합제어기(200)에 특정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단계 S120에서 통합제어기(200)는 원격리모컨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하는 가전기기에 대한 내부 IP 또는 할당된 포트 번호를 Wi-Fi 공유기에 저장된 매칭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발견해 내고 단계 S130에서 해당하는 내부 IP 또는 할당된 포트 번호에 대해 제어 명령을 송신하게 된다.
단계 S140에서 해당하는 가전기기의 통신부에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단계 S150에서 가전기기의 제어부는 수신된 제어명령을 수행하고 난 후, 단계 S160에서와 같이 제어명령 수행결과를 통합제어기(200)로 송신하고, 단계 S170에서 통합제어기(200)는 수신된 수행결과를 점자 리모컨(100)에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원격 점자 리모컨, 구체적으로는 홈기기 제어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점자 리모컨(100)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점자 리모컨(100)은 점자 입력부(110), 특수 기능키(120); 점자 출력부(130) 및 음성 입력부(140)를 포함한다.
점자 입력부(110)는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제공된 점자 입력판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쌍의 6점식 점자판(110a~110c)으로 구성된다. 6점식 점자 체계는 국제영어점자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on English Braille: ICEB)가 1993년 통일 영어 점자(Unified English Braille: UEB)를 규정할 때 제시한 대원칙이기도 하며, 6점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점형의 수는 총 64개이다. 그중에서 점이 하나도 찍히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점의 개수와 위치를 조합한 점형 63개를 이용해 국어, 수학, 음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문자와 기호를 표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점자판은 6점식 점자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8점식과 같은 다른 유형의 점자판이 이용될 수도 있다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6점식 점자판은 모두 3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 입력 점자판(110a)은 초성에 대응하는 글자를, 제2 입력 점자판(110b)는 중성(모음)에 대응하는 글자를, 제3 입력 점자판(110c)은 종성에 대응하는 글자를 각각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점자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의 입력 및 기기상태 및 제어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점자 리모컨(100)에는 특수 기능키(120)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특수 기능키(120)를 통해 가전기기와 같은 장치를 등록할 수도 있고 특정 명령, 예를 들면 가전기기의 온 또는 오프; 점자입력 확인; 점자입력 취소; TV 채널 변경; TV 볼륨 업/다운 등과 같은 명령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차 출력부(1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로 6개, 가로 24개의 점자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총 8개의 점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점차 출력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합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결과를 사용자에게 점자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점자 출력부(130)에는 수신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기 위한 점자 변환부를 포함한다. 점자 변환부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점자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된 문자를 해당하는 점자로 변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리모컨(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점자 리모컨(100)은 전술하여 설명한 점자 입력부(110), 점자 출력부(130), 음성 입력부(140), 및 특수키(120) 이외에 제어회로부(150)를 포함하고, 제어회로부(150)는 점자 리모컨(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CU(151), 점자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점자를 명령코드로 변환하는 점자-명령 변환부(152), Wi-Fi 통신 모듈(157)을 통해 수신된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점자 변환부(153), 점자 코드에 대응하여 점자 출력부에 점자를 출력하기 위한 점자 셀 드라이버(154), 음성 입력부(140)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하고 해당하는 명령으로 변환하는 음성-명령 변환부(155), 문자-점자를 변환을 위해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 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저장부(156), 외부의 통합제어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Wi-Fi 통신 모듈(157), 및 점자 리모컨(100)에 요구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8)를 포함한다.
MCU(151)은 점자 입력부(110) 또는 음성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명령 신호로 변환하여 Wi-Fi 통신 모듈을 통해 통합 제어기(200)에 전송한다.
점자 입력부(110)으로부터 입력된 점자 입력은 점자-명령 변환부(152)를 통해 명령 신호로 변환되어 통합 제어기(200)에 전송되는 반면, 음성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음성-명령 변환부(155)를 통해 음성 인식된 후 해당하는 명령 신호로 변환되어 통합 제어기(200)에 전송된다.
한편, Wi-Fi 통신 모듈(157)을 통해 전자기기 또는 통합 제어기로부터의 처리결과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MCU(151)은 해당하는 처리 결과 메시지를 문자-점자 변환부(153)로 전송하고, 문자-점자 변환부(153)은 문자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점자코드로 변경하기 위해 저장부(156)에서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점자 코드들로 이루어진 점자 코드열을 점자 셀 드라이버(154)로 전송한다.
점자 셀 드라이버(154)는 점자 셀을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방식, 압전체 방식, 고분자 유전체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방식의 드라이버는 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고 코일 내에 배치되는 플런져가 힘을 받아 이동함으로써 점자를 출력하는 구동 방식이고, 압전체 방식의 드라이버는 압전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길이가 변하고 변화된 길이의 압전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점자를 인식하는 구동 방식이다. 고분자 유전체의 구동 방식은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이 유전율이 높은 고분자 재료의 양면에 전극을 입히고 전압을 가하여 상호간에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고분자 유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면적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구동 방식이며, 점자 셀 드라이버는 문자-점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점자 코드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점자를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가전기기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동작시킨 후, 다시 가전기기의 동작상태 또는 처리 결과 메시지를 수신받아 처리결과 메시지에 점자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 이 점자 리모컨을 통해 가전기기의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가전기기 제어가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점자 리모컨 110: 점자 입력부
120: 특수키 130: 점자 출력부
140: 음성 입력부 150: 제어회로부
151: MCU 152: 점자-명령 변환부
153: 문자-점자 변환부 154: 점자 셀 드라이버
155: 음성-명령 변환부 156: 저장부
157: Wi-Fi 통신모듈 158: 배터리
200: 통합 제어기 300: 가전기기
310: TV 320: 에어컨
330: 조명 340: 보일러
400: Wi-fi 공유기 또는 IP 공유기

Claims (7)

  1.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전기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기; 통합 제어기와 통신가능한 점자 리모컨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을 위한 점자판으로 이루어진 점자 입력부는 제1 내지 제3 입력 점자판의 3쌍의 6점식 점자판으로 이루어지고, 제1 입력 점자판은 초성에 대응하는 글자를, 제2 입력 점자판는 중성에 대응하는 글자를, 제3 입력 점자판은 종성에 대응하는 글자를 각각 입력하도록 구성됨 - ;
    통합 제어기로부터의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로 출력하는 점자 출력부;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자 리모컨은 점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점자를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통합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제어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제어하고 난 후 처리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점자 리모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점자 리모컨은 처리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점자 리모컨의 제어회로부는 음성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음성-명령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전기기, 통합 제어기 및 점자 리모컨은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회로부는 점자 리모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CU; 점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점자를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점자-명령 변환부; 복수의 가전기기 및 통합제어기와 무선연결하기 위한 Wi-Fi 통신 모듈; 통합제어기를 통해 수신된 처리결과 메시지를 점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점자 변환부; 문자-점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 코드에 대응하여 점자 출력부에 점자를 출력하기 위한 점자 셀 드라이버; 및 문자-점자를 변환을 위해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코드가 기록되어 있고,
    점자 출력부 세로 6개, 가로 24개의 점자 셀로 이루어져 총 8개의 점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문자-점자 변환부는 상기 점자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된 문자를 해당하는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점자 리모컨은 복수의 특수 기능키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특수 기능키의 각각에는 복수의 가전기기가 등록되거나, 가전기기의 온 또는 오프 명령; 점자입력 확인 명령; 점자입력 취소 명령; TV 채널 변경 명령; TV 볼륨 업/다운 명령을 포함하는 명령이 등록되어 있고,
    상기 점자 출력부는 솔레노이드 방식, 압전체 방식, 고분자 유전체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Wi-Fi 네트워크에는 복수의 가전기기와의 네트워킹을 위한 IP 공유기가 제공되고, IP 공유기는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해 내부 IP주소를 부여하고, IP 공유기는 복수개의 가전기기에 대해 각각 고유한 내부 IP 주소 또는 포트 번호를 설정하여 부여하고, IP 공유기는 복수의 가전기기에 부여된 내부 IP주소 또는 포트 번호에 관한 정보를 해당 가전기기와 매핑시킨 맵핑 테이블을 생성하고 저장하고,
    통합 제어기는 점자 리모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통합 제어기는 점자 리모컨으로부터 전가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IP 공유기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로부터 해당하는 가전기기의 내부 IP 주소 또는 할당된 포트 번호를 수신하고 해당하는 내부 IP 주소 또는 포트 번호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해당하는 가전기기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점자 리모컨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5181A 2020-02-28 2020-02-28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24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81A KR102246119B1 (ko) 2020-02-28 2020-02-28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81A KR102246119B1 (ko) 2020-02-28 2020-02-28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119B1 true KR102246119B1 (ko) 2021-04-29

Family

ID=7572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181A KR102246119B1 (ko) 2020-02-28 2020-02-28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1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758A (ko) * 2003-01-27 2004-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점자표시 장치 및 방법
US20060055582A1 (en) * 2002-09-27 2006-03-16 Matthias Wendt Remote control
KR20080000061A (ko) * 2006-06-26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점자표시부를 갖는 양방향 리모콘
JP2008227698A (ja) * 2007-03-09 2008-09-25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90074608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무선 리모컨
KR20160148567A (ko) * 2014-04-24 2016-12-26 손동현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KR20190079880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5582A1 (en) * 2002-09-27 2006-03-16 Matthias Wendt Remote control
KR20040068758A (ko) * 2003-01-27 2004-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점자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80000061A (ko) * 2006-06-26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점자표시부를 갖는 양방향 리모콘
JP2008227698A (ja) * 2007-03-09 2008-09-25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90074608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무선 리모컨
KR20160148567A (ko) * 2014-04-24 2016-12-26 손동현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KR20190079880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입력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희동, "장애인을 위한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반의 홈 네트워크 제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 321-326, 2014년 2월.* *
오암석, "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 스마트 홈 리모컨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 1563-1570, 2018년 12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ers et al. Taking handheld devices to the next level
CN103383134B (zh) 一种智能空调系统及空调控制方法
WO2009006735A1 (en) Gesture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keyboard and mouse emulation
WO2004063918A3 (en) Alphanumeric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game controller
CN103197571A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系统
CN107479400A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装置、家电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246119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109388228A (zh) 手势控制系统和手势控制方法
KR20150053447A (ko)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10262267A (zh) 一种智能面板开关及其控制用电设备的方法
US20160163230A1 (en) Device of braille input and output
CN207129789U (zh) 一种语音电梯选层器
CN105353749A (zh) 图书馆设备智能开关控制系统
KR100424299B1 (ko) 가전기기의 위치인식 방법
CN210722032U (zh) 一种明文转盲文的盲文学习机
CN108735049A (zh) 聋哑人辅助发声系统及其发声方法
CN202383814U (zh) 具有语音提示功能的遥控器
CN209133215U (zh) 一种语音识别系统
Wang et al. Voice control smart home electrical appliances module for visually impaired
Ekt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based Smart Controlling Application for LED Scrolling Text Display with Integration of Google Assistant
Jabbar Wireless Home Automation System by Using HM2007 Voice Recognition Device Ansam S. Jabbar, Dr. Eyad I. Abbas, Mohammed E. Safi Email: 30173@ uotechnology. edu. iq Email: 30165@ uotechnology. edu. iq
CN217113827U (zh) 一种家用电器的声控系统
CN100533509C (zh) 一种有助于记忆的电子装置
CN108908352A (zh) 自识别屏显机器人
CN203825815U (zh) 一种学习型的集成红外遥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