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599Y1 -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 Google Patents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599Y1
KR200352599Y1 KR20-2004-0004918U KR20040004918U KR200352599Y1 KR 200352599 Y1 KR200352599 Y1 KR 200352599Y1 KR 20040004918 U KR20040004918 U KR 20040004918U KR 200352599 Y1 KR200352599 Y1 KR 200352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water
fixing bolt
blocking plate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양
Priority to KR20-2004-0004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에 관한 것으로, 선박을 바다에 띄운 채 선박의 여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시-체스트용 해수 유입 구멍을 막아서 시-체스트를 통한 해수 유입을 차단, 시-체스트 내부에서 장치 및 배관의 교체 혹은 보수 작업 등이 가능토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막음 판(10)과; 끈 고정용 볼트(16)와; 선체의 해수 유입 구멍(2)에 고정된 이물질 진입방지 창(3)과 상기 막음 판(10)을 서로 당겨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20) 및 상기 고정 볼트(20)에 조립되는 고무 패킹(32)과 고정 너트(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board of block sea water for a vessel sea chest}
본 고안은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에 관한 것으로, 선박을 도크에 정박시키지 않고 바다에 띄운 채 선박의 선체(1) 여러 부분에형성되어 있는 시-체스트용 해수 유입 구멍(2)을 막아서 시-체스트(1a)를 통한 해수 유입을 차단, 시-체스트(1a) 내부에서 해수 유입 밸브(6)나 원터 펌프(7) 등의 장치 및 배관의 교체 혹은 보수 작업 등이 가능토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선박에는 선체(1) 중앙부의 하방 즉,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분의 선수부터 선미에 이르기까지 사방 곳곳에 시-체스트(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는 해수 유입 구멍(2)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물질 진입 방지 창(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체스트(1a)는 도5와 같이 해수 탱크(8)와 격 판(1b)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해수 유입 밸브(6)의 작동으로 시-체스트(1a)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해수 탱크(8) 안으로 유입되어 해수 탱크(8) 내부에 필요한 만큼의 해수를 채워 선박의 중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해수 탱크(8) 안의 해수를 워터 펌프(7)와 관체(7a)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 선박의 중량은 가벼워지고 어느 부분의 해수 탱크 안에 있던 해수를 배출시키느냐에 따라 선박의 무게 중심이 조절이 되어 선박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선박의 운행 시 선박에 실린 짐이나 승객으로 인해 선박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는 해수 탱크(8) 내부의 해수를 배출 시켜서 선박 자체의 중량을 운행하기에 가장 경제적인 조건(흘수선 기준)으로 맞추고 동시에 선박의 좌우 무게 중심과 전후 무게 중심을 균형 있게 잡아 수평을 유지시켜 주기 위함이다. 반대로 선박의 중량이 가벼운 상태 즉, 흘수선(선박의 운행 시 가장 경제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해수면에 선체가 잠기는 위치를 나타내는 선; 페인팅으로 표시)이 해수면에 잠기지 않을 정도로 선박의 중량이 가벼운 상태에서 운행을 할 경우 오히려 바람 저항이나 파도 저항에 대해 비경제적인 운행이 되므로,해수 탱크 안에 해수를 채워서 프로펠러가 적당한 깊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선박의 직진 진행 성능을 높이고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선박이 밀리는 현상 등을 막아서 경제적인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해수 탱크(8) 안에는 해수 유입 밸브(6) 및 워터 펌프(7)를 포함하여 다양한 배관이 형성되어 있어서(도5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한 것임) 해수로 인한 부식 및 고장의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고 주로 해수 유입 밸브(6) 및 그 주변 장치 혹은 그 주변 배관 등의 고장이 잦은 편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혹은 비상 사태가 발생되었을 경우(장치나 배관의 고장 또는 파손으로 인한 해수 탱크의 기능 상실) 해수 탱크(8) 안의 각 장치 및 배관을 수리 및 교체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선박을 수리 조선소의 도크로 진입시키거나 혹은 대차 위에 올린 후 해수 탱크(8) 안의 해수를 배출시킨 후 작업을 하는 것이지만, 운행 스케쥴 상 선박을 수리 조선소에 올리지 못할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때는 하는 수 없이 선박을 물 위에 띄운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는데, 시-체스트(1a)에는 압력을 가진 해수가 항상 충진되어 있어서 해수 유입 밸브(6)를 격판(1b)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혹은 해수 유입 밸브(6)의 커플링을 분리할 경우 또는 배관 라인을 절단하거나 배관 라인의 커플링을 분리할 경우 시-체스트(1a) 안의 해수는 해수 탱크(8) 안으로 순식간에 유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올바른 작업을 하기가 힘들고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도5와 같이 본 고안품을 이용하여 선체(1)의 외부에서 시-체스트(1a)의 해수 유입 구멍(2)을 막아서 해수가 시-체스트(1a)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차단시킨 상태에서 해수 탱크(8)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 안전한 작업을 하도록 하였던 바, 이에 대한 종래의 작업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이 적정 장소에 앵커를 내리고 위치가 고정이 되면 잠수부가 철판 또는 나무판을 가지고 수중으로 들어간 후 시-체스트(1a)의 해수 유입 구멍(2)에 도1과 같이 철판이나 나무판을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해수의 압력에 의하여 철판이나 나무판은 해수 유입 구멍(2)을 막아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워터 펌프(7)를 작동시켜 해수 탱크(8) 안의 해수를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면 해수 탱크(8) 내부는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해수 탱크(8) 안으로 들어가 작업을 하게 되는데, 만일 워터 펌프(7)가 고장이 나서 작동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비상용 워터 펌프를 사용하여 해수 탱크(8) 안의 해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해수 유입 구멍(2) 차단 작업은 철판이나 나무판을 잠수부들이 가지고 잠수한 후 해수 유입 구멍(2)을 막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어렵고 위험하며 고도의 숙련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해수 유입 구멍(2)의 외측 가장자리에 붙어있는 해초나 따개비 등을 나이프로 긁어서 제거시킨 후 철판이나 나무판을 부착시킨다고 하더라도 철판이나 나무판과 선체 표면의 틈새를 통해 해수가 시-체스트(1a)를 통해 강하게 유입되어 결국 해수 탱크(8) 안에 해수가 차게되는 문제가 있어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게 되고 계속하여 워터펌프(7)를 작동시켜 해수탱크(8) 안으로 유입되는 해수를 선체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임은 물론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선체 외부 즉, 해수 유입 구멍(2)의 가장자리에서 해수 압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철판이나 나무판은 조류나 파도에 의해 제 위치가 이탈되는 예도 있으며, 해수탱크(8) 내부의 작업이 종료된 후 철판이나 나무판을 선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선박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역시 잠수부들이 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힘든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작업에 있어서 철판이나 나무판은 시-체스트(1a)의 해수 유입 구멍(2) 보다 크게 절단한 것을 단순히 사용하였기 때문에 중량이 너무 무겁거나 너무 가벼워서 대기 중에서는 물론 수중에서 다루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해수 유입 구멍(2)의 형상에 따라 가장 적절하게 부착이 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기가 어려워서 대충 만들어서 사용할 수밖에 없어 해수 유입 구멍(2)을 막았다고 하더라도 해수 유입 구멍(2)으로의 해수 유입을 완전히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노출되었으며, 부식에 대한 내구력이 부족하여 철판이나 나무판의 수명이 짧아서 경제성이 불량한 등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미 설명 부호 1c는 해수 탱크(8) 안으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 홀이며, 격판(1b)에도 맨 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것은 공지의 것이므로 도5에서는 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작업 방법에서 비롯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을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선체(1)의 해수 유입 구멍(2)의 외부에서 해수 압에의해 밀착되어 수밀 작용을 하고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며 상기 해수 유입 구멍(2)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해수 유입 구멍(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탄성 패킹(15)과, 상기 탄성 패킹(15)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보강판(14)과, 상기 제2 보강판(14)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 판재(13)와, 상기 중간 판재(13)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강판(12)과, 상기 제1 보강판(12)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판재(11), 그리고 이들 전체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고정 나사(17)들로 된 막음 판(10)과; 상기 막음 판(10)의 1개소 내지 2개소에 조립되어 끈 등을 묶어서 막음 판(10)을 잠수시키거나 수면 위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끈 고정용 볼트(16)와; 선체의 해수 유입 구멍(2)에 고정된 이물질 진입방지 창(3)과 상기 막음 판(10)을 서로 당겨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20) 및 상기 고정 볼트(20)에 조립되는 고무 패킹(32)과 고정 너트(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표면 판재(11)와 중간 판재(13)의 재질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보강판(12)과 제2 보강판(14)의 재질은 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볼트(20)는 상하로 이물질 진입 방지 창(3)에 걸릴 수 있는 턱(23)이형성된 걸고리(22) 및 이 걸고리(22)와 용접으로 고정되는 나사 봉(21)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탄성 패킹(15)은 고무 또는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 3은 본 고안의 고정 볼트 및 고정 너트를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본 고안의 막음 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이 시-체스트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체 2: 해수 유입 구멍
3: 이물질 진입 방지 창 10: 막음 판
20: 고정 볼트 30: 고정 너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5와 같이 선체(1)가 평면을 이루는 부분에 형성된 해수 유입 구멍(2)을 기준하여 막음 판(10)의 디자인을 설정한 것을 예로 제시한 것인 바, 만일 해수 유입 구멍(2)을 포함하는 시-체스트(1a)가 선체의 2차 곡선 혹은 3차 곡선을 이루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박음 판(10)의 형태도 2차 곡선 혹은 3차 곡선을 띠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막음 판(10)의 구조는 변화되지 않은 채 2차 곡선 혹은 3차 곡선적인 형태를 띤다는 것이며, 이 경우 프레스 작업 혹은 금형을 이용하여 통상의 재료 소성작업을 통해 곡선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기술은 공지의 수준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제시하지 않으며 기본적인 실시예로서 평면적인 막음 판(10)을 제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막음 판(10)은 다중의 구조를 가지는데, 선체(1)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탄성 패킹(15)으로 이루어져서 수밀 작용(water tight)을 양호하게 한다. 이것의 재질은 고무나 우레탄 혹은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이들의 혼합물 내지는 이들과 유사한 물성을 가지는 탄성 재질을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탄성 패킹(15)의 위로는 목재로 된 제2 보강판(14)이 부착되고 그 위로 알루미늄으로 된 중간 판재(13)가 부착되며, 그 위로 다시 목재로 된 제1 보강판(12)이 부착되고 표면에는 알루미늄으로 된 표면 판재(11)가 부착이 되는데, 고정 나사(17)들을 사용하여 전체를 일체화시킨다. 이때 이들은 통상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킴과 아울러 고정 나사(17)로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제작자 혹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목재와 알루미늄 판재를 교대로 구성시키는 것은 사용 시 해수 압력에 대한 충분한 버팀력을 가지면서도 자체 중량을 가능한 한 가볍게 해서 다루기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잠수부들이 수중으로 가지고 들어가서 이동시키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동시에 해수 유입 구멍(2)의 형상에 따라 프레스 혹은 금형 작업을 통해 용이하게 그 형태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형태가 완성이 된 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바,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판재가 골조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목재로 된 제1 보강판(12)과 제2 보강판(14)의 부식을 최대한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막음 판(10)은 사용될 수심에 따라 그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얇아질 수 있는데, 수심이 깊은 곳의 시-체스트(1a)에 부착시킬 경우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전체의 두께가 가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가볍고 질긴 성분을 가지고 해수에 잘 부식이 되지 않는 알루미늄 판재를 사용하여 목재로 된 보강판들을 보호하면서 이들을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큰 무게가 나가지 않으면서 큰 압력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대기 중에서도 다루기가 용이하고 수중에서 잠수부들이 부력을 받고 있는 막음 판(10)을 다루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수중 5미터 정도의 위치에 있는 시-체스트(가로 500mm, 세로 800mm)를 막을 막음 판(10)의 경우, 탄성 패킹(15)의 두께는 10mm이고, 제1 보강판(12)과 제2 보강판(14)의 두께는 15mm이며, 표면 판재(11)와 중간 판재(13)의 두께는 5mm가 되도록 한 것을 사용한 결과 중량 50Kg 정도로서 바람직한 사양인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반드시 상기의 수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어서 본 고안의 막음 판(10)에는 도면과 같이 1개 혹은 2개 정도의 끈 고정용 볼트(16)를 조립하여 잠수부가 수중으로 잠수하면 끈 고정용 볼트(16)에 로프 등을 묶고 윈치 혹은 인력으로 막음 판(10)을 수중으로 잠수시키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잠수부들의 작업이 훨씬 편리해 질 수 있는데, 막음 판(10)을 배 위로 다시 원위치 시킬 경우에도 잠수부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달아 올릴 수가 있어서 편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막음 판(10)을 수중으로 잠수시키게 되면 잠수부들은 막음 판(10)을 시-체스트(1a)의 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고정 볼트(20)의 걸고리(22)를 이물질 진입 방지 창(3) 안으로 눕혀서 삽입시킨 후 다시 수직으로 세워서 도1, 3과 같이 턱(23)이 이물질 진입 방지 창(3)에 걸리도록 한다. 물론 고정 볼트(20)는 이물질 진입 방지 창(3)의 중앙 부분에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막음 판(10)을 시-체스트(1a)의 해수 유입 구멍(2) 쪽으로 서서히 이동시켜 나사 봉(21)이 막음 판(10)의 구멍(5) 안으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막음 판(10)을 해수 유입 구멍(2)의 가장자리에 접촉시켜서 도1과 같이 부착시킨다. 이때 해수의 압력에 의해 막음 판(10)은 선체에 부착이 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구멍(5)을 막아 주면 시-체스트(1a)로의 해수 유입은 차단이 되겠지만 만일의 경우 막음 판(10)이 선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므로 고정 볼트(20)를 사용하여 다시 막음 판(10)을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는데, 막음 판(10)의 구멍(5)을 관통한 나사 봉(21)에는 고무 패킹(32)이 접착되어 있는 고정 너트(30)를 조립하여서 결국 도1과 같이 막음 판(10)은 고정 볼트(20) 및 고정 너트(30)에 의해 선체와 이물질 진입 방지 창(3)을 통해 안전하게 고정이 된다.
이후 시-체스트(1a) 혹은 해수 탱크(8) 안에서의 작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작업이 종료된 후 본 고안을 선체로부터 분리시켜 배 위로 이동시킬 경우, 조립의 역순으로 고정 너트(30)를 고정 볼트(20)로부터 풀고 막음 판(10)을 끈 고정용 볼트(16)에 묶인 로프를 배 위에서 당겨 올림과 동시에 막음 판(10)을 잠수부들이 선체로부터 분리시켜 구멍(5)으로부터 나사 봉(21)이 빠져 나오도록 하면 막음 판(10)은 간단히 선체로부터 분리되어 인양이 되는 것이고, 고정 볼트(20)와 고정 너트(30)는 별도로 수거하여 잠수부가 배 위로 가지고 올라오면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동시에 시-체스트(1a) 안으로 해수는 유입이 되고 해수 유입 밸브(6)의 작동에 의해 해수는 해수 탱크(8) 안으로 적정량 유입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알루미늄 판재와 나무판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대기 중에서 그리고 수중에서 다루기에 용이한 중량으로 제작하고 동시에 해수의 압력에 대해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해수의 차단 작용을 완전히 도모함으로서 안전하고 신속히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고정 볼트와 고정 너트를 사용하여 선체에 부착된 막음 판의 이탈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안전한 작업을 도모함과 동시에 해수의 차단 작용을 완전히 꾀할 수 있고 잠수부들의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선체(1)의 해수 유입 구멍(2)의 외부에서 해수 압에 의해 밀착되어 수밀 작용을 하고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며 상기 해수 유입 구멍(2)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해수 유입 구멍(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탄성 패킹(15)과, 상기 탄성 패킹(15)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보강판(14)과, 상기 제2 보강판(14)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 판재(13)와, 상기 중간 판재(13)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강판(12)과, 상기 제1 보강판(12)의 사이즈 및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 및 형태를가지며 중앙에는 고정 볼트(20)가 관통하는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 판재(11), 그리고 이들 전체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조립되는 고정 나사(17)들로 된 막음 판(10)과;
    상기 막음 판(10)의 1개소 내지 2개소에 조립되어 끈 등을 묶어서 막음 판(10)을 잠수시키거나 수면 위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끈 고정용 볼트(16)와;
    선체의 해수 유입 구멍(2)에 고정된 이물질 진입방지 창(3)과 상기 막음 판(10)을 서로 당겨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볼트(20) 및 상기 고정 볼트(20)에 조립되는 고무 패킹(32)과 고정 너트(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 판재(11)와 중간 판재(13)의 재질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보강판(12)과 제2 보강판(14)의 재질은 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볼트(20)는 상하로 이물질 진입 방지 창(3)에 걸릴 수 있는 턱(23)이 형성된 걸고리(22) 및 이 걸고리(22)와 용접으로 고정되는 나사 봉(21)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 패킹(15)은 고무 또는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시-체스트(sea chest)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20-2004-0004918U 2004-02-25 2004-02-25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200352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18U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2-25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918U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2-25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47A Division KR20050086096A (ko) 2004-02-25 2004-02-25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599Y1 true KR200352599Y1 (ko) 2004-06-09

Family

ID=4934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918U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2-25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599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30B1 (ko) 2008-09-11 2009-07-06 강철규 유체 긴급차단 장치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1-01-21 부경정공주식회사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321855B1 (ko) 2011-09-30 2013-10-28 지승일 액체용기
KR101443275B1 (ko) * 2012-10-08 2014-09-19 김정수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플러그
KR20140124410A (ko) * 2013-04-16 2014-10-24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해치 커버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5-11-27 김정수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20160143125A (ko) 2015-06-04 201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WO2018056510A1 (ko) * 2016-09-23 2018-03-29 최진서 응급용 파공 봉쇄장치
KR102045955B1 (ko) 2018-08-16 2019-11-18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KR102358129B1 (ko) 2021-03-17 2022-02-08 대한민국 다각도 지주를 구비한 파공봉쇄장치
KR20220168463A (ko) * 2021-06-16 2022-12-23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30B1 (ko) 2008-09-11 2009-07-06 강철규 유체 긴급차단 장치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1-01-21 부경정공주식회사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321855B1 (ko) 2011-09-30 2013-10-28 지승일 액체용기
KR101443275B1 (ko) * 2012-10-08 2014-09-19 김정수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플러그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5-11-27 김정수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661595B1 (ko) 2013-04-16 2016-10-04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해치 커버
KR20140124410A (ko) * 2013-04-16 2014-10-24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해치 커버
DE102013206857B4 (de) * 2013-04-16 2019-10-10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Lukendeckel
KR20160143125A (ko) 2015-06-04 201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WO2018056510A1 (ko) * 2016-09-23 2018-03-29 최진서 응급용 파공 봉쇄장치
KR102045955B1 (ko) 2018-08-16 2019-11-18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KR102358129B1 (ko) 2021-03-17 2022-02-08 대한민국 다각도 지주를 구비한 파공봉쇄장치
KR20220168463A (ko) * 2021-06-16 2022-12-23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KR102531778B1 (ko) * 2021-06-16 2023-05-15 대한민국 선박 긴급보수용 밀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3914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KR200352599Y1 (ko)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US3818708A (en) Floating barrier
US4175510A (en) Cofferdam
US11673634B2 (en) Inflatable watercraft barrier
NO793152L (no) Flyteboeye.
KR20080046437A (ko) 코퍼댐 구조를 이용한 선박의 선미관수밀장치 수리공법
CN110789688A (zh) 可移动船板维修浮船坞及维修船底板的方法
KR100925836B1 (ko)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CN210793576U (zh) 可移动船板维修浮船坞
US1740231A (en) Rapid salvage system for submarines
US20100275832A1 (en) Raft parking for boat
AT525759B1 (de) Verkleidung für Antriebe von Wasserfahrzeugen
KR100606142B1 (ko) 선박용 흡입구 덮개
CN102822050B (zh) 用于维护水下的船舶推进器的方法和设备
US1838566A (en) Submarine device
CN220221054U (zh) 一种船舶的月池系统
CN219312968U (zh) 一种船舶用锚链筒的双片滑盖式盖板装置
KR102610702B1 (ko) 선박 수리선
TW201326518A (zh) 防蝕塗裝施工法及其裝置
EP2289796A1 (en) Method for repairing damages to a craft under the water line and device used for that purpose
KR200364830Y1 (ko) 선박용 흡입구 덮개
FR2615161A1 (fr) Engin flottant de levage d&#39;un navire par plateforme coulissante
RU24986U1 (ru) Понтонный спасательный и подъем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JP3380341B2 (ja) 水上浮体構造物の補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