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994B1 -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994B1
KR101570994B1 KR1020130041267A KR20130041267A KR101570994B1 KR 101570994 B1 KR101570994 B1 KR 101570994B1 KR 1020130041267 A KR1020130041267 A KR 1020130041267A KR 20130041267 A KR20130041267 A KR 20130041267A KR 101570994 B1 KR101570994 B1 KR 10157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seawater
seawater inlet
prese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865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13004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99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5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아닌 잠수용 로봇기기를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느 곳에서든 해수유입구를 막아 선박의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에 형성되어 있는 해수유입구를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곽 둘레면에는 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자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해수유입구 전면에 흡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자기수단이 더 설치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apparatus for covering opening inflowing sea water}
본 발명은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자기수단을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흡착 고정시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한 잠수용 로봇기기(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선박에는 선박의 중량을 증감시키기 위해 해수를 선박내로 유입 또는 유출시킬 수 있는 시-체스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외에 선박의 접안시 선수와 선미의 자세(방향)을 제어하는 bow & stern thruster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체스트 및 bow & stern thruster에는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해수유입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유입된 해수를 저장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해수유입구멍은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에서 기기부속품들이나 배관등의 고장으로 수리를 요할 경우, 해수 유입구멍의 입구를 막아 해수탱크내로 더 이상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패널은 통상 물에 뜰 수 있는 재질인 목재로 제작하게 되는 데, 이는 패널의 설치작업이 해상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패널을 해수면 위로 부상시켜 설치코져 하는 선박의 위치까지 간편하게 끌고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국내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52599 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해수 유입 구멍 막음판(210)은 선체(1) 저부의 일측에 형성된 해수유입구(200)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되, 외판(211), 중판(212), 그리고 개스킷(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판(211)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그의 후방에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에 뜨는 재질로서목재 내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중판(212)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210)이 물에 뜨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판(13)의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부착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210)의 최후면에는 개스킷(213)이 구비되어, 상기 해수 유입 구멍 막음판(210)이 해수유입구(200)의 테두리부에 밀착시 해수의 유입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해수 유입 구멍(200)에는 외부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자 형상 다수의 홀이 형성된 프레임으로서 그레이팅 판넬(23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입구(200)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210)의 설치시, 그의 고정용 볼트(215)의 단부에 구비된 후크부(214)는 상기 그레이팅 판넬(230)의 격자 사이로 삽입 후 회전되어 격자의 테두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215) 전단을 통해서는 고정용 너트(216)가 체결되면서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210)을 상기 해수유입구(200)의 테두리부 측으로 밀착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해수유입구 막음판으로 해수유입구를 차단하는 작업은 다이버들이 직접 해수유입구 막음판을 수중으로 끌고간 후, 선체의 해수유입구에 고정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작업은 극지방이나 혹은 상어 등이 자주 출몰하는 지역에서는 작업중에 어떠한 사고가 발생할지 몰라 다이버들이 수중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극지방 등에서 기기부속품들이나 배관등의 고장으로 수리를 위해 해수유입구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아닌 잠수용 로봇기기가 해수유입구 막음판을 직접 끌고가서 해수유입구를 차단토록 하는 구상이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잠수용 로봇기기는 사람만큼 섬세하지 못해 해수유입구 막음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 및 고정용 너트와 같은 정밀한 체결작업은 진행할 수 없어 사용에 제한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52599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부재에 스위치 자기수단을 설치하여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흡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수용 로봇기기(ROV: 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의 레버를 돌려주는 동작만으로 자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잠수용 로봇기기를 사용하여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용 로봇기기(ROV: 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에 형성되어 있는 해수유입구를 차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곽 둘레면에는 레버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자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해수유입구 전면에 흡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자기수단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외곽 둘레면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링크의 일단이 핀 결합되며, 상기 링크의 타단은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홀더에 핀 결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스위치 자기수단의 자력을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흡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극지방이나 상어 출몰 지역 등 다이버의 잠수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선체 내부의 밸브나 기타 각종 부속품의 수리나 교체 작업을 행하여야 할 때, 사람이 아닌 잠수용 로봇기기(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느 곳에서든 해수유입구를 막아 선박의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커버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고정할 때, 고정볼트 및 너트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가 걸려지기 위한 그레이팅패널 등을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에 레버의 동작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스위치 자기수단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의 자력으로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흡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커버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스위치 자기수단의 레버를 돌려주는 동작만으로 자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사람이 아닌 잠수용 로봇기기(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커버부재를 해수유입구에 간편히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용 로봇기기를 이용한 해수유입구의 커버장치를 설치 및 해체하는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선체(300) 저부의 일측에 형성된 해수유입구(200)를 막아 상기 해수유입구(200)와 연통하는 선체(300) 내부의 공간부로 해수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수단이다.
상기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커버부재(1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커버부재(10)는 해수유입구(200)의 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해수유입구(200) 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0)는 수중에서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되, 수압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도를 고려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10)의 배면 둘레에는 가스켓(12)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12)은 상기 커버부재(10)가 해수유입구(20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해수유입구(200)의 외면 테두리에 압착되며 커버부재(10)와 해수유입구(200) 사이 틈새로 해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기밀 처리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0)의 외곽 둘레면에는 스위치 자기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20)은 상기 커버부재(10)가 해수유입구(200)를 차단하고 나면 상기 해수유입구(200)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성의 선체(300) 외면에 자력으로 흡착되며 커버부재(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20)은 전류를 필요로 하는 전자석과 달리 전류를 요구하지는 않지만 자력 세기의 조절이 불가능한 영구자석을 사용하되,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력수단이다.
상기한 스위치 자기수단(20)은 서로 대립되게 자화되며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 1, 2영구자석, 상기 제 1, 2영구자석이 상호 회전하게 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하며, 상기 장치는 제 1영구자석의 N극과 S극이 상기 제 2영구자석의 N극과 S극에 실질적으로 얼라인먼트(alignment)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할 때, 상대적으로 강한 외부 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제 1영구자석의 N극이 제 2영구자석의 S극에 실질적으로 얼라인먼트되도록, 또한 제 1영구자석의 S극이 제 2영구자석의 N극에 실질적으로 얼라인먼트 되도록 서로에 대해 위치할 때 상대적으로 약한 외부 자기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스위치 자기수단과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07387 호(명칭: 가변 자기장 영구 자기 장치)에 상세히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 자기수단의 기술적 구성 및 동작은 이미 공지 공용된 기술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위치 자기수단(20)은 레버(22)와 자력발생부(24)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 자력발생부(24)의 내부에는 위에서 언급한 복수개의 제 1, 2영구자석을 내설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22)에 제 1영구자석을 연결시켜 상기 레버(22)가 회전 동작하면 이에 맞추어 상기 제 1영구자석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자력을 발생 및 해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10)를 해수유입구(200)에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고정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언급한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자력수단인 스위치 자기수단(20)을 사용함에 따라 다이버(diver) 대신 잠수용 로봇기기(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400)를 사용하더라도 스위치 자기수단(20)을 동작시켜 커버부재(10)를 해수유입구(200)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극지방이나 상어 출몰 지역 등 다이버의 잠수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해수유입구(200)를 차단시켜 기기 점검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20)은 커버부재(10)의 외곽 둘레면에 위치조정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
하나의 스위치 자기수단(20)과 커버부재(10)의 연결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커버부재(10)의 외곽면에 브라켓(32)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2)에는 링크(34)의 일단을 핀(36) 결합하며, 상기 링크(34)의 타단은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20)인 자력발생부(24)에 구비되어 있는 홀더(40)에 핀(38) 결합하여 연결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조정부재(30)로 연결 구성된 스위치 자기수단(20)은 선체(300)의 상황에 맞추어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흡착될 곳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에서 선체(300)에 흡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선체 내부의 밸브나 기타 각종 부속품의 수리나 교체 작업을 행하기 위해 선체 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해수유입구(200)를 차단하는 공정은 클리닝 공정, 견인공정 및 부착공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클리닝 공정은 도 4a에서와 같이, 잠수용 로봇기기(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400)의 암에 브러쉬(410)를 장착한 후, 상기 잠수용 로봇기기(400)를 해수유입구(200)가 형성되어 있는 선체(300) 저부로 잠수 이동시킨 다음, 상기 해수유입구(200)가 형성되어 있는 선체(300) 주위면에 들러붙어 있는 각종 해초류등의 이물질을 브러쉬(410)로 제거토록 한다.
다음, 견인공정은 클리닝 공정을 거쳐 커버부재(10)가 부착되는 곳의 선체 (300)주위면이 깨끗해지고 나면 도 4b와 같이 다시 상기 잠수용 로봇기기(40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재(10)를 수면 아래로 끌고 들어가 해수유입구(200)가 형성된 선체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 부착공정은 수면 아래로 끌고 들어간 커버부재(10)를 해수유입구(200)에 자력으로 흡착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4c에서와 같이 잠수용 로봇기기(400)를 조작하여 커버부재(10)를 해수유입구(200)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커버부재(10)의 외곽 둘레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자기수단(20)인 레버(22)를 회전시키게 되면 자력발생부(24)는 해수유입구(200)가 형성되어 있는 선체(300) 외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22)의 동작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흡착되게 되고, 이를 통해 해수유입구(200)에 밀착되어 있는 커버부재(10)를 자력으로 흡착 고정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극지방이나 상어 출몰 지역 등 다이버가 직접 잠수하여 커버부재를 설치할 수 없는 지역에서 선체 내부의 밸브나 기타 각종 부속품의 수리나 교체 작업을 행하여야 할 때, 상기 잠수용 로봇기기(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400)를 이용하여 해수유입구(200)에 커버부재(1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서 지역에 제한을 받지않고 커버부재(1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커버부재 12: 가스켓
20: 스위치 자기수단 22: 레버
24: 자력발생부 30: 위치조정부재
200: 해수유입구 300: 선체
400: 잠수용 로봇기기(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

Claims (2)

  1. 통상의 선체(300)에 형성되어 있는 해수유입구(200)를 차단하는 공지의 커버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10)의 외곽 둘레면에 설치되어 상기 해수유입구(200)의 선체(300) 외면에 접촉하며, 내부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레버(22)의 작동에 따라 강한 외부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공지의 자력발생부(24)와;
    통상의 잠수용 로봇기기(400)로 상기 레버(22)를 조작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0)를 상기 해수유입구(200) 전면에 흡착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자기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한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의 외곽 둘레면에는 브라켓(3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32)에는 링크(34)의 일단이 핀(36)으로 결합되며, 상기 링크(34)의 타단은 상기 스위치 자기수단(20)에 구비되어 있는 홀더(40)에 핀(38)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2. 삭제
KR1020130041267A 2013-04-15 2013-04-15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57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267A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3-04-15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267A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3-04-15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65A KR20140123865A (ko) 2014-10-23
KR101570994B1 true KR101570994B1 (ko) 2015-11-27

Family

ID=5199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267A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3-04-15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1146B (en) * 2019-02-04 2021-09-15 E M & I Maritime Ltd Inspection and/or maintenance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GB2609573B (en) * 2020-03-18 2023-11-01 Intervention Eng Pty Ltd Cover for a sea chest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6-09 주식회사 두양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100937722B1 (ko) 2009-08-10 2010-01-20 부경정공주식회사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1-01-21 부경정공주식회사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6-09 주식회사 두양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100937722B1 (ko) 2009-08-10 2010-01-20 부경정공주식회사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1-01-21 부경정공주식회사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65A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994B1 (ko)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JP200523914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CN105015742B (zh) 深海潜水器压载抛弃装置
US98291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underwater pipe
KR101129554B1 (ko) 선박용 씨 체스트 커버
KR100937722B1 (ko)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US20150217847A1 (en) Propulsion apparatus for underwater driving
CN105711772A (zh) 船舶防侧翻装置
KR100540079B1 (ko) 선박용 벤트홀 또는 디스차지 관의 해수 유입 막음 장치
CN103895834B (zh) 磁力吸附碰垫
CN111591417B (zh) 一种抛缆机构
KR101443275B1 (ko)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플러그
WO2020161479A1 (en) Inspection and/or maintenance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JP3179519U (ja) 小型船舶用緊急脱出装置
KR101378991B1 (ko) 씨 체스트 이물질 제거장치
CN211844862U (zh) 适用于水下器材的分离装置
CN110949639B (zh) 一种水面船舶通海阀系泊状态修理方法及适用于该方法的封堵工装
JP2013133030A (ja) 船舶及び船舶の復原性確保方法
JP5654953B2 (ja) 浮沈式フェンス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846662B1 (ko) 수중 잠수로봇용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US20200391829A1 (en) Accommodation ladder fixing device for pilot
CN100423986C (zh) 船用水下检查堵毯及附件
KR20140143822A (ko) 잠수정용 도킹장치, 도킹시스템 및 복구베이스
CN104743067A (zh) 一种可调节浮力的船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