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029B1 -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029B1
KR101010029B1 KR1020100039281A KR20100039281A KR101010029B1 KR 101010029 B1 KR101010029 B1 KR 101010029B1 KR 1020100039281 A KR1020100039281 A KR 1020100039281A KR 20100039281 A KR20100039281 A KR 20100039281A KR 101010029 B1 KR101010029 B1 KR 10101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inlet
middle plate
plate
cover device
flo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부경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24Arrangements of watertight doors in bulk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6Gaskets;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2Vegetable materials or material comprising predominately vegetable material
    • B63B2231/34Wood or w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측면의 밀봉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전면 및 후면에 지지강판이 밀착되는 부유부재를 포함하는 외판; 상기 외판의 일면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상기 외판과 일체로 결합되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분할부재가 테두리 형상으로 접합되어 구비되는 중판; 그리고 상기 중판의 일면에 밀착 고정되되, 해수유입구의 테두리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수유입구 커버장치{Apparatus for covering an opening for inflowing sea water}
본 발명은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성이 향상되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저부에는 해수가 유입되기 위하여 시체스트(sea chest) 등과 같은 해수유입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시체스트는 디젤기관을 장착한 선체의 주기관부 냉각장치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주기관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주기관부가 장착된 선저바닥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시체스트를 통해 유입된 해수는 여과기를 거쳐 주기관부의 냉각장치에 공급되어 주기관부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선박 장시간 운항시 해수의 유출입에 의하여 해수유입구에 인접한 장치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따개비와 같은 해양 부착생물이 부착하여 막힘 현상 등이 나타나게 되므로 교체, 수리 등 제반 작업을 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해수유입구는 커버장치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하는데, 종래에 사용되는 것으로 등록 실용 20-352599호의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유입구 막음판'(이하 '선행기술 1')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해수 유입 구멍 막음판(10)은 선체(1) 저부의 일측에 형성된 해수유입구(2)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되, 외판(11), 중판(12), 그리고 개스킷(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판(11)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그의 후방에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에 뜨는 재질로서 목재로 이루어진 중판(12)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10)이 물에 뜨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판(12)의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부착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10)의 최후면에는 개스킷(13)이 구비되어, 상기 해수 유입 구멍 막음판(10)이 해수유입구(2)의 테두리부에 밀착시 해수의 유입을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해수 유입 구멍(2)에는 외부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자 형상 다수의 홀이 형성된 프레임으로서 그레이팅 판넬(3)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입구(2)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10)의 설치시, 그의 고정용 볼트(5)의 단부에 구비된 후크부(4)는 상기 그레이팅 판넬(3)의 격자 사이로 삽입 후 회전되어 격자의 테두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5) 전단을 통해서는 고정용 너트(6)가 체결되면서 상기 해수유입구 막음판(10)을 상기 해수유입구(2)의 테두리부 측으로 밀착시킨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막음판(10)이 상기 해수유입구(2)의 테두리부 측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외판(11)을 상기 해수유입구(2)보다 큰 면적으로 제작하면서 상기 외판(11)의 테두리부에 밀착되는 테두리 형상의 개스킷(13)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러한 개스킷(13)의 형상에 대응되는 테두리 형상으로 상기 외판(11)과 상기 개스킷(13)의 사이에 게재되어 설치높이를 조절하면서 부력을 제공하는 목재로 이루어진 중판(12)을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해수유입구 막음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외판과 중판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중판이 테두리 형상의 목재로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될 경우에 계속적인 수압작용에 노출되면 중앙부가 오목하게 변형되어 비틀림 변형됨에 따라 내부 부품 간의 밀착력이 저하되고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이러한 밀착력의 저하로 인해 외판과 중판의 측면 결합부위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어 해수가 선박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교체, 수리 등의 제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중판은 일자형의 목재를 테두리 형상으로 결합시킨 것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상기 중판의 결합 부위는 해수에 의한 압력이 계속적으로 작용됨으로써 결합 부위를 통하여 측면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착력을 높일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측면에 대한 밀봉성이 향상되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면 및 후면에 지지강판이 밀착되는 부유부재를 포함하는 외판; 상기 외판의 일면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상기 외판과 일체로 결합되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분할부재가 테두리 형상으로 접합되어 구비되는 중판; 그리고 상기 중판의 일면에 밀착 고정되되, 해수유입구의 테두리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강판의 사이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가로질러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비된 보강바가 구비되며,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보강바의 사이에 구획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판은 상기 부유부재와 동일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판의 접합은 PE용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부재로부터 상기 중판까지 연장되는 측면의 둘레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수밀테이프가 밀착되어 PE용접으로 접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판의 내측 공간에는 면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중판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일자형의 합성수지 막대를 해수유입구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분할부재로 절단한 후 용접 접합하여 테두리 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선박에 따라 크기 및 수량을 달리하는 해수유입구에 대한 중판의 제작이 용이하며, PE용접 접합으로 인해 계속적인 수압 작용에도 틈이 발생되지 않아 측면 누수가 예방될 수 있다.
둘째, 지지강판의 사이에 종방향 및 횡방향 가로질러 배치된 상기 보강바의 지지강도 보강을 통해,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가 해수압에 의해 중앙부가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부품간의 결합부에서의 비틀림 발생을 최소화하여 밀착성을 유지함으로써 실링성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셋째, 부유부재 및 중판이 부력을 제공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유부재의 내부 및 중판의 내측 공간에 보강구조의 적용이 용이하므로 수압에 대한 강도가 개선되어 대형 선박의 저부면에도 설치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부유부재와 중판과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서 이들의 측면 부위를 감싸면서 용접 접합으로 밀착되는 연질의 수밀테이프가 더 구비됨으로써 측면 누수에 대한 밀봉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수유입구 막음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외판(110), 중판(120) 및 개스킷(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의 상기 외판(110)의 내측에 게재되는 부유부재(113)는 부력을 제공하는 목재 내지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판(12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체결지지력으로 밀착되는 적층 구조체로서 측면의 결합부위로부터 누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판(110)은 해수유입구(102)의 전면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해수유입구(102)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중에서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가벼우며 수압에 의한 형상 변형이 되지 않는 강도를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외판(110)은 전면 및 후면에 한 쌍의 지지강판(111, 115)이 밀착되는 부유부재(113)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 구조체는 두께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경량 구조체이면서도 강도가 크게 손실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부유부재(113)는 물에 뜨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므로, 실질적으로 외판(110)은 얇은 강판의 사이에 목재 합판 내지 합성수지가 개재된 적층 구조체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강판(111, 115)은 부식이 잘 되지 않으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알루미늄(aluminium)은 은백색의 가볍고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 내구성이 큰 금속을 말한다. 물론, 상기 지지강판(111, 115)은 내식용 강(鋼)인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강판(111, 115)은 배치 위치에 따라 전면강판(111)과 후면강판(115)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면강판(111)에는 운반과 설치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드그립(111a)이 상기 전면강판(111)의 일면 테두리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부유부재(113)는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목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비동 합판 (apitong)을 사용하는 것이다.
아비동은 내구력이 뛰어나 방부처리를 하지 않아도 실외에서 장기간 견딜 수 있고 염분에 강하여 견고하게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상기 외판(110)이 상기 부유부재(113)에 의하여 물속에서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부력체가 게재된 적층 구조체이므로 수중에서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를 놓치더라도 해저로 침몰하여 분실되는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판(110)이 상기 해수유입구(102)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판(110)의 테두리와 상기 해수유입구(102)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선박의 외면을 밀착시킬 수 있는 테두리 형상의 밀착부재가 필요하다. 이때,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거나 선체의 곡률에 대응되는 구조로 가공이 용이한 조절부재도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호 대응되는 테두리 형상으로 상기 외판(110)의 테두리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로서 기능하는 중판(120)이 구비되며, 상기 중판(120)의 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밀착부재로서 기능하는 개스킷(130)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중판(120)은 부력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분할부재(121)가 접합부(121a)를 통하여 테두리 형상으로 접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중판(120)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합부(121a)는 PE용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PE용접(Polyethylene Welding)은 PE용접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며 폴리에틸렌을 용융시켜 접합시킴에 따라 틈이 발생되지 않는 밀봉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판(120)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일자형의 합성수지 막대를 해수유입구(102)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분할부재(121)로 절단한 것을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선박에 따라 크기 및 수량이 각각 다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중판(120)을 단편 일률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중판(120)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길이가 다른 상기 분할부재(121)를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상 등으로 제작되도록 접합부(121a)를 통하여 용접 접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중판(120)은 기존의 목재 재질의 합판이 사용되어 바다속에서 계속적인 수압을 받아 접합 부위에 발생되는 틈을 통하여 측면 누수가 발생되는 것과는 달리 접합부(121a)가 밀봉 처리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측면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판(120)은 상기 외판(110)의 일면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상기 외판(110)과 일체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전면강판(111), 부유부재(113), 후면강판(115) 및 상기 중판(120)의 각각의 테두리부에는 결합홀(107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07a)을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볼트 등의 체결구(107)에 의해 상기 외판(110) 및 상기 중판(120)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볼트 등의 체결구(107)는 내식성 재질의 스테인레스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130)은 상기 중판(120)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일면이 상기 중판(120)에 밀착 고정되고 타면이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선박의 외면 측으로 가압되어 해수유입구(102)의 테두리에 밀착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가 선체(101)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중판(120)의 일면을 곡률 가공한 것을 사용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개스킷(130)이 상기 해수유입구(102)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를 선박의 외면에 체결시킨다. 이때, 그레이팅 판넬(103)을 이용하는데, 상기 그레이팅 판넬(103)은 격자 형상 다수의 홀이 형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해수유입구(102)에 체결되어 외부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상기 해수유입구(102)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의 설치시, 그의 고정용 볼트(105)의 단부에 구비된 후크부(104)는 상기 그레이팅 판넬(103)의 격자 사이로 삽입 후 회전되어 격자의 테두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105) 전단을 통해서는 고정용 너트(106)가 체결되면서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를 상기 해수유입구(102)의 테두리부 측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용 볼트(105)는 상기 부유부재(113) 및 상기 지지강판(111, 115) 그리고 상기 중판(120)에 각각 관통 형성된 체결홀(105a)을 통하여 삽입되는데, 상기 중판을 기존의 목재 재질로서 합판을 사용하면 딱딱한 성질 때문에 밀착력에 한계가 있어 계속적인 사용으로 측면 결합 부위에 틈이 발생되며, 이러한 틈을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면 상기 체결홀(105a)과 중판의 중앙 개구부를 따라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누수가 발생되었다.
한편, 상기 부유부재(113)와 상기 중판(120)이 서로 다른 재질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를 활용하면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유부재(113)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강판(111, 115)의 두께와 대비할 때 비교적 두꺼운 목재 재질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부유부재(113)는 상기 지지강판(111, 115)이 무른 금속인 알루미늄으로 구비될 경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면 충격력이 그대로 전달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것은 보다 깊은 바다속에서 높은 수압을 받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더욱이, 상기 부유부재(113)가 하나의 목재 합판으로 구비되면 내재 탄성이 비교적 증가하여 상기 지지강판(111, 115)으로 감싸더라도 수압 작용하에서 탄성 변형되어 측면 결합 부위가 벌어질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보강바(117)를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바(117)는 상기 부유부재의 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가로질러 구획되어 형성된 상기 부유부재(113)의 결합부(113a)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전면강판(111)과 상기 후면강판(115)에 각각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바(117)는 내식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유부재(113)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보강바(117a)와 상기 수평보강바(117a)와 상호 간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을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부유부재(113)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보강바(117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부유부재(113)의 내부에는 보강바(117)가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113)의 탄성 변형을 최소화시켜 측면 벌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면 방향의 지지강도 및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강판(111, 115)의 사이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가로질러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비된 보강바(117)가 구비되되,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보강바(117)의 사이에 구획되어 개재되도록 분할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유부재를 보강바(117)에 의해 분할되어 구획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분할된 상태에서 가공, 조립 및 부착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일체로 구비된 부재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재료비 및 가공성이 용이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강바(117)의 지지강도 보강을 통해,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가 해수압에 의해 중앙부가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부품간의 결합부에서의 비틀림 발생을 최소화하여 밀착성을 유지함으로써 실링성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2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중판을 보강프레임으로 보강하는 것 외에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중판(220)의 내측 공간에 보강프레임(2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중판(220)의 내측 공간(220a)은 상기 중판(220)으로 둘러싸인 내측의 빈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01)가 굴곡된 경우에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중판(120)의 일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이때, 상기 중판(120)은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곡률 가공으로 인해 외부의 수압으로부터 작용되는 휨 변형력은 상기 중판(2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보강바가 구비됨과 아울러 이러한 휨 변형에 대한 견고한 지지능력의 추가적인 보강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판(220)의 내측 공간(220a)에는 테결합부(220b)를 통하여 면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되는 보강프레임(227)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프레임(227)은 내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판(220)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보강프레임(227a)과, 상기 수평보강프레임(227a)과 상호 간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을 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중판(220)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보강프레임(227b)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보강바(117) 및 상기 보강프레임(227)은 교차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격자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유부재(113) 및 상기 중판(220)은 분할된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진다. 물론, 부유부재 및 중판의 내측에 각각 상기 보강바(117) 및 보강프레임(227)이 삽입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부유부재 및 상기 중판의 외곽테두리부는 연결된 채로 이루어져 측면 누수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부유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부(113a) 및 상기 중판의 내측 공간(220a) 중 하나 이상은 면 방향을 따라 각각 삽입 배치되는 보강바(117)와 보강프레임(227)에 의한 보강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바(117) 및 상기 보강프레임(227)은 상기 부유부재(113) 및 상기 중판(220)이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이므로 더욱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압에 대한 지지강도가 개선되어 수심이 깊은 곳에도 설치가능하므로 대형 선박의 저부면에도 설치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의 중판의 측면 테두리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용접 비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유부재(113) 및 상기 중판(220)이 각각 상기 보강바(117) 및 보강프레임(227)에 의해 다수 개로 분할된 경우에 이들의 결합력을 보강하며, 측면 누수에 대한 밀봉성을 더욱 개선함과 동시에 다수 개로 분할된 상기 부유부재(113) 및 중판(220)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분할된 부재들의 결합이 틈새 없이 이루어지도록 결합 위치를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선박의 해수유입구(102)의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내부에 부력체를 가지면서도 기밀성이 개선된 적층 결합체로 이루어지며, 기존의 목재 재질의 합판보다 비교적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부력을 제공하며 수압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방지되도록 면 방향의 강도가 보강된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입구 커버장치(100)는 경량화되어 수중 내에서 설치가 용이하며 기밀성이 우수해지면서도 보강된 강도에 의해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유입구 커버장치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변형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110: 외판
111: 전면강판 111a: 핸드그립
113: 부유부재 113a: 결합부
115: 후면강판 117: 보강바
120, 220: 중판 121: 분할부재
121a: 접합부 130: 개스킷
101: 선체 102: 해수유입구
103: 그레이팅 판넬 104: 후크부
105: 고정용 볼트 105a: 체결홀
106: 고정용 너트 107: 체결구
107a: 결합홀 227: 보강프레임

Claims (5)

  1.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된 지지강판과, 상기 지지강판의 사이에 종방향 및 횡방향을 가로질러 강도를 보강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보강바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보강바가 종횡으로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내식성 금속 재질의 보강바와, 상기 보강바의 사이에 구획되어 결합되되 상기 지지강판 사이에 밀착되어 구비되는 부유부재를 포함하는 외판;
    상기 외판의 일면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도록,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분할부재가 상기 테두리부 형상을 따라 PE 용접으로 접합되어 구비되는 중판; 그리고
    상기 중판의 일면에 밀착 고정되되, 해수유입구의 테두리에 체결수단을 통하여 밀착되도록 가압되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개스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재로부터 상기 중판까지 연장되는 측면의 둘레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수밀테이프가 밀착되어 PE용접으로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의 내측 공간에는 면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20100039281A 2010-04-28 2010-04-28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101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81A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0-04-28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281A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0-04-28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029B1 true KR101010029B1 (ko) 2011-01-21

Family

ID=4361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281A KR101010029B1 (ko) 2010-04-28 2010-04-28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0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10B1 (ko) 2012-09-10 2012-12-07 주식회사 진천테크 씨체스트 커버장치
KR101443275B1 (ko) * 2012-10-08 2014-09-19 김정수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플러그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5-11-27 김정수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200482100Y1 (ko) * 2015-07-09 2016-12-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용 케이싱유니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4994U (ko) 1985-12-05 1987-06-17
KR20030052599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 정보를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KR100397722B1 (ko) 1999-06-30 2003-09-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면 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6-09 주식회사 두양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20060010591A (ko) * 2004-07-28 2006-02-02 김용열 선박용 흡입구 덮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4994U (ko) 1985-12-05 1987-06-17
KR100397722B1 (ko) 1999-06-30 2003-09-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면 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30052599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 정보를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6-09 주식회사 두양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20060010591A (ko) * 2004-07-28 2006-02-02 김용열 선박용 흡입구 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10B1 (ko) 2012-09-10 2012-12-07 주식회사 진천테크 씨체스트 커버장치
KR101443275B1 (ko) * 2012-10-08 2014-09-19 김정수 해수유입구 커버장치의 플러그
KR101570994B1 (ko) 2013-04-15 2015-11-27 김정수 잠수용 로봇기기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200482100Y1 (ko) * 2015-07-09 2016-12-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저플러그 파손방지용 케이싱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029B1 (ko)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JP200523914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SK286642B6 (sk) Štrukturálny laminátový člen a spôsob jeho výroby
US3768265A (en) Cofferdam
KR100937722B1 (ko)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KR102050997B1 (ko) 해상부유 구조물
US4175510A (en) Cofferdam
KR101209610B1 (ko) 씨체스트 커버장치
KR200352599Y1 (ko)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101203084B1 (ko) 폰툰을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2073970B1 (ko) 수중 작업용 자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을 가지는 부식방지 자성체모듈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US5649787A (en) Pier unit and floating pier including such a pier
KR102330762B1 (ko)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
RU2616476C2 (ru) Корпус морского судна и морское судно
RU2388647C2 (ru) Плавуч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остоящая из ряда собранных плавучих элементов,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плавучей конструкции
JP2010112436A (ja) 多槽式貯水タンクの伸縮継手
JP4739260B2 (ja) 鋼製矢板構造物の補修作業用止水箱における止水装置
KR100606142B1 (ko) 선박용 흡입구 덮개
KR200364830Y1 (ko) 선박용 흡입구 덮개
KR20220068490A (ko)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0481837Y1 (ko) 수중 구조물의 댐 공법용 수밀부재
KR102447517B1 (ko) 부유식 구조물
JP7357132B1 (ja) 防食構造及び保護カバーユニット
JPS62272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