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762B1 -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762B1
KR102330762B1 KR1020210027945A KR20210027945A KR102330762B1 KR 102330762 B1 KR102330762 B1 KR 102330762B1 KR 1020210027945 A KR1020210027945 A KR 1020210027945A KR 20210027945 A KR20210027945 A KR 20210027945A KR 102330762 B1 KR102330762 B1 KR 10233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body
disposed
adhesive member
couplin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알라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알라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알라스튜디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물에 노출되는 제 1 구조물;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구조물; 상기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에 지지되는 구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구조부재를 통해 제 1 구조물 또는 제 2 구조물 측에서 전달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Ship with T-type joint of HDPE structure}
본 발명은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船舶, vessel)'이란 사람이나 재화를 싣고 물 위를 운행하는 수상교통수단을 총칭한다.
이 같은 '선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통상의 분류기준인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상선, 군항, 어선, 레저선박, 특수목적선 등으로, 크기에 따라서는 대형선(100ft이상), 소형선(30~50ft) 등으로, 속도에 따라서는 초 쾌속선(40knot), 쾌속선, 고속선(25knot이상), 일반선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국민소득증대에 따른 생활의 질적 향상과 주 5일 근무제 실시 등에 힘입어 해양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를 감안하더라도 국민소득이 3만 불 이상이면 육상레저활동에서 해양레저활동으로 여가패턴이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경우 멀지 않은 미래에 해상레저의 비약적인 발전이 전망된다.
레져용 선박은 선체의 크기가 작고 기동성이 높이기 위해 금속재질이 아닌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탄소섬유, 케블라 등의 방향족(芳香族) 나일론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그 결과 레져용 선박은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 한층 더 가볍게 설계 및 건조가 가능하며, 썩거나 부식되지 않아 수리 및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레져용 선박은 그 재질의 특성상 충격에 대한 진동이 크고 탄성율이 낮으며 균열 등의 파손발생 시 금속보다 파손부위가 크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레져용 선박의 선체는 운행 중에 암초나 기타 해상구조물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은 것은 물론, 슬래밍(slamming)이나 스프링잉(springing))과 같은 지속적인 진동 내지는 파랑((波浪, wave))의 충돌 등 크고 작은 충격에 상시적으로 노출되므로 선체파손의 가능성이 높고, 이는 결국 침수에 따른 인명피해와 직결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089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0412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5963호
본 발명은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에서 높은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을 사용하지 않고 HDPE 구조물을 T형으로 결합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물에 노출되는 제 1 구조물;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구조물; 상기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에 지지되는 구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부재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조물을 향해 개구된 구조바디; 상기 구조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바디의 제 1 단 및 제 2 단이 상기 제 1 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구조물이 상기 구조바디의 외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물, 제 2 구조물 및 구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바디는, 상기 제 2 구조물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 1 구조바디; 상기 제 2 구조물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구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조바디 및 제 2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1 접착부재; 상기 제 1 구조바디 및 제 1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2 접착부재; 상기 제 2 구조바디 및 제 2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3 접착부재; 상기 제 2 구조바디 및 제 1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4 접착부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충진접착부재에 충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구조부재를 통해 제 1 구조물 또는 제 2 구조물 측에서 전달된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구조부재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구조물, 제 2 구조물 및 구조부재가 동일한 HDPE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변형에 의한 열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열 또는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구조물, 제 2 구조물 및 구조부재를 이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물과 접촉되는 선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선체(10)는 선박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선체(1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 및 중량이 큰 오일탱크, 청수탱크 같은 탱크류가 설치되며, 그 후단에는 엔진 및 이의 동력으로 추진력을 발휘하는 프로펠러와 방향조정을 위한 조타장비 등의 드라이브 유닛(40,drive unit)이 설치된다.
선박의 종류에 따라 상기 선체(10)의 상부를 덮는 갑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체(10)는 선체의 바닥에 해당되는 선저(12)와, 측벽에 해당되는 선측(18)과, 상기 선저(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늑골(14)과, 상기 선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저(12) 및 선측(18)을 연결하는 늑판(20)을 포함한다.
상기 늑골(14)은 상기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늑골(14)은 선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늑골(14)이 배치된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늑판(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늑판(20)은 상기 선체(1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 늑판(20)은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늑판(20)은 상기 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늑판(20)은 선체(1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늑판(20)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측(18)은 상기 선저(12)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측(18)의 외측면은 물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늑판(20)의 가장자리는 선저(12) 및 선측(18)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늑판(20)은 상기 선저(12)와 T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늑판(20)은 상기 선측(18)과 T자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늑판(20)의 하단 가장자리를 바텀보더(25)라 하고, 좌측 가장자리를 제 1 사이드보더(21)라 하고, 우측 가장자리를 제 2 사이드보더(22)라 정의한다.
상기 바텀보더(25)는 상기 선저(12)와 T자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 1 사이드보더(21)는 좌측 선측(18a)과 T자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 2 사이드보더(22)는 우측 선측(18b)과 T자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T자 결합은 90도로 직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T자 결합은 서로 다른 구조물이 교차되어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선체(10)의 적어도 일부는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선측(18a) 및 우측 선측(18b)의 적어도 일부는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저(12)의 적어도 일부는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늑판(20)의 적어도 일부는 HDP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서, 분지가 적고 결정성이 높은 밀도 0.95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다.
HDPE는 경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지만, 가공성은 약간 열악하다. 공업적 제법에는 알킬알루미늄-할로겐화 티탄을 촉매로 하는 저압법(치글러 법)과 실리카-알루미나-크로미아 촉매에 의한 중압법(필립스 법)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HDPE 대신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제 1 사이드보더(21) 및 좌측 선측(18a)의 결합된 부분에 대한 평단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늑판(20) 및 좌측 선측(18a)의 결합을 위해, 상기 늑판(20) 및 좌측 선측(18a)의 사이에 구조부재(30)가 배치된다.
상기 구조부재(30)는 상기 늑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부재(30)는 일측이 개구된 반원통형상이다.
상기 제 1 사이드보더(21), 제 2 사이드보더(22) 및 바텀보더(25) 사이에 각각 구조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사이드보더(21)에 배치된 구조부재(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는 선박의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선측(18)을 제 1 구조물이라 하고, 늑판(20)을 제 2 구조물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조물은 선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패널일 수 있고, 제 2 구조물은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선측(18) 및 늑판(20)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구조부재(30)는 상기 선측(18) 및 늑판(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조부재(3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바디(31)(32)와, 상기 구조바디(31)(32)의 내측에 배치된 공간(33)을 포함한다.
상기 늑판(20)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구조바디(31)라 하고, 타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구조바디(32)라 한다.
상기 제 1 구조바디(31) 및 제 2 구조바디(32)는 일체로 형성되고,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조바디(31)의 제 1 단(34)이 상기 선측(18)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구조바디(32)의 제 2 단(35)도 상기 선측(18)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단(34)(35)들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조부재(30)는 적어도 2부분(본 실시예에서 2개의 단)이 상기 선측(18)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단(34) 및 제 2 단(35) 사이에 상기 공간(33)이 배치된다.
상기 공간(33)은 상기 결합되는 선측(18)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간(133)의 단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간(33)에 상기 선측(18) 및 늑판(20)의 결합을 위한 충진접착부재(5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접착부재(50)는 상기 구조부재(30) 및 선측(18)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충진접착부재(50)는 상기 늑판(20) 또는 선측(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진접착부재(50)가 서로 다른 재질일 경우, 온도에 따른 열팽창 정도가 다를 수 있고, 이로 인해 열팽창에 따른 열충격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접착부재(50)는 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충진접착부재(50)를 배치하지 않고, 상기 공간(33)을 빈공간으로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구조부재(30)의 두께(t)는 상기 선측(18) 또는 늑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두께(t)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여 열팽창에 따른 증감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측(18), 제 1 구조바디(31) 및 늑판(20)을 결합시키는 접착부재(51)(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늑판(20) 및 제 1 구조바디(31)를 결합시키는 제 1 접착부재(51)와, 상기 제 1 구조바디(31) 및 선측(18)을 결합시키는 제 2 구조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부재(51) 및 제 2 접착부재(52)는 상기 제 1 구조바디(3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접착부재(51)는 늑판(20) 및 제 1 구조바디(31)의 경계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부재(51)는 상기 구조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부재(52)는 제 1 구조바디(31) 및 선측(18)의 경계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부재(52)는 상기 구조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부재(51) 및 제 2 접착부재(52) 사이로 상기 제 1 구조바디(31)가 선체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늑판(20) 및 제 2 구조바디(32)를 결합시키는 제 3 접착부재(53)와, 상기 제 2 구조바디(32) 및 선측(18)을 결합시키는 제 4 접착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접착부재(53) 및 제 4 접착부재(54)는 상기 제 2 구조바디(3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접착부재(53)는 늑판(20) 및 제 2 구조바디(31)의 경계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접착부재(53)는 상기 구조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접착부재(54)는 제 2 구조바디(32) 및 선측(18)의 경계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접착부재(54)는 상기 구조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접착부재(53) 및 제 4 접착부재(54) 사이로 상기 제 2 구조바디(32)가 선체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선체를 구성하는 늑판(20) 및 선측(18) 등이 HDPE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용접 등과 같이 고온의 열을 사용하여 이음할 수 없고, 리벳,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할 수도 없다.
용접 등과 같이 고온의 열을 사용할 경우, HDPE 재질의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체결부재는 홀을 형성시켜 누수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T자 형태로 결합되는 부분에 구조부재(30)를 배치하고, 상기 구조부재(30)를 통해 선체의 구조물인 늑판(20) 및 선측(18)을 결합시킴으로서 응력집중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구조부재(30)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방향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제 1 단(34) 및 제 2 단(35)으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부재(30)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T자 형태로 결합된 구조물들의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반원통형상의 지오메트리를 통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 2 사이드보더(22)에도 상기 구조부재(30)를 배치하여 측판(18)과 늑판(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보더(25) 및 선저(12) 사이에도 상기 구조부재(30)를 배치하여 선저(12)와 늑판(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조부재(130)는 선측(18) 방향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조부재(130)는 선측(18) 또는 늑판(20)과 같은 재질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HDPE가 사용된다.
상기 구조부재(130)는 선측(18) 방향으로 개구된 구조바디(131)(132)와, 상기 구조바디(131)(132)의 내측에 배치된 공간(133)을 포함한다.
상기 늑판(20)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구조바디(131)라 하고, 타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구조바디(132)라 한다.
상기 제 1 구조바디(131) 및 제 2 구조바디(132)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조바디(131)의 제 1 단(134)이 상기 선측(18)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구조바디(132)의 제 2 단(135)도 상기 선측(18)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단(134)(135)들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부재(130)는 적어도 2부분(본 실시예에서 2개의 단)이 상기 선측(18)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단(134) 및 제 2 단(135) 사이에 상기 공간(133)이 배치된다.
상기 공간(133)은 결합되는 상기 선측(18)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간(133)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간(133)에 상기 선측(18) 및 늑판(20)의 결합을 위한 충진접착부재(15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접착부재(50)는 상기 구조부재(30) 및 선측(18)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충진접착부재(150)는 상기 늑판(20) 또는 선측(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부재(13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방향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제 1 단(34) 및 제 2 단(35)으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상하 방향에 대한 강성을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구조물 및 구조부재가 끼움결합된 후 접착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조부재(130)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결합홀(136)이 형성되고, 구조부재(130)에 결합되는 구조물(본 실시예에서 늑판)에는 상기 결합홀(136)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126)가 배치된다.
상기 결합홀(136)는 상기 구조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36)은 구조부재(13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36)은 상기 구조부재(130)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부재(130)의 꼭지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결합홀(136)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결합홀(136)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바, 상기 결합돌기(126)의 단면도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늑판(2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6)의 돌출길이는 상기 구조부재(130)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6)의 단이 상기 공간(33)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구조부재(130)를 관통하여 그 끝단이 상기 공간(33)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공간(33)에 충진되는 충진접착부재(50)에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51)(52)(53)(54)는 상기 결합홀(136)을 커버하고, 상기 결합홀(136)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접착부재(51)(52)(53)(54)가 상기 결합홀(136)의 노출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물질 또는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이음부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126)가 결합홀(136)에 삽입되어 상기 구조부재(3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늑판(20)의 길이방향 또는 선측(18)의 길이 방향이 아닌 임의의 방향에 대해서도 견고한 강성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제 3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합돌기(126')가 상기 결합홀(136)을 관통하여 선측(18)에 밀착된다.
상기 결합돌기(126')가 선측(18)에 밀착된 경우,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제 4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합돌기(126') 및 선측(18) 사이에 지지부재(140)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선측(18) 또는 늑판(20) 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늑판(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늑판(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결합돌기(126')의 단이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공간(33)에 배치되고, 상기 충진접착부재(50)에 감싸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선측(18) 및 늑판(20)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측(18) 및 늑판(2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또는 이동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체 12 : 선저(제1구조물)
18 : 선측(제1구조물) 20 : 늑판(제2구조물)
21 : 제 1 사이드보더 22 : 제 2 사이드보더
25 : 바텀보더 30 : 구조부재
31 : 제 1 구조바디 32 : 제 2 구조바디
33 : 공간 34 : 제 1 단
35 : 제 2 단 50 : 충진접착부재
51 : 제 1 접착부재 52 : 제 2 접착부재
53 : 제 3 접착부재 54 : 제 4 접착부재

Claims (5)

  1.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의 물에 노출되는 제 1 구조물;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구조물;
    상기 제 1 구조물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구조물을 향해 개구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조물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조바디;
    상기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구조바디 및 제 1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충진접착부재;
    상기 제 2 구조물에서 상기 구조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결합돌기(126); 및
    상기 구조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26)가 삽입되는 결합홀(136);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바디는,
    상기 제 2 구조물 및 구조바디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 1 구조바디;
    상기 제 2 구조물 및 구조바디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물에 결합되는 제 2 구조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바디 및 제 2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1 접착부재; 상기 구조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조바디 및 제 1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2 접착부재; 상기 구조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조바디 및 제 2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3 접착부재; 상기 구조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조바디 및 제 1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제 4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136)은 상기 구조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결합돌기(126)는 상기 결합홀(136)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공간에 충진된 충진접착부재에 접촉되어 결합되는 선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물, 제 2 구조물 및 구조부재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된 선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136)은 상기 구조바디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선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부재가 상기 결합홀(136) 일측을 커버하고, 상기 제 3 접착부재가 상기 결합홀(136)의 타측을 커버하여 이물질 또는 수분이 상기 결합홀(136)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선박.
KR1020210027945A 2020-12-07 2021-03-03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 KR102330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75 2020-12-07
KR20200169875 2020-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762B1 true KR102330762B1 (ko) 2021-11-24

Family

ID=7874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45A KR102330762B1 (ko) 2020-12-07 2021-03-03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892B1 (ko) 2022-06-07 2023-05-18 대해선박기술 주식회사 열 변형 방지구조의 선박 선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208A (en) * 1996-11-13 2000-04-18 Fern Investments Limited Composite structural laminate
KR20030008963A (ko) 2001-07-21 2003-01-29 윤선영 조립식 frp보트
KR100900512B1 (ko) * 2008-11-25 2009-06-03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에프알피 선박의 선체보강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5963B1 (ko) 2019-02-26 2019-10-24 황수웅 농약 살포용 보트
KR20200104128A (ko) 2019-02-26 2020-09-03 황수웅 농약 살포용 보트의 선체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208A (en) * 1996-11-13 2000-04-18 Fern Investments Limited Composite structural laminate
KR20030008963A (ko) 2001-07-21 2003-01-29 윤선영 조립식 frp보트
KR100900512B1 (ko) * 2008-11-25 2009-06-03 주식회사 태형중공업 에프알피 선박의 선체보강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5963B1 (ko) 2019-02-26 2019-10-24 황수웅 농약 살포용 보트
KR20200104128A (ko) 2019-02-26 2020-09-03 황수웅 농약 살포용 보트의 선체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892B1 (ko) 2022-06-07 2023-05-18 대해선박기술 주식회사 열 변형 방지구조의 선박 선체
WO2023238988A1 (ko) * 2022-06-07 2023-12-14 (주)디에이치 열 변형 방지구조의 선박 선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763B1 (ko) Hdpe 볼이 내장된 선박
US6706406B1 (en) Composite steel structural plastic sandwich plate systems
CN1242737A (zh) 复合的钢结构塑料夹层板系统
US6941888B2 (en) Hybrid ship hull
KR102330762B1 (ko) Hdpe 구조물의 t형 이음구조를 갖는 선박
US6386131B1 (en) Hybrid ship hull
KR101243857B1 (ko) 반 잠수보트
KR102238643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밀격벽이 구비된 선박
KR102478174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박의 내구성을 갖는 선저 구조물
US6505571B1 (en) Hybrid hull construction for marine vessels
CA1265174A (fr) Structure de navire a effet de surface et quilles laterales
JP2007504051A (ja) コンテナ船
CN104220327B (zh) 海洋船体和海洋船舶
KR101010029B1 (ko) 해수유입구 커버장치
US4779556A (en) Boat with sectional hull assembly held by geodetically oriented tendons
US8430046B1 (en) Material-transition structural component for producing of hybrid ship hulls, ship hull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078003A (ko) 선박의 선수 구조
KR200317288Y1 (ko) 쌍동선
US7530323B1 (en) Double-layer boat hull structure
KR101572252B1 (ko) 선박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체
US6244206B1 (en) Structural system for a molded boat hull
KR102672422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초크 보호 커버
US20140196656A1 (en) Rescue boat
KR20190098890A (ko) 선체 구조 및 재질이 개량된 선박
KR20200000544A (ko) 진공적층용 에프알피선체의 격벽용 고정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