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857B1 - 반 잠수보트 - Google Patents

반 잠수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857B1
KR101243857B1 KR1020110002187A KR20110002187A KR101243857B1 KR 101243857 B1 KR101243857 B1 KR 101243857B1 KR 1020110002187 A KR1020110002187 A KR 1020110002187A KR 20110002187 A KR20110002187 A KR 20110002187A KR 101243857 B1 KR101243857 B1 KR 10124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emi
boat
frame structure
trans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780A (ko
Inventor
이지섭
Original Assignee
이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7132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38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섭 filed Critical 이지섭
Priority to KR102011000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8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9Floating structures with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with windows ; Arrangements on floating structures of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on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63B1/2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 B63B2001/2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 B63B2001/20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207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63B2001/20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comprising three hulls, e.g. trimar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을 볼 수 있는 반 잠수보트에 관한 기술로서, 부력을 갖추어 물에 뜰 수 있으며 동시에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그 탑승공간에서 수중을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 창을 가진 반 잠수보트로서, FRP소재의 선체내부에서 확장된 공간활용도를 높이며, 수압과 파랑(波浪)으로 인한 선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체 내부에 금속재질의 프레임 구조물을 구비하고, 또한 안정적 운항 및 부력확보를 위한 선체의 양측으로 착탈식 보조 선체인 삼동선 구조의 반 잠수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 잠수보트 {semi-submarine}
본 발명은 FRP소재의 선체로 형성된 반 잠수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압이나 파랑에 의해 상기 선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프레임구조를 가진 반 잠수보트에 관한 것이다.
해양레저문화가 발달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해양레저를 즐기기 위해 바다나 강을 찾아 해양레저를 즐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해양레저장비가 개발 되어지고 있다. 기존에 요트나 보트등 주로 수상레저에 집중에 되었던 해양레저에서 수중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해양레저로 그 범위가 점차 확산 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수중을 관람할 수 있는 선박은 크게 관광잠수함, 반 잠수선, 그리고 선체하부 유리보트 (Bottom Glass View Boat) 가 있다. 해상에서 운항하며 수중생태나 지형을 관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관광잠수함은 수중에 잠수하여 수중을 관람하는 것으로 선체재질은 주로 금속으로 되어 있다. 반 잠수보트는 일반 보트와 같이 물 위에 떠 있으나 선체의 높이를 깊게 하고 수중에 잠긴 선체 좌현, 우현에 투명 창을 장착하여 수중관람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보트이다. 선체하부 유리보트는 선저면에 투명 유리를 장착하여 수중을 볼 수 있는 보트이다.
선체의 크기나 탑승인원의 규모로 나누어 보면 잠수함의 경우 1인용부터 수십 명이 동시에 탑승할 수 있는 것까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지고 있으며 반 잠수선, 선체하부 유리보트의 경우 수십 명이 함께 탑승하는 보트만 존재하고 있다.
선박은 선체(Hull)의 개수에 따라서도 구분이 되어지는데 선체가 하나인 선박을 단동선(Mono Hull)이라 하여 대부분의 선박이 이 형식을 따른다. 두 개의 선체를 가진 구조의 선박을 쌍동선(Catamaran)이라하여 단동선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항해가 가능한 반면 단동선 방식에 비해 상대적 저항이 크며 속도보다는 안정적 운항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선체가 3개의 구조로 된 삼동선(Trimaran)은 중앙선체 양옆으로 보조선체를 장착한 방식으로 저항이 큰 대신 가장 안정적인 운항을 할 수 있는 선박 구조이다.
반 잠수보트는 선체(Hull)이 물에 보다 깊이 잠기는 구조에 기인하여 수면 위에서의 파랑의 영향과 수면아래의 해류의 영향을 동시에 받게 된다. 수면의 파도나 해류와 수면 아래의 조류의 방향이 늘 같지 않기에 일반 선박에 비해 선체의 요동이 상대적으로 심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탑승자가 선체의 상부(Deck)에 위치하는 것이 아닌 선체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멀미를 느낄 수 있다.
하여 기존의 반 잠수선의 경우 선체의 요동(롤링&피칭)을 최소화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탑승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로서는 단동선 구조가 가진 한계로 인해 그 효과는 미비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단 안정적인 운항과 그에 따라 탑승자에게 보다 탑승 시 보다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당해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선체 재질로는 주로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와 FRP, 나무등이 주로 사용되어지는데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은 내구성이 강한 반면 제작 형상에 제약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양산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나무의 경우 양산도 어렵고 내구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금속소재나 FRP에 비해 매우 적게 이용되고 있으며 주로 소형 어선이나 클래식 보트 등에 사용되어진다.
FRP 선박이란 선체(Hull)등이 FRP로 이루어진 선박의 총칭으로 GRP(Glass Reinforced Plastics)라 지칭되기도 한다. FRP란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블라 등의 나일론 섬유와 불포화 에스테르수지, 에폭시 수지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공지의 소재로서 내구성, 내충격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녹슬지 않으며 가공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몰드를 이용한 대량생산에 적합하여 금속소재의 선박에 비해 생산성이 월등히 좋으며 몰드를 이용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이음매(Seam)가 없어 외관이 미려하고 보다 다양한 형상의 선체를 제작할 수 있다.
반 잠수보트의 특성상 일반 보트에 비해 수면 아래 잠기는 선체의 부위가 넓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압에 영향을 받게 된다. FRP재질은 높은 양산성에도 불구하고 FRP재질의 특성상 탄성율이 높아 파랑(Wave)이나 수압에 의해 선체 형상의 변형이 올 수 있고 이는 곧 수중관람을 위한 투명 창 결합부위에 누수를 발생시켜 선체 침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여 기존의 반 잠수보트는 철이나 알루미늄등의 금속 소재로 건조되는 이유이다.
기존에 FRP재질의 보트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내부에 판재형태의 격벽을 설치하여 선체의 수축이나 파손의 위험을 낮출 수는 있지만 판재형태의 격벽의 경우 내부 공간의 활용을 지나치게 제약하여 거주성을 낮추고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체외형을 크게 키워 하는데 이럴 경우 배수량이 지나치게 높아져 생산성 자체가 불가능해 질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반 잠수보트의 경우 FRP소재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FRP소재의 선체가 외부수압이나 파랑 등의 해양 환경에 대해 선체의 수축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선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반 잠수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삼동선형 선체의 구조를 기본으로 중앙선체와 중앙선체 양 옆 보조선체의 결합의 견고성 확보와 함께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여 선체의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최대한의 부력확보가 가능한 반 잠수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는 반 잠수보트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여 수중을 관람할 수 있도록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와 상기 중앙선체의 내부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해양의 수압과 파랑(波浪)으로부터 변형을 저지하여 상기 투명 창과 상기 중앙선체의 사이에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선체의 형상에 따라 구비되는 금속소재의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선체는 FRP 소재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체를 기준으로 좌현과 우현에 각각 보조선체가 마련되는 삼동선형이며,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선체와 보조선체 사이에 트램섬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은 상기 중앙선체의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상호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과 결합시 볼트, 너트 체결, 또는 용접, 또는 이들 모두가 포함하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상에서의 레저활동 및 비상사태를 위해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스파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복수개로 분리 제작가능하며 각각 착탈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체의 상부에는 수상에서의 레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데크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FRP소재를 사용하여 양산성이 우수하고, 프레임 구조물로 인한 수축이나 선체변형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판재형 부재를 사용하여 선체 내부의 공간을 활용하기 어려웠던 것과 달리 선체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삼동선형 선체의 문제점이었던 보관 및 이동성은 중앙선체 양 옆의 보조선체를 착탈이 가능하여 이동성이나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삼동선형은 단동선형에 비해 선체의 롤링과 피칭을 최소화하여 반 잠수보트로서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수중을 관람할 수 있은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선체와 보조선체를 각각 제작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결합하는 체결방식으로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프레임 구조물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프레임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트랜섬 요부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의 프레임 구조물에 트랜섬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 잠수보트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면들을 첨부하도록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구체화될 수 있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것임을 지적해 두며, 타인에 의한 단순한 변형 실시 예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 잠수보트(1)는 내부에 금속재질의 프레임 구조물(16)을 가진 FRP소재의 중앙선체(11)와 중앙선체의 양측으로 FRP 소재의 보조 선체(12)를 포함한 삼동형 반 잠수보트(1)로써, 중앙선체(11)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여 중앙선체(11) 정면과 양 측면에 장착된 투명 창(13)을 통해 수중을 볼 수 있는 반 잠수보트(1)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RP소재의 반 잠수보트(1) 일례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서, 반 잠수보트(1)의 중앙선체(11)와 중앙선체(11)의 양 옆으로 보조선체(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중앙선체(11)의 정면과 측면의 일 영역에는 수중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창(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보여주는 반 잠수보트(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아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는 전체 분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탑승하는 중앙선체(11), 중앙선체 양 옆의 보조 선체(12) 및 상기 중앙선체(11)의 상부에는 수상에서 레저를 즐길 수 있도록 데크(15)가 구비된다.
삭제
상기 중앙선체(11)는 FRP 소재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선체(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람이 수중을 관람하는 곳으로 소재는 양산 성을 고려하여 FRP재질로 이루어진다. 중앙선체(11)는 하단부가 수중에 잠기어 물속을 보는 공간이므로 무엇보다 안전이 고려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기존에 선박의 제작 방식은 판재(Plate)형태의 종 보강재와 횡 보강재를 선체 내부에 격자로 구비하여 변형을 막으며 선체 전체의 강도를 유지하였으나, 이는 선체 내부공간을 활용하는데 매우 불리한 구조로서 특히, 소형보트의 경우 내부공간을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선체(11)는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면서 중앙선체(11)의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프레임 구조물(16)을 상기 중앙선체(1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은 상기 중앙선체의 형상에 따른 형태로 내부에 견고히 장착함으로써 금속이 가진 강도와 FRP가 가진 강도가 더해져 기존의 상기 판재형태보다 높은 강도의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중앙선체(11)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더욱 많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다.
삭제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은 중앙선체(11)가 받는 외부영향(수압)과 파랑(波浪)의 충돌이 집중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의 형상은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은 중앙선체(11)의 수압이나 파랑에 의한 파손이나 수축을 감소시켜며, 중앙선체(11)와 투명 창(13)의 취약지점인 결합 부위에서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의 중앙선체(11) 내면형상에 따른 프레임의 구조(16)로 중앙선체(11)가 받는 수압과 파랑 등을 고려하여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1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체(11)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분리제작 하여 중앙선체(11)의 내부에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은 분리 제작하여 프레임 구조물간에 체결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시 프레임 구조물(16)의 결합부위에 돌출된 심재(19)와 상기 심재(19)가 삽입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홀을 형성하여 상기 심재(19)와 홀을 이용하여 체결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그 형상에 대응되는 "ㄱ" 형상의 꺽임 쇠(17) 및 일자형 평쇠(20)를 제작하여 그 결합부위 위로 "ㄱ" 형상의 꺽임 쇠(17) 및 일자형 평쇠(20)를 이용하여 각 강도와 견고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위의 고정은 프레임 고정용 볼트(18)를 이용하여 각 프레임의 체결 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각 프레임 구조물(16)들 간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중앙선체(11) 내부에 장착된 프레임 구조물(16)은 중앙선체(11)의 내부에서 상기 중앙선체(11)와 프레임 구조물(16)이 고정되는 부위에 FRP수지와 고정용 메트(21)를 이용하는 것이 이를 고정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프레임 구조물(16)을 선체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볼트를 이용할 경우 중앙선체(11)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타공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타공으로 인한 누수의 위험이 높아짐으로 FRP수지와 고정용 메트(21)를 이용하여 프레임 구조물(16)과 중앙선체(11)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중앙선체(11)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 구조물(16)은 보조선체(12) 결합을 위한 트랜섬(22)의 결합구조에 의해 중앙선체(11)와 한번 더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프레임 구조물(16)이 고정된 중앙선체(11)의 내부에 탑승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확장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중앙선체(11) 상부에 데크(15)를 결합하여 수상레저가 가능함과 동시에 위급한 상황 시 신속히 상기 데크(15)위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는 삼동선 형태의 반 잠수보트(1)로써 중앙선체중앙선체 옆의 보조선체(12)를 포함한다.
보조선체(12)는 금속재질의 프레임 구조물(16)에 의해 중앙선체(11)의 좌현, 우현에 각각 결합 되는데, 이 금속재질의 연결부재를 통상의 트랜섬(22)이라 지칭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섬(22)은 트랜섬 와셔(23) 및 결합용 볼트(24)로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에 체결되어, 상기 중앙선체(11)로부터 보조선체(12)가 상기 트랜섬(22)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트랜섬(22)은 하중을 견디면서 수압 및 파랑 등의 영향을 받는 부위로써 일반적으로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스테인레스 316이나 알루미늄 5083등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이 강한 금속 재질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는 도 8을 참조하면, 트랜섬(22)은 중앙선체(11)의 좌현, 우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결합 되어야 하며, 수압 및 파랑이나 상기 중앙선체(11)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좌현과 우현 각각 3개가 이격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체의 형상이나 크기 또는 트랜섬(22)의 개수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섬(22)은 상기 중앙선체(11) 좌현, 우현 양 옆에 장착된 스파(26)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스파(26)는 중앙선체(11)의 데크(15)에서 상기 보조선체(12)로 사람이 넘어갈 때 발판 역할을 함과 동시에 트랜섬(22)과 중앙선체 사이에 위치하여 트랜섬(22) 및 보조선체(12)의 하중에 대한 중앙선체(11)를 보강하여 변형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의 트랜섬(22)이 중앙선체(11)에 결합되는 것에 대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체(11) 내측에서 트랜섬 와셔(23)가 프레임 구조물(16)을 덮으며, 외측에서 트랜섬(22)을 내측의 트랜섬 와셔(23)와 결합하여 트랜섬 와셔(23)과 트랜섬(22) 사이에 개재되는 프레임 구조물(16)과 중앙선체(11)를 함께 볼트(24)와 너트(25)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선체(11)와 프레임 구조물(16)의 결합을 더욱 단단하게 하여 중앙선체(11)와 프레임(16)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프레임 구조물(16)과 트랜섬(22)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24) 및 너트(25)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316의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랜섬(22) 및 트랜섬 고정용 와셔(23)및 설치구조는 그 자체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트랜섬(22) 및 트랜섬 고정용 와셔(23)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트랜섬(22)의 구조가 상기 예시와 같은 판재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는 금속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의 트랜섬(22)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의 효과를 설명하면, 종래의 FRP소재로 형성된 선체는 반 잠수보트로 사용하기에 수압 및 파랑 등 외부환경으로 인한 파손 및 누수가 우려되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 잠수보트(1)는 프레임 구조물(16)이 중앙선체(11)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FRP소재의 선체 변형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이며, 이에 따른 FRP소재의 장점인 제작이 용이하여 양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판재형 부재를 사용하여 선체 내부의 공간을 활용하기 어려웠던 것과 달리 사람의 탑승부인 중앙 선체(11)의 내면 형상에 프레임 구조물(16)을 구비하여 더욱 많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삼동선형 선체의 문제점이었던 보관 및 이동성은 중앙선체(11) 의 양 옆의 보조선체(12)가 착탈이 가능하여 이동성이나 보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른, 삼동선형은 단동선형에 비해 선체의 롤링과 피칭을 최소화하여 반 잠수보트(1)로서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수중을 관람할 수 있은 효과가 있다.
또한, FRP소재의 몰드를 이용한 중앙선체(11)와 보조선체(12)의 용이한 제작과 상기 중앙선체(11)를 상기 프레임 구조물(16)에 결합하는 체결방식으로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반 잠수에 있어 FRP를 이용하여 생산성과 미려함을 높이고
구조적 강도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삼동선 구조의 보트의 경우 각각의 중앙선체와 보조선체를 따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이고 구조적으로도 견고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성을 높일 수 있어 산업적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하여 그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
11: 중앙선체
12: 보조선체
13: 투명 창
15: 데크
16: 프레임 구조물
17: 꺽임 쇠
18: 프레임 고정용 볼트
19: 심재
20: 평쇠
21: 고정용 메트
22: 트랜섬
23: 트랜섬 와셔
24: 볼트
25: 너트
26: 스파

Claims (8)

  1. 반 잠수보트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여 수중을 관람할 수 있도록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 및
    상기 중앙선체의 내부에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해양의 수압과 파랑(波浪)으로부터 변형을 저지하여 상기 투명 창과 상기 중앙선체의 사이에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선체의 형상에 따라 구비되는 금속소재의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선체는 FRP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체를 기준으로 좌현과 우현에 각각 보조선체가 마련되는 삼동선형이며,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선체와 보조선체 사이에 트랜섬이 구비되고
    상기 트랜섬은, 상기 중앙선체의 내부의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상호 결합되며,
    상기 트랜섬의 상부에는, 수상에서의 레저활동 및 비상사태를 위해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스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과 결합시 볼트, 너트 체결, 또는 용접, 또는 이들 모두가 포함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보트.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복수개로 분리 제작가능하며 각각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체의 상부에는,
    수상에서의 레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데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보트.
KR1020110002187A 2011-01-10 2011-01-10 반 잠수보트 KR10124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87A KR101243857B1 (ko) 2011-01-10 2011-01-10 반 잠수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87A KR101243857B1 (ko) 2011-01-10 2011-01-10 반 잠수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80A KR20120080780A (ko) 2012-07-18
KR101243857B1 true KR101243857B1 (ko) 2013-03-19

Family

ID=4671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87A KR101243857B1 (ko) 2011-01-10 2011-01-10 반 잠수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955A1 (ko) * 2014-07-31 2016-02-04 주식회사 고션 반잠수형 레저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6806A8 (pt) 2012-01-05 2017-07-04 Canopy Entpr Inc veículo aquático, método e sistema de observação subaquática
WO2014003216A1 (ko) * 2012-06-27 2014-01-03 주식회사 이고 반잠수선
KR101393106B1 (ko) * 2012-11-16 2014-06-05 신우산업 주식회사 선박용 수중 투시구와 이의 제조방법
KR101479491B1 (ko) * 2013-12-05 2015-01-08 이준구 관광용 반잠수정
WO2017135678A1 (ko) * 2016-02-01 2017-08-10 이정용 해저 관광 및 선박충돌방지 기능을 갖는 배
CN105947136A (zh) * 2016-06-20 2016-09-21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半潜式水下旅游观光艇
CN107416127A (zh) * 2017-05-13 2017-12-01 上海海洋大学 一种“鱼型”半潜式无人艇
KR102654606B1 (ko) * 2021-11-30 2024-04-04 권지영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CN114537581A (zh) * 2022-03-08 2022-05-27 石巧云 一种电驱动三体半潜观光艇、航行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756A (ja) * 2003-12-16 2005-07-07 Roshdy G S Barsoum ハイブリッド船体
KR20080076864A (ko) * 2008-05-16 2008-08-20 이지섭 반잠수 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8756A (ja) * 2003-12-16 2005-07-07 Roshdy G S Barsoum ハイブリッド船体
KR20080076864A (ko) * 2008-05-16 2008-08-20 이지섭 반잠수 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955A1 (ko) * 2014-07-31 2016-02-04 주식회사 고션 반잠수형 레저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80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857B1 (ko) 반 잠수보트
CN201587520U (zh) 小水线面双体船的箱体矩阵的船体结构
KR20110118281A (ko) 알루미늄제 레저선박의 초경량 선체구조
US4938162A (en) Inflatable power catamaran
US6871612B2 (en) Pontoon stabilized aluminum water craft
WO2014003216A1 (ko) 반잠수선
US20230303215A1 (en) Modified pontoon assembly for improved flotation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CN104220327B (zh) 海洋船体和海洋船舶
KR20160015697A (ko) 반잠수형 레저보트
US20140150705A1 (en) Inflatable hull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n inflatable boat hull
CN209833917U (zh) 一种半潜观光船
US7677190B2 (en) Slotted hulls for boats
CN104494781B (zh) 组合式救生艇
RU177014U1 (ru) Фиксирующая вставка кормовой части надувного днища
KR20160004321U (ko) 데크하우스의 교체가 용이한 다목적 폰툰보트
RU99763U1 (ru) Плавучее средство катамаранного типа
CN204821984U (zh) 一种水下观光充气艇
RU2470822C1 (ru) Судно (плав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CN2598859Y (zh) 一种抗沉没复合材料整体船体
CN211731753U (zh) 客滚船
CN211364841U (zh) 一种观光休闲双体游览船
JP2002284081A (ja) 小型ボート
JP2009149278A (ja) 表面効果翼艇の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84379B1 (ja) リサイクルボート
JP2009101752A (ja) フロート型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