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606B1 -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 Google Patents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606B1
KR102654606B1 KR1020210168990A KR20210168990A KR102654606B1 KR 102654606 B1 KR102654606 B1 KR 102654606B1 KR 1020210168990 A KR1020210168990 A KR 1020210168990A KR 20210168990 A KR20210168990 A KR 20210168990A KR 102654606 B1 KR102654606 B1 KR 102654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entral
water
trimara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172A (ko
Inventor
권지영
Original Assignee
권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영 filed Critical 권지영
Priority to KR102021016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60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2011/008Arrangements of two or more jet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을 볼 수 있는 반 잠수정에 관한 것으로서, 세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 상기 중앙선체를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존재하여 상기 중앙선체와 연결된 보조선체,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연결하는 암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Fexible multihulls semi-submarine boat}
본 발명은 관광용 반잠수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위 활동만을 위한 보트가 아닌 수면 아래의 수중 풍경을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하여 레저와 재미를 동시에 높이면서 고부가가치 산업의 한 분야로 개척될 수 있도록 한 관광용 반잠수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 수준의 향상과 경제발전에 힘입어 여가생활을 즐기려는 인구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주 5일 근무제의 정착과 함께 가족단위 여행과 레저, 문화체험 등의 서비스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중 하나로 전국 체험마을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해변가, 강가, 어촌 등지에서도 체험마을 조성과 함께 문화체험을 유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수중 자연 생태계 확인, 해저 관광,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를 지근거리에서 근접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면 흥미를 유발하고, 오락적 요소 외에도 교육적, 생태 연구적 측면에서 새로운 산업군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런 산업을 기반으로 형성된 기존 발명에 선박의 이동성 및 탑승자의 안전 및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반잠수정은 수중 생태 및 수중 환경을 관람, 관찰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으로 일반적인 선박에 비해 수면 아래 잠기는 선체의 깊이가 깊고, 수면 아래 잠기는 선체에 수중을 볼 수 있기 위한 투명한 수중관람 창을 장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수중에 잠기는 선체가 깊어 질수록 선박이 이동 시 선박의 전면부에 가해지는 물의 저항 또한 동시에 커지며, 이는 선체 전면부의 형상과 폭의 길이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반잠수정의 기본 목적인 수중관람 및 관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탑승자의 전방 시선과 일치되는 전면부의 형상은 넓을수록, 평면에 가까운 투명창이 장착될수록 전방 수중 시야 확보에 유리하나, 이러한 형상은 선박의 이동 시, 물의 저항을 강하게 하여 선박의 이동성에 매우 취약한 구조적 한계를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수중관람이라는 반잠수선의 기본 목적은 충실하면서, 동시에 이동의 용이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할 것이나, 단순히 선체 전면부의 형상과 넓이 축소 등만으로는 선체의 이동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수중관람이라는 반잠수선의 기본 목적에 반하는 형상이 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자, 본 발명은 관광용 반잠수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승, 하강이 가능한 중앙선체를 가진 반 잠수정으로,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최대한의 부력확보가 가능한 반잠수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9491호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승, 하강이 가능한 중앙선체를 가진 반 잠수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삼동선형 선체의 구조를 기본으로 중앙선체와 중앙선체 양 옆 보조선체의 결합의 견고성 확보와 함께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여 선체의 롤링(Rolling)이나 피칭(Pitching)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최대한의 부력확보가 가능한 반 잠수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 상기 중앙선체를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존재하여 상기 중앙선체와 연결된 보조선체,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연결하는 암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체는 설정된 상부면에 형성되며 선박을 조향할 수 있는 조종대, 설정된 상부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데크시트,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부, 전기적 신호로써 상기 암조합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선체 내부는 탑승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는 접이식 시트, 상기 중앙선체에 설정된 하부면에 위치하며 평형을 유지시켜 주는 발라스트 웨이트, 상기 중앙선체가 수면아래 위치했을 때, 비교적 단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워터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체는 상기 중앙선체 양측면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선체가 수면위에 위치할 때, 상기 중앙선체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부력을 가지며, 파도, 풍랑 등에 의한 외력에도 대처 가능하며, 상기 보조선체 내부는 수중 암반 및 기타 외부물체와 충돌로 인해 상기 중앙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가 파손되어, 상기 중앙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침몰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에이비에스, 피브이씨 등의 소재로 사각형 형태로 제작되고 그 내부는 공기로 채워진 에어블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블럭은 상기 보조선체가 파손되어도 상기 보조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또한 상기 보조선체의 상부는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조합은 상기 중앙선체 좌, 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보조선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 공압, 전기로 구성된 실린더를 구비한 암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보조선체 사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이식 계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중앙선체 내부에 수평감지 센서부와 제어부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수평감지 센서부가 선체 수평을 감지하고 그에 맞춰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 신호를 실린더에 보내 좌우에 배치된 실린더의 길이를 파도에 의한 수면높이 변화에 맞춰 조절하여 선체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좌우 배치된 암의 수축 및 이완 기능을 통해 중앙선체의 위치 높이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은 수면에서 운항 시 상기 중앙선체를 최대한 수면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면아래 잠기는 선체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중앙선체 하부가 수면아래 바위나 기타 물체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일정이상의 수심이 확인되면, 상기 중앙선체를 수면아래 잠기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개의 선체로 이루어진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 상기 중앙선체를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존재하여 상기 중앙선체와 연결된 보조선체,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연결하는 암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중앙선체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중앙선체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중앙선체의 발라스트 웨이트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선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보조선체 내부의 에어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선베드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보조선체의 데크 확장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모듈이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암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암조합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파도에 따른 암조합의 변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중앙선체가 하강했을 때 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제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중앙선체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중앙선체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중앙선체의 발라스트 웨이트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선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보조선체 내부의 에어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선베드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보조선체의 데크 확장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모듈이 결합되는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암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암조합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파도에 따른 암조합의 변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중앙선체가 하강했을 때 정면도이고,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제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100)은 세개의 선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110), 상기 중앙선체(110)를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존재하여 상기 중앙선체(110)와 연결된 보조선체(130), 상기 중앙선체(110)와 상기 보조선체(130)를 연결하는 암조합(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선체(110)는 상기 중앙선체(110) 상부면에 선박을 조향할 수 있는 조종대(111), 상기 중앙선체(110) 상부면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데크시트(112), 상기 중앙 선체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부(113), 전기적 신호로써 각 실린더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부(114), 상기 중앙선체(110) 내부는 탑승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는 접이식 시트(115), 상기 중앙선체(110) 내부에서 상기 중앙선체(110) 상부로 올라오거나 반대로 상기 중앙선체(110) 상부면에서 상기 중앙선체(110) 내부로 내려갈 수 있는 접이식 계단(151), 상기 중앙선체(110) 하부면에 상기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100)의 평형을 잡아주는 발라스트 웨이트(116), 상기 중앙선체(110)가 수면아래 위치했을 때, 비교적 단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추진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제어부(114)는 상기 중앙선체(110)와 상기 보조선체(130)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서 정보를 수집, 처리하고, 상기 중앙선체(110)에 장착된 GPS와 서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선체(110) 내 장착된 무선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필요시 자동으로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운항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사용자의 개인 통신기기와 자동으로 연동되어 인식 후 동기화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선체(110) 선저부에 수심감지 센서(소나)를 통해 감지된 수심이 중앙선체(110) 및 보조선체(130)와 충돌할 정도로 낮을 경우, 경보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수중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라스트 웨이트(116)는 상기 중앙선체(110)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선체(110)를 수면 아래로 이동시 상기 중앙선체(110)가 충분히 수면 아래로 잠길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상기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100)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은 곳에 형성되도록 하여 파도, 풍랑 등에 따른 외력에 의한 상기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100)의 동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상기 추진부(117)는 상기 중앙선체(110) 좌우측면 선미부에는 전기동력을 이용한 저소음, 저출력의 워터젯을 장착하여, 중앙선체(110)가 수면아래 위치했을 때, 비교적 단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며 출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기추진체를 사용하는 동시에 수중 암반등과의 충돌시 추진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파이프 타입의 캐노피(1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젯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추진기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조선체(130)는 상기 중앙선체(110) 양측면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선체(110)가 수면위에 위치할 때, 상기 중앙선체(110)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부력을 가지며, 파도, 풍랑 등에 의한 외력에도 대처 가능하며, 상기 보조선체(130) 내부는 수중 암반 및 기타 외부물체와 충돌로 인해 상기 중앙선체(110) 및 상기 보조선체(130)가 파손되어, 상기 중앙선체(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침몰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에이비에스, 피브이씨 등의 소재로 사각형 형태로 제작되고 그 내부는 공기로 채워진 에어블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블럭은 상기 보조선체(130)가 파손되어도 상기 보조선체(1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조선체(130)의 상부는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모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은 선베드용 모듈, 데크 확장용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131)은 상기 보조선체(130) 선상에서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선베드가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선체(130)의 모듈(131)이 옆으로 확장되어 그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암조합(150)은 상기 중앙선체(110)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보조선체(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 공압, 전기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 실린더를 구비한 암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중앙선체(110) 내부에 수평감지 센서부와 제어부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높은 파도에서 운항 시, 상기 수평감지 센서부가 선체 수평을 감지하고 그에 맞춰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 신호를 실린더에 보내 좌우에 배치된 실린더의 길이를 파도에 의한 수면높이 변화에 맞춰 조절하여 선체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좌우 배치된 암의 수축 및 이완 기능을 통해 중앙선체(110)의 위치 높이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은 수면에서 운항 시 상기 중앙선체(110)를 최대한 수면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면아래 잠기는 선체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중앙선체(110) 하부가 수면아래 바위나 기타 물체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일정이상의 수심이 확인되면, 상기 중앙선체(110)를 수면아래 잠기도록 위치시켜 중앙선체(110) 외부에 구비된 투명창을 통해 사용자는 수중을 관찰 수 있다. 상기 암조합(150)은 지지대역할을 하는 암이 상하 방향으로 2개가 1조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2개의 암사이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로 구성되어 지며, 이때 실린더는 유압, 공압, 전기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및 암의 소재는 일반 철이 아닌 친환경적이면서 해수 등에 의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스테인레스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암조합(150)은 상기 중앙선체(110) 각 측면에 전면, 중앙부, 후미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통형 암 결합 파이프에 의해 결합되어지고, 동시에 상기 중앙선체(110)와 마주보는 상기 보조선체(130) 한쪽 측면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암조합(150)은 중앙선체(110) 내 수평감지센서가 파도 등 외력에 의한 중앙선체(11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그 기울짐의 정도에 대한 전기적 정보를 중앙제어부(114)로 보내면 중앙제어부(114)는 상기 수평감지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 맞춰 상기 중앙선체(110)가 기울어진 방향쪽의 상기 실린더를 연장하고, 반대쪽 면에 장착된 실린더를 일제히 수축시켜 상기 중앙선체(110)의 수평을 빠른 시간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선체(110)는 상기 암조합(150)의 동시에 수축 혹은 이완을 통해 수면아래 잠기는 부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앙선체(110) 전면 및 측면에 구비된 투명창을 통해 수중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선체(110) 내 구비된 제어부는 본 발명 레저보트가 이동중에는 상기 중앙선체(110)의 부상 또는 하강작동이 되지 못하도록 이를 제어하며, 또한 상기 중앙선체(110)가 하강상태에서는 상기 고속 추진체가 작동되지 않도록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조합(150)은 상기 중앙선체(110)와 상기 보조선체(130) 사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이식 계단(15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계단의 발판 측면에는 좌우로 두개의 구심점을 가지고 있어 상기 중앙선체(110)가 상기 보조선체(130)보다 높이 위치한 경우, 또는 상기 중앙선체(110)가 하강하여 보조선체(130)보다 낮게 되는 경우 계단이 그 높낮이의 변화에 의해 계단이 펼쳐져 사용자가 오르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인식부는 중앙제어기에 이용자 개인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모바일폰, 스마트와치 등 개인식별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가지고 탑승 시, 블루투스 등 무선연결 기능에 의해, 중앙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여 레저보트 사용자가 탑승했음을 인식하여, 본 발명 레저보트의 주요 전원 및 조명 등이 작동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물에 빠지는 등의 요인으로 사용자가 선체와 일정거리 이상 멀어지면 즉시 상기 추진체가 작동을 멈추고, 중앙제어장치는 장착된 무선 통신 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인근의 해경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110 : 중앙선체
111 : 조종대
112 : 데크시트
113 : 수평감지센서부
114 : 중앙제어부
115 : 접이식 시트
116 : 발라스트 웨이트
117 : 추진부
118 : 캐노피
130 : 보조선체
131 : 모듈
132 : 에어블럭
150 : 암조합
151 : 접이식 계단

Claims (8)

  1. 선체 내부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며,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하는 중앙선체; 및 상기 중앙선체를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존재하여 상기 중앙선체와 연결된 보조선체;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를 연결하는 암조합;
    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체는,
    상기 중앙선체 양측면으로 서로 대칭되게 각각 1개씩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선체가 수면위에 위치할 때, 상기 중앙선체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부력을 가지며, 파도, 풍랑 등에 의한 외력에도 대처 가능하며, 상기 보조선체의 내부는 수중 암반 및 기타 외부물체와 충돌로 인해 상기 중앙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가 파손되어 상기 중앙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침몰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에이비에스, 피브이씨 등의 소재로 사각형 형태로 제작되고 그 내부는 공기로 채워진 에어블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블럭은,
    상기 보조선체가 파손되어도 상기 보조선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또한 상기 보조선체의 상부는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으로 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체는,
    설정된 상부면에 형성되며 선박을 조향할 수 있는 조종대;
    설정된 상부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데크시트;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서부;
    전기적 신호로써 상기 암조합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선체 내부는 탑승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는 접이식 시트;
    상기 중앙선체에 설정된 하부면에 위치하며 평형을 유지시켜 주는 발라스트 웨이트; 및
    상기 중앙선체가 수면아래 위치했을 때, 비교적 단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추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으로 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서 정보를 수집, 처리하고,
    상기 중앙선체는,
    장착된 GPS, 무선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실시간 위치 파악 및 필요시 자동으로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운항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사용자의 개인 통신기기와 자동으로 연동되어 인식 후 동기화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 처리하여 사용자가 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 웨이트는,
    상기 중앙선체를 수면 아래로 이동시 상기 중앙선체가 충분히 수면 아래로 잠길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상기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은 곳에 형성되도록 하여 파도, 풍랑 등에 따른 외력에 의한 상기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의 동요를 최소화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상기 중앙선체 좌우측면 선미부에는 각각 1개씩 저출력의 워터젯을 포함하며, 상기 워터젯의 외부면으로 파이프 타입의 캐노피를 구성하고 있으며, 출력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수중 암반과의 충돌시 상기 워터젯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선체가 수면위로 올라오면, 고속으로 추진하여 원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보조선체 선상에서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선베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선체의 데크가 확장되어 그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구성으로 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조합은,
    상기 중앙선체 좌, 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보조선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압, 공압, 전기로 구성된 실린더를 구비한 암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선체와 상기 보조선체 사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이식 계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는,
    상기 중앙선체 내부에 수평감지 센서부와 제어부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수평감지 센서부가 선체 수평을 감지하고 그에 맞춰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 신호를 실린더에 보내 좌우에 배치된 실린더의 길이를 파도에 의한 수면높이 변화에 맞춰 조절하여 선체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좌우 배치된 암의 수축 및 이완 기능을 통해 중앙선체의 위치 높이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낮은 수면에서 운항 시 상기 중앙선체를 최대한 수면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면아래 잠기는 선체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중앙선체 하부가 수면아래 바위나 기타 물체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일정이상의 수심이 확인되면, 상기 중앙선체를 수면아래 잠기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KR1020210168990A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KR10265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990A KR102654606B1 (ko)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990A KR102654606B1 (ko)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172A KR20230081172A (ko) 2023-06-07
KR102654606B1 true KR102654606B1 (ko) 2024-04-04

Family

ID=8676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990A KR102654606B1 (ko) 2021-11-30 2021-11-30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4716A (zh) * 2017-04-19 2017-10-20 珠海磐磊智能科技有限公司
CN111619725B (zh) * 2020-04-22 2021-07-13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侧片体可自主升降的三体测量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616A (en) * 1995-01-06 1997-01-07 Vera; Daniel Surf-boat
KR101243857B1 (ko) * 2011-01-10 2013-03-19 이지섭 반 잠수보트
KR101479491B1 (ko) 2013-12-05 2015-01-08 이준구 관광용 반잠수정
KR101948052B1 (ko) * 2017-05-08 2019-02-14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4716A (zh) * 2017-04-19 2017-10-20 珠海磐磊智能科技有限公司
CN111619725B (zh) * 2020-04-22 2021-07-13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侧片体可自主升降的三体测量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172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8767T3 (es) Embarcación submarina
US95400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observation
CN102923262B (zh) 小水线面半潜复合水面无人艇
US20180057128A1 (en) System, towed submersible and docking station for towed underwater recreational sightseeing
CN105966568A (zh) 一种装备于海事巡航搜救无人艇的自适应可调节装置
CN104981395A (zh) 快船
JPH0749277B2 (ja) 重力・浮力調整による艇姿勢の制御を用いたグライダ−型潜水艇
WO2012172082A1 (en) Inflatable floatable liferaft for marine rescue
KR20180123320A (ko)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KR20080076864A (ko) 반잠수 보트
CN102935874A (zh) 双潜体小水线面复合水面无人艇
KR102654606B1 (ko) 가변형 삼동선 반잠수정
CN104627327A (zh) 一种可变航态无人艇
CN206202586U (zh) 一种双体破浪游艇
US11485452B2 (en) Hybrid vessel comprising ballast water system
KR20160002223A (ko) 호버크래프트 방식의 구명정
RU2261818C2 (ru) Плавающ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морск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и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судов
CN205589411U (zh) 列车式超强浮力船
CN107458550A (zh) 可调重叠稳定浮力水下承载气垫自动扶正承载装置
WO2012001535A1 (en) Energetically independent floating platform and its wheel system
CN114604352B (zh) 一种半潜式双体观光游艇
JPH10129589A (ja) カタマランスキューバシップ
KR900000214B1 (ko) 레 저 선
JPH05338583A (ja) カタマランスキューバシップ
CN105197198A (zh) 附设护体的抗风浪游轮船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