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836B1 -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 Google Patents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836B1
KR100925836B1 KR1020080129268A KR20080129268A KR100925836B1 KR 100925836 B1 KR100925836 B1 KR 100925836B1 KR 1020080129268 A KR1020080129268 A KR 1020080129268A KR 20080129268 A KR20080129268 A KR 20080129268A KR 100925836 B1 KR100925836 B1 KR 10092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frame
dock
smal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향권
Original Assignee
양향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향권 filed Critical 양향권
Priority to KR102008012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안전성있는 소형 선박의 보수 및 수리를 위해서 내측에 선택적으로 부유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선박이 수용가능한 간격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부유체를 상기 선박의 저부가 부유되도록 틀체 구조로 연결하되, 내측에 부유공간이 형성되는 부유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를 제공한다.
부유식 도크, 소형선박, 부유체

Description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 for a small ship}
본 발명은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안선박의 유지 및 보수용으로 부형 상가시스템에 사용되며,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운반성이 뛰어나 육로로 운송이 용이하며 다양한 크기의 소형선박에 적용가능한 호환성을 갖는 소형의 부유식 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크(dock)는 대형 선박을 건조, 수리하기 위해서 조선소나 항만 등에 건설된 설비를 말하는 것으로, 건식 도크(dry dock)와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로 구분된다.
여기서, 건식 도크는 선박을 진수하기에 충분한 수심을 갖는 바다와 인접한 곳에서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측벽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말뚝으로 보강하고 입구에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설치하는 것이며, 부유식 도크는 단면이 凹자형인 강철제 상자로 내부에 많은 탱크를 가지며 이러한 탱크에 해수의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부유 정도를 조절하는 설비이다.
또한, 부유식 도크는 주로 선박의 수리만을 위해서 사용되었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내부 탱크에 해수를 채움으로써 도크를 침하시키고 선박을 부유식 도크의 내부로 끌어넣은 다음 펌프로 상기 탱크 내부의 해수를 퍼내게 되면 선박을 실은채 갑판 부위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따라서, 부유식 도크는 레저선박, 어선선박 등의 소형선박의 수리를 위해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 국민소득 증대와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으로 해양레저 활동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레저 관련 장비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해양레저활동의 주요 수단인 소형선박 척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해양레저 선박 및 유사 선박의 증가에 따라 어항 및 마리나에서 소형선박의 정박과 계류시 수면 하 선저부에 달라붙은 따개비, 파래 등의 해양생물들로 인한 선체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운항중에 저항이 증가하여 선박의 속력이 줄어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형선박의 저부에 부착된 해양생물을 제거, 부착방지를 위해 기존에는 선체 표면에 A.F라는 독성이 강한 도료를 사용하여 이를 방지하였지만, 이 도료의 독성이 강하여 해양환경 오염의 주요요인으로 작용하여 최근에는 법적으로 A.F도료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해양생물 제거작업을 수시로 사람이 수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해양레저선박과 크기와 수리 방법이 비슷한 연안 어선의 수리,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육상으로 선박을 끌어올려 지상에서 수리를 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가작업은 소형조선소의 작업공간, 예인비용, 작업공기, 안정 성 측면에서 많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욱이, 소형선박 및 연안어선의 지속적인 수리 및 보수를 위해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육지로 들어올리거나 부목 및 거치대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크레인의 용량에 따른 예인선박의 규모와 장소가 제한적이며, 작업자의 작업미숙으로 인한 부상과 선박전복에 따른 신체 파손 등이 야기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견인하는 방법에 의한 선박 상가작업은 5~6명의 작업자가 선박을 물 속에서 중량의 반목 및 모래주머니를 사용하여 대차에 고정하고 로프 당김 조작으로 선체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선대위로 인양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작업장에서는 지원 설비의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또한, 상가작업은 대부분 물 속에서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아 작업자의 체력저하 및 추운 겨울이나 태풍과 같은 악천후 시에 상기 작업의 어려움 등의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작업 여건이 잘 정비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레저활동의 주요 수단인 소형선박의 증가로 인한 소형선박의 수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부응하도록 연안 소형선박 수리 및 유지관리를 위한 경제적이고 안전성있는 부유식 도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육상 운송이 용이하며, 다양한 크기의 소형선박에 사용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는 부유식 도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측에 선택적으로 부유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선박이 수용가능한 간격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부유체를 상기 선박의 저부가 부유되도록 틀체 구조로 연결하되, 내측에 부유공간이 형성되는 부유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프레임은 선택적으로 분해 및 조립되며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부에 구비되는 플랜지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은 상기 분해 및 조립되도록 상기 플랜지에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부유체는 하부가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이고, 상기 부유되는 공간에 해수가 선택적으로 펌핑되는 펌프가 배관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중량이 감소되고 강성을 가지는 FRP제를 포함하는 강화 플라스틱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유프레임은 내식성을 갖는 철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틀체 구조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보강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보강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는 기존의 판 구조나 탱크 구조로 이루어진 도크 구조물과는 달리 플라스틱 재질의 부유체가 자체 부력을 갖는 부유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 틀체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경량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해상에 설치 시 조파의 저항을 적게 받아 상가 작업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는 부유프레임이 분할 제작되어 분해 및 조립됨으로써, 분할된 부품을 크레인 및 차량에 의해 용이하게 육상 운송되고, 다양한 소형선박의 크기에 따라 맞춤 조립될 수 있으므로 운반성과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는 분할되어 더욱 경량이며 운반용이함으로써, 소형선박 유지 및 보수시 조선소의 작업공간, 인력 및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경상비용이 절감되며, 조선소의 소형선박 수리 작업 시 작업환경 개선, 상가 작업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도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 유식 도크(100)는 부유체(110) 및 부유프레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부유체(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은 라운드진 형상이며, 상하방향으로 단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상협하광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유체(110)는 내측에 선택적으로 부유되는 공간이 구비되는데, 상기 공간은 상기 부유식 도크(100)가 해상에서 사용될 경우 해수가 펌프(미도시)의 펌핑 작용에 의해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곳으로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부유체(110)를 침하 또는 부유시키는데 이용되며, 따라서 상기 부유체(110)는 실질적으로 부유탱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부유체(110)는 레저선박, 어선선박 등의 소형선박이 수용가능한 간격의 양측으로 대응되게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
즉, 상기 부유체(110)는 사각평면 상의 어느 양측에 상기 소형선박이 수용가능하도록 간격을 가지고, 상호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복수 개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복수 개가 양측으로 균등배분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110)는 2개일 경우 소형선박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됨과 같이 복수 개가 양측에 균등배분되어 구비됨으로써, 해상의 파고 등의 여건에서도 상기 소형선박을 안정적으로 부유 또는 침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110)의 형상은 폭 방향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며, 상기 부유체(110)의 하부의 곡률진 형상은 내벽과 외벽이 모두 곡선처리되어 있어 제작과 구조적 강도측면에서 유리하고, 상기 부유체(110)의 상하방향으로 단면에서 하측이 넓은 형상은 실질적으로 상기 부유체(110)의 내부 공간에 흡입 또는 배출되는 해수량에 대해서 전체 폭을 넓이는 효과를 얻어 하부가 안정되므로 횡방향 운동성능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부유체(110)를 상기 선박의 저부가 부유되도록 틀체 구조로 연결하는 부유프레임(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내측에 밀폐되는 공간인 부유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틀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그의 폭 방향으로 양측부에 상기 부유체(110)를 고정시키는 틀체가 구비되고, 중앙부 하측에 상기 부유식 도크(100)가 해상으로 부유될 때 상기 소형선박의 저부가 지지되는 틀체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틀체의 복수 구조는 최소한의 중량을 가지도록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부의 복수 틀체는 상기 부유체(110)를 감싸는 구조로 구비되고, 중앙부 하측의 복수층 틀체는 하중에 대한 지지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상기 부유체(110)를 감싸는 구조로 상기 부유체(11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프레임(120)이 양측부에 상기 부유체(110)를 고정시키고, 중앙부에 상기 소형선박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복수 틀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해상에서 파도의 조파 저항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어 안정적으로 거동됨은 물론 총중량이 감소되어 해상 또는 육상에서의 운반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파이프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파이프의 양단을 막아 밀폐 처리함으로써,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밀폐 공간은 상기 부유프레임(120)이 부력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유프레임(120)의 부력을 갖는 구조는 상기 부유체(110)의 재료 선정, 크기 선정, 개수 선정 등이 설계시 반영되므로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기존의 판(plate) 구조나 탱크(tank) 일체형 구조가 아닌 파이프 그릴리지(pipe grillage) 구조를 가지고 구조적으로 강도 및 자체 부력을 만족하는 상기 부유프레임(120)이 구비되므로 연결구조체의 자체중량을 최소화하여 부유식 도크(100)의 전체 중량을 줄여 소형화하면서 부유능력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 운반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소형선박의 부유식 도크(100)로 매우 적합하다.
또한, 상기 부유식 도크(100)는 경량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해상에 설치 시 조파의 저항을 적게 받아 상가 작업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식 도크(100)의 해상 설치 후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선박진입방향(F)의 반대측에 부유체(110)에 배관 연결되는 펌프(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부유체(110)의 내측 공간에 해수를 유입하여 도크를 침하시킨다.
이때, 상기 도크의 상부 일부는 수면 위에 노출되어 선박이 이에 안내되어 상기 선박진입방향(F)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선박이 완전히 진입하고 나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부유체(110)의 내측 공간에 저수된 해수를 배출하여 부유식 도크를 부유시키게 되고, 선박의 저부를 받치는 하부면이 수면 위로 올라오면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선박의 수리작업을 실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의 부유프레임의 분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플랜지 연결되는 A 부분의 확대도이다.
한편,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분해 및 조립되며 내부에 부유공간이 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부가 플랜지(121)에 의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상기 분해 및 조립되도록 상기 플랜지(121)에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121a)와 너트(121b)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선택적으로 분해 및 조립되도록 그의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획되는 소정의 위치가 내측 공간이 밀폐되게 플랜지(121)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육상으로 운반하거나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선박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분해 및 조립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분할 제작된다.
여기서, 분할 제작되는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연결은 플랜지(121)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분할되는 부유프레임(120) 역시 내측에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기 플랜지(121)는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의 단부를 밀폐하도록 용접 연결된다. 물론, 상기 용접 이외의 본딩 등의 방법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상기 부유체(1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구획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부유식 도크(100)의 전체적인 크기, 중량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분할되는 개수와 크기는 제작 용이성과 운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제작된다.
더욱이,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구획은 실질적으로 상기 부유프레임(120)이 분할 제작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부유프레임(120)을 그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분할하여 제작함으로써, 기제작되고 분할된 부유프레임(120)을 대상 선박의 크기에 대응되게 간단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크기의 선박이 수용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유체(110) 역시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의 분할 패턴에 대응되게 분할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분할은 제작 작업의 용이성 측면에서 최대한 많은 조각으로 분할하는 것이 작업성이 유리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이 분할을 할 경우 잘려진 부분에 접합을 위한 플랜지(121), 볼트(121a), 너트(121b) 등의 조립용 부자재 등이 늘어나 자재비 및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며, 증가된 만큼의 부유식 도크(100)의 총 중량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제작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와 총중량의 증가로 인한 부유식 도크(100)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너무 적게 분할이 될 경우, 연안 선박 유지 보수용 소형의 부유식 도크(100)가 진수 될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이용되는 차량의 규모 및 크레인의 중량 및 분할된 각각의 중량이 무거워 이동과 조립이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그의 전체 길이와 중량 등을 고려하여 제작 및 이동이 용이하게 상기 부유프레임(120)을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저선박과 어선선박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부유식 도크(100)의 크기가 너비 12m이고, 폭 8m인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한 군데, 폭 방향으로 네 군데를 구획하여 분할하면 총 10개의 부분품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대상 선박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분할 제작되어 다양한 크기의 선박에 사용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며, 이러한 분할된 부분품은 크레인 및 차량에 의해 용이하게 육상이동되므로, 운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해 분해 조립이 비교적 용이한 플랜지(121)에 볼트(121a)와 너트(121b)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을 사용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프레임(120)이 자체 부력을 가지도록 상기 플랜지(121)는 판 부재로 볼트(121a)와 너트(121b) 결합을 위한 체결공만이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분할된 부유프레임(120)의 양단부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분할된 부유프레임(120)의 내측 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즉, 상기 플랜지(121)는 중앙부에 통로공이 없는 막힘부(121c)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내식성을 갖는 철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틀체 구조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보강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보강재(1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틀체 구조는 구조적인 지지강도의 향상을 위해서 소정의 위치에 보강재(125)가 구비되는데, 상기 소정의 위치는 구조 해석을 통해 선정된 위치를 말하며,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부유체(110)를 감싸는 틀체 부분과 하측의 복수층 틀체의 상하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보강재(12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상하 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125)가 구비됨으로써, 구조적인 지지강도가 보강되어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스틸 파이프 등의 철제로 이루어지고, 동일 재질의 플랜지(121)로 내측 공간은 밀폐된다. 물론, 플랜지(121) 구성이 없는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단부는 막힘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내식 처리는 해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사 용되기 위해 필요하며, 이러한 내식 처리는 내식 도료에 의한 방법 등의 주지 관용되는 철제의 내식 처리방법에 의해 구비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상기 부유체(110)를 감싸는 틀체 구조로 조립되되, 침하시 노출되는 상단부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가드레일(122b)과 발판부재(122a)가 구비되는 부유체수용부(122)와, 상기 부유체수용부(122)의 상기 양측 배치의 상호 대향되는 하부를 연결하되,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층 틀체 구조의 상단부에 상기 선박이 안착되도록 안착부재(123a)가 구비되는 안착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상기 부유체(110)를 감싸는 틀체 구조로 조립되는 부유체수용부(122)와 상기 부유체수용부(122)의 소형선박이 수용가능한 간격의 양측 배치의 상호 대향되는 하부를 연결하는 안착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수용부(122)의 상부 일부는 상기 부유식 도크(100)가 침하되더라도 항상 해수의 수면 위에 노출되어 소형선박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부유식 도크(100)는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가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유체수용부(122)의 상단부에는 상기 소형선박이 진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발판부재(122a)와 상기 발판부재(122a)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가드레일(122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소형선박이 진입하지 않는 부분의 발판부재(122a)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122b)은 상기 부유식 도크(100)에 진입한 상기 소형선박의 유동을 고정하는 밧줄을 묵는 지지대의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재(122a)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가능하면 어떤 것이든 사용가능한데, 예를 들어, 철망을 갖는 판틀 프레임, 목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수용부(122)의 상단부에 가드레일(122b)과 발판부재(122a)가 구비됨으로써, 부유식 도크(100) 위에 소형선박의 하중으로 인한 기울어짐과 뒤틀림 및 파고에 의한 흔들림 등으로부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지 않도록 복층의 틀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프레임 부재가 하측의 프레임 부재보다 두꺼운 프레임 부재가 사용되며, 그의 상단면에는 선박이 부유된 후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안착부재(123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재(123a)는 철망을 갖는 판틀 프레임, 목판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목판은 해수에 부식되지 않는 내식성과 재활용성을 위해 폐목재선박의 폐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 등을 고려하면 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안착부재(123a)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부유되는 선박의 저부에 대한 작업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의 부유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110)는 상기 부유되는 공간에 해수가 선택적으로 펌핑되는 펌프가 배관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중량이 감소되고 강성을 가지는 FRP제를 포함하는 강화 플라스틱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유체(110)는 펌프에 의해 해수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상기 펌프와 배관되는데, 상기 펌프는 상기 부유프레임(120)의 상측에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유체(110)의 내부 공간 즉, 부유 또는 침하를 위해 이용되는 공간에 상기 펌프에 의한 펌핑작용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흡입 또는 배출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부유식 도크(100)는 상기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부유체(110)의 내부 공간에 해수를 조절가능하게 흡입 또는 배출함으로써, 침하 또는 부유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110)는 FRP제를 포함하는 강화 플라스틱제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부유체(110)의 플라스틱제 사용은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는 합성수지 속에 섬유기재를 혼입시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수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수명이 길고 가볍고 강하며 부패하지 않으며, 내구성·내충격성·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며, 녹슬지 않고, 열에 변형되지 않으며, 가공하기 쉽다는 장점으로 상기 부유체(110)의 재질로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110)가 가벼운 플라스틱제로 제작되고, 상기 부유프레임(120)은 파이프 구조의 프레임으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부유식 도크(100)는 종래 의 판 구조나 탱크 구조에 비해 충중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며, 틀체 구조로 조파 저항이 현저히 감소됨으로써, 소형선박의 상가작업에 매우 적합한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부유체(110)의 외면에 상기 플랜지(121)가 구비된 부위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수용홈(11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용홈(111)은 상기 부유프레임(120)이 상기 부유체(110)를 감쌀 때 상기 플랜지(121)의 돌출부위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볼트(121a)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플라스틱제 부유체(110)와 철제 부유프레임(120)의 충돌의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부유체(110)와 상기 프레임의 고정 시 움직임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부유체(110)를 고정시켜주는 플레이트판을 추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실질적으로 어선, 요트, 관공선 등의 5톤이하급 소형선박을 육상에 올리지 않고 해상에서 간단하게 상가하여 정비할 수 있는 이동형이며, 소형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기존의 판 구조나 탱크 구조로 이루어진 도크 구조물과는 달리 플라스틱 재질의 부유체(110)가 자체 부력을 갖는 부유프레임(120)에 의해 고정되는 파이프 틀체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경량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해상에 설치 시 조파의 저항을 적게 받아 상가 작업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부유프레임이 분할 제작되어 분해 및 조립됨으로써, 분할된 부품을 크레인 및 차량에 의해 용이하게 육상 운송되고, 다양한 소형선박의 크기에 따라 맞춤 조립될 수 있으므로 운반성과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부유식 도크(100)는 분할되어 더욱 경량이며 운반용이함으로써, 소형선박 유지 및 보수시 조선소의 작업공간, 인력 및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경상비용이 절감되며, 조선소의 소형선박 수리 작업 시 작업환경 개선, 상가 작업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100)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의 부유프레임의 분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랜지 연결되는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의 부유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부유식 도크 110: 부유체
111: 수용홈 112: 고정판
120: 부유프레임 121: 플랜지
121a: 볼트 121b: 너트
121c: 막힘부 122: 부유체수용부
122a: 발판부재 122b: 가드레일
123: 안착부 123a: 안착부재
125: 보강재 F: 선박진입방향

Claims (5)

  1. 내측에 선택적으로 부유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선박이 수용가능한 간격의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부유체를 상기 선박의 저부가 부유되도록 틀체 구조로 연결하되, 내측에 부유공간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분해 및 조립되며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부에 구비되는 플랜지에 의해 밀폐된 부유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프레임은 상기 플랜지에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하부가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이고, 상기 부유되는 공간에 해수가 선택적으로 펌핑되는 펌프가 배관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중량이 감소되고 강성을 가지는 FRP제를 포함하는 강화 플라스틱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프레임은 내식성을 갖는 철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틀체 구조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보강되도록 소정의 위치에 보강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KR1020080129268A 2008-12-18 2008-12-18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KR10092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268A KR100925836B1 (ko) 2008-12-18 2008-12-18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268A KR100925836B1 (ko) 2008-12-18 2008-12-18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836B1 true KR100925836B1 (ko) 2009-11-06

Family

ID=4156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268A KR100925836B1 (ko) 2008-12-18 2008-12-18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8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628B1 (ko) * 2009-11-30 2010-10-18 주식회사 송암아이템 물에 뜨는 편의시설
KR101141775B1 (ko) * 2010-02-10 2012-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상 부양식 선박용 세정장치
KR101206759B1 (ko) 2010-07-22 2012-12-04 김성근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20200012126A (ko) * 2018-07-26 2020-02-05 엠앤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 이동형 상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8024A (en) * 1997-04-04 1999-03-30 Big "O" Inc. Marine dock and flotation tank
KR20070104066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대명솔루션 소형 선박용 부선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8024A (en) * 1997-04-04 1999-03-30 Big "O" Inc. Marine dock and flotation tank
KR20070104066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대명솔루션 소형 선박용 부선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628B1 (ko) * 2009-11-30 2010-10-18 주식회사 송암아이템 물에 뜨는 편의시설
KR101141775B1 (ko) * 2010-02-10 2012-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상 부양식 선박용 세정장치
KR101206759B1 (ko) 2010-07-22 2012-12-04 김성근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20200012126A (ko) * 2018-07-26 2020-02-05 엠앤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 이동형 상가 장치
KR102087355B1 (ko) * 2018-07-26 2020-03-10 엠앤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상 이동형 상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3023B2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7762205B1 (en) Transport and use of prefabricated components in shoreline and floating structures
US4059065A (en) Semisubmersible loading mooring and storage facility
MXPA04007209A (es) Aparato celular de cilindros verticales y metodo de construccion.
JP5132435B2 (ja) 止水箱の設置方法および止水箱
KR100925836B1 (ko)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KR102196017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CN113226916A (zh) 海上结构物用浮体
JP2015031043A (ja) 可変勾配浮上式斜路桟橋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US7007620B2 (en) Modular ships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precast modular intermodal concrete shapes
KR100823140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KR20070104066A (ko) 소형 선박용 부선대
US20090067961A1 (en) Raised marina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150295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JP6928381B2 (ja) 浮体装置
JP2008049977A (ja) 浮船台
KR102404985B1 (ko) 수중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바지선
KR100911837B1 (ko) 고강도 바지선
KR102445095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주차장
EP4001090A1 (en) Pier module and pier
ES2913839A1 (es) Plataforma flotante para construcción de grandes estructuras de hormig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