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140B1 -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 Google Patents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140B1
KR100823140B1 KR1020070044835A KR20070044835A KR100823140B1 KR 100823140 B1 KR100823140 B1 KR 100823140B1 KR 1020070044835 A KR1020070044835 A KR 1020070044835A KR 20070044835 A KR20070044835 A KR 20070044835A KR 100823140 B1 KR100823140 B1 KR 10082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coupling
water
ai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4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체형상의 부유블록(10)이 결합부재(20)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부유블록(10)의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부재(20)가 끼워지도록 원형의 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는 에어튜브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결합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01)로 공기가 주입되면 중앙에 오목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02)를 중심으로 양측에 볼록부(203)(203')가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203)(203')가 상기 부유블록의 결합공(10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부유블록(10)이 결합부재(20)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수상부유구조물의 설치작업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고,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부유, 수상구조물, 블록, 에어튜브

Description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 부유블록{FLOATING STRUCTURE ON THE WATER USING AIR-TUBE AND FLOATING BLOCK FOR FLOA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유시설물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에 대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에 대한 상부 및 하부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에 대한 평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들이 측방향으로 결합되는 평단면 상태의 결합 설명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들이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평단면 상태의 결합 설명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들이 서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부유블록들이 결합되는 평단면 상태의 결합 설명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에어튜브인 결합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결합부재들이 연결로프에 의하여 연결된 평단면 상태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이 설치된 수상부유구조체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수상부유구조물 2 : 수상부유구조체
10 : 부유블록 20 : 결합부재
21 : 고무재층 25 : 연결로프
102 : 결합공 103 : 결합돌부
104 : 결합요부 201 : 공기주입구
202 : 오목부 203, 203' : 볼록부
본 발명은 수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유블록을 에어튜브인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한 수상부유구조물이 구비되어, 수상부유구조물의 설치작업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고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들은 주로 지상에 시설되기 때문에 안정된 구조로 시설되며, 최첨단 시공법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면서 도심 미관을 화려하게 이루도록 다양한 시설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이나 시설물들이 지상에 설치되기에는 지면이 한정되어 있으며, 또한 강이나 해안 등에 도강용 임시교, 해안 접안시설물, 선박 인양시설물, 해안공사설비용 임시설치구조, 해안 활주로, 해안도시 등 특별한 구조물을 시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수상에 다양한 형태의 수상구조물이 시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수상구조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15566호(부유 구조물, 부유 활주로 및 부교 설치 방법)를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용기(510)가 마련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는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활주로(500)의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활주로(500)는 상부의 활주로(530)가 부유용기(510) 내의 부력조(520)에 의하여 받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상부유구조물은 바다 위에 시설되는 것으로, 먼저 수상에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체가 시설되어야 하나, 부유용기(510)와 같이 거대한 부유체를 시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장비 및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 이 있다.
특히 시공에 앞서 단일 형태의 거대한 부유용기(510)를 지상에서 먼저 제조한 다음에, 해당 수상의 위치로 옮겨야 시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대한 부유용기(510)를 망망대해에 운반하여야 하고, 고정을 위한 시설물을 먼저 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부유구조물 시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공사비가 상당하게 소요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시설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부유구조물이 수상에 부유되도록 다수의 부유블록을 결합하여 이루어져, 수상부유구조물의 설치작업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부유블록을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고 다수의 부유블록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부재가 에어튜브로 구성되어,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이 수상에서 안정된 형태로 부유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나아가 각각의 부유블록이 서로의 결합돌부 및 결합요부에 의하여 흐트러지지 않고, 또한 각각의 결합부재들이 서로 연결로프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수상부유구조물 전체가 항상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은 함체형상의 부유블록(10)이 결합부재(2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수상부유구조물(A)에 있어서, 상기 부유블록(10)의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부재(20)가 끼워지도록 원형타입의 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는 에어튜브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결합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01)로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중앙에 오목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02)를 중심으로 양측에 볼록부(203)(203')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볼록부(203)(203')가 상기 부유블록의 결합공(102)에 끼워져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부유블록(10)은 전면부(101a), 후면부(101b), 좌면부(101c), 우면부(101d)의 결합면이 형성된 사각함체형상으로 되어, 상기 전면부(101a) 및 우면부(101d)에는 사각형상의 결합돌부(103)가 형성되고, 후면부(101b) 및 좌면부(101c)에는 상기 결합돌부(103)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결합요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블록(10)은 전면부(101a), 후면부(101b), 좌면부(101c), 우면부(101d)의 결합면에는 체결공(105)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05)에 체결부재(30)가 끼워져 하나의 부유블록(10)과 다른 부유블록(1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0)의 양측에는 고리부(24)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24)에 연결로프(25)가 연결되어 다른 부유블럭와 결합되는 다른 결합부재(20)의 고리부(24)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부유구조물(A)이 다수의 부유블록(10)이 서로 결합되어져 구비되어지되, 상기 부유블록(10)은 함체형상으로 다수의 결합면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면에는 결합부재(20)와 결합되는 결합공(102)이 형성되며, 상기 부유블록(10)은 다수의 결합돌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03)와 대응되는 결합요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부유구조물용 부유블록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이러한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이 설치된 수상부유구조체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에 대한 상부 및 하부의 사시도로, 도 3a에서는 볼록 형태의 결합돌부가 형성된 결합면을 보이고 있고, 도 3b는 오목 형태의 결합요부가 형성된 결합면을 각각 보이도록 도시된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에 대한 평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6b는 각각 부유블록들이 서로 결합되어 수상부유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들이 측방향으로 결합되는 평단면 상태의 결합 설명 예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들이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평단면 상태의 결합 설명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들이 서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부유블록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부유블록들이 결합되는 평단면 상태의 결합 설명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나아가 도 10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에어튜브인 결합부재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의 결합부재들이 연결로프에 의하여 연결된 평단면 상태의 예시도로, 도 11a는 고리부가 고리 형상을 한 것이고, 도 11b는 고리부가 판상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A)는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유블록(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상부유구조물(A) 상부의 상판(3) 상측으로 구비된 상부구조부(4)을 포함하여 수상부유구조체(2)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수상부유구조체(2)의 상부구조부(4)가 수상에 부유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거나 구조물 등을 형성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부유구조체가 부교와 같은 다리로 이용될 수 있으며, 크레인과 같은 장비가 구비될 경우에는 강 또는 바다에서 다른 물건을 건져 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체(2)가 방파제로 이용될 경우에는, 상부에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도로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해안 항구를 둘러지도록 형성하여, 파도의 표면파가 항구 내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 항구시설물이 파손되 지 않도록 하면서, 수상에 부유된 수상부유구조체(2)의 아래로는 해수가 항상 자유로이 흐르도록 하여, 결국 항구 내의 물이 고여있지 않아 썩지 않고 항상 신선한 상태의 항구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A)이 다층으로 결합되는 등, 대형 구조물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안정된 형태로 유지되도록 구비하여, 공항의 해안 활주로 또는 해양 도시의 기저체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해안 토목 시설물을 건설하거나 해안 시설물을 보수할 경우에, 수상부유구조물(A)이 다수의 부유블록(10)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크레인, 발전시설, 임시기지 등으로 이용되도록 하고, 작업이 종료되면 시설물을 철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수상 구조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A)이 수상에 부유되도록 하는 다수의 상기 부유블록(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유블록(10)은 첨부된 도면에서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구형상, 타원형상 및 다면체 형상의 함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결합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결합면에는 결합부재(20)와 결합되는 결합공(102)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유블록(10)은 콘크리트재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부유블록(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내부 심이 구성되는 것으로, 철근으로 배근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식성 코팅재로 코팅된 철근 또는 내부식성 금속으로 배근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분 또는 바닷물에 의하여도 금속의 내부 심이 부식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부유블록(10)은 발포성 콘크리트로 구비될 수 있고, 일반 콘크리트재에 스치로폴 등으로 하는 가벼운 소재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중에 가볍게 부유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부유블록(10)은 경량의 합성수지재 또는 중공의 내부식성 금속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하 또는 좌우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부유블록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분할된 부분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재, 금속재 또는 콘크리트재로 구비될 경우 금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되어 조립될 수 있다.
특히 단시간의 공사기간을 갖는 수상 시설물에 적용될 경우에는, 부유블록(10)을 이루는 재질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연분해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공사가 종료된 후에 그대로 두어도 자연분해되어 별도로 매립하는 등 자연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결합부재(20)는 에어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수상부유구조물(A)은 상기 결합공(102)에 결합된 다수의 상기 결합부재(20)에 의하여 다수의 상기 부유블록(10)들을 서로 연결하여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부유블록(10)을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부재(20)가 에어튜브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상부유구조물(A)이 항상 수상에 떠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부유블록(10)도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여, 수상부유구조물(A)이 수상에 안정되게 부유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부유블록(10)의 재질 및 결합부재(20)인 에어튜브의 형 상 등은 수상부유구조물(A)의 설치 상황에 따라 알맞게 조절되어 선택되어질 수 있음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기 부유블록(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다수의 결합면을 형성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러한 결합면은 곡면 또는 평면으로 되는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되는 도면에서는 다면체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특히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부유블록(10)의 결합면은 전면부(101a), 후면부(101b), 좌면부(101c), 우면부(101d), 상면부(101e), 하면부(101f)로 되는 육면체의 사각함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부유블록(10)을 결합하기 위한 형상이라면 구형상, 삼각뿔형상 또는 다른 모양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A)의 부유블록(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부유블록(10)의 결합면은 결합부재(20)와 결합되는 결합공(102)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공(102)은 평평한 결합면에 대해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20)가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공(102)이 단일로 형성되어 다수의 부유블록(10)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결합조건에 따라 대응되는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공(102)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의 예시로 설명하면 일측 결합면인 우면부(101d)로는 돌출형성되는 결합돌부(103)가 형성되고, 타측 결합면인 좌면부(101c)로 상기 결합돌 부(103)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요부(10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공(102), 결합돌부(103) 및 결합요부(104) 등은 하나의 부유블록(10)에 양면으로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육면체의 예에서는 육면 모두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측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만 서로 부유블록(10)이 연속해서 결합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측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에 걸쳐 다수의 부유블록(10)이 다수의 층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수상부유구조물(A)이 구비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부유블록(10)이 측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등으로 다수의 층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하나의 커다란 수상부유구조물(A)을 형성할 경우에는, 커다란 수상부유구조물(A)을 기저로 하는 수상부유구조체(2)가 활주로 또는 해안 시설구조물 등과 같이 거대한 해양 시설물로 시설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상에 부유되는 수상부유구조물(A)에 의하여 수상부유구조체(2)가 수상에 부유되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수상부유구조물(A)이 다수의 부유블록(10)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20)는 다수의 상기 부유블록(10)의 결합공(102)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20)는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고무재로 되는 고무재층(21)이 단일 층 또는 복수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무재층(21)의 내에는 섬유의 벨트층(22) 및 금속망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에어튜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섬유의 벨트층(22) 또는 금속망층(23)은 고무재층(21)에 각각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으로 되어, 단독 또는 서로 섞여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상에 부유될 수 있으며 다수의 부유블록(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부재이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에어튜브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의 부풀어진 팽창 상태에서는, 중앙에 오목부(202)가 형성되고, 오목부(202)의 양측으로 각각 볼록부(203)(203')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바람이 빠진 상태에서는 오목부(202) 및 양측의 볼록부(203)(203)가 오그라진 상태가 되고, 에어튜브인 결합부재(20)의 공기주입구(201)를 통하여 바람을 넣으면 오목부(202) 및 양측의 볼록부(203)(203')가 부풀어오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튜브의 공기는 다수의 부유블록(10)들을 서로 결합시키면서 전체 수상부유구조물(A)을 수상에 부유되도록 하는 부력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에어튜브인 결합부재(20) 내로 주이되는 바람은 일반 공기 및 특정 가스, 특히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부재(20)의 금속망층(23)은 수분 또는 바닷물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식성 금속재 또는 내부식성 금속코팅제에 의하여 코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혹여 고무재층(21)의 고무재가 일부 탈피가 되어 금속망층(23)이 수중 또는 바닷물에 노출되어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부재(20)가 내부에 벨트층(22) 또는 금속망층(23)을 포함한 고무재층(21)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센 물살에도 파손되지 않고 부유블록(10)을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결합부재(20)는 부유블록(10)을 연결하기 전에는, 내부에 공기 가 없기 때문에 축 늘어진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부유블록(10)들을 결합위치에 놓은 후, 결합공(102)에 에어튜브인 결합부재(20)를 위치시킨 후, 결합부재(20)의 공기주입구(201)를 통하여 에어펌프(5)로부터 공기를 주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결합부재(20)는 아령 형상 또는 투에코치형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튜브로 구비되기 때문에, 양측의 볼록한 볼록부(203)(203')가 양측의 부유블록(10)의 결합공(102) 내부에 위치되고, 결합부재(20)의 중앙인 오목부(202)은 부유블록(10)의 결합공(102)에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부재(20)의 양측 볼록부(203)(203')는 부유블록(10)의 결합공(102)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결합부재(20)는 도 9의 예에서와 같이, 오목부(202)에서 양측의 볼록부(203)(203')로 이어지는 부분에 단턱인 걸림턱(204)을 형성하여, 내부의 공기에 의하여 부풀어진 에어튜브인 결합부재(20)와 양측의 부유블록(10)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0)인 에어튜브 내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부유블록(10)의 결합공(102) 내주연과 접촉되는 오목부(202)의 외주면 형상에 원형의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공(10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A)에 대해, 다수의 부유블록(10)이 결합부재(20)에 의하여 결합체를 이룬 상태에서는, 각각의 결합부재(20)들이 서로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다수의 상기 부유블록(10)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상기 결합부재(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고리부(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리부(24)는 상기 결합부재(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프(2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를 결합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이에 결합부재(20)에 돌출형성되는 고리부(24)는 도 11a와 같이 환형고리 형상인 고리부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도 11b와 같이 연결판 형상의 판 고리부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다수의 부유블록(10)을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20)에 대하여, 결합부재(20)들이 서로 연결로프(25)에 의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부유블록(10)이 분리되지 않아 수상부유구조물(A)의 전체 결합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연결로프(25)는 로프, 사슬 및 체인 등의 유동성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볼트, 막대와 같은 유동방지 형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로프(25)는 수분 또는 바닷물 등에 대하여 내부식성 재질 또는 내부식성용 코팅제로 코팅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부유블록(10)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상기 부유블록(10)은 상기 체결부재(30)와 결합되는 체결공(105)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30)는 로프, 볼트, 사슬 및 체인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체결부재(30)는 수분 또는 바닷물에 부식되지 않는 내부식성 재질로 구비되고, 금속, 합성수지재, 금속을 내재하는 합성수지재 및 천연섬유질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는 상기 체결부재(30)가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서로 결합되는 부유블럭(10)들이 해안의 파도에 의하여도 유동됨이 없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로프, 사슬 및 체인 등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양측 부유블럭(10)의 체결공(105)을 지나는 로프의 양측이 각 부유블럭(10) 내부공간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로프의 경우 양측 끝단이 체결공(105)의 구멍 크기보다 큰 매듭 또는 걸림뭉치 등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해양의 파도 등에 의하여 유동되는 거대한 부유블럭(10)이 얼마간의 유동이 있어 파도에 의한 요동의 힘이 수상부유구조물(A)에서 상쇄되고 상부의 수상부유구조체(2)에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로프, 사슬 및 체인 등으로 구비되어 부유블록(10) 들이 서로 유동되도록 구비될 경우에는, 부유블록(10)의 외면이 단단한 재질로 구비하기 보다는 탄성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거나 부유블록(10)이 고무재, 합성수지재 및 우레탄 등의 탄성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돌부(103) 및 결합요부(104) 등의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A)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A)은 우선 수상에 부유되는 다수의 부유블록(10)을 결합하여 부유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상부유구조물(A)의 조립과정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형성된 부유블럭(10)을 준비하여, 도 5a 내지 도 5c에서 같이 부유블록(10)을 측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b에서와 같이 이러한 다수의 부유블 록(10)의 측방향으로 결합되어진 결합체를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수상부유구조물(A)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측방향으로 먼저 조립하고 나서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조립하는 순서로 하지 않고,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먼저 조립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이는 수상부유구조물(A) 및 수상부유구조체(2)의 형성 조건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5a 내지 도 6b의 예에 따른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a와 같이 두 개의 부유블록(10-1)(10-2)을 서로 대면하는 측의 결합면인 좌면부(101c) 및 우면부(101d)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양측 부유블록(10-1)(10-2)들의 결합공(102)에 에어튜브인 결합부재(20)를 위치시킨 후, 결합부재(20)의 공기주입구(201)에 에어펌프(5)의 에어호스(6)를 연결하게 된다.
이후 에어펌프(5)를 작동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결합부재(20)는 도 5b와 같이, 양측 볼록부(203)(203')가 양측 부유블록(10-1)(10-2)의 내부 공간에서 부풀게 되며, 결국 양측 볼록부(203)(203')에 의하여 양측 부유블록(10-1)(10-2)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다시 일측 부유블록(10-2)의 측방향으로 연속되게 다른 부유블록(10-3)을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시키면, 도 5b 및 도 5c와 같이 다수의 부유블록(10)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의 결합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좌우 측방향으로 결합된 결합체를 전후 방향으로 다시 결합시키면 넓 은 평면의 부유블록 결합체인 수상부유구조물(A)이 제조되는 것이다.
즉 도 6a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부유블록의 결합체(10a)(10b)들을 전후로 위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결합공(102)에 결합부재(20)를 위치시킨다. 이때 결합부재(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결합공(102)에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에어펌프(5)의 에어호스(6)를 각각의 결합부재(20)의 공기주입구(201)에 결합한 상태에서 에어펌프(5)를 작동하면, 각각의 결합부재(20)는 점점 부풀어 올라, 도 6b와 같이 상하의 부유블록 결합체(10a)(10b)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다수의 부유블록(10)들을 서로 결합시켜 수상부유구조물(A)을 이루는 것이며, 이에 좀더 안정되고 커다란 크기의 수상부유구조물(A)을 형성하기 위하여, 좌우,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하여 커다란 구조물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도 8 및 도 9에서는 부유블록(10)의 일측 결합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돌기(124) 및 결합홈(124')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다수의 부유블록(10)들이 서로 대응되는 결합돌기(124) 및 결합홈(124')이 서로 상대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와 끼움결합되어, 결합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블록(10)들이 서로 뒤틀어지지 않고 안정된 결합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부유구조물이 수상에 부유되도록 다수의 부유블록을 결합하여 이루어져, 수상부유구조물의 설치작업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부유블록을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고, 다수의 부유블록이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에어튜브로 구성하여 본 발명 수상부유구조물이 수상에서 안정된 형태로 부유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각각의 부유블록이 서로의 결합돌부 및 결합요부에 의하여 흐트러지지 않고, 또한 각각의 결합부재들이 서로 연결로프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수상부유구조물 전체가 항상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여, 활주로 또는 수상건물과 같은 안정도가 중요한 구조물도 시설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함체형상의 부유블록(10)이 결합부재(2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수상부유구조물(A)에 있어서,
    상기 부유블록(10)의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부재(20)가 끼워지도록 원형타입의 결합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20)는 에어튜브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결합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201)로 공기가 주입되어 중앙에 오목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02)를 중심으로 양측에 볼록부(203)(203')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볼록부(203)(203')가 상기 부유블록의 결합공(102)에 끼워져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블록(10)은 전면부(101a), 후면부(101b), 좌면부(101c), 우면부(101d)의 결합면이 형성된 사각함체형상으로 되어, 상기 전면부(101a) 및 우면부(101d)에는 사각형상의 결합돌부(103)가 형성되고, 후면부(101b) 및 좌면부(101c)에는 상기 결합돌부(103)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결합요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블록(10)은 전면부(101a), 후면부(101b), 좌면부(101c), 우면부(101d)의 결합면에는 체결공(105)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05)에 체결부재(30)가 끼워져 하나의 부유블록과 다른 부유블록이 서로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의 양측에는 고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24)에 연결로프(25)가 연결되어 다수의 부유블럭과 결합되도록 다른 결합부재의 고리부에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5. 삭제
KR1020070044835A 2007-05-09 2007-05-09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KR10082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835A KR100823140B1 (ko) 2007-05-09 2007-05-09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835A KR100823140B1 (ko) 2007-05-09 2007-05-09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140B1 true KR100823140B1 (ko) 2008-04-21

Family

ID=3957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835A KR100823140B1 (ko) 2007-05-09 2007-05-09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1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857A (ko) * 2015-02-06 2016-08-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물놀이 튜브 어셈블리
KR20200127564A (ko) 2019-05-03 2020-11-11 주창혁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2196017B1 (ko) 2020-07-08 2020-12-29 (주)경남해양테크 수상 부유 구조물
KR102368919B1 (ko) * 2021-01-13 2022-03-02 (주)지오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2368917B1 (ko) * 2021-01-13 2022-03-03 (주)지오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285A (en) 1990-04-16 1991-11-26 Progressive Blasting Systems, Inc. Seal belt assembly for compartments in which blasting, spraying and the like operations are performed
JPH0858683A (ja) * 1994-08-18 1996-03-05 Maeda Okugai Bijutsu Kk 浮島用浮ブロック
JPH0881934A (ja) * 1994-09-09 1996-03-26 Kasahara Kogyo Kk 浮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US5682833A (en) 1995-07-11 1997-11-04 Jet Dock Licensing, Inc. Floating drive-on dry dock assembly
KR200336382Y1 (ko) 2003-07-04 2003-12-24 맹용주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KR200336358Y1 (ko) 2003-07-04 2003-12-24 맹용주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285A (en) 1990-04-16 1991-11-26 Progressive Blasting Systems, Inc. Seal belt assembly for compartments in which blasting, spraying and the like operations are performed
JPH0858683A (ja) * 1994-08-18 1996-03-05 Maeda Okugai Bijutsu Kk 浮島用浮ブロック
JPH0881934A (ja) * 1994-09-09 1996-03-26 Kasahara Kogyo Kk 浮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US5682833A (en) 1995-07-11 1997-11-04 Jet Dock Licensing, Inc. Floating drive-on dry dock assembly
KR200336382Y1 (ko) 2003-07-04 2003-12-24 맹용주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KR200336358Y1 (ko) 2003-07-04 2003-12-24 맹용주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857A (ko) * 2015-02-06 2016-08-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물놀이 튜브 어셈블리
KR101706984B1 (ko) 2015-02-06 2017-02-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물놀이 튜브 어셈블리
KR20200127564A (ko) 2019-05-03 2020-11-11 주창혁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2196017B1 (ko) 2020-07-08 2020-12-29 (주)경남해양테크 수상 부유 구조물
KR102368919B1 (ko) * 2021-01-13 2022-03-02 (주)지오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2368917B1 (ko) * 2021-01-13 2022-03-03 (주)지오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5047B2 (en) Energy dissipator
KR100823140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JP4060790B2 (ja) モジュール方式の海上構造体
KR101095278B1 (ko) 부력조정과 변형이 가능한 폰툰용 패널 및 부력체 결합 방법
JP2006298207A (ja) 浮体構造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CN107628208B (zh) 适用于组合构建大型水上浮平台的预铸浮筒
CN114182764B (zh) 一种基础防冲刷装置及施工方法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Wang et al. Great ideas float to the top
US7007620B2 (en) Modular ships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precast modular intermodal concrete shapes
KR101252709B1 (ko) 부력 프리플렉션을 갖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925836B1 (ko)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CN101230558A (zh) 一种浮式景观斜拉桥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oh et al. The floating platform at the Marina Bay, Singapore
KR20110072756A (ko) 신속설치 및 이동가능한 방파제 구축용 부유체 및 이에 의하여 조립되어 형성되는 부유식 방파제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ITRM980284A1 (it)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ei muri di guardia dei porti e di scogliere artificiali entrambi amovibili dopo la
KR102445095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주차장
KR20130055512A (ko) 교각 수중 기초 구조물 보수 및 보강용 저면 차수 드라이 케이싱 작업대
EP3879035A1 (en) Marine foundation, arrangement, use of a marine foundation and method of installing and de-installing a marine foundation
CN110700189A (zh) 勾连体及具有其的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