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358Y1 -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358Y1
KR200336358Y1 KR20-2003-0021582U KR20030021582U KR200336358Y1 KR 200336358 Y1 KR200336358 Y1 KR 200336358Y1 KR 20030021582 U KR20030021582 U KR 20030021582U KR 200336358 Y1 KR200336358 Y1 KR 200336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ole
schiropol
pres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용주
Original Assignee
맹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용주 filed Critical 맹용주
Priority to KR20-2003-0021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체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6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스치로폴 또는 폴리우레탄이 충진되고, 그 육면체의 전후, 좌우엔 통공(12)이 형성되는 박스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박스의 상,하면에도 통공(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박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floating unit structure possible to assemble}
본 고안은 발포체 예들들어, 스치로폴 또는 폴리우레탄과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조립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력재의 경우 나무, 스틸박스, 플라스틱 박스, 고무 비닐계 재료, E.P.S 재료 등등 여러 재료가 많이 사용되나 이들은 각각의 고유한 단점이 있다
예들들어, 나무의 경우 목선, 뗏목, 바지선 등에 사용되며 이들은 비록 내구성은 좋은나 물 접촉면을 반드시 방청처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틸재질로 만드는 부력제품으로는 대형 선박, 바지선이 있으며 그리고 사용처에 따라 드럼통을 여러개 연결하여 생업에 이용하는 것들이 있으나, 이러한 스틸 재료의 부력재는 고도의 용접 기술이 필요하고 부식에 대한 방청이 필요하고 제조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보트, 플라스틱통 형태로 이루어진 부자 등이 있으며 이들은 성형성이 좋으며 내구성도 좋으나 동절기 민물에 설치되는 이들 부력 재질은 물의 결빙에 따른 압축력에 의해 파손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무 비닐계의 재료 경우, 고무보트나 놀이용 튜브, 전시용 부교의 하부 부력재로 사용되며 이들은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찢어짐에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E.P.S(스치로폴) 경우, 여러 부자로 이용되며 이들 재질의 부자를 연결하여 예들들어, 상판을 만들어서 민물 좌대 등으로 사용되나 이들 재질로는 외부 충격에 약하고, 강한 일사에 장기 노출되면 부스러지며 그에 따라 부스러진 부스러기가 수면에 떠다니므로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 하지 못하다
스치로폴은 저렴한 가격과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초 한때 공해물질로 오인되어 일부 사용이 억제되었던 때도 있었다.그러나 1996년이후 스치로폴은 재활용 분리수거품목으로 공식 지정되었으며 뛰어난 편리성 만큼이나, 재활용 또한 용이하다. 이러한 스치로폴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원료를 투입하고 발포기로 규격별로 발포하고 사이로에서 일정시간 숙성 시킨 후, 규격별로 성형한다. 그리고 성형된 제품을 건조하고 규격별치수별 재단하며, 검사하고 출하한다
참고로 예들들면, 좌대나 양식장에 사용되는 부력 작업대 경우, 하부에 드럼통을 연결하여 만든 것 또는 플라스틱 통을 연결하여 만든 것이 있으며 또는 스치로폴을 천으로 싸서 만든 것도 있다. 스치로폴을 천으로 싸는 이유는 스치로폴은 일사에 약하기 때문에 부스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부력 좌대나 작업대 경우, 드럼통은 그 자체가 무거워 충분한 부력을 방생하지 못하고 녹이 생기는 단점 있고 플라스틱은 겨울철 수면이 동결시 파손이 생기며 스치로폴은 약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종래의 부력 재질들이 갖는 모든 단점을 보완하여, 플라스틱의 양호한 성형성과 견고성을 이용하고 가볍고 저렴한 스치로폴을 이용하되 스치로폴의 일사에 약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을 단위 블록을 만들어, 조립형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여러 부체 또는 건축물의 비내력벽 간막이로 적용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부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다른 실시예
도 3a 는 도 1,2 의 과정을 거쳐 나온 박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b 는 도 3a 로 제조할때 사용되는 틀이 도시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를 연결하여 특정 물품을 만드는 예들 든 도면
도 6 은 도 5 의 테두리에서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발포체 예들들어, 스치로폴 또는 폴리우레탄과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6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스치로폴 또는 폴리우레탄이 충진되고, 그 육면체의 전후, 좌우엔 통공(12)이 형성되는 박스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박스의 상,하면에도 통공(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박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박스의 통공에는 체결봉(14)에 의하여 여러개의 박스가 상호 연결되고, 연결된 박스의 최외각 모서리에는 엘보(100)가 설치되고, 그 엘보(100) 사이에는 박스의 통공에 삽입되는 "T" 형상의 삽입핀(102)이 설치되고, 이 삽입핀(102) 사이에는 연결간(101)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추가로 상술한다
본 고안에서는 압축공기 분사식으로 예들들어, 공지된 에어건 등으로 스치로폴 또는 폴리우레탄을 박스에 주입한다. 주입되는 박스(1)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다
사용되는 스치로폴은 특히 아이소 핑크(isopink)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핑크색을 띄고 있으며, 건축용,포장용 스티로폼 중 입자의 밀도, 경도가 높고 방수성이 매우 양호하다
박스(1)는 그 상부에 주입구(2)와 배기구(3)를 형성한다. 주입구(2)를 통하여 발포체(이하, 편의상 스치로폴만 한정하여 설명한다)을 주입하고 그 주입하는 과정 중에 그 박스(1) 내부의 공기는 배기구(3)로 배출된다.
이런 배기구(3)가 없으면 주입구(2)를 통한 스치로폴의 주입이 원활하지 이루어지지 못한다. 배기구(3)가 지나치게 작으면 에어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크면 스치로폴이 이곳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배기구를 크게 할 경우엔 그 배기구(3)에 망체(4)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2 와 같이 미세한 통공(5)을 형성시켜도 좋다
박스(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지므로 이 내부에 충진된 발포된 스치로폴을 숙성시킨다. 이 숙성 과정에서 스치로폴이 팽창 된다. 이때 스치로폴이 주입구(2)나 배기구(3)를 통해 배출되지 않게 마개를 막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박스(1)의 외체적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박스(1)의 외주에 박스(1)가 더 이상 팽창하지 못하도록 하는 틀(6)을 형성시킨다.
즉, 틀(6)에 박스(1)을 넣은 후 스치로폴을 주입하여 숙성시킨 후 틀(6)을 해체하면 박스(1) 내에 스치로폴이 충진된 제품이 나온다
도 3a 은 박스(1)의 형상을 예시한 것이고 도 3b 는 도 3a 를 제조할때 사용된 틀을 예시한 것이다
도 3a 에서 보듯이 박스(1)의 사방에 긴 통공(12)을 형성시켰다. 필요에 따라 상,하도 통공(1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공(12)을 형성시키기 위하여는 박스(1) 자체가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그리고 이 주위를 둘러싸는 틀(6)에는 통공을 메워 주는 돌출부(61)가 있어야 한다
도 4 는 상기한 도 3a 의 통공을 단면상으로 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작할 경우, 통공(12)에 체결봉(14) 등을 체결하여 상호 여러 개를 상하, 좌우전후로 연결할 수 있다. 이 통공(12,13)은 도면과 같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통공으로 만들거나 또는 관통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도 5 은 도 3a 과 같은 형태의 박스를 여러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의 통공(12)을 통하여 체결봉(14)을 끼워 여러개를연결하였다. 그리고 그 외곽 테두리 모서리에는 엘보(100)을 설치하고 테두리에 있는 박스의 통공(12)에는 삽입핀(102)을 형성시키고, 그 삽입핀(102)들 사이에는 연결간(101)을 연결한다
도 6 에서 보듯이, 삽입핀(102)은 " T " 형상으로 이루어져 통공(12) 내에 깊숙이 삽입 고정되고 그 삽입핀(102)의 머리부에는 개구(103)가 형성되어 이 개구(103)를 통하여 연결간(101)이 삽입되어 조립식으로 연결된다
모서리에 있는 엘보(100)에도 연결간(101)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만들면 사방으로 빙둘러 조립식으로 구조물이 완성된다
예들들어 이러한 구조물을 낚시 좌대로 이용할 수 있다
낚시 좌대로 이용할 경우, 그 상면에 다른 목재들을 깔고 그 위에 바닥재를 깔고 그 위에 각종 시설물 등을 설치할 수 있다
그 외 예들들어, 긴급히 사용 가능한 부교나, 가두리 양식장의 관리를 위한 부교, 수상작업용 발판, 간이칸막이, 바지선 대용물, 간이뗏목, 선박, 간이선착장 부교등등에 필요한 구조물로 필요에 따라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단위 스치로폴 또는 폴리우레탄 조립체를 만들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을 이용하여, 소정의 크기로 예들들어, 가로,세로 900mm, 높이 600mm 등과 같이 표준화, 모듈화 한다면 소정의 구조물로 만들거나 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되는 부체는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고 성형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즉 스치로폴이 갖는 부스러짐의 단점과 플라스틱이 갖는 수면 동결시 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만을 갖춘 부체이다
또한 종래 여러개의 부력재(예들들어 드럼통이나 스치로폴)를 프레임으로 연결하고 그 위에 바닥재를 깔고 만드는 구조물에 비해,매우 신속하게 구조물을 만들어 낼 수 있어, 공사비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범위 내에서의 변형 등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예들들어 스치로폴 대신 폴리우레탄(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조하는 것 역시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6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스치로폴이 충진되고, 그 육면체의 전후, 좌우엔 통공(12)이 형성되는 박스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스의 상,하면에도 통공(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스의 통공에는 체결봉(14)에 의하여 여러개의 박스가 상호 연결되고, 연결된 박스의 최외각 모서리에는 엘보(100)가 설치되고, 그 엘보(100) 사이에는 박스의 통공에 삽입되는 "T" 형상의 삽입핀(102)이 설치되고, 이 삽입핀(102) 사이에는 연결간(101)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KR20-2003-0021582U 2003-07-04 2003-07-04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KR200336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582U KR200336358Y1 (ko) 2003-07-04 2003-07-04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582U KR200336358Y1 (ko) 2003-07-04 2003-07-04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358Y1 true KR200336358Y1 (ko) 2003-12-24

Family

ID=4934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582U KR200336358Y1 (ko) 2003-07-04 2003-07-04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35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40B1 (ko) 2007-05-09 2008-04-21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KR101349869B1 (ko) * 2011-12-30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 장치
KR101349868B1 (ko) * 2011-12-28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 장치
KR101349870B1 (ko) * 2011-12-30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 장치
US10131497B2 (en) 2011-07-26 2018-11-20 Samsung Heavy Ind. Co., Ltd. Apparatus for suppressing slosh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40B1 (ko) 2007-05-09 2008-04-21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에어튜브를 이용한 수상부유구조물, 수상부유구조물용부유블록
US10131497B2 (en) 2011-07-26 2018-11-20 Samsung Heavy Ind. Co., Ltd. Apparatus for suppressing sloshing
KR101349868B1 (ko) * 2011-12-28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 장치
KR101349869B1 (ko) * 2011-12-30 2014-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 장치
KR101349870B1 (ko) * 2011-12-30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423B1 (ko) 수상 부유구조체
US3448709A (en) Marine float construction
KR100880853B1 (ko) 이피에스를 이용한 부력체 및 이 부력체를 이용한 폰툰
KR102205978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 및 그 제조방법
US4041716A (en) Support structure for a floatable marine dock
US3093847A (en) Reinforced fiber glass structure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KR200447350Y1 (ko)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200336358Y1 (ko)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KR101122060B1 (ko) 중심홀이 천공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101694406B1 (ko) 요동저감형 해상 부유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34010B1 (ko) 어망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어망용 부구
US3193855A (en) Aquatic float and assembly
KR101180822B1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KR200336382Y1 (ko) 조립 가능한 단위 부체 구조
RU62578U1 (ru) Пла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KR100561596B1 (ko) 플라스틱과 발포체을 이용한 단위 부체 제조 방법
US4867093A (en) Pontoon
KR20110020573A (ko)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보강 경량콘크리트 폰툰
KR101445373B1 (ko) 푼툰
JP2012011992A (ja) アルミ構造柱による浮島造成工法
KR200197794Y1 (ko) 소파와 해수순환 기능을 구비한 직립블럭방파제
US6786165B2 (en) Ponto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KR101217143B1 (ko) 부직포와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이 도포된 부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