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759B1 - 소형 선박 부양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선박 부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759B1
KR101206759B1 KR1020100070832A KR20100070832A KR101206759B1 KR 101206759 B1 KR101206759 B1 KR 101206759B1 KR 1020100070832 A KR1020100070832 A KR 1020100070832A KR 20100070832 A KR20100070832 A KR 20100070832A KR 101206759 B1 KR101206759 B1 KR 10120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orage chamber
tank storage
main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082A (ko
Inventor
최학선
홍석원
Original Assignee
김성근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102010007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선박 부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 양쪽 상면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형 박스형태로 짜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탱크수납실과; 상기 탱크수납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단부가 각각 고정된 선박거치용 거치부재와; 상기 탱크수납실을 구성하는 프레임중 일부와 고정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동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각 탱크수납실에 갇힌 상태로 고정되고, 공기공급원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거나 빼낼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기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리나에 정박하고 있는 고급 보트 또는 요트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출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간단한 설비와 쉬운 조작을 통해서도 정박중인 선박을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으며, 공기량 제어를 통해 트림 및 롤링 각도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선박 부양장치{APPARATUS FOR LIFTING SMALL SHIP}
본 발명은 소형 선박 부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내의 소형 선박이 정박시 파도에 의한 피해 및 배들끼리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선박을 육지로 인양하지 않고도 수면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수리, 청소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소형 선박 부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선박인 보트(Boat)나 요트 등은 해양레저 수단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해양환경은 육상의 환경조건과 달라서, 항상 선체가 해수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해양 생물들이 선체에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사용 전,후 항상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마리나(marina)가 건립되고 있다.
여기에서, 마리나(marina)는 요트나 레저용 보트의 정박시설과 계류장을 말하는 것으로, 해안의 산책길, 상점 식당가 및 숙박시설 등을 갖춘 항구를 말한다.
통상 마리나에서는 보트나 요트를 수리하거나 혹은 선박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용도 등을 이유로 관리가 필요한 경우 대부분 선박을 육상으로 인양하게 된다.
따라서, 수리, 청소 등을 위해 보트나 요트 등의 소형 선박을 육상으로 출수하기 위한 인양설비들을 대단위 규모로 갖추어야 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진수를 위해서는 인양설비를 다시 가동해야 하여 이중의 작업이 소요되므로 번거로움과 시간 낭비가 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해상에 계류중인 선박, 특히 보트나 요트 등을 육상으로 인양하지 않고, 해상에서 계류중인 상태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부양시켜 놓은 상태에서 수리, 청소 등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해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해양 생물이 선박의 바닥(수중부)에 부착(Bio Fouling)되지 않도록 한 소형 선박 부양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 양쪽 상면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형 박스형태로 짜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탱크수납실과; 상기 탱크수납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단부가 각각 고정된 선박거치용 거치부재와; 상기 탱크수납실을 구성하는 프레임중 일부와 고정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동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각 탱크수납실에 갇힌 상태로 고정되고, 공기공급원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거나 빼낼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기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는 와이어로프, 체인, 벨트, 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 일부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탱크는 공기공급원과 호스 또는 배관으로 연결되고, 각각 솔레노이드밸브를 갖추어 주입되는 공기량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프레임과 탱크수납실 사이에는 이들을 사선방향으로 각각 연결 접합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대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마리나에 정박하고 있는 고급 보트 또는 요트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출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간단한 설비와 쉬운 조작을 통해서도 정박중인 선박을 용이하게 공기로 부양(Lifting)시킬 수 있으며, 공기량 제어를 통해 트림 및 롤링 각도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의 예시적인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적인 샘플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는 다수의 공기탱크를 구비하고, 이 공기탱크로 입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부력에 변화를 줌으로써 정박중인 보트 혹은 요트와 같은 선박을 출수시켜 공기중으로 부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대부분의 고급 보트나 요트 등이 해상에서 운항되는 것 보다 마리나와 같은 곳에 정박 또는 해상에 계류중인 상태나 인양기에 의해 육상으로 인양된 후 육상에서 장기간 보관 유지되는 상태가 길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 완성된 것이다.
이때, 계류중이거나 정박 또는 육상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은 이유로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보통 계절적인 특성, 바다의 날씨 등이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는 공기 주입량을 공기탱크별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트림(Trim) 및 롤링(Rolling) 각도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는 공기 부상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중과 수면에서 공기중으로 노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표면장력 효과를 감쇠시키는 장점도 가지며, 크기는 대상 선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엮인 격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마리나 인접 해상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폭방향 양측 상면에는 다수의 프레임들이 세워고정되어 일체화 된 대략 사각형상의 탱크수납실(2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탱크수납실(200)은 사각박스 형상을 이루되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프레임들이 엮여 형성된 격자형이므로 내부로 물이 들어갈 수 있도록 다수의 열린공간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탱크수납실(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없이 연속설치되는 형태로 다수개 구비되는데, 연하여 설치되는 형태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다른 탱크수납실(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부력을 더욱 크게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4개의 탱크수납실(200)이 다른 탱크수납실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대상 선박(크기, 중량 등)에 따라 상기 탱크수납실(200)은 최소한 4개 만으로도 운용가능하나 4개 이상을 구비함이 더욱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수납실(200)의 일측과 상기 메인프레임(100) 사이에는 보강대(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대(300)는 본 발명 소형 선박 부양장치가 선박을 부상시킬 때 힘이 집중되는 부위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여 견실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용수명도 늘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대(300)는 대략 사선형태로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탱크수납실(200)의 일측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탱크수납실(200) 간에는 메인프레임(100)의 상부를 가로질러 거치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재(400)는 보트 또는 요트 등의 선박 저면과 접촉되면서 이를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부재로서, 이를 테면 와이어로프, 체인, 벨트, 밴드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재(400)는 그 일단이 일측 탱크수납실(200)의 프레임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탱크수납실(200)의 프레임상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부재(400)에는 길이조절수단(410)을 더 구비함으로써 대상 선박의 크기에 맞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400)는 그 양단을 각각 양쪽의 탱크수납실(200) 프레임에 걸어 고정하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장탈착을 용이하게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탱크수납실(200)이 구성된 프레임들의 길이방향 적소, 즉 선박의 선수가 진입되는 반대쪽, 바꾸어 말하면 최종 진입된 선박의 선수가 위치되는 쪽 적소에 탱크수납실(10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로 연결 고정하는 보강프레임(600)이 더 구비된다.
다시 말해, 선루는 보통 선박의 중간이나 뒤쪽에 있기 때문에 선박 진입시 상기 선박의 선수는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하부공간으로 충분히 진입될 수 있고, 더구나 이 선박이 보트나 요트라면 선수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진입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그리고, 선루는 보강프레임(600)과 간섭되지 않고 충분히 진입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상 문제는 없다.
덧붙여, 도시상 메인프레임(100)과 보강대(300) 및 탱크수납실(200)이 이루는 공간의 폭이 좁고 낮게 보일 뿐 이들 길이와 폭은 메인프레임(100)과 보강대(300) 및 탱크수납실(200)의 크기를 크게 설계함으로써 충분히 키울 수 있으므로 선수 현호가 큰 소형선박의 경우라도 충분히 진입시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600)은 수압에 의해 본 발명 구조물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보강프레임(600)의 설치로 인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부 구간 자체의 단면 형상이 'U'자에서 'ㅁ'자 형태로 변경되기 때문에 구조적 강성을 크게 하고, 메인프레임(100) 및 탱크수납실(200)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굽힘 현상을 극소화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큰 특징을 가진다.
한편, 상기 탱크수납실(200)에는 공기탱크(500)가 수납된다.
상기 공기탱크(500)는 상기 탱크수납실(200)에 완전히 갇힌 상태로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공기공급원과 배관 또는 호스로 연결되고,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자동 제어밸브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탱크(500)는 각 탱크별로 공기의 주입량을 개별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정확한 제어를 위해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가 부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평상시 본 발명 소형 선박 부양장치는 마리나 주변 해상에 탱크수납실(200)이 상당부분 잠긴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부상시킬 보트 또는 요트와 같은 선박이 쉽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공기탱크(500) 내부의 공기를 빼냄으로써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소형 선박 부양장치의 자중에 의해 쉽게 침지된다.
이 상태로 유지되던 중 부상이 필요한 선박이 한 쌍의 탱크수납실(200) 사이의 공간, 즉 거치부재(400) 상부로 이와 간섭없이 인입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선박이 부상을 위해 충분히 인입되고 정위치되면 공기공급원을 제어하여 탱크수납실(200)에 구비된 공기탱크(500)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때,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공기탱크(500)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량을 동일하게 하여 동시에 소형 선박 부양장치가 부상될 수도 있고, 또는 공기탱크(500)의 주입량을 달리하여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부상되게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할 사항이다.
그러면, 공기탱크(500)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부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한 본 발명 소형 선박 부양장치가 전체적으로 수면위로 상승되면서 부상하게 된다.
동시에, 거치부재(400)도 함께 상승되고, 이때 거치부재(400)와 선박의 저면이 접촉되면서 소형 선박 부양장치가 상승한 만큼 거치부재(400)에 걸린 선박도 함께 상승되어 도 5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샘플 사진은 보강프레임(60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테스트용으로 실험된 것이다.
다시 말해, 선박이 거치부재(400)에 걸린 상태로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되며, 따라서 선박의 하부에는 해상의 수면과 상당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인양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요한 수선, 수리, 청소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공기탱크(500)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 빠르고 쉽게 해상으로 돌려 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박 부양장치는 공기탱크(50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것만으로도 간단히 보트 또는 요트와 같은 선박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되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며, 작업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작업 후 해상으로 내보내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절차를 거칠 필요도 없어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탱크수납실
300 : 보강대 400 : 거치부재
410 : 길이조절수단 500 : 공기탱크
600 : 보강프레임

Claims (5)

  1.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 양쪽 상면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형 박스형태로 짜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탱크수납실과;
    상기 탱크수납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단부가 각각 고정된 선박거치용 거치부재와;
    상기 탱크수납실을 구성하는 프레임중 일부와 고정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동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각 탱크수납실에 갇힌 상태로 고정되고, 공기공급원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거나 빼낼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기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와이어로프, 체인, 벨트, 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 일부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탱크는 공기공급원과 호스 또는 배관으로 연결되고, 각각 솔레노이드밸브를 갖추어 주입되는 공기량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탱크수납실 사이에는 이들을 사선방향으로 각각 연결 접합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
  5. 삭제
KR1020100070832A 2010-07-22 2010-07-22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10120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32A KR101206759B1 (ko) 2010-07-22 2010-07-22 소형 선박 부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32A KR101206759B1 (ko) 2010-07-22 2010-07-22 소형 선박 부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82A KR20120009082A (ko) 2012-02-01
KR101206759B1 true KR101206759B1 (ko) 2012-12-04

Family

ID=4583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32A KR101206759B1 (ko) 2010-07-22 2010-07-22 소형 선박 부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7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14B1 (ko) * 2019-06-21 2020-10-16 주식회사 코어마린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KR102209351B1 (ko) 2020-04-07 2021-01-29 주식회사 서해마린 경사접안구조물을 이용한 요트계류장치
KR102406345B1 (ko) 2021-04-08 2022-06-07 배창길 부유식 소형선박 접안 및 부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8410A (zh) * 2015-01-12 2016-03-30 刘广 托船
CN108974269B (zh) * 2018-07-27 2019-06-04 刘广 托船筏
KR102176026B1 (ko) * 2019-03-12 2020-11-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승선 및 하선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선박 접안장치
KR102265341B1 (ko) * 2020-02-18 2021-06-14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을 위한 리프팅백 및 이를 이용한 전복선박의 선체유지 및 강제복원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36B1 (ko) 2008-12-18 2009-11-06 양향권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36B1 (ko) 2008-12-18 2009-11-06 양향권 소형선박용 부유식 도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914B1 (ko) * 2019-06-21 2020-10-16 주식회사 코어마린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KR102209351B1 (ko) 2020-04-07 2021-01-29 주식회사 서해마린 경사접안구조물을 이용한 요트계류장치
KR102406345B1 (ko) 2021-04-08 2022-06-07 배창길 부유식 소형선박 접안 및 부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82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759B1 (ko) 소형 선박 부양장치
CA2407139C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TWI314536B (en) Method for building ship on ground and launching ship using skid launching system
US6834604B2 (en) Transporting a ship over shallows of a watercourse
US3976022A (en) Floating dry dock with buoyancy controlled air injection and venting system
US6688248B2 (en) Submersible catamaran
KR20080080194A (ko) 계류 시스템
US5549070A (en) In-water dry dock system
KR20120120216A (ko) 유니버설 인양 및 진수 시스템과 작동 방법
US5012756A (en) Floating construction
AU687391B2 (en) Floating dock
US3293866A (en) Dry docking method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US3670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hips
KR20160148762A (ko) 노후 선박을 이용한 안벽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061B1 (ko) 선택 부유형 레그드 플랫폼 설비와 이의 건조방법 및 운용방법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JP2008049977A (ja) 浮船台
KR100879506B1 (ko)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DK2844541T3 (en) Ship with vertical draught system
US202303825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hull of a vessel
NO843654L (no) Selvdrevet transportinnretning og fremgangsmaate for transport av prefabrikerte offshorekonstruksjoner
NO843144L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reparasjon av undervannsdeler til et flytende fartoey
RU2582562C1 (ru) Способ остропки понтонов к судну,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му по внутренним водным путям
SU6824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существлени ремонта л довых устройств и днищевой части шаланд на плав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