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06B1 -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 Google Patents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06B1
KR100879506B1 KR1020080097988A KR20080097988A KR100879506B1 KR 100879506 B1 KR100879506 B1 KR 100879506B1 KR 1020080097988 A KR1020080097988 A KR 1020080097988A KR 20080097988 A KR20080097988 A KR 20080097988A KR 100879506 B1 KR100879506 B1 KR 10087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ork
support
coupled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이우철
Original Assignee
김영권
주식회사 콘크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주식회사 콘크리닉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102008009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타실에 연결된 선외기가 선체의 후방에 설치되어지며 선체의 중앙에 트윈작업대가 설치된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에 있어서, 상기 트윈작업대는 선체의 상부에 설치된 수상작업대와 하부에 설치된 수중작업대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와 수중작업대는 선체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선체의 일측에 형성된 산형요부의 양측에 사다리형 지지대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 상단의 메인함체 하단에 고정된 지지판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산형요부의 내측으로 각각 아우터 가이드관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의 상단이 상기 지지판과 메인함체를 관통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는 꺽쇠형 상판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아우터 가이드관이 끼워지며 상기 꺽쇠형 상판이 메인 함체에 설치된 수상호이스트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수중작업대는 꺽쇠형 하판에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의 내부로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관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꺽쇠형 하판이 메인 함체에 설치된 수중호이스트에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트윈작업대, 수상작업대, 꺽쇠형 상판, 가이드홈, 수중작업대, 꺽쇠형 하판

Description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 Maintenance work vessel of water-surface and underwater a structure}
본 발명은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체에 형성된 산형요부의 상,하부에 각각 삼각편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꺽쇠형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수상작업대와 수중작업대가 조수간만을 고려하여 상하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짐으로써, 단면복구 및 균열보수가 필요한 해상 구조물의 코너 또는 평면에 안정적으로 접안하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수상 및 수중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 수로 또는 양식장 등에서 바지선 등을 예인하거나 양식장의 그물이나 기타 물건을 인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선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외에 해상 구조물 설치와 보수 및 보강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선은 통상 평평한 선체로 좌우가 대칭인 유선형태 또는 사각형태 를 가짐으로써, 해상에 설치된 교각의 모서리나 원형 부위에 선체를 접안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교각의 단면복구 및 균열보수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상 구조물인 교각의 보수 및 보강작업의 경우, 수중작업이 필연적으로 수반되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수중작업을 위한 작업대가 작업선에 준비되지 못함에 따라 수중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단면복구 및 균열보수가 필요한 해상 구조물의 코너 또는 평면에 안정적으로 접안하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수상 및 수중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타실에 연결된 선외기가 선체의 후방에 설치되어지며 선체의 중앙에 트윈작업대(100)가 설치된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에 있어서,상기 트윈작업대(100)는 선체(400)의 상부에 설치된 수상작업대(110)와 하부에 설치된 수중작업대(12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110)와 수중작업대(120)는 선체(4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130)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어지 되, 상기 지지부(130)는 선체(400)의 일측에 형성된 산형요부(430)의 양측에 사다리형 지지대(131)(131')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131)(131') 상단의 메인함체(132) 하단에 고정된 지지판(133)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산형요부(430)의 내측으로 각각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상단이 상기 지지판(133)과 메인함체(132)를 관통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110)는 꺽쇠형 상판(112)에 각각 가이드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3)에 아우터 가이드관(134)이 끼워지며 상기 꺽쇠형 상판(112)이 메인 함체(132)에 설치된 수상호이스트(135)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수중작업대(120)는 꺽쇠형 하판(121)에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내부로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관(122)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꺽쇠형 하판(121)이 메인 함체(132)에 설치된 수중호이스트(136)에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선체에 산형요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단면복구 및 균열보수가 필요한 해상 구조물의 코너에 안정적으로 접안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산형요부의 상하부에 각각 꺽쇠형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수상작업대와 수중작업대가 상하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짐으로써, 해상 구조물 코너의 수상 및 수중 작업을 동시에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꺽쇠형 상,하판에 별도의 삼각편이 결합되어지도록 할 경우, 해상 구조물의 평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실(410)에 연결된 선외기(420)가 선체(400)의 후방에 설치되어지며 선체(400)의 중앙에 트윈작업대(100)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트윈작업대(100)는 선체(400)가 해상의 수상 및 수중 구조물에 안정되게 접안된 상태에서 구조물의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작업을 하거나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트윈작업대(100)는 선체(400)의 상부에 설치된 수상작업대(110) 및 상기 수상작업대(100)와 대응되는 선체(400)의 하부에 설치된 수중작업대(12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110)와 수중작업대(120)는 선체(4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130)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면서 상,하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선체(400)의 일측에 형성된 산형요부(430)의 양측에 상부를 향하여 사다리형 지지대(131)(131')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131)(131') 상단에는 메인함체(132) 하단에 고정된 지지판(133)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산형요부(430)의 내측에는 각각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상단이 상기 지지판(133)과 메인함체(132)를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31)는 사다리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상부와 지지판(133)이 다수개의 평행지지대(137)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고, 상기 지지판(133)의 일측 하단에는 제1경량호이스트(138-1)가 결합된 제1안내레일(138-2)로 구성된 경량코너 작업부(138)가 설치되어 1톤 이하의 구조물의 시공 및 휀다(방충재) 등의 부착물을 코너에 탈,부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33)의 타측 하단에는 제2경량호이스트(139-1)가 결합된 제2안내레일(139-2)로 구성된 경량평면 작업부(139)가 설치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1톤 이하의 구조물의 시공 및 휀다(방충재) 등의 부착물을 구조물의 평면에 탈,부착 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경량호이스트(138-1) 및 제2경량호이스트(138-2)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을 유지보수에 필요한 장비, 자재 등을 쉽게 운반할 수 있고, 상기 호이스트로 건설장비를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효율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 성되어 있다.
상기 수상작업대(110)는 꺽쇠형 상판(112)에 각각 가이드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3)에 아우터 가이드관(134)이 끼워지도록 결합되어지고, 상기 꺽쇠형 상판(112)이 메인 함체(132)에 설치된 수상호이스트(135)에 연결되어 아우터 가이드관(134)에 안내되어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꺽쇠형 상판(112)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난간(111)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상작업대(110)의 꺽쇠형 상판(112)에는 꺾여진 내측으로 각각 관통홈(141)이 형성된 지지편(140)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지지편(140)에 삼각편(142)의 직각인 모서리 부분이 맞대어져 볼트(143)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삼각편(142)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는 구조물의 평면에 안정되게 접안시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지편(140)에서 삼각편(142)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구조물의 모서리에 안정되게 접안시켜 모서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상작업대(110)의 상부에는 작업홀더(21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 터널식 사다리형태를 갖는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가 탑재되어지고, 상기 작업홀더(210)에 결합된 로울러(211)에 의하여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짐으로써,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교식 부두(900)의 하면 보수 및 보강 깊이의 조절로 인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중작업대(120)는 산형요부(430)의 하부로 항상 물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꺽쇠형 하판(121)에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내부로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관(122)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꺽쇠형 하판(121)이 메인 함체(132)에 설치된 수중호이스트(136)에 연결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왕복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중작업대(120)의 꺽쇠형 하판(121)에는 꺾여진 내측으로 각각 관통홈(141)이 형성된 지지편(140)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지지편(140)에 삼각편(142)의 직각인 모서리 부분이 맞대어져 볼트(143)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삼각편(142)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는 구조물의 수중 평면에 안정되게 접안시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지편(140)에서 삼각편(142)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구조물의 수중 모서리에 안정되게 접안시켜 모서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선체(400)의 전방에는 1톤 이상의 구조물의 시공 및 휀다(방충재) 등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중량물 작업부(300)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량물 작업부(300)는 선체(400)의 끝에 일측이 힌지고정된 발판(310)의 타측이 기울기 조절부(320)에 의하여 조절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선체(400)에서 발판(310)의 상부를 향하여 중량물 지지대(320)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량물 지지대(320)의 상부에는 가변작업대 호이스트(331)와 와이어 레일 호이스트(332) 및 중량 호이스트(333)가 설치된 서브함체(33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레일 호이스트(332)에는 일측이 감겨진 와이어 레일(332-1)의 타측이 가변 작업대(340)에 형성된 레일 안내가이드(341)를 관통하여 발판(310)에 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가변 작업대(340)가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작업대 호이스트(331)에 감겨진 와이어(331-1)가 가변 작업대(34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울기 조절부(320)는 선체(400)의 전방에 조절 지지대(321)의 하단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조절 지지대(321)의 상단과 발판(310)의 끝에 조절 와이어(322)의 양단이 고정되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절 와이어(322)의 양단 사이에 조절 호이스트(323)가 설치되어 상기 조절 호스스트(323)에 의하여 당겨지는 조절 와이어(322)에 의하여 발판(310) 끝의 높낮이가 조절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310)의 상부에는 접안용 가이드(350)가 설치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접안용 가이드(350)는 제1고정홈(351-1)이 형성된 중공형 고정로드(351)와, 상기 중공형 고정로드(351)에 삽입되어지는 T형 접안로드(352)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T형 접안로드(352)에 제2고정홈(352-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홈(351-1)과 제2고정홈(352-2)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핀(353)에 의하여 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T형 접안로드(352)에 형성된 제2고정홈(352-1)의 위치에 따라 접안되어지는 길이가 조절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지보수용 작업선을 이용한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타실(410)에 연결된 선외기(420)를 작동시켜 선체(400)의 일측에 형성된 산형요부(430)가 유지와 보수를 위한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모서리에 접안되어지도록 한 후 미도시한 밧줄을 이용하여 선체(400)를 구조물에 묶어 놓는다.
다음, 유지 및 보수하고자 하는 부분이 물위에 있을 경우, 수상호이스트(135)를 작동시켜 하부로 와이어나 링크체인 등을 풀어 놓음과 동시에 꺽쇠형 상판(112)의 자중에 의하여 가이드홈(113)이 아우터 가이드관(134)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다음,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에 꺽쇠형 상판(112)의 위치되어지도록 한 후 경량코너 작업부(138)를 구성하는 제1경량호이스트(138-1)에 미도시한 방충재(충격을 흡수하는 패널)를 걸어 이동시킨 다음 별도의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수상 구조물의 표면에 천공한 후 천공된 부분에 방충재를 결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수상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수상 구조물에 선박 등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이 물속에 있는 경우, 다이버가 꺽쇠형 하판(121)에 올라간 상태에서 수중호이스트(136)를 작동시켜 수중호이스트(136)에 감겨진 와이어나 링크체인이 풀려짐과 동시에 아우터가이드관(134)에 삽입된 인너가이드관(122)이 하부로 인출됨으로써, 꺽쇠형 하판(121)이 수상구조물(800)의 모서리를 따라 수평으로 물속에 들어가 수중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유지와 보수를 위한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이 모서리가 아닌 평면일 경우, 꺽 쇠형 상판(112)과 꺽쇠형 하판(121)에 형성된 각각의 지지편(140)에 삼각편(142)이 맞대어지도록 한 후 관통홈(141)에 볼트(143)를 체결하여 조이는 것으로 꺽쇠형 상판(112)과 꺽쇠형 하판(121)이 앞쪽이 선체(400)와 평행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전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통해 구조물의 평면에 충격을 흡수하는 방충재를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하고자 하는 부분에 꺽쇠형 상판(112) 및 꺽쇠형 하판(121)이 위치되어지도록 한 후 경량평면작업부(139)를 구성하는 제1경량호이스트(138-1)에 미도시한 방충재를 걸어 이동시킨 다음 별도의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수상 구조물의 표면에 천공한 후 천공된 부분에 방충재를 결합 고정시키는 것으로 수상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수상 구조물에 선박 등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1톤 이상의 구조물을 시공하거나 방충재 등의 부착물을 탈,부착하는 경우, 선외기(420)를 작동시켜 선체(400)의 끝에 결합된 발판(310)이 수상구조물(800)의 표면에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때 T형 접안로드(352)를 인출시켜 T형 접안로드(352)에 형성된 제2고정홈(352-1)을 접안용 가이드(350)에 형성된 제1고정홈(351-1)에 일치시킨 후 제1고정홈(351-1)과 제2고정홈(352-2)을 관통하여 고정핀(353)을 끼움으로써 인출된 T형 접안로드(352)에 의하여 안전하게 접안되어지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미도시한 밧줄을 이용하여 선체(400)를 고정시킨다.
또한, 발판(310)의 기울기를 조절할 경우, 조절호이스트(323)를 감거나 풀어 조절와이어(322)의 길이가 가변되어짐으로써, 힌지로 결합된 발판(310)의 기울기가 조절되어지게 된다. 즉, 조절호이스트(323)를 풀어 조절와이어(322)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발판(310)의 끝이 하부로 처지게 되고, 조절와이어(322)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 발판(310)의 끝이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다음, 발판(310)의 기울기가 조절되어진 후 가변작업대(340)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가변작업대 호이스트(331)를 작동시켜 가변작업대(340)의 높이가 작업하고자 하는 높이에 위치되어지도록 한 후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하면 된다. 이때 중량물을 들어올릴 경우, 서브함체(330)의 하부에 설치된 중량호이스트(333)에 중량물을 걸어 작업위치로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상작업대(110) 상부에는 별도의 작업홀더(210)에 결합된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가 탑재되어짐으로써, 상기 작업홀더(210)에 결합된 로울러(211)에 의하여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 길이로 왕복 이송되어 잔교식 부두 하면의 보수 및 보강 깊이가 조절되어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트윈작업대 110:수상작업대
111:난간 112:꺽쇠형 상판
113:가이드홈 120:수중작업대
121:꺽쇠형 하판 122:인너 가이드관
130:지지부 131,131':지지대
132:메인함체 133:지지판
134:아우터 가이드관 135:수상호이스트
136:수중호이스트 400:선체
430:산형요부

Claims (7)

  1. 조타실에 연결된 선외기가 선체의 후방에 설치되어지며 선체의 중앙에 트윈작업대(100)가 설치된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에 있어서,
    상기 트윈작업대(100)는 선체(400)의 상부에 설치된 수상작업대(110)와 하부에 설치된 수중작업대(12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110)와 수중작업대(120)는 선체(4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130)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부(130)는 선체(400)의 일측에 형성된 산형요부(430)의 양측에 사다리형 지지대(131)(131')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131)(131') 상단의 메인함체(132) 하단에 고정된 지지판(133)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산형요부(430)의 내측으로 각각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상단이 상기 지지판(133)과 메인함체(132)를 관통하여 결합되어지고, 상기 수상작업대(110)는 꺽쇠형 상판(112)에 각각 가이드홈(113)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3)에 아우터 가이드관(134)이 끼워지며 상기 꺽쇠형 상판(112)이 메인 함체(132)에 설치된 수상호이스트(135)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수중작업대(120)는 꺽쇠형 하판(121)에 상기 아우터 가이드관(134)의 내부로 끼워지는 인너 가이드관(122)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꺽쇠형 하판(121)이 메인 함체(132)에 설치된 수중호이스트(136)에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작업대(110)의 꺽쇠형 상판(112)과 수중작업대(120)의 꺽쇠형 하판(121)에 각각 관통홈(141)이 형성된 지지편(14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편(140)에는 삼각편(142)의 직각인 모서리 부분이 맞대어져 볼트(143)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작업대(110)의 상부에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가 탑재되어지며 상기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에 작업홀더(21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작업홀더(210)에 결합된 로울러(211)에 의하여 잔교식 부두 작업대(20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짐으로써, 잔교식 부두 하면의 보수 및 보강 깊이가 조절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131)의 상부와 지지판(133)이 다수개의 평행지지대(137)에 의하여 지지되어지고, 상기 지지판(133)의 일측 하단에 제1경량호이스트(138-1)가 결합된 제1안내레일(138-2)로 구성된 경량코너 작업부(138)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지지판(133)의 타측 하단에 제2경량호이스트(139-1)가 결합된 제2안내레일(139-2)로 구성된 경량평면 작업부(139)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400)의 전방에 중량물 작업부(30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중량물 작업부(300)는 선체(400)의 끝에 일측이 힌지고정된 발판(310)의 타측이 기울기 조절부(320)에 의하여 조절되어지게 설치되어지고, 상기 선체(400)에서 발판(310)의 상부를 향하여 중량물 지지대(320)의 하부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중량물 지지대(320)의 상부에 가변작업대 호이스트(331)와 와이어 레일 호이스트(332) 및 중량 호이스트(333)가 설치된 서브함체(33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와이어 레일 호이스트(332)에 일측이 감겨진 와이어 레일(332-1)의 타측이 가변 작업대(340)에 형성된 레일 안내가이드(341)를 관통하여 발판(310)에 고정되어지고, 상기 가변작업대 호이스트(331)에 감겨진 와이어(331-1)가 가변 작업대(340)에 고정되어짐으로써, 상기 가변작업대(340)가 흔들리지 않게 상,하로 이동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부(320)는 선체(400)의 전방에 조절 지지대(321)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조절 지지대(321)의 상단과 발판(310)의 끝에 조절 와이어(322)의 양단이 고정되어지되, 상기 조절 와이어(322)의 양단 사이에 조절 호이스트(323)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310)의 상부에는 접안용 가이드(35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접안용 가이드(350)는 제1고정홈(351-1)이 형성된 중공형 고정로드(351)와, 상기 중공형 고정로드(351)에 삽입되어지는 T형 접안로드(352)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T형 접안로드(352)에 제2고정홈(352-1)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홈(351-1)과 제2고정홈(352-2)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핀(353)에 의하여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KR1020080097988A 2008-10-07 2008-10-07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KR10087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88A KR100879506B1 (ko) 2008-10-07 2008-10-07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88A KR100879506B1 (ko) 2008-10-07 2008-10-07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506B1 true KR100879506B1 (ko) 2009-01-23

Family

ID=4048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988A KR100879506B1 (ko) 2008-10-07 2008-10-07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71B1 (ko) 2009-02-26 2009-12-21 김영권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작업대 승강형 작업용 바지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466A (ja) * 1993-12-28 1995-08-01 Toyo Constr Co Ltd 水中作業機械の吊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466A (ja) * 1993-12-28 1995-08-01 Toyo Constr Co Ltd 水中作業機械の吊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71B1 (ko) 2009-02-26 2009-12-21 김영권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작업대 승강형 작업용 바지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5895B2 (ja) 自己昇降式潜水形水中作業台船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998104B1 (ko) 해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201959B1 (ko) 연장 가능한 반 잠수형 플랫폼
EP1280695B1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CN102951278B (zh) 用于搭载侧扫声纳的连接装置及其工作方法
FI84248B (fi) Offshore-lasthanteringsystem.
KR101206759B1 (ko) 소형 선박 부양장치
WO2019085520A1 (zh) 模块化海洋多功能作业平台、整体式工作平台及调运方法
US8646390B2 (en) Device for the use of technical equipment underwater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KR20090108197A (ko) 수중 면고르기 장치
KR100879506B1 (ko) 수상 및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용 작업선
KR101215520B1 (ko) 선박 및 그를 이용한 해상 플랫폼 해체 방법
CN211281408U (zh) 一种用于工程船舶异位落墩的辅助定位工装
EP2218671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objects at sea
KR101587875B1 (ko) 다기능 독
KR20180042940A (ko)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CN216546599U (zh) 一种用于近海岩土工程船载勘察装备的吊放装置
JP7197118B2 (ja) クレーンを備えた作業台船及びそのクレーン運用方法
JP6928381B2 (ja) 浮体装置
CN209099360U (zh) 一种自适应割桩浮排装置
CN106379495A (zh) 一种具有自航能力的码头桩基水下维修作业装置
CN206125353U (zh) 一种具有自航能力的码头桩基水下维修作业装置
JP6574395B2 (ja) 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作業台船
JP2002068077A (ja) 水面浮遊油回収用集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