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940A -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940A
KR20180042940A KR1020160135557A KR20160135557A KR20180042940A KR 20180042940 A KR20180042940 A KR 20180042940A KR 1020160135557 A KR1020160135557 A KR 1020160135557A KR 20160135557 A KR20160135557 A KR 20160135557A KR 20180042940 A KR20180042940 A KR 2018004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thruster
cradle
connection part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선
맹기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940A/ko
Publication of KR2018004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Abstract

본 발명은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래들에 수평 및 수직연결부를 모두 구비하여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한 상태에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상호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하고, 크래들의 육면체 구조에 의해 스러스터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시 프로펠러 고정부가 직립이 가능하게 하는 크래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은 프로펠러 고정부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CRADLE SEATED THRUSTER PROPELLER FIXING PART AND METHOD OF LIFTING THE FIXING PART}
본 발명은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Cradl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별도의 크래들을 제공함으로써,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할 때 수평방향과 수직방향간 방향전환을 자유롭게 하고 데크 위에 바로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은 해양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는 장비를 탑재한 선박으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한 선박이다.
시추선에는 조류 및 풍향, 풍속, 파고 등에 의하여 선체가 흔들려 위치가 변화되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자기위치 제어장치(Dynamic Positioning Control System)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자기위치 제어장치로는 선체를 일정하게 정박시키기 위한 무어링 시스템(Mooring System)이나 해수 속을 360도 회전하면서 추진 및 역추진, 또는 좌우방향의 추진력을 발생하여 선체의 자기위치를 제어하는 스러스터(Thruster) 등이 있다.
스러스터는 스러스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 시추선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중에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 그리고 프로펠러를 고정시켜주는 프로펠러 고정부(이하 마운팅 캔(Mounting Can)이라 함)를 포함한다.
스러스터의 설치는 마운팅 캔을 선박의 상부 데크로부터 선체 하부로 이동시켜 스러스터 룸에 삽입한 후, 프로펠러는 수중에서 마운팅 캔에 결합하는 언더마운트(Under Mount) 방식이 적용된다. 이 때, 마운팅 캔이 상부 데크로부터 선체 하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해치(Hatch)를 통과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마운팅 캔을 리프팅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마운팅 캔(50)의 상부에만 복수 개의 리프팅 연결부(51)가 존재하여, 마운팅 캔(50)을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만 리프팅이 가능하였다. 때문에 마운팅 캔(50)이 수평방향으로 리프팅 된 상태에서는 입구가 마운팅 캔(50)의 수평방향 크기보다 작은 해치를 통과할 수 없었다.
마운팅 캔(50)의 상부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리프팅 연결부(51) 중 일부의 리프팅 연결부(51)만을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리프팅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방식으로는 무게중심을 정확히 맞출 수 없어 마운팅 캔(50)을 정확히 90도의 수직으로 세우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선체 하부로 이동한 마운팅 캔(50)은 선체 하부에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전환되어 스러스터 룸에 삽입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방식으로는 공중으로 리프팅 된 상태의 마운팅 캔(5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마운팅 캔(50)을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때, 관성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여 마운팅 캔(50)이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에 의해 손상을 입을 위험이 있었으며, 마운팅 캔(50)의 구조상 마운팅 캔(50)을 데크 위에 바로 올려놓을 수 없어, 마운팅 캔(50)을 데크 위에 바로 올려놓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를 고정시켜주는 마운팅 캔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별도의 크래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크래들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리프팅 될 수 있는 수평 연결부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리프팅 될 수 있는 수직 연결부를 모두 구비하여 마운팅 캔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상호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며, 크래들의 육면체 구조에 의해 데크에 바로 올려놓을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 작업시 직립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펠러 고정부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을 제공한다.
상기 크래들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홀과 짝을 이루어 복수 개의 볼트와 너트 쌍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에 복수 개의 수평 연결부; 측면에 수직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는 후크를 걸 수 있는 러그 또는 섀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가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핀을 우회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의 복수 개의 가이드 핀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제1 연결부와 타측에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스프레드 바; 상기 스프레드 바의 일측 상단에 연결되는 제1 호이스트; 상기 스프레드 바의 타측 상단에 연결되는 제2 호이스트; 상기 스프레드 바의 하단에 연결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크래들을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프레드 바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상단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하단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상단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하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단 연결부와 상기 제2 하단 연결부는 상기 스프레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는, 일측에 제1 연결부와 타측에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스프레드 바; 상기 스프레드 바의 일측 상단에 연결되는 제1 호이스트; 상기 스프레드 바의 타측 상단에 연결되는 제2 호이스트; 상기 스프레드 바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레드 바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상단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하단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상단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하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단 연결부와 상기 제2 하단 연결부는 상기 스프레드 바의 길이 방향을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은 (a) 상기 제1 상단 연결부와 제2 상단 연결부에 각각 제1 호이스트와 제2 호이스트를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제1 하단 연결부에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수평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제2 하단 연결부에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수직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은 (d)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제1 호이스트를 감아 올리고 상기 제2 호이스트를 풀어 내려, 상기 제1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1 연결부 측을 상기 제2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2 연결부 측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은 (e)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단계는,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리프팅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호이스트를 풀어 내리고 상기 제2 호이스트를 감아 올려, 상기 제1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1 연결부 측을 상기 제2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2 연결부 측보다 낮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러스터의 프로펠러를 고정시켜주는 마운팅 캔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별도의 크래들을 제공함으로써, 마운팅 캔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상호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고, 별도의 장치 없이도 마운팅 캔을 데크 위에 바로 올려놓거나 직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러스터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래들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마운팅 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으로부터 마운팅 캔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해준다.
도 1은 종래 마운팅 캔을 리프팅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러스터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캔이 안착되는 크래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캔이 안착되지 않은 빈 상태의 크래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캔이 안착된 상태의 크래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캔이 안착된 크래들'을 스프레드 바와 제1 호이스트 및 제2 호이스트에 연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캔이 안착된 크래들'을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리프팅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순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자체만 리프팅할 때, 크래들을 스프레드 바와 제1 호이스트 및 제2 호이스트에 연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은 마운팅 캔 또는 크래들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 또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뜻하는 것이지, 이동의 방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스러스터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운팅 캔(50)은 선박의 상부로부터 해치를 통해 선체 하부의 데크B까지 이동된 후, 스러스터 룸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때, 마운팅 캔(50)의 수평방향 크기보다 입구가 좁은 해치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마운팅 캔(50)을 수직으로 세워서 리프팅하고, 다시 데크B에서 마운팅 캔(50)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스러스터 룸에 삽입해야 한다.
또한, 스러스터의 유지보수시에는 프로펠러를 장착한 마운팅 캔(50)을 다시 데크B까지 끌어올린 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헐(Hull) 내부에서 스러스터를 유지보수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마운팅 캔(50)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간의 전환이 어려웠고, 마운팅 캔(50)의 구조상 데크 위에 바로 올려놓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었기 때문에 헐 내부에서 스러스터를 유지보수하는 작업은 현실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마운팅 캔(50)이 안착되는 별도의 크래들(1)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캔(50)이 안착되는 크래들(1)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은 메인프레임(100),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은 크래들(1)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실제로 마운팅 캔(5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메인프레임(100)은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200)을 받침으로 하여 크래들(1)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데크 위에 바로 놓는 것이 가능하다.
크래들(1)은 메인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200)을 연결하는 보강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300)은 마운팅 캔(50)의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상부에 마운팅 캔(5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결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0)에는 복수 개의 홀(111)이 형성된다.
메인프레임(100)은 상부에 복수 개의 수평 연결부(120)를 포함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한쪽 측면에 수직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크레인(Crane)과 같은 승강장치에 수평 연결부(120)를 연결하면 크래들(1)을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리프팅할 수 있고, 수직 연결부(130)를 연결하면 크래들(1)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리프팅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연결부(120)와 수직 연결부(130)를 모두 연결하면, 크래들(1)을 리프팅 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또는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추후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 연결부(120) 또는 수직 연결부(130)는 후크(Hook)를 걸 수 있는 러그(Lug) 또는 섀클(Shackle)로 구성될 수 있고, 러그 또는 섀클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는 크래들(1)에 안착되는 마운팅 캔(50)을 보호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호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보호부재(140)는 난간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부재(140)는 마운팅 캔(50)이 안착된 크래들(1)을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때, 주변 구조물과의 예상치 못한 충돌 등으로부터 마운팅 캔(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부재(140)는 수직 연결부(130)가 형성된 측면의 메인프레임(100) 상부에는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운팅 캔(50)이 안착된 크래들(1)을 수직으로 세워서 리프팅할 때, 수직 연결부(130)가 형성된 측면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측면 및 하부에 비해 다른 구조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매우 적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운팅 캔(50)이 안착된 크래들(1)을 수직으로 세워 리프팅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환시, 수직 연결부(130)에 연결된 로프(Rope) 또는 체인(Chain)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수직 연결부(130)가 형성된 측면의 메인프레임(100) 상부에 보호부재(140)가 설치되면 로프, 체인 또는 스프레드 바(30)와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직 연결부(130)가 형성된 한쪽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의 메인프레임(100) 상부에만 보호부재(1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마운팅 캔(50)이 안착되지 않은 빈 상태의 크래들(1)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마운팅 캔(50)이 안착된 상태의 크래들(1)의 평면도이다.
마운팅 캔(50)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52)이 형성된다. 마운팅 캔(50)이 스러스터 룸에 삽입될 때, 마운팅 캔(50)에 형성된 가이드 핀(52)이 스러스터 룸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맞춰져 정확한 위치로 삽입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가이드 핀(52)을 보호하기 위하여, 크래들(1)의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보호부재(140)는 가이드 핀(52)을 우회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가이드 핀 보호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 핀 보호부(141)의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고려하여 수직 연결부(130)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 지지프레임(200)의 두께를 결정한다. 도 5에서는 가이드 핀 보호부(141)가 바닥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서, 받침이 되는 지지프레임(200)은 각각 바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을 하나씩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1)의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된 결합부(110)의 단면도이다. 크래들(1)의 메인프레임(100)의 결합부(110)에는 복수 개의 홀(111)이 형성된다. 이 복수 개의 홀(111)은 마운팅 캔(5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드릴링 홀(53)과 짝을 이루어 복수 개의 볼트와 너트 쌍으로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110)가 마운팅 캔(50)과 볼팅(Bolting)되는 부분은 수밀을 위해 정밀가공되어 매우 작은 오차 범위 내에서 평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크래들(1)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홀(111)과 마운팅 캔(5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드릴링 홀(53) 사이에는 테프론 패드(Tefron Pad)(54)와 머신드 라이너(Machined Liner)(55)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캔(50)이 안착된 크래들(1)'의 리프팅 동작 및 방향 전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운팅 캔(50)이 안착된 크래들(1)'을 '결합구조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도 7은 결합구조체를 스프레드 바(30)와 제1 및 제2 호이스트(10, 20)에 연결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스프레드 바(30)의 일측에는 제1 연결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연결부(32)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31)의 상단에 제1 상단 연결부(33), 제1 연결부(31)의 하단에 제1 하단 연결부(34)가 형성되며, 제2 연결부(32)의 상단에 제2 상단 연결부(35), 제2 연결부(32)의 하단에 제2 하단 연결부(36)가 형성된다. 제2 상단 연결부(35)와 제2 하단 연결부(36)는 스프레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제1 호이스트(10)에 스프레드 바(30)의 제1 상단 연결부(33)가 연결되고, 제2 호이스트(20)에 스프레드 바(30)의 제2 상단 연결부(35)가 연결된다. 스프레드 바(30)의 제1 하단 연결부(34)에는 마운팅 캔(50)의 상부에 형성된 리프팅 연결부(51)가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프레드 바(30)의 제1 하단 연결부(34)에는 마운팅 캔(50)의 상부에 형성된 리프팅 연결부(51) 대신 크래들(1)의 메인프레임(100) 상부에 형성된 수평 연결부(12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스프레드 바(30)의 제2 하단 연결부(36)에는 크래들(1)의 메인프레임(100) 측면에 형성된 수직 연결부(130)가 연결된다.
호이스트(10, 20)와 스프레드 바(30) 사이의 연결 및 스프레드 바(30)와 리프팅 연결부(51, 120, 130) 사이의 연결은 후크와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결합구조체를 리프팅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순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결합구조체를 공중으로 리프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된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제2 호이스트(20)에 연결된 제2 후크(21)를 감아 올리면, 스프레드 바(30)의 제2 연결부(32) 측이 상승하며 수직 연결부(130)를 리프팅 포인트로 하여 결합구조체를 공중으로 리프팅할 수 있다. 이때, 스프레드 바(30)는 제2 연결부(32)에서 제1 연결부(31)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연결부(130)가 구비된 측면의 메인프레임(100) 상부에 보호부재(140)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스프레드 바(30)는 결합구조체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0은 수직으로 세워져 리프팅 된 결합구조체를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결합구조체가 수직으로 세워져 공중으로 리프팅 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제1 호이스트(10)에 연결된 제1 후크(11)를 감아 올려 스프레드 바(30)의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가 동일한 높이가 되게 위치시킨 후, 도 10과 같이 제2 호이스트(20)에 연결된 제2 후크(21)를 풀어 내려 제2 연결부(32) 측을 하강시키면 결합구조체를 수평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스프레드 바(30)는 제1 연결부(31)에서 제2 연결부(32)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의 결합구조체를 간섭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연결부(130)가 구비된 측면의 메인프레임(100) 상부에 보호부재(140)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스프레드 바(30)는 결합구조체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11은 수평방향으로 전환된 결합구조체를 데크 위에 내려놓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및 제2 호이스트(10, 20)에 연결된 제1 및 제2 후크(11, 21)를 동시에 하강시킴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전환된 결합구조체를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그대로 데크 위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수직으로 세워진 결합구조체를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를 역순으로 진행하면 수평으로 눕혀진 결합구조체를 수직방향으로 전환하는 동작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마운팅 캔(50)이 안착되지 않은 빈 상태의 크래들(1) 자체만을 리프팅하여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크래들(1) 자체만 리프팅할 때, 크래들(1)을 스프레드 바(30)와 제1 호이스트(10) 및 제2 호이스트(20)에 연결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마운팅 캔(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하단 연결부(34)에크래들(1)의 수평 연결부(120)를 연결하는 방법만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스러스터의 프로펠러를 고정시켜주는 마운팅 캔(50)이 착탈 가능하게 안치되는 별도의 크래들(1)을 제공하고, 크래들(1)에 수평 연결부(120)와 수직 연결부(130)를 모두 구비하여 마운팅 캔(50)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크래들(1)의 육면체 구조에 의해 데크에 바로 올려놓을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 작업시 직립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크래들
10: 제1 호이스트
20: 제2 호이스트
30: 스프레드 바
50: 마운팅 캔
100: 메인프레임
110: 결합부
120: 수평 연결부
130: 수직 연결부
140: 보호부재
200: 지지프레임
300: 보강프레임

Claims (14)

  1.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홀과 짝을 이루어 복수 개의 볼트와 너트 쌍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에 복수 개의 수평 연결부; 및
    측면에 수직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는 후크를 걸 수 있는 러그 또는 섀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호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가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어 있을 때,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가이드 핀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핀을 우회하도록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의 복수 개의 가이드 핀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10.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제1 연결부와 타측에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스프레드 바;
    상기 제1 연결부 상단에 연결되는 제1 호이스트;
    상기 제2 연결부 상단에 연결되는 제2 호이스트; 및
    상기 스프레드 바의 하단에 연결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크래들을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 바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상단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하단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상단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하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단 연결부와 상기 제2 하단 연결부는 상기 스프레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
  12.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는,
    일측에 제1 연결부와 타측에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스프레드 바;
    상기 스프레드 바의 일측 상단에 연결되는 제1 호이스트;
    상기 스프레드 바의 타측 상단에 연결되는 제2 호이스트; 및
    상기 스프레드 바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드 바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상단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하단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 상단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하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단 연결부와 상기 제2 하단 연결부는 상기 스프레드 바의 길이 방향을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제1 상단 연결부와 제2 상단 연결부에 각각 제1 호이스트와 제2 호이스트를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제1 하단 연결부에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에 구비된 리프팅 연결부 또는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수평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
    (c) 상기 제2 하단 연결부에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수직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d)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수평방향으로 눕혀서 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단계는,
    상기 제1 호이스트를 감아 올리고 상기 제2 호이스트를 풀어 내려, 상기 제1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1 연결부 측을 상기 제2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2 연결부 측보다 높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e)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리프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프로펠러 고정부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리프팅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호이스트를 풀어 내리고 상기 제2 호이스트를 감아 올려, 상기 제1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1 연결부 측을 상기 제2 호이스트에 연결된 상기 스프레드 바의 제2 연결부 측보다 낮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 승강장치로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KR1020160135557A 2016-10-19 2016-10-19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KR20180042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57A KR20180042940A (ko) 2016-10-19 2016-10-19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57A KR20180042940A (ko) 2016-10-19 2016-10-19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40A true KR20180042940A (ko) 2018-04-27

Family

ID=6208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557A KR20180042940A (ko) 2016-10-19 2016-10-19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9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632A (zh) * 2019-02-20 2019-05-21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导管架轴线整片翻身吊装的工艺
CN113620154A (zh) * 2021-08-24 2021-11-09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螺旋桨辅助翻身装置、安装方法及拆卸方法
CN116513393A (zh) * 2023-02-09 2023-08-01 合肥倍豪海洋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螺旋桨无键锥度装配起始零位的确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632A (zh) * 2019-02-20 2019-05-21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导管架轴线整片翻身吊装的工艺
CN109775632B (zh) * 2019-02-20 2020-12-08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导管架轴线整片翻身吊装的工艺
CN113620154A (zh) * 2021-08-24 2021-11-09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螺旋桨辅助翻身装置、安装方法及拆卸方法
CN113620154B (zh) * 2021-08-24 2023-09-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螺旋桨辅助翻身装置、安装方法及拆卸方法
CN116513393A (zh) * 2023-02-09 2023-08-01 合肥倍豪海洋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螺旋桨无键锥度装配起始零位的确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07239B (zh) 起重机、包括这种起重机的船舶以及用于竖立纵向结构的方法
CN107140156B (zh) 托底钢梁整体打捞沉船方法
KR102503817B1 (ko) 풍력 터빈 시스템
KR101642623B1 (ko) 양상 풍차 설치용 선박 및 양상 풍차 설치 방법
EP2692630A1 (en) Elevation-type thruster apparatus
CN113818345B (zh) 一种预制型桥墩全方位结构检测及养护平台
KR20180042940A (ko) 스러스터의 프로펠러 고정부가 안착되는 크래들 및 승강장치로 프로펠러 고정부를 리프팅하는 방법
US20150217838A1 (en) Method for lowering and hoisting of a load to or from an ocean floor
US3817412A (en) Method of connecting underwater installations
BRPI1001222B1 (pt) método de fixação de uma estrutura de armação em um casco flutuante
CN113581416B (zh) 一种用于单侧多根钢悬链立管安装的回接装置
TWI764495B (zh) 用於調整風力機系統之裝置和方法以及風力機系統之塔柱
KR101250829B1 (ko) 선박의 스러스터 워터 타이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설치 방법
CN104444851B (zh) 一种船用吊机安装方法
WO2019069076A1 (en) SEMI-SUBMERSIBLE SHIP
KR20160000111U (ko) 케이블 로봇을 이용한 수중 탑재물의 이동식 수중 설치 장치
KR100768765B1 (ko) 선체의 중장비 탑재방법과 장치
CN104802925B (zh) 海洋平台推进器的拆卸方法
EP2876040A1 (en) In-ship removal-type thruster device
KR102055400B1 (ko) 선박용 스러스터의 도크 내 장착 방법
KR101338917B1 (ko) 선박용 스러스터의 육상 장착 방법
CN112694010B (zh) 一种可单侧开合的平衡梁
JPH04100994U (ja) 昇降式スラスタ装置
KR200459459Y1 (ko) 선박의 아지무스 스러스터 고정 장치
KR101973083B1 (ko) 해양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