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914B1 -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914B1
KR102166914B1 KR1020190073908A KR20190073908A KR102166914B1 KR 102166914 B1 KR102166914 B1 KR 102166914B1 KR 1020190073908 A KR1020190073908 A KR 1020190073908A KR 20190073908 A KR20190073908 A KR 20190073908A KR 102166914 B1 KR102166914 B1 KR 10216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traction
shielding
mooring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마린
Priority to KR102019007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Abstract

계류시 선박 저면에 해양 부착생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고 개폐가 용이하여 조작의 신속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되 개구된 후방을 통해 유입된 선박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싸는 형태의 계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부력채널부; 상기 부력채널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조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박의 헐부에 이격되어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조류차폐부; 및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구비되고, 상단부에 연결된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계류공간의 후방측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후방커버부를 포함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mooring apparatus for ship guard}
본 발명은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의 신속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물 위에서 운행되면서 어업 및 이동수단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박은 체류시 육지 부근의 물가에 조성된 계류장에 정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박은 정박 시 선박의 하부가 수중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계류장 근해의 수중에는 바위에 달라붙어 사는 따개비나 굴, 조개 등의 부착생물이 많이 서식하는데, 상기 부착생물의 유생(seed)들이 부착기질을 찾아 유영하며 떠돌다가 부착기질인 상기 선박의 하부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부착생물의 유생들은 수중에 부유하는 조류와 같은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여 상기 선박의 하부에서 서식하며 성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생물이 선박 하부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행위와 상기 부착된 부착생물을 일컬어 폴링(fouling)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선박의 하부에 부착된 상기 부착생물은 선박의 운항에 영향을 미친다. 즉, 선박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상기 부착생물이 해수에 저항으로 작용됨에 따라 운행 시 해수와의 마찰 저항이 증가되어 선박의 항해 속도를 저하시키고, 추진 효율이 저하되어 연료소모량이 증가되었다. 또한, 추진기에 상기 부착생물이 부착되어 추진기의 추진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폴링에 의해 상기 부착생물이 선박 하부에 서식하면 선박의 밑면에 부식이 진행된다. 또한, 선박의 운행 중에 상기 부착생물이 선박으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선박의 모터에 상기 부착생물의 단단한 껍질 등이 빨려들어가게 되면 선박에 고장을 일으켜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이때, 선박의 하부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생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선박의 운행 전에 잠수부가 투입되어 선박 하부에 부착된 상기 부착생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 부착생물의 제거 작업시 상기 잠수부가 직접 들어가 청소작업을 하여야 하고, 수중 부유물에 의해 시계가 좋지 않은 등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형 선박의 경우에는 넓은 영역을 청소하기 위해 작업인원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후, 인력 절감을 위해 주기적으로 상기 부착생물을 제거하는 수중 청소장치나 로봇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청소장치 및 로봇 역시 이미 부착된 부착생물을 제거하는 사후관리 방식이기 때문에 상기 부착생물의 부착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대처방안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착생물이 선박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독성이 강한 물질이 혼합된 페인트를 도포하는 A/F(anti fouling) 도장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페인트가 해수를 오염시켜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 되며, 일정 시간이 흘러서 독성이 사라지면 청소 후에 다시 페인트를 도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선박의 하부가 상기 부착생물에 의하여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박 시 육지, 즉 물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시켜 보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선박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육지로 끄는 과정에서 선박의 밑면이 육지 또는 정박되는 계류장과의 마찰에 의해 부식 방지용 페인트가 벗겨지게 된다. 이로 인해, 운행 시 선박이 물에 노출되면 내부식성이 저하되어 부식속도가 증가하고, 선박의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선박이 육지나 계류장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별도의 이송기구를 사용하면 선박을 이송기구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기계장치나 다수의 인원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선박을 수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보관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고, 이송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계류장에 체류하는 선박을 상기 부착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선박의 하면을 감싸는 그물망이 적용되는 방식이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그물망은 선박 하부 전체면을 감싸기 위해 넓은 면적으로 요구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대형 선박에는 적용하기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결 유동에 의해 상기 그물망이 유동되다가 선박의 하면에 구비되는 프로펠러 등의 돌출부에 걸려 찢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상기 그물망을 선박의 측면으로 끌어올려 연결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가 선박의 외측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그물망을 각 고정대에 일일이 연결해야 하므로 설치 시간이 길게 소요되었다. 또한, 태풍, 강한 파랑 등으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그물망을 선박으로부터 해체하는 시간 또한 오래 걸리므로 비상상황에의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0891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류시 선박 저면에 해양 부착생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되고 개폐가 용이하여 조작의 신속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되 개구된 후방을 통해 유입된 선박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싸는 형태의 계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부력채널부; 상기 부력채널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조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박의 헐부에 이격되어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조류차폐부; 및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구비되고, 상단부에 연결된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계류공간의 후방측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후방커버부를 포함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류차폐부는 강체(rigid body) 폐단면 판넬로 구비되되, 상기 후방커버부는 상기 계류공간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방측 하측테두리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측으로 접힘되는 차폐메쉬 재질의 후방 차폐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의 상단부는 상기 부력채널부와 연결되는 견인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부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의 측면부와 연결되는 제1면과,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방측 측면테두리에 연결되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의 상단과 상기 제1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면을 포함하는 측방 차폐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면의 길이는 연결된 상기 제1면의 단부가 침수되어 상기 선박의 헐부가 상기 계류공간으로 진입되도록 수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침수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의 상단테두리에 구비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관통하여 상기 부력채널부로 연결되는 견인와이어와, 상기 지지봉이 침수된 상기 조류차폐부의 하부와 부유된 상기 부력채널부의 상부 사이 범위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견인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견인하는 견인장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부력채널부의 양측방부의 후단부에 각각 돌설된 견인지지대와,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견인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는 윈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계류된 선박의 저면 및 후방을 커버함으로써 선박에 부착되어 추진효율을 저하시키는 따개비, 굴 등의 부착생물 및 그의 먹이가 되는 조류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상기 선박의 저면이 안정적으로 보호되어 추진력이 유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계류공간의 저면을 차폐하는 조류차폐부가 강체 폐단면 판넬로 구비되어 상기 부착생물 및 상기 조류의 유입을 근원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물결 유동에 의한 장치 흔들림이 최소화됨에 따라 차폐메쉬 재질로 구비되는 후방커버부가 물결에 휩쓸려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되므로 장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부력채널부를 포함하는 계류설비와 상기 조류차폐부 및 상기 후방커버부를 포함하는 부착생물 유입방지설비를 일체로 구축하여 장치를 모듈화함으로써 계류장에 모듈화된 장치를 연결시켜 신속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적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후방커버부는 상단부에 연결된 견인수단에 의해 신속하게 접힘 및 펼침됨으로써 계류공간 후방의 개폐 조작이 용이하고, 선박이 상기 계류공간으로 진입되거나 퇴출될 때 상기 후방커버부만 펼침되면 상기 선박의 진입 및 퇴출경로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구동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의 일부분이 투영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의 후방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에 선박이 계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첨부된 각 도면에서 도면번호가 표시된 구성과 대칭되는 위치의 구성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여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도면부호의 표기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의 일부분이 투영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의 후방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에 선박이 계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100)는 크게 부력채널부(10), 조류차폐부(20), 그리고 후방커버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채널부(10)는 내부에 선박이 진입되어 계류되는 계류공간(11)이 형성되되 상기 계류공간(11)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선박이 진입되도록 후방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부력채널부(10)는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며, 후방측이 개구되되 수용되는 선박의 전방 및 측방향을 감싸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채널부(10)는 양측부가 레저선박, 어선선박 등 대상 선박이 수용가능한 간격의 폭을 갖도록 이격되되, 상기 선박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갖도록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력채널부(10)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로 구비될 수도 있고, 알루미늄 금속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알루미늄 금속 재질로 구비된 상기 부력채널부(10)에는 수상에 부유되도록 내부에 중공형의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양단을 막아 내부공간이 밀폐되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공간으로 작용하여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상면이 수면 위로 부유된다.
또한,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전방측에는 부두, 안벽 등 선박 계류장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면 전방부가 연결 지지되어 상기 선박 계류장에 부유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전방부 내측에는 상기 선박이 진입시 선체의 선수부가 상기 부력채널부(10) 위로 올라오거나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되도록 탄성을 가진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채널부(10) 내측의 측면부에도 상기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면 파랑 등에 의한 선박 유동시 부딪히며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찌그러짐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계류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류차폐부(20)는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계류되는 선박의 저면 헐부를 이격된 상태로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조류차폐부(20)는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면(21)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부가 연결되어 바닥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21)과 상기 바닥면(22)의 경계는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하부에서 상기 선박의 헐부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계류공간(11)은 하측부가 커버되어 후방측을 제외한 공간이 외부공간과 구획된다. 즉, 상기 계류공간(11) 내에 선박이 수용되면 상기 선박의 저면부는 상기 조류차폐부(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류차폐부(20)는 강체(rigid body) 폐단면 판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강체 폐단면 판넬이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되 단면이 밀폐되어 물이나 부착생물 등이 투과되지 않는 판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조류차폐부(20)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 합성수지, 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 등의 강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류차폐부(20)는 상기 계류공간(11)과 상기 외부공간 사이를 구획하여 물이 투과되지 않고, 조류를 포함한 플랑크톤 또는 따개비와 같은 부착생물이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류차폐부(20)의 저면에 상기 부착생물이 부착되어 무게가 증가되면 부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측면에 부력 증가를 위한 부력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류차폐부(20)는 상기 선박의 진입시 간섭이 방지되도록 측면(21)이 상기 선박의 저면이 침수된 길이보다 하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선박의 계류시 상기 조류차폐부(20)의 바닥면(22)은 상기 선박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류차폐부(20)는 선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선박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 함은 상기 선박의 저면과 완전히 형합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류차폐부(20)의 바닥면(22)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되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전방측 단부에 상측으로 경사지며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류차폐부(20)의 측면(21) 내측은 상기 바닥면(22)과 연결되어 선수측으로 갈수록 넓은 면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22)을 연결하여 측방향을 외부로부터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조류차폐부(20) 내측의 계류공간(11)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폭방향의 공간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류차폐부(20)의 내면은 수용되는 선박의 저면과 대향되어 진입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외면은 측면(21)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수중에서 부유되며 유동될 때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커버부(30)는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계류공간(11)의 후방측을 선택적으로 커버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커버한다 함은 상기 계류공간(11) 내부로 선박 진입시에는 후방측이 개구되되, 내부가 비어있거나 선박이 계류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커버부(30)가 접혀 올라오면서 후방측이 커버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후방커버부(30)는 후방 차폐원단부(31)와 측방 차폐원단부(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 및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차폐메쉬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폐메쉬라 함은 물은 투과되되 조류를 포함한 플랑크톤이나 해양생물의 유생을 포함한 부착생물의 투과를 차폐하는 메쉬(mesh)크기를 갖는 메쉬천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후방커버부(30)는 상기 메쉬크기와 같은 크기의 홀을 갖는 다양한 필터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커버부(30)가 차폐메쉬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계류공간(11)은 상기 조류차폐부(20)에 의해 측방향과 하측방향은 완전히 차폐되고 상기 후방커버부(30)의 차폐메쉬로는 물만 투과될 수 있으므로 조류를 포함한 플랑크톤 및 부착생물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되는 선박의 저면에 상기 부착생물의 부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생물이 부착된다 해도 그들의 먹이가 되는 조류를 포함한 플랑크톤 또한 유입이 방지되므로 상기 부착생물이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어 선박 저면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는 테두리를 따라 외곽프레임(32)이 구비된 사각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곽프레임(32)은 물의 유동에 의해 차폐메쉬가 흔들리지 않도록 사방에서 지지하고 형상이 유지되도록 금속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하단부(31a)는 상기 조류차폐부(20) 바닥면(22)의 후방측 하측테두리(24a)에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하단부(31a)측 외곽프레임(32)이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는 하단부(31a)를 축으로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상하이동되며 상측으로 접힙되거나 하측으로 펼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는 상측으로 접힘되면 상단부(31b)가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상면보다 높이 배치되어 상기 계류공간(11)의 후방측을 완전히 커버하는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폭은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후방측 하측테두리(24a) 폭에 대응되며, 높이는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후방측 측면테두리(24b)의 높이와 상기 부력채널부(10)의 두께를 합한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커버부(30)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수단(40)은 지지봉(35), 견인와이어(41), 견인장치(42), 그리고 견인지지대(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의 테두리에는 테두리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상기 지지봉(35)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35)은 상기 후방커버부(30)가 개방되면 수면 아래로 침수되어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를 하측으로 당김 지지하도록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지지봉(35)에 하중을 더하도록 무게추 등의 하중부재가 더 구비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계류를 위한 선박의 진입시 상기 후방커버부(30)는 하측으로 펼침 개방되고 상기 지지봉(35)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당김 지지되어 침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에 부딪히거나 하측의 프로펠러에 휩쓸리면서 차폐메쉬가 손상되는 등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가 물에 부유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35)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후방커버부(30)를 견인하는 상기 견인와이어(41)가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35)의 양단에는 상기 견인와이어(41)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견인와이어(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견인와이어(41)는 로프, 와이어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커버부(30)를 끌어올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줄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견인와이어(41)를 끌어올리면 상기 지지봉(35)이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상기 지지봉(35)에 연결된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일체로 승강되면서 견인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부(30)와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후방측 사이에 개방되는 측면이 커버되도록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양쪽 측면부(31c)에 각각 배치된다.
상세히, 한쌍의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측면부(31c)와 연결되는 제1면(33a)과,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후방측 측면테두리(24b)에 연결되는 제2면(33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상기 제2면(33b)의 상단과 상기 제1면(33a)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면(33a)의 단부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와 연결되는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면(33b)는 상기 측면테두리(24b)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상면까지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단이 부유되는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후면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면(33b)의 상단은 수면 위에 노출되어 수중의 측면이 커버되므로 수면에 부유하는 조류 및 부착생물의 측방향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면(미도시)의 길이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가 펼침되어 상단부(31b)가 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수되도록 수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침수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침수길이는 상기 계류공간(11)으로 진입되는 선박 헐부의 진입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상단부(31b)와 연결된 상기 제3면(미도시)의 단부가 상기 조류차폐부(20) 하측으로 침수되도록 연장된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상기 후방커버부(30)의 개방시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수되도록 펼침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면(33a) 및 상기 제2면(33b)에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외곽프레임(32)과 동일한 재질의 프레임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면(33a) 및 상기 제2면(33b) 사이가 접힘되도록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접철되는 힌지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물론 상기 후방커버부(30)는 후방과 측방이 구분된 차폐원단부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후방측 테두리(24)를 커버하는 하나의 차폐메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부(30)는 수용되는 선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선박의 후방측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물결에 의해 유동되어도 프로펠러와 같은 선박의 돌출부에 걸려 파손될 우려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방커버부(30)에 사용되는 차폐메쉬의 수명이 길어지고 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후방커버부(30)는 상기 계류공간(11)의 후방측만 커버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요구되는 차폐메쉬의 면적이 작아 장비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대형 선박의 계류시에도 요구되는 차폐메쉬의 면적이 크게 증가되지 않고, 사용되는 차폐메쉬의 폭만 증가시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대형화가 용이하므로 적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후방측 상면에는 상기 견인와이어(41)가 연결되는 상기 견인지지대(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지지대(43)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양측방부의 후단부에 각각 돌설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견인와이어(41)는 상기 견인지지대(43)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후단에 연결 지지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상기 견인지지대(43)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지지봉(35) 내부를 관통하는 견인와이어(41)는 양단부가 상기 견인지지대(43)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견인지지대(43)에 연결된 견인와이어(41)의 양단부를 당겨 올리면 상기 지지봉(35)이 상측으로 승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일체로 승강되어 상기 견인지지대(43)측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계류공간(11)의 후방측이 커버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부(30)를 상측에서 쉽게 당겨올리도록 상기 견인지지대(43)의 상단은 접힘된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보다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견인지지대(43)는 접힘된 상태의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 상단부(31b)와 상기 부력채널부(10) 상면 사이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와이어(41)를 당겨올리는 방법은 제한하지 않으며, 손으로 상기 견인와이어(41)를 당겨 올려 지지대에 감아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고, 상기 견인지지대(43)에 도르래를 설치하여 당겨 올릴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견인장치(42)가 구비되어 상기 견인와이어(41)를 당겨 올리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견인장치(42)는 상기 견인와이어(41)를 당겨 올리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견인지지대(43)의 상부에 한쌍의 윈치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윈치는 수동조작에 의한 핸드윈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윈치는 내부의 드럼과 연결된 핸들을 손으로 돌리면 상기 드럼이 회전되면서 상기 견인와이어(41)를 감아 상기 후방커버부(30)의 상단부(31b)를 견인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핸들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41)가 감겨 올라오거나 풀려 내려가면서 견인됨에 따라 상기 지지봉(35)이 상기 조류차폐부(20)의 하부와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상부 사이의 범위에서 승강된다. 이로 인해, 상기 후방커버부(30)의 상단부(31b)와 상기 견인지지대(43)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에 따라 상기 계류공간(11)이 커버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물론, 한쌍의 상기 견인장치(42)는 전력을 동력으로 하는 전동모터가 구비되어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이 자동 조절되는 전동윈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100)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1)이 상기 계류공간(11)의 내부로 진입시 상기 후방커버부(30)의 상단부(31b)는 수면 아래로 침수되어 후방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선박(1)의 진입을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후방커버부(30)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측면부(31c)와 연결된 일측 모서리(33a)가 하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펼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진입이 완료된 상기 선박(1)은 상기 계류공간(11) 내부에 수용되고, 계선윈치 등에 의해 계류장에 연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선박(1)의 후방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후방커버부(30)가 상측으로 견인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봉(35)의 양단으로 노출된 견인와이어(41)의 양측을 상기 견인장치(42)로 감아 올림에 따라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상측으로 견인된다. 여기서, 도 1에 표시된 화살표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견인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견인와이어(41)가 상기 견인장치(42) 내부의 드럼에 감기며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지지봉(35)이 상기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승강되어 수면 위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봉(35)에 연결된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가 일체로 견인되면서 상기 견인지지대(43)의 후방측으로 가까워진다. 최종적으로,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는 상단부(31b)가 수면 위로 노출되어 상기 견인지지대(43) 및 상기 부력채널부(10)의 후면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선박(1)의 후방측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방 차폐원단부(33)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측면부(31c)에 연결된 일측 모서리(33a)가 접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타측 모서리(33b)와 밀착되며, 후방측 측면이 커버된다.
여기서, 상기 계류공간(11)의 저면은 상기 조류차폐부(20)에 의해 완전히 차폐되고 후방측은 상기 후방커버부(30)에 의해 물만 투과되므로 물은 후방측에서만 상기 계류공간(11)의 내외부로 유동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31)의 상단부(31b)는 수면 위에 부유되는 상기 부력채널부(10)의 상면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수면 위로 노출되므로 하단부(31a)로부터 수면까지가 안정적으로 커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계류공간(11) 내부로 수면을 부유하는 따개비와 같은 부착생물이나 그 유생, 그리고 상기 부착생물의 먹이가 되는 조류를 포함한 플랑크톤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착생물의 제거를 위한 선박(1)의 저면 청소작업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엔진 및 드라이브 등에도 상기 부착생물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상기 선박(1)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선박(1)의 운항시 저면에 부착되는 부착생물에 의해 저항력이 증가되어 선박(1)의 추진속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방지되므로 선박(1)의 추진력 및 연료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A/F 도장을 수행한 선박은 더욱 높은 효율로 상기 부착생물의 부착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재도장이 필요하지 않아 주기적인 A/F 도장에 소요되는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선박(1)이 수용되지 않고 상기 계류공간(11)이 비어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커버부(30)가 견인되어 커버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후방커버부(30)는 파랑 등에 의한 물결의 강한 유동에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파랑에 휩쓸리며 수면을 떠다니는 단단하고 뾰족한 유입물 등에 찢기는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태풍 등의 갑작스러운 비상상황으로 인해 계류된 선박(1)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후방커버부(30)만 펼침되면 상기 선박(1)의 이동경로가 개방되어 상기 선박(1)이 신속하게 외부로 퇴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계류공간(1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이동경로의 개폐 조작이 용이하므로 구동의 편의성 및 신속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상기 부력채널부(10)와 같이 계류기능을 하는 계류설비와 상기 조류차폐부(20) 및 상기 후방커버부(30)를 포함하는 부착생물의 부착방지설비를 일체로 구축함에 따라 장치가 모듈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 계류장에 장치를 연결시켜 신속히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적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견인와이어(41)를 일측에서 당겨 올리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100A)의 견인와이어(41)는 양단부 중 어느 일측은 한쌍의 상기 견인지지대(도 1의 43)중 연결된 어느 하나에 고정되되, 타측은 다른 상기 견인지지대(도 1의 43)에 구비된 견인장치(42)에 연결된다.
즉, 상기 견인와이어(41)은 일방향에서 이동방향 및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후방커버부(30)가 견인되며 후방측이 개방 또는 커버된다. 여기서, 도 4에 표시된 화살표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도 2의 31)의 상단부(도 2의 31b)가 상측으로 견인될 때 상기 견인장치(42)의 조작에 의해 상기 견인와이어(41)가 이동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41)을 당기는 힘의 방향이 변화되는 지지봉(도 1의 35)의 양단부에는 상기 견인와이어(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도 2의 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와이어(41)는 상기 지지봉(도 1의 35)의 양단부측에서 회전되는 상기 도르래(도 2의 36)의 외주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계류공간(도 1의 11) 후방측의 개방 및 커버 조작시 상기 견인와이어(41)를 상기 견인장치(42)가 구비되는 어느 한 방향에서만 조절하여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100A: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1: 선박
10: 부력채널부 11: 계류공간
20: 조류차폐부 30: 후방커버부
31: 후방 차폐원단부 33: 측방 차폐원단부
35: 지지봉 40: 견인수단
41: 견인와이어 43: 견인지지대

Claims (5)

  1. 수상에 부유되되 개구된 후방을 통해 유입된 선박의 전방 및 측방을 감싸는 형태의 계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부력채널부;
    상기 부력채널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조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선박의 헐부에 이격되어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조류차폐부; 및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접이식으로 구비되고, 상단부에 연결된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계류공간의 후방측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후방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류차폐부는 강체 폐단면 판넬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부는 상기 계류공간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방측 하측테두리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측으로 접힘되는 차폐메쉬 재질의 후방 차폐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의 상단부는 상기 부력채널부와 연결되는 견인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후방커버부는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의 측면부와 연결되는 제1면과, 상기 조류차폐부의 후방측 측면테두리에 연결되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의 상단과 상기 제1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면을 포함하는 측방 차폐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면의 길이는 연결된 상기 제1면의 단부가 침수되어 상기 선박의 헐부가 상기 계류공간으로 진입되도록 수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침수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후방 차폐원단부의 상단테두리에 구비되되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구비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관통하여 상기 부력채널부로 연결되는 견인와이어와,
    상기 지지봉이 침수된 상기 조류차폐부의 하부와 부유된 상기 부력채널부의 상부 사이 범위에서 승강되도록 상기 견인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견인하는 견인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부력채널부의 양측방부의 후단부에 각각 돌설된 견인지지대와,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견인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견인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는 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KR1020190073908A 2019-06-21 2019-06-21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KR10216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08A KR102166914B1 (ko) 2019-06-21 2019-06-21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08A KR102166914B1 (ko) 2019-06-21 2019-06-21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914B1 true KR102166914B1 (ko) 2020-10-16

Family

ID=7303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908A KR102166914B1 (ko) 2019-06-21 2019-06-21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424A (ja) * 2009-05-01 2010-11-18 Eiji Kawanishi 簡易船体浮上装置
KR101206759B1 (ko) * 2010-07-22 2012-12-04 김성근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20160008914A (ko) 2014-07-15 2016-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KR20170059372A (ko) * 2015-11-20 2017-05-30 (주)대한엔지니어링 설치와 회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424A (ja) * 2009-05-01 2010-11-18 Eiji Kawanishi 簡易船体浮上装置
KR101206759B1 (ko) * 2010-07-22 2012-12-04 김성근 소형 선박 부양장치
KR20160008914A (ko) 2014-07-15 2016-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KR20170059372A (ko) * 2015-11-20 2017-05-30 (주)대한엔지니어링 설치와 회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547B2 (ja)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CA2745157C (en) Oil spill and contaminated ice containment, separation and removal system
AU2018203230B2 (en) Formable aquatic coverings for preventing biofouling
US3612280A (en) Oil-skimming apparatus
US8413609B2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US201101203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boats from fouling
KR102166914B1 (ko)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AU2005222514A1 (en) A protection apparatus
RU2063132C1 (ru) Сад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ракообразных или моллюсков
JP2005313813A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JP4466915B2 (ja) 船底等への水生生物の着生防止装置並びに着生防止方法
KR850001425B1 (ko) 어선
JP2571135B2 (ja) 外洋養殖装置
US6443085B1 (en) Method for keeping a submerged structure from being adhered to by aquatic organisms
RU27713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ограждения в водоеме
KR0157675B1 (ko) 침수 구획부를 가진 크레인 바지선
KR200359264Y1 (ko)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KR20220150090A (ko) 연근해 어선
CZ36400U1 (cs) Tralová sestava
JPH0415599Y2 (ko)
KR20090035966A (ko) 선박 하부 보호장치
KR20000060691A (ko) 내파성 가두리양식장
JP2002264889A (ja) 貝類・珪藻類・汚物などの付着しにくい船底保護方法
SU850503A1 (ru) Судно дл промысла кальмаров
KR20210078888A (ko) 적조 및 해양환경 오염방지를 위한 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