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090A - 연근해 어선 - Google Patents

연근해 어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090A
KR20220150090A KR1020210057372A KR20210057372A KR20220150090A KR 20220150090 A KR20220150090 A KR 20220150090A KR 1020210057372 A KR1020210057372 A KR 1020210057372A KR 20210057372 A KR20210057372 A KR 20210057372A KR 20220150090 A KR20220150090 A KR 20220150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house
hull
central station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준
Original Assignee
전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준 filed Critical 전현준
Priority to KR1020210057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090A/ko
Publication of KR2022015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근해 어선은, 선체의 선수에 설치되어 어망용 닻을 고정하는 닻 고정물과,
상기 닻 고정물로부터 상기 선체의 선미 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좌현 측에 설치되는 좌측 하우스와, 상기 좌측 하우스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좌측 하우스와의 사이에 중앙 스테이션을 형성하며, 상기 어망용 닻과 어망을 연결하는 로프가 상기 선체의 우현 측에 배치되어 바다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우현과의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우측 하우스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상측에 설치되며, 조타실을 포함하는 중앙 하우스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선미방향 및 상기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상기 어망을 양방향 양망하는 복수의 양망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근해 어선을 이용하면, 선체의 상부 구조물을 연근해 조업에 적합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근해 어선{Offshore fishing ship}
본 발명은 연근해 조업을 위해 설계된 연근해 어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근해 조업은 안강망 조업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안강망 조업은 어망을 닻으로 일시적으로 고정시켜 놓고 조류에 밀려 어망 안에 들어온 어군을 잡는 어업방식이다.
대한민국 등록공고공보 특1996-0008719호(공고일자;1996년6월29일)에는 ‘선미조업을 위한 안강망어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어선본체의 갑판 상에 구축물을 세워설치하고, 구축물의 중앙하부에는 어망 이송통로가 앞뒤로 개설되며, 어망이송통로의 뒤쪽에는 어망드럼이 가동적으로 설치하여 있고 구축물의 전방 갑판상에는 그 좌측에 자침용드럼과 넓힘줄드럼 및 보조드럼을 설치하고, 그 우측에는 배잡이줄드럼과 보조용드럼을 각각 설치하여, 망이 어망드럼에 감기도 풀리게 하는 한편 망의 후미를 어선본체의 선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선행특허는 현측 조업의 경우 양,투망이 용이하지 않고 배의 안정성 문제가 있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미 조업을 위한 안강망 전개장치에 적합한 어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어망이 선체에 비해 상당히 크고, 투망 후 장시간 지난 후 양망할 때 그동안 조류방향 등이 달라져 어선 기준으로 어선의 선미로 투망된 어망이 어선의 선수 측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는데, 선미로만 양망할 수 있어 어선을 돌려야 하고 어망줄이나 닻줄 등이 엉키기도 하여 양망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망에는 수많은 로프 및 부구가 연결되는 바, 어망 작업뿐만 아니라 수많은 로프 및 부구를 적재하고 연결,분리하는 작업공간 및 동선 등도 고려해야 하고, 선원들이 숙식하고 작업하는 공간 및 동선 등도 고려하여 어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공고공보 특1996-0008719호(공고일자;1996년6월2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망을 선미에서 투망하되 선미에서 선수방향 및 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 양방향 양망이 가능하며, 어망의 투,양망작업, 이외 어선운영 및 선원의 숙식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연근해 조업에 적합한 배치구조로 효율적으로 설계된 연근해 어선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근해 어선은, 선체의 선수에 설치되어 어망용 닻을 고정하는 닻 고정물과; 상기 닻 고정물로부터 상기 선체의 선미 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좌현 측에 설치되는 좌측 하우스와; 상기 좌측 하우스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좌측 하우스와의 사이에 중앙 스테이션을 형성하며, 상기 어망용 닻과 어망을 연결하는 로프가 상기 선체의 우현 측에 배치되어 바다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우현과의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우측 하우스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상측에 설치되며, 조타실을 포함하는 중앙 하우스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선미방향 및 상기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상기 어망을 양방향 양망하는 복수의 양망기;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하우스는 상기 선체의 좌현에 붙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하우스의 출입구는 상기 중앙 스테이션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스테이션 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하우스의 선수 및/또는 선미에는 상기 좌측 하우스의 상측을 통해 상기 중앙 하우스로 출입할 수 있도록 계단 또는 사다리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하우스는 상기 좌,우측 하우스를 기둥으로 하여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하우스는 상기 중앙 스테이션에 설치된 기둥들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양망기는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선수 측에 쌍을 이루어 좌우 이격 설치되는 전방 좌,우측 양망기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선미 측에 쌍을 이루어 좌우 이격 설치되는 후방 좌,우측 양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스테이션은 전후 개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해 어선은 선체의 상부 구조물을 연근해 조업에 적합하게 효율적인 배치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근해 어선은 양망작업시 어망을 선미에서 선수방향뿐만 아니라 선수에서 선미방향으로 양방향 양망이 가능하여 어선 기준으로 투망 시와 d양망 시 어망 위치가 바뀌었더라도 줄엉킴없이 용이하고 빠르게 어망을 양망할 수 있어 조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근해 어선은 좌,우측 하우스 사이에 중앙 스테이션을 넓게 확보하여 복수의 양망기를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선의 선수 및 선미공간이 양망기 없이 넓게 확보될 수 있으며, 또 중앙 스테이션을 통해 사방으로 출입이 가능하여 조업 및 일상 동선이 효율적이고 작업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중앙 스테이션이 좌,우측 하우스 및 중앙 하우스에 둘러싸여 있어 작업 및 통행시 풍랑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 안정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근해 어선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근해 어선의 중앙 하우스를 제외한 평면 배치도로서, 어망의 투망준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근해 어선의 평면 배치도로서, 어망의 선미를 통한 양망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연근해 어선의 평면 배치도로서, 어망의 선수를 통한 양망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근해 어선의 중앙 하우스를 제외한 평면 배치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의 중앙하우스를 제외한 평면배치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선체(2)의 좌우방향은 선체(2)의 선미(2d)에서 선수(2c)방향으로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 특히 선체(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은, 선체(2)의 선수(2c)에 설치되어 선체(2)로 양망된 어망용 닻(6)을 고정할 수 있는 닻 고정물(미도시)과, 중앙 스테이션(50)을 형성하는 좌,우측 하우스(10,20)와, 중앙 하우스(30)와, 복수의 양망기(71,72,73,74)를 포함한다.
좌,우측 하우스(10,20)은 각각 선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닻 고정물로부터 선체(2)의 선미(2d) 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중앙 스테이션(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좌우 이격 설치된다. 좌,우측 하우스(10,20)은 선체(2)의 선미(2d) 측에 수조탱크가 설치되는 경우 전후방향으로 전후방향으로 닻 고정물과 수조탱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측 하우스(10)는 선체(2)의 좌현(2a) 측에 설치되는데, 전후로 긴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 하우스(10)는 선체(2)의 좌현(2a)과의 사이에 거리를 띄지 않고 바로 붙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 스테이션(50)이 가능한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좌측 하우스(10)의 내부에는 일측에 취사 등을 위한 갤러리(galley)(12)를 구성할 수 있고, 타측에 선체(2) 아래로 출입할 수 있게 좌측 선실 계단(14)을 구성할 수 있다. 좌측 하우스(10)의 출입구(16)는 중앙 스테이션(50)을 통해 출입할 수 있게 중앙 스테이션(50) 측, 즉 좌측 하우스(10)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하우스(10)의 선수(2c) 측과 선미(2d) 측 중 적어도 한쪽에는 좌측 하우스(10)의 상측을 통해 중앙 하우스(30)로 출입할 수 있도록 계단(17) 또는 사다리(18)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좌측 하우스(10)의 선수(2c) 측에는 사다리(18)가 구성되고, 좌측 하우스(10)의 선미(2d) 측에는 계단(17)이 구성될 수 있다. 좌측 하우스(10)의 계단(17)은 전후방향으로 진출입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 하우스(10)에 중앙 하우스(30) 출입을 위한 계단(17) 및/또는 사다리(18)가 구성됨으로써 중앙 스테이션(50)에 돌출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체(2)의 우현(2b) 측에 배치되는 로프(8) 및 부구들과 엉키거나 조업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중앙 하우스(30)로 출입할 수 있다.
우측 하우스(20)는 좌측 하우스(10)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선체(2)의 우현(2b) 측에 설치되는데, 좌측 하우스(10)와 달리 선체(2)의 우현(2b)과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즉 우측 하우스(20)와 선체(2)의 우현(2b) 사이에는 개방된 우측 통로(60)가 형성된다. 상기한 우측 통로(60)에는 어망용 닻(6)과 어망(4)을 연결하는 로프(8) 및 어망(4) 전개를 위한 어구 등이 다른 구조물이나 선원들과 간섭없이 배치되고 이동될 수 있으며, 투망시 다른 구조물 등에 걸리지 않고 선체(2)의 우현(2b)을 통해 바로 바다로 던져질 수 있다.
우측 하우스(20)는 전후로 긴 구조물일 수 있고, 좌측 하우스(10)보다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하우스(20)의 내부에는 화장실(22)이 구성되고, 선체(2) 아래로 출입할 수 있게 우측 선실 계단(24)이 구성될 수 있다. 우측 하우스(20)의 출입구(26) 또한 중앙 스테이션(50)을 통해 출입할 수 있게 중앙 스테이션(50) 측인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하우스(30)는 조타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중앙 스테이션(50)의 상측에 복층 구조로 설치된다. 중앙 하우스(30)는 좌,우측 하우스(10,20)을 기둥으로 하여 좌,우측 하우스(10,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중앙 스테이션(50)은 상기한 좌,우측 하우스(10,20) 및 중앙 하우스(30)에 의해 전후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스테이션(50)을 통해 서로 부딪치지 않고 사방으로 출입이 용이하고 동선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중앙 스테이션(50)을 작업장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 스테이션(50)은 좌,우측 하우스(10,20) 및 중앙 하우스(30)에 의해 풍랑 등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이동 및 작업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복수의 양망기(71,72,73,74)는 선체(2)의 선수(2c)에서 선미(2d)방향 및 선미(2d)에서 선수(2c)방향으로 어망(4)을 양방향 양망할 수 있게 중앙 스테이션(50)에 설치된다.
즉 복수의 양망기(71,72,73,74)는 중앙 스테이션(50)의 선수(2c) 측에 쌍을 이루어 좌우 이격 설치되는 전방 좌,우측 양망기(71,72)와, 중앙 스테이션(50)의 선미(2d) 측에 쌍을 이루어 좌우 이격 설치되는 후방 좌,우측 양망기(73,7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양망기(71,72,73,74)를 좌,우 이격 설치함에 따라 양망기(71,72,73,74)로 인해 중앙 스테이션(50)을 통한 출입이 방해 받지 않아 중앙 스테이션(50)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고, 어망(4)의 좌,우 양망 속도 등을 각각 조절하며 양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양망기(71,72,73,74)를 전후 설치함에 따라 어망(4)을 선체(2)의 선수(2c)와 선미(2d) 어느 쪽으로든 용이하게 양망할 수 있다. 나아가 각 양망기(71,72,73,74)는 선원이나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중앙 스테이션(5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후방 좌측 양망기(71,73)는 좌측 하우스(10)의 우측면에 붙어 설치될 수 있고, 전,후방 우측 양망기(72,74)는 좌측 하우스(10)보다 짧게 구성된 우측 하우스(20)의 전,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각 양망기(71,72,73,74)는 상하로 길며 좌우로 얇은 케이스(70a)의 외부 상측에 중앙 스테이션(50)을 향해 돌출되어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롤러(70b)가 설치되고, 케이스(70a)의 외부 하측에 모터 등이 설치되며, 케이스(70a)의 내부에 모터(70c) 등의 동력으로 상기 롤러(70b)를 회전시키는 감속기어 등이 설치된다. 각 양망기(71,72,73,74)는 상기 어망(4)의 양망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70b)를 정역 양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망시에는 어망(4)을 선미(2d)에 준비해두고, 우측 통로(60)를 통해 로프(8) 및 어구 등을 배치하고 선수(2c)에 위치된 어망용 닻(6)과 선미(2d)에 위치된 어망(4)에 로프(8) 및 어구 등을 연결하여 준비한다. 그러면, 선체(2)의 우현(2b) 측으로 어망용 닻(6)을 내리면 선미(2d)에 준비된 어망(4)이 어구 등과 함께 바다에 투망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망(4) 입구가 선체(2)의 선미(2d) 측에 가까운 경우에는 선체(2)의 선미(2d)로 어망(4)을 양망한다. 즉 어망(4)에 연결된 줄(5)을 선체(2)의 선미(2d) 측에서 중앙 스테이션(50) 내 양망기(71,72,73,74)에 걸고, 어망(4)이 선미(2d)에서 선수(2c)로 견인되는 방향으로 양망기(71,72,73,74)를 구동하면 양망기(71,72,73,74)에 어망(4)에 연결된 줄(5)이 감기면서 어망(4)이 선체(2)의 선미(2d)로 양망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망(4) 입구가 선체(2)의 선수(2c) 측에 가까운 경우에는 선체(2)의 선수(2c)로 어망(4)을 양망한다. 즉 어망(4)에 연결된 줄(5)을 선체(2)의 선수(2c) 측에서 중앙 스테이션(50) 내 양망기(71,72,73,74)에 걸고, 어망(4)이 선수(2c)에서 선미(2d)로 견인되는 방향으로 양망기(71,72,73,74)를 구동하면 양망기(71,72,73,74)에 어망(4)에 연결된 줄(5)이 감기면서 어망(4)이 선체(2)의 선수(2c)로 양망될 수 있다.
한편 양망기(71,72,73,74)에 의해 어망(4)이 양망되면, 어망용 닻(6)을 선체(2)로 인양하여 닻 고정물에 고정하고, 어망용 닻(6)과 어망(4)에 연결된 로프(8) 및 어구를 어망(4) 및 선원 등과 간섭되지 않게 우측 통로(60)에 배치하고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선체(2)의 선수(2c)나 선미(2d)로 양망된 어망(4)으로부터 어군을 털어낼 때, 양망된 어망(4)과 간섭되지 않고 잡은 어군을 중앙 스테이션(50)을 통해 신속하게 이동 및 손질작업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근해 어선은, 좌,우측 하우스(10,20)와, 중앙 하우스(30)의 배치 구조에 의해 전후 개방형 중앙 스테이션(50) 및 우측 통로(60)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앙 하우스(30)가 별도로 설치한 기둥(32)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하우스(30)의 바닥면이 좌,우측 하우스(10,20)의 상면과 평평하게 연결되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중앙 하우스(30)를 별도의 기둥(32) 위에 안착함에 따라, 좌,우측 하우스(10,20)의 높이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고, 중앙 하우스(30)의 높이 또한 좌,우측 하우스(10,20)의 높이에 구속되지 않고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연근해어선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연근해어선은 좌측하우스(10)가 선체의 좌현(2A)에 대해 이격되어 좌측 통로(61)가 더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근해언서의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연근해어선은 중앙스테이션(50)과 우측통로(60)에 어망(4) 또는 줄(5)이 위치 시 좌측통로(61)를 통해 작업자가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선체 4; 어망
6; 어망용 닻 10; 좌측 하우스
20; 우측 하우스 30; 중앙 하우스
50; 중앙 스테이션 60; 우측 통로
71,72,73,74; 양망기

Claims (7)

  1. 선체의 선수에 설치되어 어망용 닻을 고정하는 닻 고정물과;
    상기 닻 고정물로부터 상기 선체의 선미 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좌현 측에 설치되는 좌측 하우스와;
    상기 좌측 하우스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좌측 하우스와의 사이에 중앙 스테이션을 형성하며, 상기 어망용 닻과 어망을 연결하는 로프가 상기 선체의 우현 측에 배치되어 바다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우현과의 사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우측 하우스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상측에 설치되며, 조타실을 포함하는 중앙 하우스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선수에서 선미방향 및 상기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상기 어망을 양방향 양망하는 복수의 양망기;
    를 포함하는 연근해 어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하우스는 상기 선체의 좌현에 붙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하우스의 출입구는 상기 중앙 스테이션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스테이션 측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해 어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하우스의 선수 및/또는 선미에는 상기 좌측 하우스의 상측을 통해 상기 중앙 하우스로 출입할 수 있도록 계단 또는 사다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해 어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우스는 상기 좌,우측 하우스를 기둥으로 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해 어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우스는 상기 중앙 스테이션에 설치된 기둥들 위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해 어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망기는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선수 측에 쌍을 이루어 좌우 이격 설치되는 전방 좌,우측 양망기와, 상기 중앙 스테이션의 선미 측에 쌍을 이루어 좌우 이격 설치되는 후방 좌,우측 양망기를 포함하는 연근해 어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스테이션은 전후 개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해 어선.
KR1020210057372A 2021-05-03 2021-05-03 연근해 어선 KR20220150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72A KR20220150090A (ko) 2021-05-03 2021-05-03 연근해 어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372A KR20220150090A (ko) 2021-05-03 2021-05-03 연근해 어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90A true KR20220150090A (ko) 2022-11-10

Family

ID=8404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372A KR20220150090A (ko) 2021-05-03 2021-05-03 연근해 어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0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719A (ko) 1994-08-31 1996-03-22 오오가 노리오 디스크형 광학 기록 매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719A (ko) 1994-08-31 1996-03-22 오오가 노리오 디스크형 광학 기록 매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3258A (ja) 深海設置船
KR20120067357A (ko) 선박의 배치 및 회수용 해양 장비
CN100408427C (zh) 漂浮物打捞设备
JP2011057218A (ja) 遭難船用の救助船、船の救助方法、および救助船の応用
CN105083471A (zh) 一种船舶定位锚系统
WO2016116771A1 (en) Multifunctional aft door
FI64541C (fi) Oljeuppsamlingsfartyg
CN114056489A (zh) 一种锚泊系统及具有该系统的船舶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KR20220150090A (ko) 연근해 어선
US20140150703A1 (en) Supply vessel
DE410400C (de) Schiffs-Antriebseinrichtung
KR20150143374A (ko) 다기능 독
JP2005523203A (ja)
KR20200105484A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KR101030340B1 (ko) 선박의 종횡 접안이 가능한 물양장
CN111942539A (zh) 半潜驳船坐底施工带活动防护板的防护装置及施工方法
JPH0640379A (ja) 母 船
KR200398203Y1 (ko) 아웃 엔진을 부착한 워터젯 장치
KR101513069B1 (ko) 잠수함의 승조원 출입구조
KR102544957B1 (ko)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JPH0787909B2 (ja) フロート式噴水装置
CN218641037U (zh) 一种船载小艇收放装置
CN216636772U (zh) 一种半潜式游艇
CN112918616A (zh) 带观水转舱的游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