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264Y1 -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 Google Patents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264Y1
KR200359264Y1 KR20-2004-0014482U KR20040014482U KR200359264Y1 KR 200359264 Y1 KR200359264 Y1 KR 200359264Y1 KR 20040014482 U KR20040014482 U KR 20040014482U KR 200359264 Y1 KR200359264 Y1 KR 200359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contact
water
curtain
bad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정 filed Critical 김연정
Priority to KR20-2004-0014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64Air
    • E02B15/0871Air self-inflating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오염발생 우려가 있는 수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주변으로의 오탁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상악화 시의 유실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침수형 오탁방지막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해양의 부착생물에 대한 막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구수단과, 재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기상악화 시의 유실 및 훼손 방지와, 재활용을 위하여 부체를 공기 주입형으로 형성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일정기간동안은 작업 수계의 표면에 떠 있도록 하고, 기상악화 시에는 부체로부터 공기를 빼내어 인공침수가 가능토록 한 부침형 오탁방지막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침형 오탁방지막은 작업기간 동안 막체에 해양 부착생물들이 서식함에 따른 자연침수 및 막체 손상에 대한 수명 단축의 대책이 없고, 또한 막체가 물살 등에 의하여 산재되거나 엉켜진 상태로 침수토록 되어 재사용을 위한 부상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부침형 오탁막지막에 있어서, 막체 표면에 물보다 비중이 큰 다수개의 접촉매체를 수직 일렬로 늘어지게 연결시킨 접촉커튼을 형성시켜 조류, 파랑이나 바람에 의한 흔들림에 의하여 부착생물에 스트레스를 주어 이동을 유동하고, 침수 시에는 접촉커튼의 절첩에 따라 막체가 절첩되어져 정리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 재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부침형 오탁방지막.

Description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A water dirt fence of a submergence or float type which has a preventing means about a bad weather and a adhesion living thing on the water}
본 고안은 호소, 하천, 바다 등의 주변에 환경적인 영향을 야기할 수 있는 수계에서 건설공사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주변으로의 오탁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악한 기상여건 시의 유실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부침형 오탁방지막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해양의 부착생물들에 대한 막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구수단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통상의 오탁방지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부상토록 하기 위한 부체(100)와 부체의 하부로 연결 형성되어 작업 수계를 구획토록 하기 위한 막체(200)로 구성되어, 환경영향에 예상되는 수계에서의 건설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구획된 수계 내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질 등을 포함한 각종 부상 오탁물이 다른 수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수처리가 가능토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탁방지막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작업 수역의 표면에 항상 떠 있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태풍이나 우천, 강한 조류속 등으로 인한 기상악화 시에는 오탁방지막이 쉽게 날아가 버려 유실되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때에는 부체(100)의 충전물이 고분자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스치로플(100a)로 이루어져 있어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해양 폐기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막체에 부착생물등이 부착하여 막체의 기능을 폐쇄시키거나 중량을 증가시켜 막체의 기능상실이 우려될 가능성이 높았던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오탁방지막의 부체(100)를 공기 주입형으로 형성시켜 작업시에는 부상토록 하고, 기상악화 시에는 부체(100) 내에 충전된 공기를 빼내어 오탁방지막을 인공으로 침수토록 한 부침형 오탁방지막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기상 악화 시에의 오탁방지막 유실 및 해양 폐기물의 발생 원인을 방지할 뿐, 부착생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막체의 손상에 대한 대책이 없으며, 또한 침수 시에는, 막체가 물살 등에 의하여 산재되거나 엉켜진 상태로 침수토록 되어 재사용을 위한 부상 작업이 불편한 또 다른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부착생물에 의하여 발생되는 막체의 손상은, 막체의 구조가 물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기공이 형성되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개, 홍합 등의 다양한 해양 생물들의 부착이 쉽고, 또한 이러한 부착생물들은 작업기간 내내 막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서식하여 점차로 증식하게 되기 때문에 막체의 중량을 점차 증가시켜 수계 내로 오탁방지막이 자연 침수하게 됨으로서 작업 수행이 어렵게 되고, 또한 이러한 생물체의 서식은 생물체의 분비물로 막체의 기공을 폐쇄시켜 오탁방지막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공침수가 가능한 공기 주입형으로 부체를 형성시킨 부침형 오탁방지막에 있어서, 막체에 부착되어진 생물에 스트레스를 주어 서식 및 성장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을 유도토록 함과 동시에, 침수 시 막체가 절첩되어져 정리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상기한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오탁방지막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오탁방지막은, 부침형으로 구성하되, 막체의 표면에 물보다 비중이 큰 다수개의 접촉매체를 수직 일렬로 늘어지게 연결시킨 접촉커튼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파랑이나 바람, 조류에 의한 접촉커튼의 흔들림으로서 부착생물에 스트레스를 주어 탈착시키고, 접촉커튼의 단계적 절첩에 의한 막체의 절첩 침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작업 수계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업 수계 내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작업 수계의 저면에 침하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작업 수계 내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작업 수계 내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7은 종래 오탁방지막의 참고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걸고리체 10: 접촉커튼
11: 접촉매체 12: 수직연결체
13: 수평연결체 20: 길이조절수단
100: 부체 200: 막체
200: 에어펌프시스템 400: 악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펌프시스템(300)에 의한 공기 주입형으로 이루어지는 부체(100)와, 상기 부체(100)의 하부로 연결 형성되어 작업 수계를 구획토록 하기 위한 막체(200)를 포함하는 공지의 부침형 오탁방지막에 있어서, 상기 막체(200)의 표면에 물보다 비중이 큰 다수개의 접촉매체(11)가 수직연결체(12)에 의하여 다단 일렬로 늘어지게 연결된 접촉커튼(10)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접촉커튼(10)은 상기 막체(2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행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막체(200)의 표면 전체가 덮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고, 접촉커튼(10)의 상단이 막체(200) 또는 부체(100)에 고정토록 되어 파랑이나 조류에 의하여 흔들림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커튼(10)은 부체(100) 또는 막체(200) 어느 것에나 고정시켜도 가능한 것이고, 부체(100) 또는 막체(200)에 별도의 걸고리체(101)를 형성시켜 접촉커튼(10)의 수직연결체(12) 상단을 걸고리체(101)에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형성시켜 인위적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탈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본 고안 오탁방지막의 수거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커튼(10)의 수직연결체(12)는 직선형 와이어로 형성시켜 그 상단을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형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합성끈이나 체인형 와이어로 형성시켜 그 상단에 별도의 고리체(미도시됨)를 형성시키면 탈착식으로의 고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것은 수직연결체(12)의 소재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커튼(10)의 수직연결체(12) 하단에는 파랑이나 물살 등에 의한 접촉커튼(10)의 수면 위로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게추(14)가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동일 수평 상에 위치되어지는 접촉매체(10) 간에는 파랑이나 물살 등에 의한 접촉커튼(10)의 엉킴 방지를 위한 수평연결체(13)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수평연결체(13)는 접촉매체(10)를 2열, 3열,... 씩 연결시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커튼(10)의 구성체인 접촉매체(11)는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형성시켜도 가능한 것이고,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체로 형성시켜도 가능한 것으로, 이때 접촉매체(11)에는 물의 관통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통공구(11a)를 형성시켜 접촉커튼(10)이 수면 위로 부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접촉매체(11)의 외표면(구형으로 형성시킬 경우) 또는 내부(링체로 형성시킬 경우)에 부착생물과의 접촉면적 증가를 위한 접촉살(11b)을 형성시켜 부착생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체(100)에의 공기 주입 및 인출을 위한 에어펌프시스템(300)은 부상부재(301)에 의하여 수면 위에 항상 떠 있도록 되어 있고, 부체(100)와의 연결부에는 수압에 의하여 견딜 수 있도록 고압호스(302)가 연결되어 있어 고압호스(302)를 통한 부체(100)에의 공기 주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시스템(300)은 오탁방지막이 침수될 경우에도 부상부재(301)에 의하여 수면 위에 떠 있도록 함으로서, 오탁방지막의 침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재사용을 위한 오탁방지막의 부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체(200)의 하단 양측에는 수계 바닥에의 정박을 위한 앙카(400)가 형성되는 것이고, 그 사이에는 막체(200)의 부상 방지를 위한 또 다른 무게추(14a)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막체(200)의 표면에 접촉커튼(10)이 형성된 본 고안의 오탁방지막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랑 및 조류 등으로 인하여 접촉커튼(10)이 유동되어 막체(200)의 표면에 연속으로 부딪히게 됨으로서 막체(200) 표면에 부착된 해양생물에 접촉되어져 스트레스를 주게 됨으로서 막체(200) 표면에 부착된 해양생물의 이동을 유도할 뿐 아니라 서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접촉커튼(10)은 부체(100)에 형성된 걸고리체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자체의 중량 및 무게추(14)에 의하여 하방으로 늘어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커튼(1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수평연결체(13)에 의한 엉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커튼(10)은 접촉매체(11)가 수직연결체(12)에 의하여 수직 일렬로 형성되어 있는 단위체로 이루어져 있어, 막체(200)에의 높은 충돌효과로 막체(20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생물체의 분비물을 털어 내어 막체(200)의 기공이 폐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펌프시스템(300)을 이용하여 상기 부체(100)로부터 공기를 인출시켜 본 고안의 오탁방지막을 침수시킬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커튼(10)의 접촉매체(11)가 그 사이에 형성된 수직연결체(12)에 의하여 절첩되기 때문에 이접촉매체(11)에 의하여 막체(200)가 절첩되면서 침수토록 됨으로서 물살 등에 의한 의하여 막체(200)가 흩어지면서 침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부체(100)에 연결되어지는 막체(200)의 상부에 수심에 따라 막체(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20)을 형성시켜 수계 바닥에서의 준설 공사 시 막체(200)를 수계 하부의 일정 높이만큼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커튼(10)이 막체(200)에 고정될 경우에는, 막체(200)의 위치에 따라 접촉커튼(10)의 위치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나, 부체(100)에 고정될 경우에는 막체(200)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접촉커튼(10)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접촉커튼(10)의 수직연결체(12) 상단에 별도의 길이조절수단을 형성시키거나 수직연결체(12)의 상단을 연장시켜 수심에 따른 접촉커튼(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토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체(200) 내부에는 기공(30a)을 갖는 탄성심(30)을 형성시켜 막체(200)가 유연성을 갖도록 함으로서 준설작업 등을 포함하여 강력한 물살을 일으키거나 강한 저항력이 부여될 수 있는 작업을 시행 할 경우, 막체(200)가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막체(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오탁방지막은 태풍이나 악천후 등의 기상악화 시에는 수계 저면으로의 침수가 가능하여 유실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양의 부착생물에 대한 막체의 손상 방지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착생물의 서식 및 증식에 의한 오탁방지막의 자연 침수 방지로 작업 중단에 따른 막대한 공사비용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오탁방지막의 수명 연장으로 다른 현장에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해양 폐기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에어펌프시스템(300)에 의한 공기 주입형으로 이루어지는 부체(100)와, 상기 부체(100)의 하부로 연결 형성되어 작업 수계를 구획토록 하기 위한 막체(200)를 포함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막체(200)의 표면에 물보다 비중이 큰 다수개의 접촉매체(11)가 수직연결체(12)에 의하여 다단 일렬로 늘어지게 연결된 접촉커튼(10)이 형성되어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튼(10)은 상기 막체(2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행을 갖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100)에 걸고리체(101)를 형성시켜 상기 접촉커튼(10)의 수직연결체(12) 상단이 걸고리체(101)에 탈착식으로 연결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튼(10)의 동일 수평 상에 위치되어지는 접촉매체(10) 간에는 수평연결체(13)가 형성되어 접촉커튼(10) 단위체 간의 엉킴이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매체(11)에는 통공구(11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매체(11)에는 접촉살(1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막체(200)와 접촉커튼(10)의 수직연결체(12) 상단에는 수심에 따른 위치의 조정을 위한 길이조절수단(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막체(200)의 내부에는 탄성심(30)이 형성되어 유동성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 오탁방지막.
KR20-2004-0014482U 2004-05-25 2004-05-25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KR200359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482U KR200359264Y1 (ko) 2004-05-25 2004-05-25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482U KR200359264Y1 (ko) 2004-05-25 2004-05-25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91A Division KR100495818B1 (ko) 2004-05-24 2004-05-24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264Y1 true KR200359264Y1 (ko) 2004-08-16

Family

ID=4934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482U KR200359264Y1 (ko) 2004-05-25 2004-05-25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2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39B1 (ko) * 2011-08-31 2013-06-2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102033555B1 (ko) 2019-01-15 2019-10-18 대한민국 방오 특성이 개선된 오탁방지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39B1 (ko) * 2011-08-31 2013-06-2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102033555B1 (ko) 2019-01-15 2019-10-18 대한민국 방오 특성이 개선된 오탁방지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JP2004113003A (ja) 生け簀装置及び生け簀養殖方法
JP2009261341A (ja) 海底生物採取機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DK1646787T3 (en) Wind turbine
JP2017176082A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KR200396100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200056649A (ko) 조류를 이용한 해상 부유 쓰레기 차집장치 및 그 방법
KR200359264Y1 (ko)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CN209749525U (zh) 一种船载式埋栖型底栖动物捕捞器
KR100495818B1 (ko)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EP0353095A2 (en) A preventive method against apposition of a marine organism and a preventive sheet against apposition of a marine organism
JP2007000039A (ja) 牡蠣筏
KR101711348B1 (ko) 다목적 인공어초
WO2007125363A1 (en) Fish enclosure
RU2063132C1 (ru) Сад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ракообразных или моллюсков
KR101917495B1 (ko) 지그재그 수평 부침식 전복용 가두리
KR20210141617A (ko)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KR200399012Y1 (ko) 가두리 양식장 적조방지 장치
JP2018068129A (ja) 保護具
CN218824226U (zh) 一种养殖池塘水质检测装置
CN219894280U (zh) 一种用于生态修复的耐风浪的浮式牡蛎礁
KR101131879B1 (ko) 인공 수초를 이용한 부유식 방파제
KR101091858B1 (ko) 침설식 고착성 양식생물 양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