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617A -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617A
KR20210141617A KR1020217033697A KR20217033697A KR20210141617A KR 20210141617 A KR20210141617 A KR 20210141617A KR 1020217033697 A KR1020217033697 A KR 1020217033697A KR 20217033697 A KR20217033697 A KR 20217033697A KR 20210141617 A KR20210141617 A KR 2021014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and
intimidation
shaped member
repell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노부 카네다
Original Assignee
마루코스이산 유겐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코스이산 유겐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코스이산 유겐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간소하고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어류 기피 작용이 뛰어난 어류 기피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류를 기피시키는 어류 기피구(10)를, 수중에서 흔들림으로써 어류를 위협하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와,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수면 부근으로부터 수중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매달기 부재(12)를 구비한 것으로 했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는, 경질이면서 굴곡 탄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 광택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본 발명은 특정 부분에 어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어류 기피구와 이를 이용한 해조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일본인의 식탁에서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식재료이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규슈부터 도호쿠에 걸친 넓은 범위에서 김이 양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김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양식 김의 식해(食害)로 인해 김 흉작 경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 요인으로 여겨진다. 일본의 김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아리아케해(규슈)와 세토나이해(츄시코쿠)에서도 식해로 인한 막대한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김 식해의 확대는 해수 온도 상승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즉 최근 해수 온도 상승에 의해 김의 번식기인 겨울에도 해수 온도가 내려가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추운 시기에는 활동하지 않아야 할 독가시치와 감성돔 등의 어류가 겨울에도 활발히 움직여, 양식 중인 김을 먹게 되었다.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각지의 김 양식장에서는 김의 양식망(이른바 김 망)에 어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대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대책도 효과가 적거나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실용적이지 않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바닷속에 스피커를 가라앉히고 스피커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양식망에 어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바닷속에 가라앉혀도 동작하는 스피커(수중 스피커)는 매우 고가이며 고장날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스피커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육상과 해상을 전기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해상에 발전 장치나 배터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애초에 소리에 의해 어류를 어디까지 기피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247926 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구조가 간소하고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어류 기피 작용이 뛰어난 어류 기피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어류 기피구를 이용한 김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과제는, 어류를 기피시키는 어류 기피구로서, 수중에서 흔들림으로써 어류를 위협하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와, 위협용 띠 형상 부재를 수면 부근으로부터 수중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매달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기피구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시공하면 수중에 매달린 위협용 띠 형상 부재가 물의 흐름(조류나 강의 흐름 등)을 받아 수중에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움직임으로 어류를 놀라게 해서 어류 기피구 근처에 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와 매달기 부재로 구성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는 저렴할 뿐만 아니라 고장날 걱정도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는 매달기 부재를 소정의 부분에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는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이라면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위협용 띠 형상 부재를 부드러운 부재로 형성하면 위협용 띠 형상 부재가 꼬이거나 다른 부재에 뒤얽힐 우려가 있다. 한편 위협용 띠 형상 부재를 단단한 부재로 형성하면 수중에서 흔들리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가 단조로운 움직임 밖에 하지 않아 위협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는 경질이면서도 굴곡 탄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재로서는 금속판을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것 등이 예시된다. 이로써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꼬임과 뒤얽힘을 억제하면서, 물의 흐름을 받아서 흔들리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에 물결치는 듯한 복잡한 움직임을 수행시켜 어류에 대한 위협 효과를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표면은 무광으로 마무리해도 되지만 유광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기 쉬워지고, 위협용 띠 형상 부재를 눈에 띄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어류가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존재를 인식하기 쉬워지고, 어류에 대한 위협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조가 간소하고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어류의 기피 작용이 뛰어난 어류 기피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어류 기피구를 이용한 김 양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기피구를 이용하여 김 양식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기피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기피구의 매달기 부재에 있어서의 클립 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1. 머리말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대하여 도면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는, 어류가 있는 수역(바다, 강, 늪, 호수 등)이라면 어느 장소에도 시공할 수 있다. 이들 수역에 있어서 어류를 기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어패류를 양식할 때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김이나 미역 등 해조를 양식할 때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김을 양식할 때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이 김 양식에서는 어류에 의한 식해(食害)가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이용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도 김을 양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설명한다.
2. 김 양식 방법
우선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10)를 이용한 김 양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김 양식 방법에는, [1] 플로트(부자, 浮子)가 설치된 프레임(부자 프레임)을 바다에 띄우는 한편 부자 프레임으로부터 닻을 내려 부자 프레임이 떠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부자 프레임의 내측에 복수의 로프(부자 로프)를 걸쳐서 부자 로프와 부자 로프 사이에 양식망(김 망)을 펼치는 '부유식'으로 불리는 방법과, [2] 바다에 복수의 지주를 울타리 형상으로 세우고, 지주와 지주 사이에 양식망(김 망)을 펼치는 '지주식'으로 불리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는 상기 [1]의 부유식과 상기 [2]의 지주식 중 어느 것을 채택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유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10)를 이용하여 김 양식(부유식)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편의상 부자 프레임(20)을 1개만 도시했지만 부자 프레임(20)은 김 양식장을 둘러싸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배치된다. 부자 프레임(2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부자(21)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자 프레임(20)은, 해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부자(21) 부근으로부터는 닻(30)이 내려져 있어, 부자 프레임(20)이 조류 등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이 부자 프레임(20)은 프레임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그 내측에는 복수의 부자 로프(40)가 약 3 m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펼쳐져 있다. 이 부자 로프(40)에도 작은 부자(41)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부자 로프(40)가 바닷속에 가라앉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부자 로프(40)에는 매달기 로프(50)가 약 2.5 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매달기 로프(50)의 선단 측은 양식망(60, 김 망)의 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양식망(60)은, 그 단변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매달기 로프(50)에 의해 반대 측으로 당겨진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망(60)이, 이웃한 부자 로프(40)간 공간에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양식망(60)은 장척의 띠 형상을 이루고 있는 바 조수의 흐름(F)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부자 로프(40)도 조수의 흐름(F)과 평행으로 설치된다. 이로써 양식망(60)을 펼치는 작업과 회수하는 작업을 조수의 흐름을 이용해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양식망(60)에 김을 효율적으로 번식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각각의 양식망(60)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양태에서는 폭이 1.6 m이고 길이가 20 m인 양식망(60)을 사용하고 있다. 이 치수의 양식망(60)을 조수의 흐름(F) 방향으로 2장씩 배치함으로써 각 열에 있어서 40 m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양식망(60)을 배치하고 있다.
각각의 부자 로프(40)에는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어류 기피구(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와,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 상부에 설치된 매달기 부재(12)로 구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달기 부재(12)의 상단부를 부자 로프(40)에 연결함으로써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해수면 부근으로부터 바닷속으로 늘어지도록 하고 있다. 어류 기피구(10)의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는, 조수의 흐름(F)을 받아 조수의 흐름(F) 방향으로 흔들린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움직임으로 어류를 위협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자 로프(40)는, 각각의 양식망(60)의 단변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데 그 양측의 부자 로프(40) 각각에 복수의 어류 기피구(10)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양식망(60)의 단변 방향 양측에는 어류 기피구(10)의 열(列)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망(60)에 번식되고 있는 김을 어류가 포식하려고 해도 어느 하나의 어류 기피구(10)가 시야에 들어가 양식망(60)에 접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어류 기피구(10)를 배치하는 간격(도 1의 S)은,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도 2의 L) 등에 따라서도 다르다. 그러나 어류 기피구(10)의 간격(S)을 너무 좁게 하면 필요한 어류 기피구(10)의 개수가 증대된다. 또한 각각의 부자 로프(40)에 걸리는 부하가 커져서 부자 로프(40)를 두껍게 하거나 부자(41) 개수를 늘리는 등의 대책이 필요해질 우려가 있다. 더욱이 이웃하는 어류 기피구(10)의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뒤얽히기 쉬워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어류 기피구(10)의 간격(S)은,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에 대한 비(S/L)가 0.5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S/L)는 1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어류 기피구(10)를 배치하는 간격(S)을 너무 넓게 하면 어류가 양식망(60)에 접근할 수 있는 루트(어류가 어류 기피구(10)의 존재를 알아채지 못하고 양식망(60)에 접근할 수 있는 루트 또는 어류가 어류 기피구(10)의 존재를 알아채더라도 어류 기피구(10)로부터 방해되지 않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양식망(60)에 접근할 수 있는 루트)가 이웃하는 어류 기피구(10)간에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어류 기피구(10)의 간격(S)은, 상기 비(S/L)가 5 이하가 되는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S/L)는 4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를 2 m로 하고 어류 기피구(10)의 간격(S)을 약 5 m로 하고 있어(부자 로프(40)에 있어서 매달기 로프(50)가 설치된 부분 중 1개를 건너뛰고 어류 기피구(10)를 설치하고 있어), 비(S/L)가 약 2.5로 되어 있다.
3. 어류 기피구
계속해서 어류 기피구(10)의 상세부를 설명한다.
어류 기피구(10)의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는 천 등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되지만, 이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쳐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어류 기피구(10)를 빈번히 교환할 필요가 생길 우려가 있다. 게다가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모든 방향으로 휠 수 있으므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꼬일 우려가 있다. 또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이웃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나 부자 로프(40), 매달기 로프(50) 등 다른 부재에 뒤얽힐 우려도 있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꼬이거나 뒤얽히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는 원하는 기피 작용을 발휘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는 너무 부드럽지 않고 뒤얽히기 어려운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느 정도 경질인 부재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거의 휘지 않는 부재로 형성하면 바닷속에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단조로운 움직임만 하게 되어 어류에 대한 위협 작용이 저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는 어느 정도 휘는 부재(어느 정도의 굴곡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꼬임과 뒤얽힘을 억제하면서, 조수의 흐름(F)을 받아 흔들리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에 물결치는 듯한 복잡한 움직임을 수행시켜 어류에 대한 위협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조건(경질이면서 굴곡 탄성을 갖는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부재로는, 금속판과 플라스틱판 등을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금속판을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내기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금속판 중에서도 녹슬기 어려운 스테인리스제 금속판을 띠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로서 사용하고 있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표면에는, 방청 처리 등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금속으로 형성하면 그대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 표면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 표면에 광택이 있으면 바닷속에서 흔들리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 표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더욱 눈에 띄게 하고, 어류에 대한 위협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플라스틱 등 광택을 갖지 않는 소재로 형성하면 그대로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에서 빛을 반사시키기 어렵다. 광택을 갖지 않는 소재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형성한 경우,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 표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려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 표면에 광택이 있는 도료를 도포하거나 금속 필름을 부착하는 등의 처리가 별도로 필요해진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두께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형성하는 소재나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도 2의 L)와 폭(도 2의 W) 등에 따라서도 다르다. 본 실시 양태와 같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금속에 의해 형성하고,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와 폭(W)을 후술하는 범위로 한 경우,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두께는 대체로 0.1 ~ 2 mm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2 ~ 1 mm 범위가 된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두께는 약 0.3 mm로 되어 있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도 2의 L)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너무 짧으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눈에 띄기 어려워지고,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로 어류를 위협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는 50 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는 100 cm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50 cm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너무 길게 하면 바닷속에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흔들리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김 양식은 수심이 비교적 얕은 장소에서 수행되는 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해저에 걸려서 거의 움직이지 않게 될 우려도 있다. 또한 해저에 걸리지 않더라도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꼬이기 쉬워지거나 뒤얽히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더욱이 어류 기피구(10)의 중량이 커지고, 부자 로프(40) 등에 걸리는 부하가 커진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는 5 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는 4 m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3 m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길이(L)는 약 2 m로 하고 있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도 2의 W)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이 너무 좁으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눈에 띄기 어려워져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로 어류를 위협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강도가 저하되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에 절단 등 파손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은, 1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은 15 mm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0 mm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이 너무 넓으면 어류 기피구(10)의 중량이 커지고, 부자 로프(40) 등에 걸리는 부하가 커진다. 따라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은 10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은 70 mm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50 mm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폭(W)은 약 5 mm로 하고 있다.
매달기 부재(12)는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를 해수면 부근으로부터 바닷속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매달기 부재(12)를 부자 로프(40)에 설치했지만 매달기 부재(12)를 설치할 대상은 부자 로프(40)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달기 부재(12)는 양식망(60)이나 매달기 로프(50)에 설치해도 된다. 단, 양식망(60)은 김 수확 시에 작업선 상측으로 감아 올려서 회수되는 바 양식망(60)에 매달기 부재(12)를 설치하면 양식망(60) 회수 시 어류 기피구(10)도 회수되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꼬이거나 뒤얽힐 우려가 있다. 또한 매달기 로프(50)는 양식망(60)이 펼쳐져 있지 않을 때는 느슨해진 상태가 되는 바 매달기 로프(50)에 매달기 부재(12)를 설치하면 양식망(60)이 펼쳐져 있지 않을 때 매달기 부재(12)가 매달기 로프(50)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부자 로프(40)는 양식망(60) 유무 등에 상관없이 부자 프레임(20)의 내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매달기 부재(12)를 설치할 대상으로서는 역시 부자 로프(40)가 바람직하다.
매달기 부재(12)는 부자 로프(40) 등의 대상물에 설치할 수 있으면 구체적인 구조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부재(12a)와 링 부재(12b), 연결 선재(12c), 스위블 부재(12d)로 매달기 부재(12)를 구성하고 있다. 클립 부재(12a)는, 금속 선재를 굴곡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고, 부자 로프(40) 등의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협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은, 매달기 부재(12)에 있어서의 클립 부재(12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미설치 시(부자 로프(40)에 설치하지 않았을 때)의 클립 부재(12a)를, 도 3(b)는 설치 시(부자 로프(40)에 설치했을 때)의 클립 부재(12a)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 부재(12a)는 스프링 부분(12a1), 스프링 부분(12a1)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부분(12a2), 스프링 부분(12a1)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부분(12a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분(12a3)은 스프링 부분(12a1)에 의해, 열리는 방향(제 1 부분(12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단, 제 1 부분(12a2)의 선단 측에는, 제 2 부분(12a3) 측으로 되돌아오는 반환부(12a4)가 형성되어 있고, 반환부(12a4)에는 브릿지부(12a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부분(12a3)이 브릿지부(12a5)에 접촉된 상태가 되면 제 2 부분(12a3)은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스프링 부분(12a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 2 부분(12a3)을 제 1 부분(12a2) 측으로 밀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부분(12a3)의 선단 측에 설치된 훅(hook)부(12a6)와 반환부(12a4) 사이에, 대상물(부자 로프, 40)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훅부(12a6)와 반환부(12a4) 사이에 대상물(부자 로프, 40)을 삽입하고 클립 부재(12a)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 부분(12a1)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부분(12a3)이 외측으로 복귀하려고 하여, 대상물(부자 로프, 40)이 훅부(12a6)와 반환부(12a4)에 의해 탄성적으로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클립 부재(12a)에 의해, 매달기 부재(12)를 대상물(부자 로프, 40)에 용이하고 확실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링 부재(12b)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달기 부재(12)를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상단부 근방을 하측으로 접어서 형성한 루프부에 링 부재(12b)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연결 선재(12c)는, 클립 부재(12a)와 링 부재(12b)를 연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연결 선재(12c)로는 로프와 끈, 와이어 등의 선재가 사용된다. 연결 선재(12c)를 너무 짧게 하면 어류 기피구(10)의 설치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연결 선재(12c)를 너무 길게 하면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가 해수면으로부터 깊은 곳에 위치하게 되어, 어류가 양식망(60)에 접근하는 루트가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의 상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 선재(12c)의 길이는 5 ~ 100 cm로 하면 바람직하고, 10 ~ 50 cm 범위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연결 선재(12c)와 링 부재(12b) 사이에 스위블 부재(12d)를 개재시켜, 연결 선재(12c)가 꼬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 매달기 부재(12)를, 클립 부재(12a)와 링 부재(12b), 연결 선재(12c), 스위블 부재(12d)로 구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매달기 부재(12)는 더욱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립 부재(12a)를 생략하고, 연결 선재(12c)의 상단부를 부자 로프(40) 등에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해도 된다. 더욱이 링 부재(12b)나 스위블 부재(12d)를 생략하고, 연결 선재(12c)의 하단부를 위협용 띠 형상 부재(11)에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해도 된다.
4. 실험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에 의한 기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출원인이 관리하는 김 양식장에서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사용해봤다. 이 양식장은 직전 수확 시에는 식해에 의한 영향으로 김 수확량이 대폭 떨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를 사용했을 때는 김을 통상적으로 수확할 수 있었다. 식해를 받은 형적도 볼 수 없었다. 이에 반해 같은 시기에 김 양식을 수행하고 있던 근린 양식장에서는 식해를 받아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어류 기피구가 어류의 기피 작용이 뛰어나고 김 등의 식해 방지에 매우 유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어류 기피구
11: 위협용 띠 형상 부재
12: 매달기 부재
12a: 클립 부재
12a1: 스프링 부분
12a2: 제 1 부분
12a3: 제 2 부분
12a4: 반환부
12a5: 브릿지부
12a6: 훅부
12b: 링 부재
12c: 연결 선재
12d: 스위블 부재
20: 부자(浮子) 프레임
21: 부자(浮子)
30: 닻
40: 부자 로프
41: 부자(浮子)
50: 매달기 로프
60: 양식망
F: 조수의 흐름
L: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길이
S: 어류 기피구를 배치하는 간격
W: 위협용 띠 형상 부재의 폭

Claims (4)

  1. 어류를 기피시키는 어류 기피구로서,
    수중에서 흔들림으로써 어류를 위협하는 위협용 띠 형상 부재와,
    위협용 띠 형상 부재를 수면 부근으로부터 수중에 매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매달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기피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가, 경질이면서 굴곡 탄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된 어류 기피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위협용 띠 형상 부재가, 표면에 광택을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된 어류 기피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어류 기피구를 양식망 주변에 설치하여 해조를 양식하는 해조 양식 방법.
KR1020217033697A 2020-01-31 2020-01-31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KR20210141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03832 WO2021152862A1 (ja) 2020-01-31 2020-01-31 魚類忌避具及び海藻養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617A true KR20210141617A (ko) 2021-11-23

Family

ID=7707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697A KR20210141617A (ko) 2020-01-31 2020-01-31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81024B2 (ko)
KR (1) KR20210141617A (ko)
CN (1) CN113873874B (ko)
WO (1) WO2021152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7843B (zh) * 2021-09-22 2022-11-29 温州佳海食品有限公司 羊栖菜海洋养殖装置及其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926A (ja) 2001-02-26 2002-09-03 Takafumi Urano 養殖海苔の魚食被害防止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1513B2 (ja) * 1995-05-23 2005-04-20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魚類迷入防止装置
JP2004008192A (ja) * 2002-06-03 2004-01-15 Tokushukai Kaiyo Igaku Kenkyusho:Kk 藻場海中林造成のための海藻栄養繁殖法における葉芽食害防止および増養殖法
JP4518811B2 (ja) 2004-02-13 2010-08-04 中国電力株式会社 魚類迷入防止装置
JP2006009256A (ja) 2004-06-22 2006-01-12 Meihou Engineering:Kk 魚類等誘導装置
CN101331870B (zh) * 2007-06-25 2011-05-25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声光电综合驱鱼仪
JP2018186809A (ja) 2017-04-27 2018-11-29 正幸 三辻 藻類の養殖システム及び養殖方法
CN206679211U (zh) * 2017-05-09 2017-11-28 高小翎 一种用于水下驱鱼的遥控船
CN107751182A (zh) * 2017-10-11 2018-03-06 平步青 一种避免鱼群干扰的智能型海洋石油勘探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926A (ja) 2001-02-26 2002-09-03 Takafumi Urano 養殖海苔の魚食被害防止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2862A1 (ja) 2021-08-05
JPWO2021152862A1 (ko) 2021-08-05
CN113873874B (zh) 2023-04-25
JP7481024B2 (ja) 2024-05-10
CN113873874A (zh)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7030B2 (ja) 被養殖生物の養殖方法およびその養殖施設
US5884585A (en) Underwater high relief fence habitat
JP2017176082A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JP7027654B2 (ja) 洋上ウィンドファーム
CN114304085B (zh) 一种环境友好型连续捕捞式南极磷虾拖网
KR20210141617A (ko) 어류 기피구 및 해조 양식 방법
CN112167134A (zh) 一种深海养殖用浮沉网箱
US10791720B2 (en) Coral nursery based on overgrowth of a tensioned line
KR19990055863A (ko) 양식설비
JP6603620B2 (ja) 網材構造体、生物保護構造、並びに生物保護方法
JP3793807B2 (ja) 魚類の保護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人工浮島
JP6532624B1 (ja) 魚捕獲器、および、魚捕獲器を用いた漁獲方法
KR200301965Y1 (ko) 바다 낚시용 채비
JP2004222650A (ja) 養殖施設
Boopendranath Basic principles of design of fishing gears and their classification
KR200359264Y1 (ko)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JP7141624B2 (ja) 蛸釣り仕掛け
OKWUOSA et al. A Review on Fishing Gear Technology of The World and Its Application
Ebata et al. Approaching and Staying Behavior of Oval Squid, Sepioteuthis lessoniana, in Response to a State of Floated Squid Trap
WO2016139250A1 (en) Installation for cultivating marine biomass
KR101091858B1 (ko) 침설식 고착성 양식생물 양식방법 및 장치
KR100945373B1 (ko) 인공해초의 고정구조와 이 구조를 갖는 어초부속품 및인공어초
JP2000175591A (ja) 人工海草によるウニの餌料藻場造成方法及び装置
Boopendranath An overview of fishing gears and their design and construction
KR100495818B1 (ko) 기상악화 및 부착생물에 대한 대책수단이 강구된 부침형오탁방지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