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914A -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 Google Patents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914A
KR20160008914A KR1020140089323A KR20140089323A KR20160008914A KR 20160008914 A KR20160008914 A KR 20160008914A KR 1020140089323 A KR1020140089323 A KR 1020140089323A KR 20140089323 A KR20140089323 A KR 20140089323A KR 20160008914 A KR20160008914 A KR 20160008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water jet
main system
port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동윤
이창현
박창열
박태영
오영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914A/ko
Publication of KR20160008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65Floating propeller units, i.e. a motor and propeller unit mounted in a floating bo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는, 항만의 안벽(10)에 장착되고, 워터제트장치(130)에 유체 및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시스템(110); 항만의 안벽(10)에 고정되고,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120); 및 상기 구조물(120)에 장착되고, 메인시스템(110)으로부터 유체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에 따르면,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 및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Apparatus for Preventing Attachment of Foreign Materials Having Water Jet Machine, and Quay Wal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만의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부착방지창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외판에 부착되는 스케일(Scale)이나 따개비 등의 오염물질은 선박의 저항을 증가시켜 운항 효율을 감소시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가의 특수 페인트를 사용하거나 운항 중간에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 용역서비스로 외판 소제를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일정 시간 사용 시 다시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어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소제 작업을 요구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선박(50)은 선체(52)와, 해양생물 제거장치(60)와, 이동유닛(62)과, 본체부(63)와, 바퀴(64)와, 노즐부(66)와, 내측 지향부(67)와, 레일(70)과, 단턱부(72)를 구비한다.
해양생물 제거장치(60)는 선박(50)에 설치되며, 선체(52)의 외벽에 붙어 서식하는 해양생물(P)을 제거한다. 해양생물 제거장치(60)는 이동유닛(62)과, 상기 이동유닛(62)에 설치되는 노즐부(66)를 구비한다. 이동유닛(62)은 선체(52)의 외벽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노즐부(66)에서 분사되는 압력수에 의해 선체(52)에 부착된 해양생물(P)이 떨어지게 된다. 선체(52)의 외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70)이 설치되며, 이동유닛(62)은 본체부(63)와, 바퀴(64)를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는 선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제 작업을 수행할 뿐이고 선박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여 선측외판의 전체적인 소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는 고압수만을 이용하여 소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는 고압수의 분사 시반발력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하는 유닛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에는 선체의 측부면에 따개비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방지도료를 도장한 선체의 측부면을 헝겊으로 닦아낸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 되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따개비가 붙지 않도록 부착방지도료를 도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 도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헝겊으로 닦아낼 수 있을 정도로 해수에 쉽게 녹아 들어갈 수 있고, 더욱이 이러한 특수 도장은 유기주석(트리부탈틴)의 독성을 가진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바다환경오염의 원인이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수 도료에 실리콘 계열의 성분을 사용하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을 더 매끄럽게 하고, 결과적으로 해양 동/식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특수 도료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도성 도료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도장하고, 전류를 흘려 수중 미생물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방법들은 고가의 도료를 사용해야 하고, 특수 도료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간이 5년 미만인 점을 고려할 때,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3742호 (2014년03월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항만 안벽 계류시 따개비 등 이물질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는,
항만의 안벽에 장착되고, 워터제트장치에 유체 및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시스템;
항만의 안벽에 고정되고,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고,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유체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시스템은;
바다로부터 흡입배관을 통해 해수를 흡입하는 해수흡입부;
해수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 및
워터제트장치에 해수를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해수공급부;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항만의 안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워터제트장치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장착부;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에어포일(airfoil)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각 장착부의 이격 거리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안벽에 고정되어 안벽으로부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둘 이상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제트장치는, 상기 메인시스템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워터제트를 발생하는 다수의 워터 추진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는,
항만의 안벽에 장착되고, 워터제트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시스템;
항만의 안벽에 고정되고,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에 장착되고, 메인시스템으로부터 유체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해수를 흡입하여 워터제트를 생성하고, 워터제트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항만의 안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워터제트장치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장착부;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에어포일(airfoil)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각 장착부의 이격 거리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조물은,
안벽에 고정되어 안벽으로부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둘 이상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제트장치는,
바다로부터 해수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워터제트를 발생하는 다수의 워터 추진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실린더;
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항만 안벽은,
상기 항만 안벽에 장착되고, 상부에 메인시스템을 탑재하여 고정시키고, 상부 또는 측부에 구조물을 장착하여 고정시키며, 메인시스템과 구조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에 따르면,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 및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에 따르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구조물 및 이에 장착된 워터제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최적의 유체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면에 부착된 따개비 등의 이물질 작업이 필요없으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이물질 방지를 위한 특수 도료를 적용하지 않아도되므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면 관리를 위해 다이버를 투입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다이버 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이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선체의 측부면에 따개비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방지도료를 도장한 선체의 측부면을 헝겊으로 닦아낸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가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의 주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 A' 선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 B' 선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장치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장치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항만 안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가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의 주위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 - A' 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는, 메인시스템(110), 구조물(120) 및 워터제트장치(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시스템(110)은, 항만의 안벽(10)에 장착되고, 워터제트장치(130)에 유체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조물(120)은, 항만의 안벽(10)에 고정되고,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워터제트장치(130)는, 구조물(120)에 장착되고, 메인시스템(110)으로 부터 유체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시스템(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흡입부(111), 흡입펌프(113) 및 해수공급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해수흡입부(111)는 바다로부터 흡입배관(112)을 통해 해수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펌프(113)는 해수흡입부(111)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해수공급부(114)는 워터제트장치(130)에 해수를 공급배관(115)을 통해 공급받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메인시스템(110)은 상기 언급한 해수흡입부(111), 흡입펌프(113) 및 해수공급부(114)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제트장치(130)는 해수에 잠입된 상태에서 해수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다수의 추진 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스스로 워터제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워터제트장치 설명 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B - B' 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20)은,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조물(120)은, 고정부(121), 연장부(122) 및 장착부(12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고정부(121)는 구조물(120) 전체를 항만의 안벽(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장부(1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1)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장착부(124)는 연장부(122)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둘 이상 위치하고, 워터제트장치(130)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워터제트장치(13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볼트체결에 의한 방법 또는 용접에 의한 방법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9에는 연장부(122)의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2)는 절단면상 에어포일(airfoil)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22)는 해수의 흐름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공급부(114)는 연장부(122)의 전두부 내측 또는 중앙부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역시, 해수의 흐름에 의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0에는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2)는 길이변경부(123)를 더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변경부(123)는, 각 장착부(124)의 이격 거리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1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변경부(123)는 유압실린더 구조 또는 공압실린더 구조를 적용하여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구조물(120)에 장착된 각 장착부(124)의 이격 거리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상기 언급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구조물 및 이에 장착된 워터제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최적의 유체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장치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장치를 나타내는 측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1을 도 4 및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장치(130)는, 메인시스템(110)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워터제트를 발생하는 다수의 워터 추진 블레이드(132)를 구비하는 실린더(131)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워터제트장치(1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주위에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선박 주위에 해수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워터제트장치(130')는 메인시스템(110)으로 부터 해수를 공급받지 않는 구조로서, 해수를 직접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해수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시스템(110)의 구성은 해수흡입부(111), 흡입펌프(113) 및 해수공급부(114)가 생략된 구성일 수 있고, 메인시스템(110)은 전원공급부(116)를 통해 워터제트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에 따르면, 안벽에 계류 중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 및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항만 안벽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항만 안벽(200)은,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 10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 안벽(200)은 메인시스템(110)과 구조물(12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210)를 더 장착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위치변경부(210)는 항만 안벽(200)에 장착되고, 상부에 메인시스템(110)을 탑재하여 고정시키고, 상부 또는 측부에 구조물(120)을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변경부(210)는 바퀴가 달린 주행체 또는 항만 안벽 상부면에 장착된 레일에 따라 움직이는 주행체 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2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 1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항만 안벽(200)에 계류중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 구동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따개비와 같은 이물질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면 관리를 위해 다이버를 투입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다이버 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이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항만의 안벽
20: 선박
100, 100':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10, 110': 메인시스템
111: 해수흡입부
112: 흡입배관
113: 흡입펌프
114: 해수공급부
115: 공급배관
116: 전원공급부
120: 구조물
121: 고정부
122: 연장부
123: 길이변경부
124: 장착부
130, 130': 워터제트장치
131: 실린더
132: 워터 추진 블레이드
133: 흡입펌프
200: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항만 안벽
210: 위치변경부

Claims (17)

  1. 항만의 안벽(10)에 장착되고, 워터제트장치(130)에 유체 및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시스템(110);
    항만의 안벽(10)에 고정되고,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120); 및
    상기 구조물(120)에 장착되고, 메인시스템(110)으로부터 유체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워터제트를 생성하여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스템(110)은;
    바다로부터 흡입배관(112)을 통해 해수를 흡입하는 해수흡입부(111);
    해수흡입부(111)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113); 및
    워터제트장치(130)에 해수를 공급배관(115)을 통해 공급하는 해수공급부(1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항만의 안벽(10)에 고정되는 고정부(121);
    상기 고정부(121)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2); 및
    상기 연장부(122)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워터제트장치(130)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장착부(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2)는 에어포일(airfoil) 단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2)는:
    상기 각 장착부(124)의 이격 거리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1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안벽(10)에 고정되어 안벽(10)으로부터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제트장치(130)는, 상기 메인시스템(110)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워터제트를 발생하는 다수의 워터 추진 블레이드(132)를 구비하는 실린더(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9. 항만의 안벽(10)에 장착되고, 워터제트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시스템(110');
    항만의 안벽(10)에 고정되고,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물(120); 및
    상기 구조물(120)에 장착되고, 메인시스템(110')으로부터 유체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해수를 흡입하여 워터제트를 생성하고, 워터제트를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워터제트장치(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안벽(10)에 계류 중인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항만의 안벽(10)에 고정되는 고정부(121);
    상기 고정부(121)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2); 및
    상기 연장부(122)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워터제트장치(130')를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둘 이상의 장착부(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2)는 에어포일(airfoil) 단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2)는:
    상기 각 장착부(124)의 이격 거리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장부(1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20)은,
    안벽(10)에 고정되어 안벽(10)으로부터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박(20) 또는 해양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제트장치(130')는,
    바다로부터 해수를 흡입하는 흡입펌프(133); 및
    상기 흡입펌프(133)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워터제트를 발생하는 다수의 워터 추진 블레이드(132)를 구비하는 실린더(13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16.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100, 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20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항만 안벽(200)은,
    상기 항만 안벽(200)에 장착되고, 상부에 메인시스템(110)을 탑재하여 고정시키고, 상부 또는 측부에 구조물(120)을 장착하여 고정시키며, 메인시스템(110)과 구조물(12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안벽(200).
KR1020140089323A 2014-07-15 2014-07-15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KR20160008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23A KR20160008914A (ko) 2014-07-15 2014-07-15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23A KR20160008914A (ko) 2014-07-15 2014-07-15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14A true KR20160008914A (ko) 2016-01-25

Family

ID=5530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323A KR20160008914A (ko) 2014-07-15 2014-07-15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9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57A (ko) * 2019-03-12 2020-09-2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승선 및 하선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선박 접안장치
KR102166914B1 (ko) 2019-06-21 2020-10-16 주식회사 코어마린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KR20210007480A (ko) 2019-07-11 2021-01-20 송근식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42A (ko) 2012-09-10 2014-03-19 신청훈 선체의 이물질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42A (ko) 2012-09-10 2014-03-19 신청훈 선체의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57A (ko) * 2019-03-12 2020-09-22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승선 및 하선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선박 접안장치
KR102166914B1 (ko) 2019-06-21 2020-10-16 주식회사 코어마린 선박 가드용 계류장치
KR20210007480A (ko) 2019-07-11 2021-01-20 송근식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2991A (en) Apparatus for cleaning metallic surfaces
CN101341065B (zh) 海船主动防污系统和过程
EP3415412B1 (en) A surface cleaning device
EP3352578B1 (en) Cleaning and grooming water submerged structures using acoustic pressure shock waves
US5048445A (en) Fluid jet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maintenance of ship performance
EP3225421B1 (en) Magnetic wheel
CN201439086U (zh) 管路疏通装置
JP6408165B2 (ja) 磁石ホイールの荷重分散装置
KR20160008914A (ko)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WO2014087207A1 (en) Device for cleaning ships and method in which such a device is applied
US200400744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parts of a boat immersed in water
KR101477819B1 (ko) 자율주행 캐리지를 이용한 선박 방오 장치
KR20170000874U (ko) 선체 외판 청소 장치
WO2016013953A1 (ru) Способ подводной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тверд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00298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ouling and/or corrosion on vessels and marine objects
WO2015132617A2 (en) Bubble chamber for underwater maintenance for ships
JP4466915B2 (ja) 船底等への水生生物の着生防止装置並びに着生防止方法
KR102322287B1 (ko) 프로펠러 이물질 고착 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Akinfiev et al. A brief survey of ship hull cleaning devices.
WO20220847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hull of a vessel
KR101361843B1 (ko) 선박 및 구조물의 부착물 제거장치
AU2021103818A4 (en) Underwater cleaning apparatus and system
KR102336040B1 (ko) 선저 청소 통합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선저 청소 방법
US202303825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hull of a vessel
KR101224838B1 (ko) 선박의 방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