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955B1 -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955B1
KR102045955B1 KR1020180095462A KR20180095462A KR102045955B1 KR 102045955 B1 KR102045955 B1 KR 102045955B1 KR 1020180095462 A KR1020180095462 A KR 1020180095462A KR 20180095462 A KR20180095462 A KR 20180095462A KR 102045955 B1 KR102045955 B1 KR 10204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d
interval
center
sea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강민
권기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Priority to KR102018009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설치용이성 및 호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선체 외부에 발생된 파공을 밀폐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중앙부 외주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 외주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일단부 외주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 외주 및 일단부 외주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된 봉부; 상기 단턱부에 걸림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장방형 판재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1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2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삽입판부; 상기 봉부의 타단부로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무패킹부; 및 상기 봉부의 타단부로 순차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 외주의 어느 양측에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봉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그립부가 일체로 구비된 회전조임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hole sealing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용이성 및 호환성이 개선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상교통의 활성화 및 어업 활동의 증가 추세에 따라 선박의 침몰 발생건수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의 침몰은 인명 피해와 같은 1차 피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침몰 후 선체가 부식되고 해수압이나 조류로 인해 파손 부위가 증가되는 경우 연료의 유출 등에 따른 광범위한 해양 오염으로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2차 재난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선박의 침몰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암초 또는 선박간 접촉 등의 이유로 선체에 파공이 발생시 신속히 해수 유입 또는 기름 유출을 방지하도록 파공을 밀폐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선체의 하부에 파공 발생시 해수의 선체 내부 유입을 방지하거나 선박에 저장된 기름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파공을 밀폐하는 실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링장치는 잠수부에 의해 선체에 발생된 파공에 설치되되, 실링장치의 지지바가 삽입된 후 지지바 및 수직바가 연결되고, 수직바에 고무패킹 등이 밀착 삽입되어 파공이 발생된 선체 외벽에 밀착되어 밀폐 조임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체에 발생된 파공의 크기와 대응되는 상이한 크기의 지지바가 요구되지만, 신속하게 수중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파공 밀폐 작업시 소지해야되는 부품이 증가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상이한 파공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부재가 요구되어 경제성 및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25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용이성 및 호환성이 개선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 외부에 발생된 파공을 밀폐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중앙부 외주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 외주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일단부 외주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 외주 및 일단부 외주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된 봉부; 상기 단턱부에 걸림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장방형 판재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1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2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삽입판부; 상기 봉부의 타단부로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무패킹부; 및 상기 봉부의 타단부로 순차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 외주의 어느 양측에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봉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그립부가 일체로 구비된 회전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파공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봉부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체결되되,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 미만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사이의 제3간격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사이의 제4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임부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제2삽입홀을 감싸며 상기 봉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되 단면이 중공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조임볼트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장방형 삽입판부에 상호간 상이한 간격으로 각각 이격 형성된 제1관통홀, 제2관통홀, 제3관통홀 중 어느 하나가 선체에 발생된 파공의 크기에 대응되어 봉부의 일단부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므로 하나의 삽입판부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선체 파공에 호환 적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삽입판부의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제1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제2관통홀은 상기 삽입판부의 중앙측에 형성된 제1관통홀보다 삽입판부의 단부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봉부에 삽입 및 고정시 작은 파공에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므로 설치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고무패킹부를 밀폐 가압하는 회전조임부의 중앙부에 다각형 외면으로 구비된 조임볼트부는 기계식 회전조임장치에 형합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며 고무패킹부를 가압하여 손으로 회전 조임되는 경우보다 선체에 발생된 파공과 고무패킹부 사이가 더욱 가압되므로 실링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삽입판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사용상태 및 설치과정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회전조임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회전조임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삽입판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사용상태 및 설치과정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회전조임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100)는 봉부(10), 삽입판부(20), 고무패킹부(30), 그리고 회전조임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100)는 선체(1)의 외부에 암초 등의 외부 물체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된 파공(2a,2b)을 밀폐하는 실링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선체부착물의 설치를 위해 타공된 구멍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봉부(10)는 원통형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중앙부(11) 외주에 제1나사산(11a)이 형성되며, 중앙부(11) 외주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일단부(12) 외주에 제2나사산(12a)이 형성되고, 중앙부(11) 외주 및 일단부(12) 외주 사이에 단턱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외경은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 외경보다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및 일단부(12) 사이 경계에는 상기 단턱부(13)가 단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외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11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 외주에는 상기 제2나사산(1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의 외경은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외경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일단부(12), 타단부(14)는 일체로 연장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봉부(10)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부(10)는 중앙부(11)측에 상기 고무패킹부(30) 및 상기 회전조임부(40)가 삽입된 뒤에도 타단부(14)측에 소정의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방향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입판부(20)는 장방형 판재로 구비되되, 길이방향 중앙부에 제1관통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1간격(D1)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2관통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2간격(D2)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3관통홀(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상기 제3관통홀(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삽입되어 상기 단턱부(13)에 걸림되고 상기 삽입판부(20)가 볼트(12b)에 의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삽입 및 체결되는 상기 삽입판부(20)의 각 상기 관통홀(21,22,2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삽입판부(20)가 상기 봉부(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파공(2a,2b)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판부(20)는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호 직각으로 배치되어 볼트 체결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상기 제3관통홀(23)의 각 직경은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상기 제3관통홀(23)의 각 내주에는 상기 제2나사산(12a)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판부(20)는 상기 파공(2a,2b)으로 삽입되어 상기 선체(1)의 내벽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판부(20)는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결합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공(2a,2b)으로 삽입된 후 상기 선체(1)의 내벽면에 밀착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는 상기 파공(2a,2b)의 길이보다 길게 기설정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판부(20)의 기설정된 길이는 통계적으로 산출된 파공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판부(20)는 상기 파공(2a,2b)으로 삽입되어 상기 선체(1)의 내벽면에 걸림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간 상이한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각 상기 관통홀(21,2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판부(20)에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기 제1관통홀(2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상기 제1간격(D1)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관통홀(2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상기 제2간격(D2)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3관통홀(2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관통홀(22)은 상기 제1관통홀(21)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3간격(D3)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관통홀(23)은 상기 제1관통홀(21)로부터 타측방향으로 기설정된 제4간격(D4)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간격(D1)은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2관통홀(22) 중심까지의 거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3관통홀(23) 중심까지의 거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간격(D3)은 상기 제1관통홀(21) 및 상기 제2관통홀(22)의 사이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4간격(D4)은 상기 제1관통홀(21) 및 상기 제3관통홀(23) 사이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상기 제3관통홀(23)은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의 크기에 대응되어 삽입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되도록 상호간 상이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및 상기 제3관통홀(2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상기 파공(2a,2b)의 크기에 대응되어 삽입 및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2관통홀(22) 중심까지의 상기 제1간격(D1)은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3관통홀(23) 중심까지의 상기 제2간격(D2)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 길이가 70mm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D1)은 13mm로 설정되며, 상기 제2간격(D2)은 17.5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간격(D1)이 상기 제2간격(D2) 미만으로 설정되어 상기 제2관통홀(22)이 상기 제3관통홀(23)보다 상기 삽입판부(20)의 단부측에 더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2관통홀(22)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관통홀(21) 또는 상기 제3관통홀(23)이 삽입되는 경우보다 상기 봉부(10)와 체결된 상태의 상기 삽입판부(20)가 더 작은 상기 파공(2a,2b)에 삽입 가능하므로 설치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2관통홀(22) 중심까지의 상기 제1간격(D1)은 상기 제1관통홀(21) 및 상기 제2관통홀(22) 사이의 상기 제3간격(D3)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 길이가 70mm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D1)은 13mm로 설정되며, 상기 제3간격(D2)는 22mm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관통홀(22)은 상기 삽입판부(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홀(21) 및 상기 제2관통홀(22) 사이 거리가 상기 제2관통홀(22) 및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 사이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2관통홀(22)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의 결합 형태가 실질적으로 'ㄱ' 형상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가 상기 파공(2a,2b)에 삽입시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가 상기 선체(1)의 외벽면에 걸림되지 않으므로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좁은 파공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21)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의 결합 형태가 실질적으로 'T' 형상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판부(20)의 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의 크기 및 결합 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파공에 삽입시 상기 삽입판부(20)의 다른 단부가 상기 선체(1)의 외벽면에 걸림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파공(2a)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1관통홀(21)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파공(2b)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2관통홀(22) 또는 상기 제3관통홀(23)이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3관통홀(23) 중심까지의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1관통홀(21) 및 상기 제2관통홀(22)의 사이의 상기 제3간격(D3)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 길이가 70mm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간격(D2)은 17.5mm로 설정되고, 상기 제3간격(D2)는 22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간격(D2) 및 상기 제3간격(D3)이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삽입판부(20)에 배치된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및 상기 제3관통홀(23) 사이 간격이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정되어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및 상기 제3관통홀(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체결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3관통홀(23) 중심까지의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1관통홀(21) 및 상기 제3관통홀(23) 사이의 상기 제4간격(D4)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 길이가 70mm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간격(D2) 및 상기 제4간격(D4)은 각각 17.5mm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간격(D2) 및 상기 제4간격(D4)은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3관통홀(23)은 상기 삽입판부(20)의 길이방향 중앙부 및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 사이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22)은 상기 삽입판부(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3관통홀(23)의 형성 위치보다 상기 삽입판부(20)의 단부측으로 더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판부(20)가 상기 봉부(10)에 직각으로 고정된 후 상기 선체(1)에 발생된 파공(2a,2b)에 삽입 가능하도록 각 상기 관통홀(21,22,2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파공(2a,2b)의 크기가 제1직경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1관통홀(21)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으로 상기 파공(2a,2b)이 형성되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3관통홀(23)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직경보다 작은 제3직경으로 상기 파공(2a,2b)이 형성되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2관통홀(22)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1관통홀(21)이 삽입되어 상기 볼트(12b)에 의해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에 상기 제2관통홀(22)이 삽입되어 상기 볼트(12b)에 의해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파공(2a)의 직경이 도 3a에 도시된 파공(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및 상기 제3관통홀(2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의 크기에 대응되어 삽입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선택적으로 삽입된 후 볼트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및 상기 제3관통홀(2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삽입 및 고정된 후 상호 고정된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가 상기 선체(1)의 파공(2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3b에서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는 상기 제2관통홀(22)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
먼저, 도 3b에 도시된 a 방향으로 상기 봉부(10) 및 상기 삽입판부(20)가 삽입되되, 상기 삽입판부(20)의 타단부가 b 방향으로 우선 삽입된 후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가 뒤이어 상기 파공(2b)을 통과하여 상기 선체(1)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선체(1)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판부(20)는 c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선체(1)의 내부에 밀착되며 상기 파공(2b)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로 상기 고무패킹부(30) 및 상기 회전조임부(40)가 순차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100)가 상기 선체(1)의 파공(2b)을 밀폐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장방형 상기 삽입판부(20)에 상이한 기설정된 간격으로 각각 이격되며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21), 상기 제2관통홀(22), 상기 제3관통홀(2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봉부(10)의 일단부(12)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고정되므로 하나의 상기 삽입판부(20)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선체 파공에 호환 적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판부(20)의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상기 제1간격(D1)을 두고 이격 배치된 상기 제2관통홀(22)은 상기 삽입판부(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제1관통홀(21)보다 단부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봉부(10)에 상기 제2관통홀(22)이 삽입 및 고정되면 상기 봉부(10)에 상기 제1관통홀(21)이 삽입 및 고정된 경우보다 더 작은 파공에도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므로 설치용이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장방형 판재로 구비된 상기 삽입판부(20)가 상기 선체(1)의 내벽면에 밀착되며 고정되어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선체(1)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공간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패킹부(30)는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로 삽입되도록 반경방향 중앙부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제1나사산(11a)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제1삽입홀(3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킹부(3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주가 협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패킹부(30)의 일단부 외경은 상기 파공(2a,2b)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부(30)의 일단부 외경은 상기 파공(2a,2b)의 크기와 관계없이 하나의 부재로 일괄 적용 가능하도록 통계적으로 산출된 파공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파공(2a,2b)의 내경을 초과하는 기설정된 외경으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가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 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고무패킹부(30)의 일단부가 상기 파공(2a,2b)을 커버하며 상기 선체(1)의 외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킹부(3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주가 협소화되되, 상기 고무패킹부(30)의 타단부는 일정한 반경으로 타측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부(30)의 타단부 외경은 상기 회전조임부(40)의 몸체 테두리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한 반경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부(3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로 상기 고무패킹부(3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삽입홀(3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삽입홀(31)의 내경은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및 타단부(14)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홀(31)의 내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11a)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가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로 삽입되어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이 밀폐되므로 상기 선체(1) 내부로의 해수 유입 또는 상기 선체(1) 외부로의 기름 유출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의 내부는 비용 절감을 위해 중공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의 제조시 요구되는 재료가 감소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조임부(40)는 상기 고무패킹부(30)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에 상기 고무패킹부(30)가 삽입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반경방향 중앙부 내주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제1나사산(11a)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제2삽입홀(4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조임부(4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조임부(40)가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2삽입홀(3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삽입홀(31)의 내경은 상기 봉부(10)의 중앙부(11) 및 타단부(14)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홀(31)의 내주에는 상기 제1나사산(11a)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가 상기 봉부(10)의 중앙부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조임부(40)가 상기 봉부(10)의 타단부(14)로 삽입되어 상기 고무패킹부(30)를 가압 조임하므로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이 밀폐되어 상기 선체(1) 내부로의 해수 유입 또는 상기 선체(1) 외부로의 기름 유출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임부(40)에는 외주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봉부(10)의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그립부(4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42)는 상기 회전조임부(40)의 몸체 테두리의 어느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42)는 상기 봉부(10)의 타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42)를 그립하여 상기 회전조임부(40)를 회전 가압함에 따라 상기 고무패킹부(30)가 가압되어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그립부(42)는 상기 봉부(10)의 타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돌설되어 그립이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회전조임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의 변형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조임볼트부(143)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조임부(14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제2삽입홀(41)을 감싸며 상기 봉부(10)의 타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되 단면이 중공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임볼트부(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임볼트부(143)는 상기 회전조임부(140)와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조임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볼트부(143)의 반경방향 중앙부는 제2삽입홀(14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상기 봉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볼트부(143)의 외면은 별도의 기계식 회전조임장치(3)의 내주(3a)에 형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내주(3a)의 형상에 대응되어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의 외면 프로파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임볼트부(143)에 상기 기계식 회전조임장치(3)의 내주(3a)에 상기 조임볼트부(143)가 형합되어 상기 기계식 회전조임장치(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조임부(14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패킹부(30)를 밀폐 가압하는 상기 회전조임부(140)의 중앙부에 구비된 상기 조임볼트부(143)는 상기 기계식 회전조임장치(3)에 형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며 상기 고무패킹부(30)를 가압하므로 손으로 회전 조임되는 경우보다 상기 선체(1)에 발생된 상기 파공(2a,2b)과 상기 고무패킹부(30) 사이가 더욱 가압되므로 실링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1: 선체
2a,2b: 파공 3: 기계식 회전조임장치
10: 봉부 11a: 제1나사산
12a: 제2나사산 13: 단턱부
20: 삽입판부 21: 제1관통홀
22: 제2관통홀 23: 제3관통홀
30: 고무패킹부 40,140: 회전조임부
42: 그립부 143: 조임볼트부
D1: 제1간격 D2: 제2간격
D3: 제3간격 D4: 제4간격

Claims (5)

  1. 선체 외부에 발생된 파공을 밀폐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중앙부 외주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부 외주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일단부 외주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부 외주 및 일단부 외주 사이에 단턱부가 형성된 봉부;
    상기 단턱부에 걸림되어 볼트 체결되도록 장방형 판재로 구비되되, 중앙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일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1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타단부로부터 중앙측으로 기설정된 제2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제3관통홀이 형성되는 삽입판부;
    상기 봉부의 타단부로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1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무패킹부; 및
    상기 봉부의 타단부로 순차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 외주의 어느 양측에 일체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봉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그립부가 일체로 구비된 회전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홀, 상기 제2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파공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봉부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체결되되,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 미만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 사이의 제3간격 미만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3관통홀 사이의 제4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임부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제2삽입홀을 감싸며 상기 봉부의 타측방향으로 연장 돌설되되 단면이 중공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조임볼트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KR1020180095462A 2018-08-16 2018-08-16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KR10204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62A KR102045955B1 (ko) 2018-08-16 2018-08-16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62A KR102045955B1 (ko) 2018-08-16 2018-08-16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955B1 true KR102045955B1 (ko) 2019-11-18

Family

ID=6872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462A KR102045955B1 (ko) 2018-08-16 2018-08-16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8887A (zh) * 2021-02-06 2022-08-16 天蓬智慧建造(广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渗水的墙体底部密封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180A (ja) * 1998-03-13 1999-09-21 Niikura Kogyo Kk 甲板排水口などの封栓装置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6-09 주식회사 두양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20080007210A (ko) * 2007-12-29 2008-01-17 이완선 유조선 등 선체파공에 따른 유류유출 방지장치
KR20110000065A (ko) * 2009-06-26 2011-01-03 강철규 선박의 유체누설 차단 장치
US8424478B1 (en) * 2009-10-05 2013-04-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evice for temporary remediation of holes in ship hulls
KR101544554B1 (ko) * 2015-05-26 2015-08-13 대창마린테크(주) 선박 파공 부위 봉쇄 장치
KR20160038341A (ko) * 2014-09-30 2016-04-07 권기생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KR20170107735A (ko) * 2016-03-16 2017-09-26 (주)코리아오션텍 선체 파공 방수/방유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5180A (ja) * 1998-03-13 1999-09-21 Niikura Kogyo Kk 甲板排水口などの封栓装置
KR200352599Y1 (ko) 2004-02-25 2004-06-09 주식회사 두양 선박의 시-체스트 해수 유입 구멍 막음 판
KR20080007210A (ko) * 2007-12-29 2008-01-17 이완선 유조선 등 선체파공에 따른 유류유출 방지장치
KR20110000065A (ko) * 2009-06-26 2011-01-03 강철규 선박의 유체누설 차단 장치
US8424478B1 (en) * 2009-10-05 2013-04-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Device for temporary remediation of holes in ship hulls
KR20160038341A (ko) * 2014-09-30 2016-04-07 권기생 대형선박 선체손상 긴급복구장치
KR101544554B1 (ko) * 2015-05-26 2015-08-13 대창마린테크(주) 선박 파공 부위 봉쇄 장치
KR20170107735A (ko) * 2016-03-16 2017-09-26 (주)코리아오션텍 선체 파공 방수/방유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8887A (zh) * 2021-02-06 2022-08-16 天蓬智慧建造(广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渗水的墙体底部密封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908887B (zh) * 2021-02-06 2024-03-22 天蓬智慧建造(广东)科技有限公司 一种防渗水的墙体底部密封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0592B2 (ja) パイプ補修用クランプ
JP4708947B2 (ja) フランジ継手漏水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045955B1 (ko) 선박용 파공 실링장치
KR102189957B1 (ko) 선체 파공 방수/방유장치 및 그 방법
JP2005069225A (ja) パイプクランプ
KR100540079B1 (ko) 선박용 벤트홀 또는 디스차지 관의 해수 유입 막음 장치
KR20150114848A (ko)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20180005980A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KR100989052B1 (ko) 관체 연결 장치
US7527299B1 (en) Container discharge and fill port fitting
US9400072B2 (en) Maritime supply line
US10494072B2 (en) Double effect hydraulic actuating cylinder
US8136466B2 (en) Self-bailing watercraft valve
CN109747777A (zh) 用于超深水海工作业船海底阀箱的密封装置
JP4276014B2 (ja) 分水栓
SU1055684A1 (ru) Пластырь дл заделки пробоины в корпусе плавсредства
KR200495427Y1 (ko) 선박의 초크 차수판
CN202670089U (zh) 一种船舶无轴承和防滴水套的舵结构
US1517530A (en) Bunghole construction for oil barrels
CA2710866C (en) An arrangement for attaching a ship rudder to a rudder shaft, a rudder shaft, a ship rudder and a method for disassembly of a ship ship rudder from a rudder shaft
KR101969404B1 (ko) 타공판을 이용한 선박 파공 봉쇄 키트
KR20160000879U (ko) 리듀서형 배수구에 적용 가능한 러버 플러그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220842855U (zh) 一种舷外排出管口封堵装置
CN218845101U (zh) 一种用于船舶堵漏训练的堵漏装置
JP4437221B2 (ja) 分水栓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